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지종민 ( Jong Min J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on teachers teachers’ experience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narrative inquiry.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on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general teachers teachers’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classroom. In this study, narrative inquiry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teachers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by telling and retelling the experience of the lives as a teacher. Telling a story about inclusive education, they wrote an autobiography on experience of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nd then the participants had retold about inclusiv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lack expertise about inclusive education because they lack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feel difficulty with accep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ind and try to avoid teachers teachers’ training about inclusive education.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burden responsibility for inclusive education because they have to mediat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actice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accommodations, and perform guardian role in classroom.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 탐색 -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에 담긴 시사점을 토대로 -
조의호(Eui Ho Jo),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extbook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rold Rugg'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textbooks and devised the principle of developing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suitabl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Harold Rugg's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princi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the curriculum standards, second, integrated topic-oriented approach, third, the composition of reading materials by storytelling and step-by-step questions aimed at student inquiry, and fourth, textbook production and post-supplemen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student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researcher developed a 'classroom textbook' by teachers fo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used it for class, and confirmed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to the 'classroom textbook.'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First,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ocial studies classes suitable for classroom students. Second,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as a useful tool to realize alternat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led by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기존 전국 단위 검정 사회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 의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실교과서의 성격을 탐색하고, 미국 사회과교육의 역사상 혁신적이며 초등 사회과 정립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는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기존 전국 단위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규명하고,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교육에 적합한 ‘교실 교과서’ 개발 원리를 구안하였다. 구안한 원리로는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한 대안적인 교육내용 선정, 둘째, 주제 중심의 영역 통합적 접근, 셋째, 학생 탐구를 지향하는 이야기체 서술의 읽기 자료 및 단계적 질문 구성, 넷째, 교실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교과서 제작 및 사후 보완이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일부 내용을 대상으로 교사에 의한 ‘교실 교과서’를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교실 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동료 교사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교과서’는 기존 전국 단위 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 학생에게 적합한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둘째, ‘교실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대안적인 초등 사회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써 그 가능성을 제공한다.
수업전문성 측정도구(ICALT)의 문항별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천세영(Chun Se yeoung),김득준(Kim Deuk joon),정일화(Jeong Il hwa)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Van de Grift(2007)의 ICALT 도구가 한국적 상황에서 수업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용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ICALT 수업전문성 관찰도구는 6개의 교사의 수업행동 도메인과 1개의 학생의 수업참여도 도메인을 구성하는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14, 2016, 2017년에 진행된 총 855개의 초등 및 중등 수업관찰이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ALT의 요인구조와 각 문항이 한국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한 바, 모델 적합도를 나타내는 추정치의 값이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모델 적합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을 찾아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전체(중등+초등)’ 집단과 ‘중등’ 집단은 4개 요인, ‘초등’ 집단은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문항별 용어 번역의 적합성을 개선함으로써 관찰도구의 문화 간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article is a report of the study which aimed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ICALT classroom observation tool of teaching behavior by analysing the model fitness together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dividual 32 items under 6 domains. Total 855 classroom observation data collected for three years, 2015,2016 and 2017, were used, and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trained master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Major findings are: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ICALT tool has a good level of model fitness for every item under respective domain: major parameters are verified statistically meaningful,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latent factors and examine how they are compatible with six ICALT domains. For the mixed group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 separate secondary teachers showed four factor grouping, while the separate elementary three. Such this variation within factors are found to get bet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s by translating the original English and Dutch words into more relevant Korean and local.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허은철,박지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nception of good practice in teaching history. Ten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ere invited to share their ideas of good teaching practices in history and ways to improve their practices. They were also asked to recall good memories as students in secondary history classes and discuss their influence on their conception of good history-teaching practices. Results show that good practices described b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reflected their experience as stud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direction of past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aspects of teaching. In addition, there were limited awareness of potential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considered by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need systematic guidance leading to reorganize their past experiences in various ways and in accordance to the stages of teaching. In additio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should include field experience specific to teaching history. 본연구는 ‘좋은 역사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예비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의 의미는 그들이 학창시절에 경험했던 역사 수업에 대한 기억과 그 영향력, 예비 역사교사로서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이들이 학생으로서 경험했던 좋은 역사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잘 전달해주는수업’이었다. 후자는 교사의 일방적인 수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정적인 경험이므로 양면성을 보였다. 과거의 수업경험은 긍정적인 경우, 모델링을 통한 방향성 확립의 토대가 되었고, 부정적인 경험은 반면교사의 기회로 인식되었다. 한편, 예비 역사교사로서 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측면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목표에서는올바른 역사관, 이해 중심 역량, 역사와 삶의 연계를 지향했고, 내용에서는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명확한지식, 생각할 거리, 삶의 적용을 다뤄야 한다고 보았다. 방법에서는 다양한 자료, 확산적 발문, 학생 주도 활동, 직접적체험의 활용을 지향했고, 평가는 결과가 아닌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지향했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말하는 좋은 역사 수업은 과거 경험이 일정하게 반영되었다. 하지만 역사 수업 영역에 따라과거의 경험이 미치는 수준과 방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좋은 역사 수업의 요소로 고려한 학생의역사 이해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과거 수업 경험을 성찰하는 기회와 수업 단계에따라 과거 경험을 다양하게 재조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역사 교원양성 프로그램에서 역사교육의이론을 바탕으로 역사 교과만의 현장성이 새롭게 모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