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층을 중심으로 -

        이지현,김선우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2

        A lot of interest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those who were born after World War II, has emerged since their retirement has been accelerated. The retirement of baby-boomers has caused many health, public welfare, social policy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However, their increased purchasing power has made them more attractive consumers than any other generation, and they have become a fascinating niche market in the depressed economy. This research selected middle-class women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o have had powerful effects on society and have emerged as an attractive niche market,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ir lives intensively. Based on research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baby- boomer generation middle-aged women’s life valu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nd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marketing implications to connected industr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1.understanding the lives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who have powerful effects on socio-economic phenomena 2. identifying the life values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3.generating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lives and life values *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jong University ** Doctorate Cours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research conducted FGIs(focus group interview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figure out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life values intensively and selected 10 women living in Seoul for data collection. The qualitative data of collected FGIs were analyzed with spiral data analysis methodology proposed by Creswell(2007). The most effective factors to influence these middle-class women’s lives powerfully were ‘time’ and ‘independence’. Their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using time affects their life pattern generally, and their independence also impacts greatly on the way they exploit time and on their diverse relationships. They maximized their self-realization and showed long-term partnership with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because of those effective factors.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self-realization was divided into two areas. One was their outside activities and another was perfect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home interior. Lik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ir need for social entrance will be reinforced more strongly since their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aim for the achievement of self-realiz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activities are connected with their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home interior decorations, and that such management is caused not only by a simple interest in fashion and beauty but also a profound desire for self-realization. On account of their consciousness,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Korean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are able to maintain positive partnerships with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however, they also show ambivalent emotions to retain effective partnerships. To overcome those stressful situations, they make greater efforts to keep up their health and youth, and also engage in diverse activities to maintain their mental health. Finally, they gener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extra time to develop self-realization and pursue happy, youthful and healthy lives.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dustries targeting the baby-boomer generation should develop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help the baby-boomer generation maximize their efficiency of time since tim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powerfully impacting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y will engage in var... 본 연구에서는 가족 내 높은 의사결정권을 가진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관계, 젊음과 건강, 자아실현, 의식의 총 5개의 핵심가치를 도출했다. 상위범주들의 맥락적 관계를 구축하여 모형을 도출한 결과,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은 시간적 여유의 증가와 이전/이후세대와는 다른 의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하여 자아실현과 타인과의 관계맺기 현상을 나타내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건강과 젊음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고 경제적으로 크게 고통 받지 않는 현재의 삶에 감사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모형을 보다 추상적인 중심현상으로 축약화하여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중년여성이 여러 가지 활동과 노력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건강하고 젊고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상품,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자아실현 욕구가 높은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자아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들의 감각, 능력,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들의 집안과 외모 가꾸기는 자아실현의 방법이므로 이 시장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 질적인 방법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과 소득계층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결과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차원의 양적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이들 삶의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더욱 깊이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베이비붐 세대의 재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시월(Si Wuel Kim),조향숙(Hyang Sook Cho)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3

        한국 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2010년 이래 대두되면서,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향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젊은 시절부터 근무했던 직장을 은퇴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재취업을 시도하는데, 동일한 소득이라도 취업의 형태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정의 안정성에 차이가 보인다. 이에 단순한 재정상태의 파악이 아닌 취업여부에 따른 재정상태의 차이와 베이비붐 세대의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제4차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여부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재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관계와 경로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연간 가계총소득은 39,129.91 천원, 가계총자산은 299,118.42천원이었고, 가계총부채는 17,906.91천원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라 재정상태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가계총자산, 가계총부채가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고, 가계총소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Ⅰ: 경제상태와 활동 만족도, 요인Ⅱ: 인간관계 만족도로 명명하였으며, 각 요인별 평균은 5점 만점에 3.23, 3.44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 삶의 만족도의 경우 취업자가 비취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취업자와 비취업자 집단 별로 경로분석 결과, 근로소득원수, 가계총소득, 가계총부채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집단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자와 비취업자 집단의 재정상태와 삶의 만족도 경로 간 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중 근로소득원수 →요인Ⅰ: 경제상태와 활동 만족도’, ‘가계총소득 → 요인Ⅱ: 인간관계 만족도’만 경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경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관련 다양한 변수 중에서 취업여부에 따른 재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임을 밝히고, 베이비붐 세대의 개인적 차원 및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일과 관련된 복지와 재정 관련 지원 및 교육의 구체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Baby boomers" retirement which is emerged since 2010 has been one of the major concerns for Korean society and is expected to be even more significant in the future. If a young age baby boomer retires from work who used to work in a variety of ways, he/she will try to be re-employed to earn the same level of income.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s of employment, the long term financial stability of those baby boomers will vary. This study was to examine not just financial status of baby boomers but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s to find out actual life conditions and level of living of baby boomers. This study used the fourth wave of KReIS survey data(NPS, 2011) to investigate baby boomers" financial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baby boomers. The annual household income for baby boomers was 39,129.91 thousand won, total household asset was 299,118.42 thousand won, and total debt was 17,906.91 thousand won. The household total asset and total deb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household income for the two groups. Second,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or the life satisfaction components two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 Ⅰ, economic status and activity satisfaction, and factor Ⅱ,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average score for each factor was 3.23 and 3.44 out of 5, appears as a normal level.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s with employed baby boomers ha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an non-employ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Third, path analyses for life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employed in the household,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total debt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minor differences on coefficients for each variable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 groups. This study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baby boomer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uture policy and research in terms of work and life satisfaction for baby boomer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

        한상근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9 No.-

        I analyzed the change of job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from the generational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co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The analytical data of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 every four years since 1998. For generation comparis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ork consciousness of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06,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work consciousness between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18. Second, through the longitudinal analysis, changes i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current baby boom generation 12 years ago were analyzed,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he eco generation in 2006 and the eco generation in 2018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more than eco generations, and recent eco generations value work more than ever. The eco generation valued leisure, schooling and ability development more than the baby boomers in their lives, and the baby boomers valued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job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o-generation, and changed more negatively over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over the echo generation, and the recent echo generation valued the importance of work higher than in the past. Eco-generation values leisure life, study and ability development over baby boomers, while baby boomers value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ho generation, and more negatively changed over time.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직업의식 변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1998년 이후 4년 마다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세대별 비교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횡단분석을 통해 2006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직업의식을 비교하고, 2018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종단분석을 통해 12년 전 베이비붐 세대와 현재의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를 파악하고, 2006년 에코 세대와 2018년 에코 세대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일관되게 일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으며, 최근의 에코 세대는 과거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에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여가생활, 학업 및 능력개발을 삶에서 중요시하였으며, 베이비붐 세대는 12년 전보다 여가생활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베이비부머의 자기 평가는 에코 세대의 자기 평가보다 낮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보다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between Married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김미령(Kim Meer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1차와 4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및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 차이를 비교한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파악을 위하여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나 부부관계 등 청소년기의 부모관련 변인이 사용되었고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적 접근으로 현재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가족패널 4차 년도에 1955년에서 1963년도 생까지인 베이비붐 세대와 4차 년도에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1979년도부터 1992년도 생) 까지가 모두 포함되었다. 이중 연구대상은 배우자관련 변인으로 인하여 두 세대 중 결혼한 자들 만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베이비붐 세대 1,118명이며 에코 세대 328명이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의 영향 파악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결혼관 및 부부역할인식의 차이검증을 위하여는 t-test와 카이자승검증이 사용되었다.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이 세대차이인지 연령차이인지의 검증을 위해서는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공분산분석)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부모의 부부관계, 자신들의 부부관계, 결혼만족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낮았으나 교육, 직업,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가사분담만족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의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은 것은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전통적 결혼관에 영향을 미쳐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결혼관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부관계가 좋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 모두 전통적 결혼관은 낮았는데 그만큼 양성평등적인 결혼관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가족관련 가치관에서 생태체계론적 접근의 미시체계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 between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using the first and the fourth wav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s a theoretical model, social learning theory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Additionally, ecological system theory was used to check whether spouse relation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The target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eco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79 and 1992 in the fourth wave of the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ince this study uses spouse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was limited to only married persons.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118 for baby boomers and 328 for eco boomers. For data analysis t-test, χ2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lso, ANCOVA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were due to generation or 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household chores were higher for eco boomers than baby boomers. On the other hand, spouse rel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for baby boomers. Both generations’ parent relations affected traditional marriage values, which supports the social learning theory. Also, when a woman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spouse, it reduces the traditional marriage value; this supports the micro-system of ecological system theory.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김윤정(Kim, Yun-Jeong),강현정(Kang, Hyun-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유형 별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55년에서 63년에 태어난 남녀 베이비부버 1,11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8-10월에 성별과 지역에 따른 할당표본 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났다. 36.8%가 속한 소극적 사회참여형 은 소득활동이나 시민단체활동은 전혀 하지 않고 종교활동이나 가정내 활동을 하는 경우는 소수가 포함되었다. 주로 여성이 많고 후기베이비부머가 많고, 학력수준이나 가정소득이 다른 군집에 비해 낮으며 삶의 만족도 중간정도이다. 둘째. 33.8%가 속한 활동적 사회참여형은 소득활동을 포함하여 모든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이다. 여성이 많고 후기베이 비부머가 많다는 점은 소극적 사회참여형과 유사하나 학력이나 가정 내 월평균 소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다른 군집 에 비해서 가장 높다. 셋째, 29.4%가 속한 경제활동 중심형은 소득활동에는 참여하지만 문화활동, 시민단체활동, 교육 활동, 혼자 시간보내기 등의 사회활동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전기와 후기베이비부머의 분포나 학력의 분포, 가정내 월 소득은 다른 군집의 중간 수준이지만, 다른 군집과는 달리 남성이 많고 삶의 만족도 수준은 가장 낮다. 본 연구결과 를 토대로 유형별로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참여와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y social activity type in baby boomers. Sampling 1,115 baby boomers, gender and region were as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1.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typology of social activity in baby boomers includes 3 groups. The passive social-participation type is the cluster to which 36.8% of the baby boomers belong. They do not join income activity or civic-group activity at all. A case of doing religious activity or family activity includes a minority. There are primarily lots of women and posteriori baby boomers. Academic background level or household income is lower compared to other clusters. The life satisfaction level is moderate. Second, the active social-participation type is the cluster to which 33.8% of the baby boomers belong. They are positive in all the social activities including income activity. What there are lots of women and posteriori baby boomers is similar to the passive social-participation type. However, the academic background or the averagely monthly household income i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clusters. Eve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is the highest. Third, the economic activity orientation type is the cluster to which 29.4% of the baby boomers belong. They participate in income activity, but don't participate in civic-group activity, education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such as spending time alone. Distribution of priori-and-posteriori baby boomers, distribution of academic background, or monthly household income is moderate level of other clusters. However, unlike other clusters, there are many me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is the lowest.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are suggested ways to improve in life satisfaction by social activity type in baby boomers.

      • KCI등재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4

        급속한 고령사회로의 진행과 이로 인해 예측되는 다양한 사회적 부담은 베이비부머에 대 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하지만 베이비부머의 특징을 세대 간 비교를 통해서 고찰한 실 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삶의 만족도 및 관련 변수들에 대한 세대 간 비교를 통 해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석한 18세 이상 성인 14,850명으로, 베이비붐 세대(1차년도 기준 43-51세) 2,269명과 비 교집단으로 베이비붐 이후세대(1차년도 18-42세) 6,044명 및 베이비붐 이전세대(1차년도 기 준 52세 이상) 6,537명으로 구성된다. 연구방법은 삶의 만족도 및 관련변수들이 세대간(이 후세대-베이비붐세대-이전세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카이검증 및 F-검증을 통한 이항분 석과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삶의 만족도의 세대 간 차이를 보는 구조방정식을 이 용한 다항분석을 사용하였다. 카이검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성별, 질병유무에서는 베이비 붐 이후세대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고, 수급여부 및 장애유무에서는 베이비붐 이전세대와 유 사한 분포를 보였다. F-검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교육, 소득, 가족관계, 건강상태, 외래서 비스 이용 및 입원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베이비붐 이후세대와 베이비붐 이전세대의 중간 정도의 평균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은 세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삶의 만족도의 세대 간 비교 결과는 베이비 붐 세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어 연령과 만족도의 관계가 U-형태이고, 베이비붐 세대의 상대적 행복도가 가장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삶의 만족도와 예측요인의 관계에 대한 다집단분석 결과는 베이비붐 세대가 베이비붐 이전세대와 유사한 부분이 많고 베이비붐 이후세대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 및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Baby boomers became the center of our attention due to the rapidly aging society and social burdens accompanied by the rapid aging. Few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through several generational comparisons. Data include 14,850 adults aged 18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specifically, 2,269 baby boomers, 6,044 younger people, and 6,537 older peopl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both bivariate(e.g., Chi-test and F-test) and multi-variate analyses(e.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distributions of gender, chronic illnesses, public assistance, and disability. The results of F-test also showed that baby boo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education, income, family relations, subjective health, and medical service uses. But they did not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services.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the levels of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life satisfaction is U-shaped and that the happiness levels of baby boomers may be the lowest among the three generations. Multi-group SEM revealed that many life satisfaction predictors of baby boomers differ from those of other gener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베이비부머를 위한 경제교육 방향 탐색

        최영준 ( Young Joon Choi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1

        Recently, the interests and problems about Baby-Boomer from 1955 to 1963 ar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of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7,120,000 Baby-Boomers live in Korea. By considering the practical typ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conomic education for Baby-Boomers, the researcher tried to search for the most effective economic educational strategies for Baby-Boomer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prove that Baby-Boomers has neglected the retired life and the government has overlooked the education and the employment polices for Baby-Boomers after the retirement and has not assigned the budget for Baby-Boomers. The major results find out as following, Baby-Boomers have not experienced the economic education but want to learn the economic education for the retired life. The legal supporting systems for the economic education for Baby-Boomers have existed, but hardly practiced. Therefore, the economic education has to be carried out by Baby-Boomers` needs and Baby-Boomers have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economic educ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connection and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that relate to the econom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xclusive department in the Korea Economic Education Association.

      •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안성조 ( Sung Jo Ahn ),이주현 ( Ju Hyun Lee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정책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퇴직 3년 이내의 베이비붐세대이다. 한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4월 23일부터 5월 31일까지 39일간 대면접촉, 이메일, 팩스 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00부를 배부하였고 이중 유효조사부수는 391부이다.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빈도문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퇴직전 직장규모는 실무급 퇴직자가 임원급 퇴직자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퇴직전 경력은 임원급 퇴직자가 실무급 퇴직자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는 임원급과 실무급 공히 고문 등 외부계약직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원급 퇴직자는 퇴직후 재취업에서도 실무급에 비해 임원급 직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버이비붐세대 퇴직자의 희망고용형태는 임금 근로를 선호하였으나 희망근무형태는 계약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선호는 낮게 나타나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정책과 괴리를 보였다. 넷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재취업 희망보수는 퇴직전 직장의 보수보다 낮아도 수용성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취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이수의사는 높았으나 비용분담비율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tatus of retirees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and their perception on re-employment. For this, firstly, by reviewing the related policies and previous studie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ere studied and then the positive analysis on the topics follow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aby boomers who had been retired in less than 3 yea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n 391 people was conducted. The researched data was processed in cross-tabulation and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PSS 18.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size of workplace of baby boomer retirees before their retirement, case of retirees who worked for practical offices was bigger than that of who worked for management while work experience before retirement was longer in retirees from management. Second,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from both practical offices and management showed higher preference in external contracting jobs such as advisories and consultants. And especially for retirees from management wanted similar positions in re-employment compared to who retired from practical offices. Third, desired forms of employment for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ere higher in paid jobs but they preferred contracting ones for work service. However, they did not prefer part time jobs, showing gap with the government`s invigoration policies of part time jobs, recently. Fourth, desired income from re-employment of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as more acceptable even though it was lower their fanner income. And their intention to take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re-employment but for ratio of paying for the cost was lower.

      • KCI등재

        우울과 삶의 질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빈곤 베이비부머와 비빈곤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김지훈 ( Ji Hoon Kim ),강욱모 ( Wook Mo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if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depression among poor baby boomers and non-poor baby boomers under a time wave. The subjects were 1,493 baby boomers who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to seventh Korean Welfare Panel Studies.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AMOS 20.0 in order to conduct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cept of life satisfaction for poor baby boomers was lower than that of non-poor baby boomers, but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ascended more steeply. Second, the intercept of depression for poor baby boomers was higher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was lower than for non-poor baby boomers. However, the slope of depression descended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ascended more steeply. In brief, regarding poor baby boomers and non-poor baby boomers, especially the life satisfaction of poor baby boomers was affected by depression more seriously according to a time wave.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end by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making some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종단적 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세대간 비교분석

        김지훈,강길선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nel data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comparing baby boomers with before and after the baby boomer, and to deriv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e subjects were 1,407 baby boomers, 1,310 before the baby boomer, and 1,513 after the baby boomer who had steadily participat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Specifically, the 1st to 9th surveys (2006-2014), and their specific data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steadily improving in order of after the baby boomer, baby boomers, and before the baby boomer, the gap of quality of life has still been maintained among these generations. Second, health satisfaction was related positively to the quality of life, and both of social relation satisfac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related positively to the quality of lif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points to consider in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