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 ( Ji Yeon Lee ),조아미 ( A Mi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일반적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수행에 대한 판단으로써의 자기효능감과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학교폭력의 목격경험이 있는 남·녀 중학생 245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방관적 태도(자기방어, 무관심)는 일반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방관적 태도 중 자기방어는 대인관계 중 의사소통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방관자 집단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과 방관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bystander`s attitud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ing witnessed school violence, and explored what effects bystanders` attitude have on self-efficacy as a judgement to their performance of conduct in general or social circumstances, and on youth`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took up samples of 24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of experiencing witness of school violence. An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conducted technological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s. First,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s on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of the subjects on self-efficacy showed that bystanders` attitude of the subject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s on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that self-defence of bystanders` attitude of the subjec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youth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 in bystanders` group, a plan to improve the bystander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Emerging role of bystander T cell activation in autoimmune diseases

        Chae-Hyeon Shim,Sookyung Cho,Young-Mi Shin,Je-Min Choi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2 BMB Reports Vol.55 No.2

        Autoimmune disease is known to be caused by unregulated selfantigen-specific T cells, causing tissue damage. Although antigenspecificity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the adaptive immunesystem, antigen non-related T cells have been found in the inflamedtissues in various conditions. Bystander T cell activationrefers to the activation of T cells without antigen recognition. During an immune response to a pathogen, bystander activationof self-reactive T cells via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ytokinescan trigger autoimmune diseases. Other antigen-specificT cells can also be bystander-activated to induce innate immuneresponse resulting in autoimmune disease pathogenesis alongwith self-antigen-specific T cells. In this review, we summarize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bystander activation of various Tcell types (NKT, γδ T cells, MAIT cells, conventional CD4+, andCD8+ T cells) and discuss the role of innate-like T cell responsein autoimmune diseases. In addition, we also review previousfindings of bystander T cell function in infection and cancer. Abetter understanding of bystander-activated T cells versus antigenstimulatedT cells provides a novel insight to control autoimmunedisease pathogenesis.

      • KCI등재후보

        방관자의 도덕화 내용 분석과 전망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

        이상희 ( Lee Sa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연구의 목적은 가해자와 구별된 관점에서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의 문제의식은 사회와 교육 체계 안에서 방관자에 관한 담론이 “방관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도덕적 언명을 드러내지만,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을 피상적으로 도덕화(moralizing)하는 데 있다. Ⅱ장에서는 방관자 현상에 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잘못된 도덕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 가능성을 밝힌다. 인과적 또는 회고적 책임에 치우친 책임에 대한 이해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에 혼란을 일으킨다.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은 해악의 결과에 대한 실질적 원인이 되는 인과 관계와 무관하게 전망적 책임 개념 안에서 도덕적 역할 책임으로 귀속될 수 있으며, 이는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책임으로 확장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로 토마스 힐(Thomas Hill, Jr)이 칸트적 관점에서 도출하는 전망적 책임 또는 준비적 책임(2차적 책임)에 해당하는 세 가지, ‘숙고를 기울일 의무’, ‘자기검토의 의무’, ‘덕을 발전시킬 의무’를 고찰한다. This study provide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bystanders in terms of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perpetrator. It is because of the problem that the bystander's moral responsibility is only superficially moraliz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es on the bystander phenomenons, the content suitability of moralization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scrib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are examined. The concept of causal or retrospective responsibility confuses attributing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The moral responsibility can be ascribed to the bystander within the concept of prospective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causes harm. And prospective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can be extended to responsibility as a moral agent. Thom as E Hill, JR defines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as prospective responsibility and presents three obligations to deliberate, self-review, and to develop virtue as a prepared responsibility(secondary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primary responsibility) in a situation from Kant’s viewpoi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괴롭힘 경험과 주변인행동의 관계

        박예라(朴예라),오인수(吳仁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 괴롭힘(bullying)가해 및 피해경험이 괴롭힘 주변인(bystander)방어행동의 관계 및 이를 조절하는 사회맥락적 특성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신체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 장면의 주변인행동, 또래동조성, 지각된 학급규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자료는 교차분석 및 독립성검증, 상관분석, 범주형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동조자 행동이,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방관자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괴롭힘 가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동조자 또는 방관자로 행동하게 되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반면 피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예측하지는 못했다. 셋째,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 또래동조성과 지각된 학급규준이 주변인행동을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또래동조성의 주변인행동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급규준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경험 및 사회적 맥락 특성과 주변인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신체적, 관계적 괴롭힘 상황으로 나누어 주변인행동에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과 주변인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효과적인 상담 및 중재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have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experiences and bystander’s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300 upper elementary students. Scales of bullying participant roles,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ystander roles across gender and bullying situations. Defending behavior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ully-follower role in overt bullying situation. Then in relational bullying situation,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ystander role. Second, bullying experience predict bystander’s negative behavioral reactions while victimized experience didn’t show significant results. Third, peer conformity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bullying experience and bystander behavior in overt/relational bullying situations. But perceived class norms only moderated bystander behavior in overt bullying situat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Lastly, the limitations and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친사회적 조력자 모델을 활용한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김경운,박현호,정지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In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rime prevention programs that emphasiz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ystanders to prevent dating violence crimes and induce change in their attitudes and helpful behaviors for crime preven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y has theoretical foundations such as prosocial behavior theory, community readiness model, an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Bystanders can be said to be helpers to prevent crime, an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bystanders' intervention plays a decisive role in crime prevention and damage recovery. When bystanders' involvement increases, social norms against crime are strengthened and the community's capacity increase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dating violence crimes. This study verified whether a crime prevention program that is being conducted abroad is effective in Korea, targeting college students. After randomly selecting 95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dividing them in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 crime pre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treatment group. As a res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rime prevention program increased knowledge related to dating violence, decreased acceptance of rape myths affecting dating violence crimes, and increased bystander attitudes to help prevent crim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knowledge and attitude predict behavior, it can be predicted that a crime prevention program that promotes the intervention of a bystander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actual crime.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데이트 폭력 범죄 예방을 위해 가해자 또는 피해자 주변인들의 사회적 책임감을 강조하며 범죄 예방을 위한 태도 변화와 도움 행동을 유도하는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친사회적 행동 이론, 지역사회 변화모델, 정교화 가능성 모델 등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 주변인들은 범죄를 막기 위한 조력자라고 할 수 있는데, 선행연구에 의하면 조력자의 개입은 범죄예방과 피해회복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구성원들의 개입이 증가하면 범죄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강화되고 공동체의 역량도 높아져 데이트 폭력 범죄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국내에서도 효과가 있는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3개 대학 95명 대학생들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처치집단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범죄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지식이 증가했고, 데이트 폭력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강간 통념 수용도가 낮아졌고,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도움을 주고자 하는 조력자 태도가 증가했다. 지식과 태도가 행동을 예측한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면 조력자의 개입을 촉진하는 범죄 예방 프로그램이 실제 범죄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KCI등재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 : 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최유진,오인수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ctims’ reactions in bullying situation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from a group dynamic perspective including bystanders not from a relationship between a bully and a victim. we compare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coping strategies of victims in bullying situation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Survey result completed by 220 middle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for the two weeks during the first semester was analyzed. First, as a result, the bystanders’ grade, the past experience as a bully were predictors of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Second, even same victimized situation, scores of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positive coping of victims were higher when bystanders protected victims than those of victims when bystanders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On the other hands, a score of the passive coping of victims was higher when bystanders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than that of victims when bystanders protected victims. This difference suggests that the victims' reactions in bullying situation are influenced by the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Third, scores of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positive coping of victims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effective to intervene early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bullying, and interven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st experience as a bull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may be mo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victim and implementing a strategy to change the behavior of the bystanders’ behavior. 본 연구는 괴롭힘 현상을 가해-피해의 양자구도를 넘어 주변인을 포함한 집단 역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학기 중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2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한 후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 22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학년 및 괴롭힘 경험유형과 주변인 행동유형(동조행동, 방관행동, 방어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변인의 행동유형(방어행동 vs, 방관행동)에 따라 피해 학생의 반응(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저학년일수록, 여학생일수록, 과거에 가해경험이 적을수록 주변인의 경우 피해학생을 방어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이 방관할 때보다 방어할 때 피해학생의 통제욕구와 통제지각 및 적극적 대처수준은 높은 반면 소극적 대처수준은 낮아졌다. 이러한 차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학생의 반응은 주변인의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주변인의행동에 따른 피해학생의 반응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괴롭힘 예방 및 개입할 때 피해학생의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주변학생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실시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논의했다.

      • SCISCIESCOPUS

        Factors associated with bystander behaviors of Korean youth in school bullying situations : A cross-sectional study

        Yang, Seung Ae,Kim, Dong Hee Williams & Wilkins Co 2017 Medicine Vol.96 No.32

        <P><B>Abstract</B></P><P>The behaviors of bystanders can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ir pe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sychosocial and contextual factors associated with 3 types of bystander behavior (bully followers, outsiders, and defenders of victims) among Korean youth.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416 7th and 8th-grade students from 1 middle school in Korea. The Rosenberg Self Esteem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and measurements of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empathy, concerns about being bullied, attitudes toward bullying, and bystander behaviors were all used in the assessment. Empathy, relationship of teachers, attitudes toward bullying, and concerns about being bullie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3 types of bystanders’ behaviors. Although, self-esteem,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ust defender of victim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significant factors to cultivate constructive bystander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effective antibullying intervention.</P>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반괴롭힘 태도와 주변인 행동과의 관계: 지각된 교사개입의 조절효과

        오인수,김서정,임영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ystander’s reactions, their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in bullying situation. In particular,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was examined between bystander’s anti-bullying attitudes and the level of 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229 survey results completed by fourth grade students in four schools in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test examined two particular areas of bystander’s reactions(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reby yielding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bystander’s anti-bullying attitudes were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positively and with assisting behavior negatively. This showed bystander’s attitude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bullying.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ti-bullying attitudes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positively and assisting behavior negatively. The anti-bullying attitudes explained defending behavior more than assisting behavior. Thirdly,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ly between anti-bullying attitudes and defending behavior. It implies that bystander perceiving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highly was more likely to defend victims, thus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was foun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과 이들의 반괴롭힘 태도 및 지각된 교사개입의 관계 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변인 중에서 또래괴롭힘 피해자를 보호하는 방어행동의 정도와 가해 자를 돕는 동조행동의 정도에 반괴롭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영향의 관계가 주변인이 인 식하는 교사 개입정도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서 4학년 229명을 대상으로 주변인의 행동(방어행동 및 동조행동), 반괴롭힘 태도, 지각된 교사개입을 측정하였고, 자료를 분석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주변인의 반 괴롭힘 태도는 방어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동조행동과는 부적상관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주변 인의 태도 형성이 괴롭힘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반괴롭힘 태도는 방 어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동조행동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 그 설명력은 방어행동의 경우 더 높았다. 이는 주변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실증적 내용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반괴롭힘 태도와 주변인의 행동 사이에서 지각된 교사개입의 조절효과는 오직 방어행 동의 경우에만 유의미했고, 동조행동의 경우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사의 개입이 높다고 인식한 주 변인의 경우 반괴롭힘 태도가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의 개입이 낮다고 인식한 경우에 비해 더욱 컸다. 이를 통해 주변인의 방어행동에 이들의 반괴롭힘 태도와 지각된 교사의 개입이 상호작용함 을 확인하였으며, 주변인이 인식한 교사 개입이 방어행동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적 함 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의 관계에서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이현진,오인수,송지연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lassroom norms between bystander’s reactions(assistant, outsider, defender) in school bullying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humanity, justice, courage). And we compared the levels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by three types of bystander’s roles. To identify research issues,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ing survey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by ANOVA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ity strengths according to the roles of bystander. Second,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assisting behavior, humanity and justice predicted onlooking behavior and humanity,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Thirdly, in the mediating effect, perceived classroom norms mediated between only justice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bystander’s reaction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modify the bystander's behaviors was discussed to utilizing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이 이들의 주변인 반응행동(동조, 방관 및 방어)에 미치는 영향이 주변인이 지각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주변인의 3가지 유형별로 성격강점과 지각된 학급규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ANOVA와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괴롭힘 주변인(동조자, 방관자, 방어자) 역할에 따라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성격강점 중 정의와 용기는 동조행동을, 인간애와 정의는 방관행동을, 그리고 인간애와 정의 용기는 방어행동을 예측하였다. 셋째, 매개효과의 경우 성격강점 중에서 오직 정의감이 동조행동, 방관행동 및 방어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지각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격강점과 학급규준의 관점에서 주변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주변인 개입에 관한 연구 - 개입각본을 중심으로 -

        김중곤(Kim, Joonggon),이희진(Lee, Heeji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1

        직장 내 성희롱을 당한 피해자는 보복 및 직장 내 평판 저하의 두려움으로 적극적인 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직장 내 성희롱을 예방하고 피해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해자 뿐 아니라 주변인의 개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주변인 개입의 결정요인 및 각본 분석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하였을 때 주변인이 개입하는 절차를 (1)상황의 인지 및 관찰, (2)책임인식 및 개입결심, (3)개입실행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89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의사결정 단계에서의 애로점 및 구체적 행동방법을 조사하고 이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각 단계별 주변인 개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및 구체적인 정책의 예시들을 제시하였고, 현재 실시중인 직장 내 성희롱 예방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Victims of sexual harassment (SH) in the workplace often react passively because they fear reprisals or losing social status. Thus, programs aiming to reduce SH at work need to move beyond traditional victim- or offender-oriented approaches and focus on bystander actions as a way to disrupt a crime event or promote reporting behavior. Building from previous research on bystander intervention and the script model, the present study lays out three-stage bystander intervention scripts that might be informative to bystanders’ decision-making in case they become aware of a workplace SH: (1)notice and observe the offense, (2)take responsibility and decide to intervene, and (3) take action. Based on this framework,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employed with a sample of workers in South Korea (N = 89) in order to assess what actions respondents were likely to take at each stage and why in hypothetical scenario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crime prevention strategies (e.g., increasing natural surveillanc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relevant policy recommendations (e.g., appropriate bystander protection measures) for each stage of the script. Ideas to improve the current workplace SH prevention training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