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D 디자인 역사연표의 사용성 분석 및 평가

        김영찬(Kim, Young Chan),이강준(Lee, Gang Jo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3D역사연표는 기존 텍스트형, 이미지형 역사연표보다 쉽고 빠르게 역사적 사건의 정보를 검색, 파악, 이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네 가지 가설을 세우고 각각의 연표유형 별로 60개의 문제를 제시해 검색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기술통계량과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건명칭은 모든 연표유형에서 동일하게 검색되며, 단기사건도 모든 연표유형에서 동일하게 검색되며, 지속사건의 검색과 복합정보의 파악은 3D형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텍스트형과 이미지형, 3D형 사이에는 검색시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효용성 즉 빠른 검색시간은 3D형, 텍스트형, 이미지형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D 역사연표는 기존 역사연표보다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D Historical Chronology" has been developed to quickly and easily than traditional "textual" and "Image typ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timeline sear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istorical events. In this study, laying four to validate this hypothesis , it presents a chronology of the 60 problems for each type of measure the time it takes to search. And it was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This "event name" is confirmed that the same search, and, short-term events, even the same type in any search at all Chronology type. Search and identification of "composite information" of "sustainable event" has confirmed that the "3D shaped" is the most effective.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search times ie textual and image type, between the 3D type utility that is faster retrieval time was found to 3D type , text, type, image type seasonal . As a result, the 3D historical chronological table may be that it provides an effective interface than traditional historical chronological table .

      • <亂中雜錄>의 郭再祐 人物敍事의 특징

        장영희 우리한문학회 2003 漢文學報 Vol.9 No.-

        난중잡록은 임진왜란에 참전했던 조경남의 기록이다. 이는 전쟁 중 여러 종류의 자료를 수집하여 편찬한 것이다. 기록의 편찬 원리의 핵심은 그의 전쟁경험이었다. 그리고 본고는 인물 곽재우에 대한 여러 기록을 조경남의 편찬원리에 따라 편년체 안에서 재분배된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자료들간의 연속적 질서가 부여됨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곽재우 관련 기록에서 살펴본바, 인물의 서사는 우리의 기억 속 밑바닥에 있던 친숙한 ‘영웅서사’ 구조와 當代의 여러 자료를 결합한 것이었다. 거기서 우리는 임란의 역사적 영웅을 만날 수 있었다. 곧 당대의 유가적 도덕성인 忠義를 근간으로 하여 영웅설화의 구조를 원용한 독특한 서사적 특징을 지녔다. 이는 전적으로 편찬자 조경남의 역할이며, 그리하여 곽재우 관련 기록의 終結에서는 난중에 조선을 구원한 영웅 중에 한 인물로 기억 속에 길이 남기려는 소망도 확인하였다. Nan Jung Jab Rok is a record by Cho Kyoung Nam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depending war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is to collect and compile various data of the war. The core of editing principles is Cho's war experience. Cho rearranged many documents of a character, Koak Jae Woo(the general of voluntary army)according to his editing principles in a chronological form. Therefore data was arranged in order. Examining data of Koak Jae Woo, the record combined various data at that time with the familiar description of hero in one's deep memory in description of character. One can see historical heroes of the war in 1592 there. That is to say, the record was characterize as a description related with structure of hero narrative based on Confucian moral of the day, Royalty. This merit is totally an editor, Cho's role. So in the end of document of Koak, Cho's editing aim honor Koak as a character among heroes to relieve Chosun Dynasty in the war in 1592.

      • KCI등재

        조선 후기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 연구

        박진성 ( Park Jin-s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본고는 창작 주체에 주목하여 조선 후기 자전문학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대상으로 그 서술적 특징을 살폈다. 조선시대 중인층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하나의 신분층으로 입지를 다지고 경제적·문화적 토대를 구축하였지만, 사회 제도와 관습에 의해 신분상승이 제한되고 권력으로부터 소외를 겪었다. 이러한 환경은 중인층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의식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중인층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의식을 확립해가는 과정 속에서 자전문학이 본격 창작되었다. 사회적 모순 앞에서 중인층 문인들은 자전 창작을 통해 자기 존재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면서 불만과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자전문학의 대표적 양식인 자찬묘지명을 확인할 수 없고 그보다 전 양식의 自傳을 애호하였다. 일생동안 기릴만한 이력이나 공덕이 많지 않았던 중인층은 관력을 나열하고 격식을 따져야 하는 묘지명보다 보다 대중적인 양식으로서 유연한 서술이 가능한 전 양식을 애호하여 自傳을 지었다. 두 번째 특징은 글쓰기 방식과 작품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양상을 보이는 작품이 많다는 것이다. 정태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의식세계의 변모를 선명히 보여준 崔奇男의 拙翁傳, 일반 자전과 달리 1인칭 시점에서 자기 일생을 직서한 柳最鎭의 自序傳, 필기잡록형 자전으로 지방 향리의 소시민적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金敬天의 『巽窩謾錄自序』, 자찬연보의 공적 서술 흐름에서 이탈하여 개인사의 기쁨과 슬픔을 모두 다루고 있는 馬聖鱗의 平生憂樂總錄이 대표적이다. 조선시대 취약 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통해서 창작 주체의 신분, 정치적 지위, 경제적 상황 같은 현실적 문제들이 자전문학의 유형이나 서술 방식이 결정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uthor’s group and studi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Descriptive features were discussed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iddle class develop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o become a solid class. But the rise in status was limit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alienated from power. This environment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i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face of social contradictions, the writers of the middle class resolved their dissatisfaction and alienation by proving themselves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eation of autobiography. There are two main descriptive features of middle-clas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First, the representative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name of the Self-written epitaph(自撰墓誌銘),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Autobiography(自傳) was favored. The middle class, who had no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could change their narrative and preferred to create popular Autobiography(自傳). Because the name of the cemetery records official matters and values formaliti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w a new aspect in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composed. Choi Kinam(崔奇男)’s Jolongjeon(拙翁傳) which clearly show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 world by using a fixed narration and time process description methods, Yoo Choijin(柳最鎭)’s Jaseonjeon(自序傳) who wrote his life directly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nd Kim Kyungcheon (金敬天)’s Sonwamanrokjaseo(巽窩謾錄自序)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lives of the middle class. Ma SeongLin(馬聖麟)’s PyeongseongUrakChongrok (平生憂樂總錄) deviated from the official description of the Self-Chronology (自撰年譜), he described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the individual.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considered a vulnerable clas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at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status, political statu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creative ent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r method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KCI등재

        순조 21년 신사연행과 연행록의 두 시각

        구사회(Gu Sa-wha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이 논문은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중국의 『황조문헌통고』?에 기록된 조선의 임인옥사 내용을 바로잡기 위해 다녀온 내용을 기록한 두 연행록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대한 기록은 손병주의 『간산북유록』이 있는데, 근래에 필자가 당시 서장관이었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을 발굴하면서 이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이들은 서술 시각에서 차이가 드러내고 있다. 서술 체재가 둘 다 편년체를 취하고 있었지만, 전자가 산문체라면 후자는 산문과 운문의 결합 형태였다. 서술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행대만록』에서는 전체적으로 견문에 대한 감상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였고, 『간산북유록』에서는 사실적으로 서술하다가 비유적으로 묘사한다든지 시로써 형상화하고 있었다. 전자가 사실성이 중시된 공적 기록의 성격이 두드러졌다면, 후자는 견문과 소감 위주로 작자의 주관적 관점을 자주 드러내는 사적 기행문의 성격이 강했다고 말할 수 있다. 서술 태도를 살펴보면, 『행대만록』에서는 객관적이고 고증적인 관점을 견지하였다. 반면에 『간산북유록』에서는 작자의 주관적 감상을 자주 드러내거나 유교의 규범적 관점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표현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자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적시하면서 개인적인 감회를 최소화하고 있었다. 후자에서는 비유적 묘사와 시적 형상화를 통해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었다. 전자에서는 사실적인 표현이, 후자에서는 묘사적 표현이 앞섰다. 자료 및 문예적 가치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출발했던 신사연행에 대한 연행록인 『간산북유록』이 있었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근래에 다행히 함께 갔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이 발굴되어 좋은 비교자료가 되었다. 이들은 여러 측면에서 서로 차이가 있어서 연행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같은 연행을 다녀오면서 지어진 이들 두 작품은 연행록이라는 동일한 문예 양식의 의거하고 있지만 각각 독자적인 문예적 성과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Yi Won Muk’s 『Haengdaemanrok』 and Sohn Byeong Ju’s 『Gansanbukyurok』 that recorded 117 days of the diplomatic travel from October 11, 1821 to February 8, 1822. This travel was a temporary travel to correct the details of Iminoksa recorded in 『Hwangjomunheontonggo』 in China. While both adopted a chronological form, description and expression were different. While the former was a prose style recording itinerary and work details without omission, the latter had mixed type of prose and poetry recording review of itinerary and experience in a prose style and also in poetry. The description styles were different too. 『Haengdaemanrok』 focused on facts rather than overall appreciation of the experience, 『Gansanbukyurok』 described factual events and embodied in poetry with figurative expressions. Whereas the former stressed official record based on facts, the latter tended to be personal travel essay that often expressed the writer’s subject views focusing on experiences and review. In terms of description attitude, 『Haengdaemanrok』 kept objective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Gansanbukyurok』 often demonstrated the writer’s subjective appreciation or argued normativ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 KCI등재

        自己省察을 위한 評傳 쓰기 敎育의 事例 硏究

        이은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2

        This study recognized that biography writing in writing education can take a valuable role in punctional and emotional parts. Especially on critical biography writing activity for self-examination wanted to tell about usable direction and proposals. At first, arranged concept and features of critical biography writing on this study, examined aspect that involved with educational aim, self-examination. Then concerned with biography or critical biography, examined realizing features in curriculum and textbook activity, thought about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As a special method of description using in biography writing, suggested three points, chronological writing, critical writing and fictional reconstitution, then saw realization of biography writing that reflect the theme of self-examination. At this time real writing materials that are used in class for ‘writing parent’s biography’ are useful. Finally through ‘writing parent’s biography’ student can reflective writing activity through their parent’s story, and through various method of description can approach to theme of self-examination. The activity of critical biography writing has a value of self-reflective educational activity that reflect oneself through other’s life. From this study to come want to develop educational activity at more bigger picture, expand the part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contact with student’s life. 이 硏究는 쓰기 교육에서 評傳 쓰기가 機能的, 情緖的으로 유용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교육 현장에서 ‘自己省察’을 위한 평전 쓰기 활동에 필요한 方向과 提案을 하고자 하였다. 평전 쓰기에서 활용되는 特徵的인 서술법으로서 年代記的 서술, 批評的 서술, 虛構的 再構成의 세 가지를 들고, 개별적 서술법이 ‘自己省察’의 主題를 중심으로 평전 쓰기로 실현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때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부모님 평전 쓰기’로 시연한 실제 쓰기 資料를 活用하였다. 결국 학생들은 부모님 평전 쓰기 활동에서 부모님의 이야기를 통하여 자신의 삶과 疏通을 시도하며, 평전 쓰기 고유의 서술법을 통하여 ‘자기성찰’이라는 주제에 接近하는 자기성찰적 교육활동이 된다는 점에 價値를 둘 수 있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평전 쓰기에 대해 보다 넓은 眼目으로 교육 활동을 開發하고, 학습자의 삶과 密着한 自己省察的 人性 敎育의 영역을 擴張해 가고자 한다.

      • KCI등재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서술

        김한종 ( Kim Han Jong ) 역사문제연구소 2013 역사문제연구 Vol.17 No.2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memorizing historical facts to encourag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for solving its problems. Critical thinking would induce students to suspect the traditions of the behavior pattern of the existing society and to view it in a new way. It can get students to accept the pluralism of social value, and voluntarily participate them to reform the society. For achieving such a purpose, we should change contents organization and writings of history textbook in addition to view`s conversion of looking at the historical fact Historical fact should not be the objective truth, but should seen as the opinion involving the view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author. Contents of history textbook would be the results from historian`s research.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attribute of historical fact, and have a viewpoint to judge and interpret historical facts. Contents organization should overcome the survey course which covers all the historical facts and arranges them in chronological sequence in all the level of school. Narrative organization, which make a difference of contents` scal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y be an alternative. I propose the narrow scale narrative centered to story tale of characters and historical ev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general history which arranges historical facts in chronological sequence under single subject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and thematic syllabus including modern historical facts relating to society`s problem. Syllabus in high school is medium scale narrative, but students should thoughtfully inquire proposed themes. Explaining or chronological writings need to be converted to narrative or interpreting ones in the descriptive mode. The description mode synthesizing narrative and interpreting writings encourage students to interact with contents of historical text, and read or interpret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with their own viewpoints. Writings showing historian`s thinking process or specifying historian`s consciousness may help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And involving read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y in contents, students` critical thinking can be developed through reading texts and interpreting course.

      • KCI등재

        연대기적 속물주의, "심오한 주문", 그리고 시간 -『나니아 연대기』가 천착하는 과거의 중요성

        백정국 ( Jung Kook Paik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21 Vol.28 No.4

        This essay attempts to show that The Chronicles of Narnia is a fictional embodiment of C. S. Lewis``s unique conception of time in which the past overrides the present as the dominant referential locus of truth. To Lewis the present as opposed to the past was potentially deceptive. This deep trenched suspicion of the present with its ethos being best captured in those words “chronological snobbery” was like a life-long mantra for Lewis and is pervasive throughout many of his writings and memorably in Narnia. In order to give a solid shape to his extraordinary re-envisioning of the cherished past, Lewis integrated into the novel diverse elements of Norse and Greco-Roman mythologies, biblical stories, and some of the ancient philosophical perception of the world within an extremely complicated and confusing time-scheme. And he highlighted the strong political implication of Narnia: the present regime is wicked and thus ultimately subject to recuperation under the guidance of Aslan. The apparently radical, bewildering end of the story in which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Narnia is declared as being eternal in its totality, regardless of its visible physical destruction, is hardly reductive. Rather, it suggests that it was a final maneuver on the part of the author not only to cut off the tiring, if not vicious, circle of corruption and restoration, wickedness and goodness but also to perpetuate the glorious past into the future, a terminal blow on the ugly face of the deceptive present.

      • KCI등재

        한말 조선시대사 편찬의 동향과 『東鑑綱目』의 영ㆍ정조대 서술

        최성환(崔誠桓)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조선인에 의한 조선시대사 서술은 역사가이자 治者이기도 한 조선 역사가들의 역사 의식과 역사 서술을 잘 보여 주고, 식민사관에 영향 받기 전 조선식 역사 서술의 특징 및 수준 뿐 아니라 현대적 시각과는 다른 조선시대사 해석의 시각을 점검해 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조선후기에는 綱目體 역사 서술이 가장 유행하였지만, 강목체는 주자학적 봉건 이데올로기의 상징과도 같았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강목체 역사서는 編年體와 紀事本末體의 장단점을 흡수한 새로운 창안일 뿐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합적인 역사 서술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많은 역사서술 체제이다. 新史體는 근대식 역사 서술체제이지만, 그 안목이 편중되었을 경우 植民史觀에 기반한 조악한 역사 서술이 될 수밖에 없다. 역사서의 본질은 강목체냐 신사체냐라는 체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역사의식에 입각하여 해당 시대의 시대상을 온전히 드러내는 데에 있다. 韓末을 대표하는 老論 山林 宋秉璿이 저술한 『東鑑綱目』은 조선후기 강목체 역사서의 전형일 뿐 아니라 조선후기 집권 세력의 역사의식을 잘 보여주는 저작이다. 『동감강목』에는 英ㆍ正祖의 국정 운영 방향에 호응하면서도 비판적 관점을 소홀히 하지 않았던 노론 산림의 시각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서술을 통하여 우리는 영ㆍ정조대 국정의 주요 사안과 그 시행의 방향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朝鮮王朝實錄과 같은 방대한 자료를 재검토한다면 좀 더 풍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거나, 때로는 송병선의 견해가 노론의 당론에 치우친 편협한 견해라는 점을 비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에서 본다면 『동감강목』은 영ㆍ정조대를 포함한 조선 역사의 大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역사서라 평할 수 있다. 朝鮮人による朝鮮時代史の叙述は歴史家で治者でもある朝鮮歴史家たちの歴史意識と歴史叙述をよく見せて、植民史観に影響を受ける前、朝鮮式の歴史叙述の特徴やレベルだけでなく、現代的な見方とは異なる朝鮮時代史解析の観点を点検して見られる根拠を提供する。朝鮮時代後期には綱目體歴史叙述が最も流行したが, 綱目體は朱子学的封建イデオロギーのシンボルのようなたため、今までの研究で注目しなかった。 しかし、綱目體は編年體と紀事本末體の長所と短所を吸収した新たな創案であるだけでなく、時間の流れによって総合的な歴史叙述を可能にするという点で長所が多くの歴史叙述の体制である。新史體は近代式の歴史叙述体制だが、その目が偏重された場合植民史觀に基づいた粗悪な歴史叙述になるしかない。歴史書の本質は綱目體か新史體かのという体制にあるのではなく、著者の歴史意識に立脚し、当該時代の時代相を完全に表明するのにある。 韓末を代表する老論山林宋秉璿が著述した『東鑑綱目』は朝鮮後期綱目體歴史書の典型だけでなく、朝鮮後期の執権勢力の歴史意識をよく見せてくれる著作である。『東鑑綱目』には英祖と正祖の国政運営の方向に呼応しながらも批判的観点を疎かにしなかった老論山林の見方が提示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叙述を通じて私たちは英祖と正祖時代国政の主要問題とその施行の方向を明確に知ることができる。これを根拠に朝鮮王朝實錄のような膨大な資料を再検討したらもっと豊かな説明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り、時に宋秉璿の見解が老論の党論に偏った偏狭な見解であるという点を批判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このような基準で見れば、『東鑑綱目』は英祖と正祖時代を含めた朝鮮歴史の大綱を理解するのに有用な歴史書と評価するでき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