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영어 학습자의 연어사용 오류 분석

        김영은(Young-eun Kim)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8 영어교육연구 Vol.- No.37

        This study explore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al competence focusing on 'verb+noun' collocation. Collocations are important since unnaturalness of utterance and failure of nativelike fluency mostly result from inappropriate collocation use. Nevertheless, they do not exist as prefabricated chunks in NNS' memory. In this study,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were measured by means of multiple-choice task and translation task respectively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investigated. Also data on productive uses of collocation were analyzed to categorize mis-collocation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ize of learners' receptive collocation was about twice as large as that of productive collocation. In other words, about only 50% of collocation knowledge was used productively. (2) Five types of idiosyncrasy in learners collocation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m transfer from L1 turned out to be most influ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eachers pay attention to the gap between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and give feedback on various types of mis-collocation for an effective collocation learning.

      • KCI등재

        日本語教育における表現の選択肢問題に関する一思案 - コロケーションを中心に -

        李東哲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3 No.-

        외국어교육 과정에서collocation을 구사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은 해당 외국어를 모어 화자처럼 구사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본 고에서는 일본어교육에 입각 하여 현대일본어의 collocation을 중심으로 일본어 비 모어화자의collocation의 의사(擬似) 오용과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표현의 일반성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코퍼스를 이용하여 정 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 일본어교육에서collocation 의 도입은 아주 중요한데 이는 최근에 들어서 개발된 코퍼스 가 없다면 불가능하다. (2) collocation 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서는 두 개 이상의 독립어와 독립어의 결합이라는 견 해와 두 개 이상의 결합하기 쉬운 단어로서 “통사적으로도 의미론적으로도 어떤 언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결합 관계”라는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 더 깊 은 검토가 필요하다. (3) 하나의 언어 표현, 특히 collocation에 대한 바른 사용과 오용의 판단은 아주 어렵지만 코 퍼스를 통해 어느 정도로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코퍼스는 만능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현실세계와의 조합이 가능한collocation위반”과 어떤 언어 내부의 문법적 오류를 오용, 문 법적으로는 틀리지 않지만 코퍼스에 나타나지 않는collocation을 “의사 오용”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4) 현실 세계에서 어떤 사물에 대한 언어 표현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표현을 선택하는가 하는 것은 화자 또는 논자의 자유이지만 비 모어 화자는 이에 대한 판단 능력이 없기 때문에 언어교육에 있어서는 “표현의 일반성”이 필요하다. 단 어느 단계까지 “표현의 일반성”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cess, it is said that mastering collocation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whether someone is able to use the language like a native speaker or not. In this article, I, basing on Japanese education, focusing on collocation, organized and described my opinions about suspected but uncertain misuses of collocation from non-native Japanese speakers and generality of expression in Japanese education using Corpu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Japanese education, introduction of collocation is quite important. Whil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development of Corpus in recent years. (2) In matters of definition and scope of collocation,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e is that there should be two or more content free morphemes and it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ntent free morphemes with grammatical morphemes; the other one is that it is two or more combinative words which is “of a combination relation that repeatedly appears in one language both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But this opinion needs a deeper consideration in the future. (3) An expression, especially judging the correct uses and misuses of collocation is quite difficult. Though we can judge from Corpus to some extent, it’s not omnipotent. So, we might firstly divide “suspected but uncertain misuses of collocation” into “violation of collocation that is combinative with actual world” and misuse of grammatical errors in one language that is grammatically true but not appearing in Corpus. (4) In actual world, there are a great diversity of expressions for an object, and it’s up to the speaker or author to choose any of them. But non-native speakers do not have such ability to perceive, and that’s why “generality of expression” is needed in language education. While, to what stage can be seen as “generality of expression”, is a problem to be solved.

      • KCI등재

        연어(collocation)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김규훈,이준영,김혜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이 연구는 어휘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해 ‘연어(collocation)’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연어와 어휘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들을 결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연어는 의미가 투명하고 빈번하게 결합하는 어휘소의 공기 관계이다. 이에 연어는 국어교육의 텍스트 소통 과정에서 어휘 사용 능력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어휘 자료이다. 어휘 교육 검토를 통해 설정한 연어 활용의 내용 범주는 ‘창조적인 어휘 사용’, ‘어휘의 맥락적 이해와 표현’, ‘어휘적․문법적 의미 탐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어의 유형인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를 바탕으로, 어휘적 연어의 경우 ‘어휘 의미 이해와 창조적 표현’에, 문법적 연어의 경우 ‘호응 관계 탐구와 문장 쓰기’에 관한 교수-학습 활동을 예시해 보았다. 일련의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실제적인 어휘의 사용을 유도하는 연어 활용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llocations for improving a learner’s vocabulary using compet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collocation” and the “lexical education” were searched, and these two are converged. Collocation is a co-occurrence lexeme relation with transparency and frequency. So collocation is an appropriate material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al text communication.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are “creative vocabulary using”,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vocabulary”, “the lexical․grammatical meaning inquiry”. Following to these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in vocabulary education, the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set. Based on the type of collocation,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e activities are proposed from these two types. These are, “understanding vocabulary meanings and creative expression” in lexical collocation, and “agreement-collocation and sentence writing” in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to approach an authentic educational way of vocabulary using in text communicatio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연구 -모국어 화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안의정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50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se of colloca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native speakers. The collocation learning is very important for middle and high level learners, and it is said that strengthening collocation is more important to improving vocabulary than learning low frequency vocabulary. The goal of the collocation study for learners is to identify which collocation learners typically struggle with and which are not,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causing difficulties in using collocation, and to analyze learner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Make suggestions for colloc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usage patterns by comparing the learner’s collocation with the native speaker’s collocation. This study is a large-scale corpus-based data analysis study, and unlik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o quantitatively compare data betwee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course, there has been no previous study comparing the native speaker’s data, but it has been conducted with a few words or limited to special expressions. Overse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native language speaker and learner’s multilingual items is mainly done by formal expressions, and it is not clear that the actual use of collocation is pre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lexical teddy bear effec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ollocation on the corpus. The lexical teddy bear effect is when learners try to avoid risk taking new ones. In addition, the collocation frequency of the important vocabulary calcul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learning mechanism by itself, and the hierarchical collocation list can be hierarchized.(Yonsei University)

      •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적 연어 연구

        이인희(Lee In He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硏究 Vol.22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적 연어 제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언어 학습 방법 중의 하나로 연어를 통한 학습 방법이 있다. 연어는 크게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눌 수 있다. 문법적 연어는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결합한 구성을 말한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하려면 문법적 연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범위에 따라 문법적 연어를 가리키는 용어가 다르다. 문법적 연어의 이해를 위해 먼저 문법적 연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문법적 연어의 특성을 형태, 통사, 화용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기관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오류와 교사 난이도를 고려한 효과적인 문법적 연어의 제시 방법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method for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or Korean learners. The colloc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language learning. The collocation can be 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the elements and components. The grammatical collocation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the grammar elements and lexical elements. The Korean learner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to communicate naturally in Korean. The term of grammatical collo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ng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were classified as morphological, syntactic, pragmatic. To find out the about the grammar collocation, examined the status of Korean textbooks and looked for an effective way to present the grammatical collocation.

      • KCI등재

        日本語教育における表現の選択肢問題に関する一思案 ーコロケーションを中心にー

        이동철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3 No.-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cess, it is said that mastering collocation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whether someone is able to use the language like a native speaker or not. In this article, I, basing on Japanese education, focusing on collocation, organized and described my opinions about suspected but uncertain misuses of collocation from non-native Japanese speakers and generality of expression in Japanese education using Corpu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Japanese education, introduction of collocation is quite important. Whil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development of Corpus in recent years. (2) In matters of definition and scope of collocation,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e is that there should be two or more content free morphemes and it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ntent free morphemes with grammatical morphemes; the other one is that it is two or more combinative words which is “of a combination relation that repeatedly appears in one language both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But this opinion needs a deeper consideration in the future. (3) An expression, especially judging the correct uses and misuses of collocation is quite difficult. Though we can judge from Corpus to some extent, it’s not omnipotent. So, we might firstly divide “suspected but uncertain misuses of collocation” into “violation of collocation that is combinative with actual world” and misuse of grammatical errors in one language that is grammatically true but not appearing in Corpus. (4) In actual world, there are a great diversity of expressions for an object, and it’s up to the speaker or author to choose any of them. But non-native speakers do not have such ability to perceive, and that’s why “generality of expression” is needed in language education. While, to what stage can be seen as “generality of expression”, is a problem to be solved. 외국어교육 과정에서collocation을 구사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은 해당 외국어를 모어 화자처럼 구사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본 고에서는 일본어교육에 입각하여 현대일본어의 collocation을 중심으로 일본어 비 모어화자의collocation의 의사(擬似) 오용과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표현의 일반성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코퍼스를 이용하여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 일본어교육에서collocation 의 도입은 아주 중요한데 이는 최근에 들어서 개발된 코퍼스가 없다면 불가능하다. (2) collocation 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서는 두 개 이상의 독립어와 독립어의 결합이라는 견해와 두 개 이상의 결합하기 쉬운 단어로서 “통사적으로도 의미론적으로도 어떤 언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결합 관계”라는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 더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 (3) 하나의 언어 표현, 특히 collocation에 대한 바른 사용과 오용의 판단은 아주 어렵지만 코퍼스를 통해 어느 정도로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코퍼스는 만능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현실세계와의 조합이 가능한collocation위반”과 어떤 언어 내부의 문법적 오류를 오용, 문법적으로는 틀리지 않지만 코퍼스에 나타나지 않는collocation을 “의사 오용”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4) 현실 세계에서 어떤 사물에 대한 언어 표현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표현을 선택하는가 하는 것은 화자 또는 논자의 자유이지만 비 모어 화자는 이에 대한 판단 능력이 없기 때문에 언어교육에 있어서는 “표현의 일반성”이 필요하다. 단 어느 단계까지 “표현의 일반성”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오류 분석

        유문명 ( Liu Wenmi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9 No.-

        This study uses a large scale Korean language learners' corpus to examine the errors in collocation usage among Native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The study analyzes the cause of the errors and their syntactical structures, while also revealing the change in collocation error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s. The study finds that 18% of all collocation errors are 'subject + predicate' collocation errors, and 81% of all collocation errors are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These findings reveal that Native Chinese speakers experience difficulty in using postpositional particles. Next, an analysis is made according to the syntactic category of the errors. The highest proportion of errors were due to adverb-predicate collocation errors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errors due to differences between native and target languages were due to object-prediction collocation errors. Third, it was found that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caused a high proportion of collocation errors. This study can aid not only in providing collocation-focused language education in all levels of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n preventing collocation errors due to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vent collocation errors among language learners. Moreover, it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creating collocation education for Native Chinese speakers. (Namseoul University)

      • KCI등재

        케이팝(K-pop)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방탄소년단(BTS) 노래를 중심으로

        박영희 ( Park¸ Young-hee ),오성아 ( Oh¸ Sung-ah ),노하나 ( Noh¸ Ha-na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케이팝(K-pop)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수법에 대한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 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연어이다. 그래서 연어 학습의 어려움을 줄이고 효과적인 연어 학습을 위해 케이팝(K-pop)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연어 수업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에서 연어의 개념을 ‘긴밀한 결합 관계가 있는 단어들의 관계’라고 정리하고 그 범위를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의 범위를 어휘적 연어로 제한하여 방탄소년단(BTS) 노래에 나타난 어휘적 연어를 분석하였다. 노랫말 속에 나타난 연어 표현은 총 241개이며 유형별로 체언+용언형 135개(56%), 부사+용언형 29개(12.4%), 부사어+용언형 19개(7.5%), 체언(의) 체언형 11개(4.6%), 관형사형+체언 47개(19.5%)로 나타났다. 이것을 가지고 한국어 연어 사전과 학습자 말뭉치 용례와 대조하여 한국어 학습을 위한 2차 연어 목록 97개를 선별하였고 연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교수 방안도 제시해 보았다. 연어는 그 특성이 복잡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지만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학습이기도 하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케이팝(K-pop)을 통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연어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다양한 언어 상황에 맞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collocation teaching method of Korean using K-pop. It is collocation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Korean. We try to seek the realistic collocation teaching method using K-pop to reduce the difficulty in learning collocation learning and for effective collocation learning. The collocation is identifi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which have close combination relation. And the range of the collocation is classified into a grammatical collocation and a lexical collocation. The rang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lexical collocation and the lexical collocations in BTS’ song are analyzed. There are total 241 collocations in the lyrics including 135(56%) noun- predicate, 29(12.4%) adverb+ predicate, 19(7.5%) adverb+predicate, 11(4.6%) nominal noun, and 47(19.5%) adnominal+noun type. 97 collocations were selected for the second collocation for Korean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he collocations dictionary and learner corpus usage. With this, we present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help learn the collocations. Since the collocation has complex traits, th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the collocation but it is surely necessary to learn the collocation for using Korean naturally. The spontaneous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various language use situations could be used if the learners can learn various types of collocations using K-pop, which is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approach easily. learners can approach easily.

      • KCI등재

        문법적 연어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임근석(Lim, Geun-seok) 형태론 2005 형태론 Vol.7 No.2

        국어 연어 연구는 어휘소와 어휘소의 결합을 그 연구의 중심에 두어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휘소와 문법소의 위계적 결합이 연어적 특성을 보여주는 예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문법적 연어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고는 연어를 광의의 연어와 협의의 연어로 나눈 후, 협의의 연어를 다시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누었다. 협의의 연어는, 광의의 연어의 공기어가 가지지 못한 특성으로 구성 요소의 2항 관계성, 구성요소의 선택의 제약성,단위성 등을 가진다. 문법적 연어가 어휘적 연어와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첫째 연어핵과 연어변의 어휘적 특성이 어휘적 연어의 그것과 다르다는 점, 둘째, 문법적 연어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강한 인접성을 갖는다는 점, 셋째, 문법적 연어의 연어핵이 연어변을 선택할 때의 특성이 어휘적 연어의 그것과 다르다는 점, 넷째, 문법적 연어 구성 전체가 하나의 문법소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연어변에 의해 연어핵의 문법적 기능이 제한된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of Korean collocation has focused on combinations of content words, but there are examples consisting of a content word and a function word that show the features of collocation and yet have not been investigated linguistically.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of collocations in terms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Collocation can be divided into ‘collocation in the bread sense’ and ‘collocation in the narrow sense’. Collocation in the narrow sense ca be further sub-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Mokwon University).

      • KCI등재

        음성언어 중심의 연어학습과 문자언어 중심의 연어학습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 ( Lee Su Jin ),홍선호 ( Hong Su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3

        영어에 대한 노출이 적은 EFL환경의 학습자들은 많은 어휘를 습득하기 어려우므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어휘 지도법을 적용해야 한다. Lewis(1993)는 영어가 여러 단어로 된 구(multi-word phrases)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하면서 연어(collocation) 중심의 학습을 제시하였다. 연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개별 어휘학습과 비교하여 연어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연어중심의 어휘학습이 개별 어휘학습보다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연어중심의 어휘학습이 효과적이라면, 연어를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했을 때와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했을 때,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단기적으로 음성언어 또는 문자언어 중심의 연어학습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하였을 때 3학년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어 중심 어휘 학습 지도 방법에 초점을 두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3학년 학습자들은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4학년 학습자들은 문자언어의 비율을 확대하여 연어를 학습하는 것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지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후속 연구로 학년 군, 연어 유형에 따른 연어 지도법을 구체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FL learners with limited exposure to English-speaking environment often encounter difficulties learning a broad range of vocabulary, and therefore require produ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to effectively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Lewis(1993), acknowledging that English language is comprised of multi-word phrases, suggested the use of collocation-based teaching method. Note that previous studies mostly aims at comparing the effects of collocation learning against those of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consults the relevant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bases itself on the premise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Provided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is study shall examine the different methods most efficacious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learners. Expressly, the study concentrate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spoken- and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on the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s of third- and fourth-grade learners.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of post short-term speaking tests indicat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aking ability between the groups, domains, and levels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Since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llocation-based learning method as set in this stud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mproving the speech ability in the short run. On the other hand, the post long-term speaking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in the long run, spoken- and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For instance, in the case of third grade, the group that studied with spoken-based colloc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other group. Also, the spoken-based collocation learning method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domain than the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meth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focuses on the teaching method of collocation-based vocabulary learning and its effects on speaking ability. For instance, the customization of the ratio, extending the third-grade learners toward the spoken-based, and fourth-grade learners to the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can help learners` speaking ability. The suggested study is meaningful as a follow-up study on the collocation teaching method by embodying learning method for different grades and collocation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