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김현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를 위해 기존의 서평 작성법에 대한 선행 논의를 바탕으로 서평에 대한 인식의문제점과 현대 장르 이론에 근거한 서평 장르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서평 작성법에 대한 선행 논의를 검토한 결과,주로 독서 감상문과 서평과의 비교를 통해 서평 작성법을 제안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러나 학생들이작성한 서평에 대한 평가 내용을 살펴보면,교수자의 독서 감상문과 서평 간의 구분이명확하지 않다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장르 인식에 근거하여 서평 작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즉,이 연구에서는 서평 장르 인식 학습 단계로서 ‘장르 샘플 수집하기’,‘장르가사용되는 상황 맥락 분석하기’,‘장르 샘플 분석을 통한 장르 패턴 확인하기’,‘장르 패턴이 상황 맥락에 대해 말하는 것 분석하기’,‘장르 변형 패턴 이해하기’,‘장르 인식총정리’로 구분하여,개별 또는 조별 활동을 통해 서평 장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다음으로 장르 글쓰기 실습 단계로서 ‘서평 초안 작성하기’,‘서평 피드백’,‘서평 최종본 작성하기’,‘자신의 서평 작성 과정 성찰하기’ 단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서평 작성을 위한 절차적 수업 모델을 제안해 보았다. 이 연구는 독서 감상문이라는 익숙한 장르와 구별되는 서평이라는 새로운 장르에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서평 장르를 작성해 볼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아울러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장르 인식 학습 단계에 대한 세부 절차를 제시해 봄으로써,학생들이 서평이라는 장르 인식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ducational plan for writing a book review based on genre awareness. Drawing upon previous discus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perception of book review and presented a book review education plan based on modern genre theory. After reviewing previous discussions on how to write a book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that proposed a book review method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a book report and a book review. However, by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book reviews written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instructor's book report and the book review were unclear.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educational plan for writing a book review based on genre awareness. It was designed to foster an understanding of the book review genre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stages: “collecting samples of the genre,” “identifying the scene and describ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genre is used,”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e genre’s features,” “analyzing what these patterns reveal about the situation and scene,” “understanding genre transformation patterns,” and “conceptualizing a summary of genre awareness.” Subsequently, as part of the genre-writing practice stage, this study proposed a procedural instructional model for writing a book review. This model includes the following stages: “drafting the book review,” “feedback regarding the book review,” “writing a final version of the book review,” and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writing the book review.”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self-directedly write a book review based on their awareness of the genre, which is distinct from the familiar genre of book report. In addition, by presenting detailed procedures for genre awareness learning stages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so far, this study can be evaluated a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develop a genre awareness of book review.

      • KCI등재

        ‘추천글(Book Endorsements)’에 대한 장르 분석적 연구 - 2014-2020년 ‘이상문학상’ 추천글을 대상으로-

        박나리 ( Park Naree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1 텍스트언어학 Vol.50 No.-

        Book endorsements are short statements in which influential literary critics express acceptance or support for the literary text. It is generally a para text placed on the dust jacket of the book. It is a text genre that allows the reader to read or purchase the book due to its guarantee of the reliability of the book. Thus, book endorsements have an influen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ding and purchase of the book. Despite this genre significance, the text characteristics of the book endorsement have not been properly analyzed. This is in contrast with the analysis of the literary text itself through book review and criticism, and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other para texts such as title, preface, and blurb, etc.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Swales' CARS model, which is evaluated to analyze the text structure and language expression characteristics microscopically and explicitly as a research method unde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xt genre of the book endorsement text genre. Furthermore, in order to examine the text genre attribute of the endorsement more clearly,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it with the adjacent text genres, which are blurb and criticism. Through these series of works, the book endorsement genre was identified with a text structure of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iterary text, evaluating the text content, evaluating the text format, appreciation of the text, and a message of the text to the reader. Also, it seems that its text function is weaved by various nouns implying [+positive evaluation], adverbs and performance verbs indicating creative actions of literary text producers, and his message to his readers which are interpreted by book endorsement authors.

      • KCI등재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그림책 선호 경향

        김선옥(Kim Sun Ok),윤정빈(Yoon Joung Bin),지은주(Ji Eun Ju),유승희(Yu Se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아가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와 그림책을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3세-6세 유아 170명을 대상으로 유아가 선호하는 그림책 763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가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는 사실동화, 환상동화, 전래동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그림책을 선호하는 이유는 플롯, 인물, 주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가 그림책을 선호하는 이유를 그림책의 장르에 따라 살펴보면 전래동화, 환상동화, 사실동화는 플롯, 인물, 주제 순, 전기는 인물, 교육적 요소 순, 정보책은 교육적 요소, 인물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가 반복적으로 선호한 그림책의 장르는 전래동화, 환상동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에 따른 차이가 일부 나타났고, 그림책을 선호하는 이유는 플롯, 인물, 주제 순이었으며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림책의 장르에 따라 그림책을 선호하는 이유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genres and the reasons of preferences in picture books. The subjects were 763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res of picture books that children prefer were grouped into categories of realistic, fantasy, fairy, and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ildren's gender and age. Second, the reasons of preferences in picture books were revealed by factors of plot, character, theme, artistic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These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ildren's gender and age. Third, the reasons of preferences in picture book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genre; fairy, fantasy, and realistic picture books revealed by the order of a plot, character, theme, and artistic factor; biography revealed character and educational factor; informational picture book revealed instructional factor and character. Fourth, genres of picture books that children preferred repeatedly were by the order of fairy, fantasy, realistic picture boo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ildren's 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ildren's gender. The reasons of preferences in picture books that children prefer repeatedly were by the order of a plot, character, them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ildren's gender and age.

      • KCI등재

        책빙의물과 게임방송물 웹소설의 자기반영성 연구 -『전지적 독자 시점』과 『납골당의 어린 왕자』를 중심으로

        구자준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One of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is active close interactions in real time between authors and readers. Readers deliver their opinions about the narrative to authors by adding comments, and authors make proper reactions to readers and develop or revise the narrative accordingly. Texts are not determined finally by authors, but remain “in process” and revisable any time through active interactions between authors and readers. It is interesting that such author-text-reader changes themselves sometimes become materials of web novels and objects of reflective thinking. Good examples include works that accept the self-reflective motif of web novels as a genre element like the “book traveler genre” and “game broadcasting genre.” There have been relatively active discussions about the meta-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s of the “book traveler genre,” but there has been not much discussion about how the “game broadcasting genre” reflects author-text-reader relationships. As it is demonstrated in such web novels as Omniscient Reader and The Little Prince of the Ossuary, however, the motifs of a book(game) travel and game broadcasting are frequently combined and trigger a consideration into the narrative environment of web novels. In such a case, the writer/reader protagonists having an adventure in the book and game worlds induce responses and support from viewers that watch their adventures through broadcasting based on their reinterpretations of the old narrative, continuing their “rewriting.” It shows that current web novels achieve narrative innovations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rewriting of the old genre novels and, at the same time, that this innovation process considers importantly in the process of persuading readers-viewers successfully. 웹소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작가와 독자 사이에서 실시간에 가까운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독자들은 댓글을 통해 서사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즉각적으로 작가에게 전달하고, 작가는 독자의 반응에 적절히 대응하며 이후의 서사를 전개하거나 수정한다. 텍스트는 저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작가와 독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언제나 수정 가능한 ‘과정 중’인 것으로 남는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작가·텍스트·독자의 변화 자체가 때로는 웹소설의 소재가 되어 반성적 사유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책빙의물’나 ‘게임방송물’과 같이 웹소설의 자기반영적 모티프를 장르적 요소로 받아들인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책빙의물’의 메타적 특성이나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는 비교적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으나, ‘게임방송물’이 작가와 텍스트, 독자의 관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전지적 독자 시점 이나 납골당의 어린 왕자 와 같은 웹소설에서 볼 수 있듯이, 게임방송이라는 모티프는 책(게임) 빙의 모티프와 빈번하게 결합하여 웹소설의 서사적 환경에 대한 고찰을 촉발한다. 이때 책과 게임 세계를 모험하는 작가/독자 주인공은 기존의 서사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방송을 통해 주인공의 모험을 지켜보는 시청자들의 호응과 후원을 끌어내며 ‘다시 쓰기’를 계속한다. 이는 현재의 웹소설이 기존 장르소설에 대한 재해석 및 다시 쓰기를 통해 서사적 혁신을 이루고 있음과 동시에, 이와 같은 혁신 과정에서 독자—시청자를 성공적으로 설득하는 과정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아동용 그림책의 장르구분 탐구

        김세희(Kim Sae-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6

        In Korean “picture books” are also known by several names including ‘그림책’ (grim check: picture book), ‘그림동화’(grim donghwa: picture fairy tale), ‘동화책’ (donghwa check: fairy tale book). Perhaps these terms might have arise from the early history of picture books which focused on the text rather than the pictures. What is more, this tradition, which places priority on the text,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n picture books. However, in order to communicate clearly with scholars and to achieve our final purpose which is to well educate children who are the ultimate beneficiary of the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reconsider terms we use to refer to picture books and to reclassify the genres. In this article, the genres of picture books are classified taking into account both literary and educational factors. They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Story Picture Book, Verse Picture Book and Informational Picture Book. Furthermore, Story Picture Books are subdivided into Folk Tales, Fantasy, and Realistic Stories. Verse Picture Books are subdivided into Traditional Children’s Rhymes, Nursery Rhymes and Poems. Especially for Story Picture Books, an additional division was mad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no divisions were made since it was ambiguous which standard to apply from among various standards. Therefore, further in-depth research is needed. Picture Books are becoming more and more a valuable source of literature for children. In summary, for the sake of both research and education general agreement in regard to genres and a reconsideration of terms in reference to picture books is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만6세와 만9세 아동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에 대한 질적 연구

        박소윤(So-Yun Park),김민정(Min-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기반 하여 장르를 중심으로 연령별로 아동이 좋아하는 그림책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만6세와 만9세 아동을 면담하고 최종 34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약호화의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만6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옛이야기 그림책, 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그림책, 정보 그림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흥미로운 줄거리와 잘 짜인 플롯을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만9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이야기 그림책, 옛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 그림책 순으로 조사되었고 정보 그림책과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문학적 요소를 폭넓게 탐색하고 그것을 재미요소로 여겼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아동들이 특정 그림책 장르를 선호하는 이유를 밝히고, 연령별로 그림책 장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avorite picture books by age according to genre. For this purpose, children of 6 and 9 year old were interviewed from October 2015 to January 2016, and the final data of 34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ding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icture books preferred by 6 year old children appeared in the order of folktale picture books, story picture books, korean-domestic poetry picture books,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they didnt prefer korean-translated poetry picture books. They tended to like interesting story and well-constructed plots. Second, picture books preferred by 9 year old children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story picture books, folktale picture books, korean-domestic poetry picture books, and they didnt prefer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korean-translated poetry picture books. They explored literary elements extensively and considered them as interesting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reasons why children of different ages prefer particular picture book genre, and proposed ways to use picture book genres widely by age.

      • KCI등재

        그림책 장르별 만 3세 유아의 반응 분석

        서정숙 ( Jeong Sook Seo ),최현주 ( Hyun Ju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그림책에 대한 만 3세 유아의 반응 유형을 분석하고 그 반응이 그림책 장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환상 그림책, 사실 그림책, 정보 그림책, 옛이야기 그림책을 1권씩 선정하여 만 3세 유아에게 읽어주었고, 이 때 유아가 보이는 반응을 모두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Sipe(2011)가 제시한 5가지 반응 범주(분석적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 동화된 반응, 연행적 반응)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그림책의 장르와 유아의 반응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장르별 유아의 반응수는 옛이야기 그림책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29.3%) 정보 그림책에 대한 반응이 가장 적었다(19.5%). 반응 유형별 유아의 반응 수는 분석적 반응(33.8%)이 가장 많았으며 연행적 반응(3.3%) 이 가장 적었다. 그림책 장르별 유아의 반응 유형을 살펴보면, 환상 그림책을 읽어줄 때는 분석적 반응(28.3%), 사실 그림책을 읽어줄 때는 개인적 반응(45.4%), 정보 그림책을 읽어줄 때는 분석적 반응(53.9%), 옛이야기 그림책을 읽어줄 때도 분석적 반응(30.1%)이 가장 많았다. 반응 유형별로 유아가 반응을 많이 한 장르를 보면 분석적 반응은 정보 그림책(31.1%), 상호텍스트적 반응은 옛이야기 그림책(37.5%), 개인적 반응은 사실 그림책(34.9%), 동화된 반응은 옛이야기 그림책(43.3%), 연행적 반응은 환상 그림책(45.9%)이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 of 3-year-old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 books and to investigate how their responses differ depending on genres. To this end, four books are selected for each of four genres of picture books: fantasy, realism, information and folk tales and then all responses of the children to the books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with the 5 response categories by Sipe(2011). The analysis shows statistically-significant results that the children`s responses differ depending on the picture book genres. Among all responses, the largest number of responses(29.3%) was found in the folk tale picture book while the smallest number(19.5%), in the information picture book. W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sponse types, analytical responses were the largest(33.8%) and performative responses, the least(19.5%) in number. When examined in each genre, the most dominant responses were analytical in the picture book genres of fantasy(28.3%), information(53.9%) and folk tales(30.1%) except in realism exhibiting the highest personal responses(45.4%). When analyzed in response types,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intertextual(37.5%) and transparent(43.3%) responses were all found in the folk tale picture book while the highest analytical(31.1%), personal(34.9%) and performative(45.9%) responses were found in the information, realism and fantasy picture books, respectively.

      • KCI등재

        청소년 독자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방향

        유진현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ading education of picture book for adolescent readers and to elaborate the content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picture books has expanded the target reader of picture books, suggesting the need for literary educational considerations on picture book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were examined,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picture books was reviewed, an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adolescent readers as picture book readers and literary education learners were discussed. It is expected that Adolescent readers will be able to expand the 'books they want to read'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and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readers to pay attention to 'self as a reader of picture books' in their growth process.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contents of picture book reading education for adolescents were concretely presented as genre reading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critical reading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picture books, and recursive reading as a picture book reader. 본 연구는 청소년 독자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목표를 점검하고 그 방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책의 양적·질적 성장은 그림책의 대상 독자를 확장시켰으며, 이는 그림책에 관한 문학교육적 고찰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독자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에 관한 이론적 전제로서 그림책의 의사소통 방식으로서 그림의 속성에 주목하였으며,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의 범주 내에서 문학과 그림책의 인접성과 문학과 그림책의 언어에 대한 공통된 관심은 물론 문학교육에서 주목해 온 해석의 문제와 관련한 그림책 읽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독자이자 문학교육의 학습자로서 청소년 독자의 역할과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청소년 독자는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 즐겨 읽지 않는, 즉 얼리터러시(aliteracy)의 현상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그림책 읽기를 통해 청소년 독자가 ‘자신이 읽고 싶은 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위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방향을 그림책의 특성에 주목한 장르적 읽기, 그림책의 속성을 고려한 비판적 읽기와 그림책의 독자로서 재귀적 읽기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림책 읽기 교육의 방향은 그림책의 독자로서 청소년 독자의 역량과 흥미를 고려한 것으로 후속의 논의를 통해 그림책 읽기 교육의 각 방향을 상세화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 KCI등재

        피천득 시세계의 변모와 그 의미 : 시집 출간 현황과 개작의 양상을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이 논문의 목적은 피천득 시집의 출간 현황과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피천득 시세계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7권의 시집이 출간된 현황과 각 시집의 체제 및 성격을 살펴본 결과, 첫 시집 "서정시집"을 제외하고는 6권 모두 시선집(그 중 『금아시문선』과 『산호와 진주』는 산문까지 포괄한 창작집)의 성격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둘째, 1947년에 출간된 첫 시집 "서정시집" 의 수록시들은 「달」과 「팔월십오일」 2편의 시를 제외하고는 이후의 시집들에 재수록되었다. 「상해풍경」은 『금아시문선』, 『산호와 진주』, 『금아시선』에는 누락되었다가 『피천득 시집』에서부터 「1930년 상해」로 제목이 바뀌어 재수록되었다. 『금아시문선』에 처음 수록된 「讚辭」는 이후 『피천득 시집』까지 실렸다가 "생명"(1993), 『생명』(1997)에는 다시 실리지 않았다. 셋째, 7권의 시집을 내면서 중복 수록된 시들도 각 시집마다 수록 순서나 배치에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재수록된 시들 중에는 제목이 바뀌거나 내용이 개작된 경우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누락되거나 개작된 작품들의 경우 그 첫 번째 기준은 작품의 완성도 및 시적 효과였으며, 그밖에도 시대적 상황의 변화와 그에 따른 시의식의 변화가 시의 수록 여부 및 개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피천득의 시에는 일관되게 생명의 추구라는 주제의식이 드러나지만 최근의 시집으로 올수록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한 인식, 일상적 체험이나 인식, 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을 드러내는 시들이 눈에 띄었다. 피천득의 시에 대해 새로 밝혀진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 보건대, 피천득의 시의식과 시인의식은 대체로 소박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시집을 새로 출간할 때마다 신작시보다는 중복 수록한 작품의 편수가 항상 더 많았다는 사실만 보아도 피천득의 경우가 일반적인 시집 출간의 관행과는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첫 시집에 ‘시조’임을 분명히 밝혔던 시가 형식의 변화 없이 이후 시집을 거치는 과정에서 연작시의 형태로 변화한 것을 볼 때 시 장르에 대한 의식도 아주 예민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작 활동을 시작한 1930~1932년에는 현대시와 현대시조, 동시 및 동요를 엄밀히 구별하지 않고 동시에 창작했는데, 초창기의 피천득은 시 장르에 대한 엄격한 의식을 가지고 있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7권의 시집을 출간하는 과정에서 최근으로 올수록 피천득의 시에는 죽음과 일상과 시 쓰기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Pi Chyun Deuk’s poetic world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with a focus on the publication state of his poetry books and his adaptation patter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ation state of his seven poetry books was examined along with the system and nature of each of them. All of the seven poetry books(Geumashimunseon and The Coral and Pearls were creative collections including even prose) had the nature of anthology except for the first one, Collection of Lyrical Poems. Second, his poems included in his first poetry book Collection of Lyrical Poems published in 1947 also appeared in his later poetry books except for The Moon and August 15. The Landscape of Shanghai was omitted in Geumashimunseon, The Coral and Pearls, and Geumashiseon and reappeared in Poetry Book of Pi Chyun Deuk with a new title, Shanghai in 1930. Praises first published in Geumashimunseon continued to reappear in his poetry books until Poetry Book of Pi Chyun Deuk and was not found in Life(1993) and Life(1997). Third, the poems overlapped among his seven poetry books varied in the order of appearance and arrangement among the poetry books. Fourth, some of the poems reappearing in his poetry books had the titles changed or the content adapted. Fifth, his first criteria to omit or adapt a poem were the completion level of work and poetic effects. In addition, the shifting situations of the times and the resulting changes of his poetic consciousness seem to have influenced his choice of including or adapting a poem in his new poetry book. Sixth, the consistent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out his poetry was the pursuit of life. However, the poems showing his awareness of getting old and dying, his daily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and his self-consciousness as a poet grew more prominent in his later poetry books. Considering all the new findings about his poetry, it seems that his poetic consciousness and his consciousness as a poet was generally simple.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of his old poems in his new poetry books than his new poems demonstrates that he had a different practice of publishing a poetry book than the general custom. He did not seem to have very sensitive consciousness of the poetry genre in that a poem he clearly defined as "Shijo" in his first poetry book turned into a series poem in his later poetry books without any change to the form. He created his works without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modern poetry and modern Shijo and between children’s verses and children’s songs from 1930 to 1932 when he began to write poems. It seems that he had no strict consciousness of the poetry genre in the early days. As he proceeded to publish seven poetry books, however, his consciousness of death, everyday life, and poetry writing increasingly deepened in his poems.

      • KCI등재

        음악 그림책에 나타난 문학적 · 음악적 특성 분석 연구

        이영애,오한나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tera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music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The 53 books searched by the keyword ‘music’, were finally select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 and a music education professional. For data analysis, content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literature and music characteristics. In literary characteristics, firstly, the fantasy genre was the highest amount genre and in the order of non-fiction, non-fiction with story. Secondly, character of the human being was the most frequent character and the objects were the least. Public places showed the most in the backgrounds of the books, but in some occasions there weren’t any backgrounds at all. Thirdly, the plots of books were categorized with three types. Category 1, which is with a story and plot, was the most frequent plot Category 2, which is with a story but no plot, was less frequent than category 1. Category 3, which is without a story, was the least frequent plot In musical characteristics, a classical genre was most frequent but some books did not indicate any musical genre. The highest musical concept was timber and in the order of melody, rhythm, dynamics, harmony, form, tempo. The most frequent music activity was playing instruments and the least frequent activity was creat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research was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to develop music picture books and apply them in early childhood practices by litera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music picture book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작 및 번역되어 출판된 음악 그림책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음악’관련 주제 키워드로 검색된 그림책 중 유아교육전문가와 음악교육전문가 협의를 거친 53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수집된 자료의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 그림책의 문학적 특성에서 첫째, 그림책 장르로 환상 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사실 그림책, 이야기가 있는 논픽션 그림책도 많이 나타났다. 둘째, 등장인물은 사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의인화된 동물이 나타났으며 의인화되지 않은 동물, 의인화되었거나 의인화되지 않은 사물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은 공공장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집, 자연, 배경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플롯은 이야기의 줄거리는 있으며 플롯이 있는 경우인 범주 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야기의 줄거리는 있으나 플롯이 없는 경우인 범주 2, 이야기의 줄거리와 플롯이 없는 경우의 범주 3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특성에서 첫째, 음악 장르는 클래식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음악 장르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음악적 개념은 음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가락, 리듬, 셈여림, 화성, 형식, 빠르기 등도 나타났다. 셋째, 음악활동 유형으로는 악기 연주하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음악 감상하기, 신체 표현하기, 노래 부르기, 음악 만들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 그림책에 나타난 문학적, 음악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음악 그림책 개발과 유아교육 현장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