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의 진로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김민 ( Kim Min ),김기운 ( Kim Ki-woo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의 진로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태도 유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대학축구지도자 및 선수와의 예비 면담자료와 각종 문헌 자료를 토대로 30개의 Q표본을 구성하였다. 이후 A 대학 축구선수 30명을 대상으로 Q표본과 분포도를 배포 및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UANL 1.2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대학축구선수의 진로 인식 유형은 네 가지 형태로 도출되었다. 첫째, 제1유형(합리적 사고형)자신의 진로 선택을 위해 학업과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고 부모님과 상의하는 등 자신의 진로에 대해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유형이다. 둘째, 제2유형(축구 사랑형)은 축구선수 외에도 축구와 관련된 다른 진로에 대해 긍정적 인식과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이는 유형이다. 셋째, 제3유형(표류형)은 ‘학생과 선수’ 사이에서 대학축구선수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혼란과 진로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유형이다. 넷째, 제4유형(프로선수 지향형)은 자신이 학생보다 축구선수에 더 가깝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최소 K3리그 이상의) 프로축구선수로 성공하고 싶다는 의지가 강한 유형이다. 결론: 이처럼 대학축구선수들의 진로 인식 유형은 합리적 사고형부터 축구 사랑형, 표류형, 프로선수 지향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대학운동선수의 효율적 진로 준비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변화와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attitudes and awareness of career choices among college soccer players. Methods: The Q methodology is appli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 Q-sample was organized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and data from in-depth interview with college soccer coaches and players. And the Q-sample and Q-grid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30 players in A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QUANL 1.2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career perspective of college soccer players were derived. The first type (reasonable thinking type) is a type of thinking rationally about one's own career, such as studying and self-management hard for one's future and discussing career with parents. The second type (blind soccer love type) is a type that shows a positive perception and a responsible attitude toward other career paths related to soccer besides soccer players. The third type (drifting type) is that experiences confusion about their identity and role among ‘student and athlete’, and has difficulty preparing for his career. The fourth type (professional player-oriented) recognizes that he is closer to a soccer player than a student, and has a strong desire to succeed as a professional soccer player (at least in the K3 league). Conclusion: In this way, the types of career recognition of college soccer players appeared in various forms, from rational thinking type to blind soccer love type, drifting type, and professional soccer player-oriented type. Based on this, there is a need for various policy changes and program development to efficiently prepare for college athletes' careers.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 지도자신뢰, 팀 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

        김성훈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trust in coach and team efficacy of perceived by college soccer players. 288 college soccer play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by convenience sampling, and they were done in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questionnaire, trust in coach questionnaire, and team efficacy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SPSS 26.0 and Amos 21.0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Bootstrapping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indirect effect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ust in coach . Secondly,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m efficacy . Thirdly, trust in coach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m efficacy. Finally, it was found that trust in coach wa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and team efficacy. Various discussion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trust in coach and team efficacy were 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soccer coach's' autonomy support to help their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llege soccer players ability improved.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 지도자신뢰, 팀 효능감과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축구선수 288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을 통해 지도자의 자율적지지 질문지, 지도자신뢰 질문지, 팀 효능감 질문지를 설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SPSS 26.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부스트래핑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지도자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신뢰는 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신뢰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팀 효능감 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축구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지도자들의 자율성 지지가 선수들에게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대학 축구선수들의 스포츠 행복 척도 개발

        김성훈(SungHoonKim),홍성진(SungJinHong)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행복 개념을 탐색하고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Cohen, Montague, Nathanson, & Swerdick(1988)이 제안한 검사지 개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541명의 대학 축구 선수들을 표집하였다. 개방형 질문과 심층 면접을 통해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425개의 원자료를 획득하였고, 13개의 세부영역과 5개의 일반영역(목표성취감, 마음안정, 심신완성, 상호신뢰, 환경조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항분석, 문항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 22문항(목표성취감, 마음안정, 상호신뢰, 심신완성)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외적타당도(확인적 요인분석, 수렴ㆍ변별ㆍ예측타당도)를 검증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대학 축구 선수들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취수준, 치열한 경쟁 상황 속에서의 안정, 지도자ㆍ부모ㆍ동료들과의 상호 신뢰, 경기를 치르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완성이 행복감을 느끼는 척도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bout perceived college soccer player``s happiness concept, to develop Sports Happiness Scale for college soccer players and to exam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541 college play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the study methods process was followed by Cohen, Montague, Nathanson, & Swerdick(1988)`` s process of questionnaire development. As a results from content analysis of open question and in-depth interview, 425 raw data were obtained, 13 sub-domains and 5 general domains(achievement of goal, relaxing mind, completing mind and body, mutual trust, and environment development) were categorized. Based on this results, 4 factors and 22 questions(achievement of goal, relaxing mind, completing mind and body and mutual trust)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item analysis, item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ernal validit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showed that the developed scale had satisfaction of the results. This developed scale could apply to check about achievement level to achieve individual goal, relaxation in competitive situation, mutual trust among coaches, players, and parents, and happiness throughout process of being ready for competition for college soccer players.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의 생활역량 분석

        서희진 ( Seo¸ Hee-ji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가 지닌 다양한 능력 즉 생활역량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자 대학축구선수와 체육계열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6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대학축구선수와 체육계열 일반학생의 생활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조절역량에서는 감정조절기술의 ‘전반적 감정조절’과 ‘상황적 감정조절’은 일반학생이 높았고, 신체관리기술의 ‘식습관’과 시간관리기술의 ‘평가’에서는 운동선수가 높았다. 둘째, 자기개발역량에서는 창의성개발기술의 ‘문제해결력’, 목표설정기술의 ‘실행’, 진로탐색기술의 ‘진로활동’ 모두에서 운동선수가 높았다. 셋째, 학습역량에서는 과제해결기술의 ‘학습’과 ‘정보활용’은 일반학생이 높았고, ‘정보탐색’은 운동선수가 높았다. 학습태도기술의 ‘공부’에서는 운동선수가 높았고, ‘과제’에서는 일반학생이 높았다. 넷째, 대인관계역량에서는 의사소통기술의 ‘경청’과 리더십기술의 ‘집단관리’에서 일반학생이 높았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대학운동선수가 지닌 다양한 범주의 역량 중 긍정적 역량은 강화하고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는 세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competency related to various abilities of college soccer player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college soccer players and general students and the final 26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First, in self-regulation competency, general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general emotion control' and 'situational emotion control' of emotional control skills, and athletes showed high level of 'eating habits' of body management skills and 'evaluation' of time management skills. Second, in self-development competency, athletes were high in 'problem solving ability' of creativity development skills, 'execution' of goal setting skills, and 'career activity' of career exploration skills. Third, in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f task solving skills were higher in general students, and 'information search' was higher in athletes. In the study of learning attitude skills, athletes were high, and general students were high in 'tasks'. Fourth, in interpersonal competency, general students were high in 'listening' of communication skills and 'group management' of leadership skills.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detailed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positive competency and complement the insufficient competency among the various categories of competency of college athletes.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의 승부조작 경험

        김현우,이근모,임새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6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승부조작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A시와 B시 대학의 축구선수 9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서 심층면담, 관련 보조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 축구선수들의 승부조작 경험은 첫째, ‘잘못된 시작’으로 승부조작에 대한 무지와 인지로 인해 어린시절부터 승부조작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부원으로 살아남기’로 운동부 내의상명하복 문화와 이익관계로 인해 승부조작에 어쩔 수 없이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부조작규정의 사각지대’로 인해 경기결과에 대해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 in match fixing among college soccer players. For this, I have chosen two college soccer teams based in district A and B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selected nine participant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 have adopted the use of in-depth interviews and relevant data to collect data for study, which have been used to draw the conclusion through text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involving in match fixing turned out to be a ‘wrong beginning’ caused by the ignorance and awareness of match fixing among college soccer players and those who were involved in match fixing against their own were aimed to ‘survive as the team players’. In addition, it has been identified that distrust about game results was caused by the ‘blind spot in rules’ relating to match fixing.

      • KCI등재

        대학생 축구선수의 운동열의에 따른 마인드셋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조선하,박도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ollege soccer players' mindset according to their enthusiasm for exercise on exercise continuation. Methods: This study sampled college soccer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using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research results we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equation. was utiliz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ollege soccer players' enthusiasm for exercise influenced their mindset. Second, mindse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Conclusion: A college athlete's passion for exercise affects not only physical training but also mental strength training, and in the process, mindset is established. Since such a mindset affects the continuation of exercise, leaders and key players must provide thorough exercise and lifestyle guidance so that confidence, dedication, vitality, and enthusiasm related to enthusiasm can be strengthened in exercise activities. In this way, it is believed that athletes will be able to lead healthy, well-rounded, and happy athletic lives.

      • KCI등재

        대학생 축구선수의 자기관리에 따른 운동몰입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종훈,박도헌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exercise commitmen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college soccer play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llege soccer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KFA),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exercise commitmen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college soccer players are examined. self-management had an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t provided reference data for student athletes to focus on exercise and continue their athletic activities.

      • KCI등재

        대학 여자축구선수의 재활과정에 따른 심리적 변화와 극복전략: 근거이론적 접근

        윤재혁 ( Jaehyeok Yoon ),이슬 ( Seul Lee ),홍준희 ( Junhee Ho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이 재활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참가자는 2018년 대학 여자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고, 부상으로 인한 재활경험이 있는 7명의 선수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선수들은 재활 과정 초기에서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동시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심리적인 양상을 겪으며, 선수 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중기의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활상황 자체에 대한 초조함과 불안함,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점차 회복하는 신체에 자신감을 얻고 복귀를 위한 노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후기에서는 복귀에 대한 설렘을 가지면서도 재발 불안감 등으로 부담과 압박을 느끼는 복귀에 대한 양가감정이 드러났다. 선수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극복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향상전략, 긍정적 사고의 전환 등의 심리적 극복, 둘째, 복귀를 위한 훈련을 포함한 신체적 극복, 셋째, 여자선수들을 위한 전문적 프로그램 필요의 환경적 지원, 넷째, 주요타자지원과 같은 사회적 지원이다. 결론: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은 재활과정에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변화를 겪으며, 선수로서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양가감정의 갈등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드러난 양가감정의 폭을 줄이거나 해결하는 심리적 과정은 선수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에 기반하는 내용을 포함한 전문적인 스포츠 심리상담과 체계적인 지원이 재활과정의 선수들에게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psychological changes of female soccer athletes in colleg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for their successful recovery and seek solutions that can help them overcome their difficulties. Methods: The current research selected seven female soccer athletes registered in the College Women’s Soccer League who have had experiences of receiving rehabilitation from injury. The approach of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nalyzed the obtained data throug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 Women soccer athletes had negative thought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d a cyclical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they repeatedly put effort to think positive. In addition, they felt ambivalent feelings about their career. Their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middle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showed that the rehabilitation situation made them feel nervous, anxious, and pressured. However, they gradually gained confidence while recovering from injury and focused on their efforts to return. While they felt excited to return at the end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current study found ambivalent feelings derived from burden and pressure due to the anxiety about the recurrence. There were four dimensions to overcome difficulties as follows: 1) self-confidence improvement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overcoming such as positive thinking conversion; 2) physical overcoming such as training for return; 3) environmental support for professional programs to female athletes; and 4) social support from critical others. Conclusion: Female college soccer players went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We can see the conflict of ambivalent emotions that made them seriously consider their athletic career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reducing or resolving the scope of these ambivalent emotions can serve as a vehicle to redefine one’s identity as an athlete. Therefore, professional sport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ystematic support that contains the content based on this will be in need for athlet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의 FMS, YBT-L, FCS 및 경기력 관련 체력 요인 간 관계 분석

        김근국,오정하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n=47)의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Y-Balance Test-Lower(YBT-L), Fundamental Capacity Screen(FCS) 및 경기력 관련 체력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FMS(7개 요인), YBT-L(3개 요인), FCS(8개 요인) 그리고 경기력 관련 체력(4개 요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version을 사용하여 피어슨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설정하였다(p<.05).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MS, YBT-L 및 FCS는 롱킥과 슈팅스피드에서 양의 상관관계를보였고, 스프린트, 샤크 스킬 테스트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FMS 요인 중 안정성 영역에서 가장 높은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FCS와 FMS는 경기력 관련 체력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축구선수의 경기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뒷받침되어야 하는 기능적 움직임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장에서 축구선수를 훈련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vement Scree(FMS), Y-Balance Test-Lower(YBT-L), Fundamental Capacity Screen(FCS), and performance-related physical fitness in college soccer players(n=47). For this purpose, FMS(7 items), YBT-L(3 items), FCS(8 items), and performance-related physical fitness(4 items) were measur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6.0 vers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p<.05).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MS, YBT-L, and FC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long kick and shooting speed. And negative correlations in sprint and shark skill test. In particular, among FMS, the stability part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dditionally, FCS and FMS were found to have major effects on performance related physical fitness.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functional movement factors that must be supported to improve soccer players’ performance. It is exepcted that it can be sued as useful basic data for experts training soccer players in the field.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들의 프리 시즌 유·무산소성 체력과 발목관절 상해의 연관성

        김민준,김준웅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ason aerobic and anaerobic fitness factors and ankle joint injuries in college soccer play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 soccer players with 8 years or more of experience belonging to Y Univers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aerobic and aerobic fitness were measured before the season, and ankle joint injuries were investigated every month during the seas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SPSS 28.0.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kle joint injuries during the season (injury, n=12; uninjured, n=11) and the number of times (0, n=8; 1-2, n=5; 3 or more, n=10) Subjects were classified,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were analyz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study, vo2max, peak power/body weight, and average power/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injured group than in the injured group. The group with 0 injur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o2max and average power/body weight than the group with 3 or more injur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Poisson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ankle joint injury during the season, vo2max was found to be a predictor of ankle joint injury during the seaso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low anaerobic and anaerobic fitness before the season of college football players is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ankle joint injuries during the seas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raining to improve anaerobic and anaerobic fitness before the season is necessary to prevent ankle joint injuries during the season.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프리 시즌 유·무산소성 체력 요인과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의 관계를 분석하여 축구선수들의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 대학교에 소속된 경력 8년 이상의 축구선수 23명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즌 전 유·무산소성 체력을 측정하였으며, 시즌 중 1개월 단위로 발목관절 상해 유무를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 28.0 program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을 시즌 중 상해 유무(상해, n=12; 미상해, n=11)·건수(0회, n=8; 1-2회, n=5; 3회 이상, n=10)에 따라 구분하여 이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상해 집단이 상해 집단보다 최대산소섭취량, 체중당 최대파워, 체중당 평균파워가 유의하게 높은 것(p<.05)으로 나타났으며, 상해 건수가 0회인 집단이 3회 이상인 집단보다 최대산소섭취량, 체중당 평균파워가 유의하게 높은 것(p<.05)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의 예측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이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 축구선수들의 시즌 전 낮은 유·무산소성 체력은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 발생의 위험 인자라 생각되며, 시즌 중 발목관절 상해의 예방을 위해 프리 시즌 유·무산소성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점적인 트레이닝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