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태,유근환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 No.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facing a transitional eclectic police system, is to provide self-responsibility for local security by providing localized and community-based security services that centralized national police organizations cannot pro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and the democracy of the decentr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harmoniz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perfect local autonomy and strengthening of autonomy.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and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police to strengthe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First, the introduction of self-government police system should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self-governing bodies to meet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neutralization of police, and people's control. Second, the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switch from the local police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local police and police box system.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idents, the autonomous police of the provinces and provinces should ensure the democraticity of the police so that the police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appropriate control by the residents are ensured so that they are not another national police. Finally, the autonomous police introduction policy, which is an axis of autonomous decentralized ecosystem, should not be suspended anymore, and the police system should be discovered and applie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police police level. 전환기적 절충형 경찰체제를 맞이하고 있는 자치경찰제는 중앙집권적 국가경찰조직이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맞춤형․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치안에 대한 자기책임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한 지방자치 실현과 자치분권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제의 효율성과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제의 민주성과 융화될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안(정부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선진국의 자치경찰제도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살펴 본 후,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 도입은 자치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치분권의 강화와 경찰의 중립화, 민중통제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치안서비스 전달체계가 국가경찰제의 지구대ㆍ파출소 체제의 지역경찰제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시․도의 자치경찰은 또 하나의 국가경찰이 되지 않도록 지역주민을 위한 경찰활동과 주민에 의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경찰의 민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치분권 생태계의 한 축인 자치경찰 도입 정책이 더 이상 유보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으며 현재의 국가경찰 치안수준을 유지하면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찰체계의 발굴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도 도입 방안 전면적 재검토 방향 제시

        김원중(Kim, Won-Ju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지방자치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주민의 복리를 실현하기 위하여는 지역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자치경찰제도는 지역의 치안을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자주적인 의사결정을 통하여 주민을 보호하는 제도이다. 지역의 안전을 지방자치단체가 자기의 책임으로 사무를 수행할 경우 지역의 치안은 확보될 수 있다. 지방자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었으며, 현 정부는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하여 그 안을 제시하였다. 정부가 제시한 자치경찰제도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시행하고 있는 자치경찰제도를 기반으로 하여 약간의 발전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자치경찰제도는 그 제도적 취지가 주민이 안전한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치경찰제도는 지역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헌법상에서 주어진 지방자치의 제도적 보장 또는 고유한 권리라는 입장에서 이를 해석하여야 한다. 헌법에 의해 주어진 지방자치단체에 보장된 권리는 자치사무에 대한 전권한성과 지방자치단체 보장 등이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에게 부여된 권리에 따라 자치경찰제도도 이에 부합되게 도입되어야 한다. 헌법에 의해 주어진 지방자치단체의 권리라는 관점에서 자치경찰제도 도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를 완성시키는 마지막 제도인 자치경찰제도는 지방자치의 제도적 취지에 부합되게 도입되어야 한다. 자치경찰제도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경찰사무에 대한 전권한성과 주민에게 균등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자치경찰제도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를 위해 자치경찰위원회에 대한 주민의 의사가 개입될 수 있도록 제도화 되어야 한다. 자치경찰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어 시행될 때 지방자치의 제도적 완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에 대한 정부가 도입하려는 방안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자치경찰제도 재설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그 제도안을 검토하였다. In order for local autonomy to be settled systematically and to realize the welfare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autonomous police system that can secure local safet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system where local governments protect themselves through voluntary decision making by themselves. Local security can be secured if local governments take care of local safety at their own risk Discuss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realize local autonomy continued, but the current government proposed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government-provided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said to be a slightly developed form based o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mplemen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meaningful in that its institutional purpose is to provide security services so that residents can live in a safe communit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interpret this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r inherent rights of local autonomy given in the Constitu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gion. The rights guaranteed to the local governments provided by the Constitution are the total authority on autonomous affairs and the guarantee of local governments. Depending on the rights granted to these local government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ccordingly.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in terms of the rights of local governments given by the Constitutio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the last system to complete local autonomy, should b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local autonomy. In order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be settled proper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full security services to the residents by establishing it in full authority over police affairs and in all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residents intentions to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can intervene. Whe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proper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stitutional completion of local government can be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proposed system from the stand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a review of the government s plans to introduce it.

      • KCI등재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장민규,류준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tails such as personnel, organization, political neutrality, division of duties, and finances within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1,227 national police officers nationwide to find out about the shortcomings and advantage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pros and c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investig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turnover among the operating types of the police system. SPSS 18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and analysis of the basic statistics. The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those who are more aware of the shortcoming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the labor cos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recognize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oppose it. Women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n men, and the older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while, when the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ose who recognized more about the shortcomings of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ho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labor costs for autonomous police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higher recognition of interaction fairness and procedural justice, the more likely it would not be to turn away. The higher the level of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more likely they would not turn to autonomous police,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wo policy for police. Firs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f there is no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represen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econ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 active persuasion process for officer is essential.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치 경찰 제도의 장점·단점, 조직공정성과 몰입, 자치경찰제 안에 대한 찬·반 의견, 이직 의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본적인 통계 산출 및 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 분석,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할수록 자치 경찰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경찰제도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자치경찰제도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치 경찰로의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는,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의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규범·정서적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치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치경찰로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2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이 나타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검토와 법률적·제도적 개선방안

        이정기,이형민 한국법학회 2023 법학연구 Vol.92 No.-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the police system changed from national police to dualization into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In the era of localization, autonomous police are a system that can meet the needs of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tailored to local conditions and enhance the security system in terms of working with residents. The national police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unified across the country and realizing centralized power, such as responding to violent crimes. However, it lacks responsiveness to local security needs and makes it difficult to realize various values of police administration, such as democracy, decentralization, and neutralit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system that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and confirms that sovereignty over security lies with residents by performing police functions to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additio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said to be a resident-close police system that responds to the will of residents by dividing police functions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autonomy system can be completed, above all, with the introduction of an autonomous police system along with autonomy in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firefighting. In relation to police reform,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set as a decentralization task for government reform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local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olice system suited to our circumstances, and is the part that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need most. This is the autonomous police.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sought to aid understanding by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ts progress so far, and six best practices in each region across the country over the two years since its implementation. In addition, issues that are likely to be discussed after implementation include strengthening the appointment authority of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mplementing a practical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district police and police stations, separately enacting the 'Local Autonomy Police Act' to introduce a dual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revising the 'Local Autonomy Act'. We summarize six points, including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autonomous police work, maintaining and increasing the current number of police officers dispatched by city/provinci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and secur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pecial account',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m. As a result, we hope to see a stabl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e future.

      • 제주자치경찰제의 변화와 박근혜 정부 자치경찰제의 전망

        신현기 한국자치경찰학회 2015 자치경찰연구 Vol.8 No.1

        2015년 10월 21일은 우리나라 국가경찰이 창설된지 70주년을 맞는 날이다.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유일하게 시행된 자치경찰제는 우리 경찰사에 큰 획을 긋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비록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국가경 찰은 그대로 두고 도지사가 별도로 자치경찰공무원을 모집해 봉급과 연금을 지 급하는 방식이지만 그 도입은 엄청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최초 38명의 국가 경찰을 이관 받아 출범한 제주자치경찰제는 2015년 2월 기준 134명(추가로 중 국어 분야 9명 특채)으로 증가하는 발전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자치경찰제는 본론에서 보는바와 같이 시작은 미미했으나 그 조직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 며 예산의 경우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자치경찰공무원들의 권한에 있어서도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승진과 계급 및 예산분야에서도 많은 확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지사와 제주지방경찰청장 간에 업무협 약에 따라 극히 제한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비슷한 모델을 운 영하고 있는 프랑스, 스페인, 이태리의 자치경찰제보다 훤씬 더 큰 권한을 가지 고 넓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특징도 보여준다. 제주자치경찰제는 이명박 정부를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전국에 도입하려는 자치경찰제 모 델에 있어서 중요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올 2015년은 1991년 우리나라에 지방자치제가 도입된지 25년이 되는 해다. 지방자치 시대 를 맞이한지 25년이 되었고 자치경찰의 권한 면에서도 전면적으로 자치경찰제 를 도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보여지는 만큼 지방이 잘할 수 있는 치안분야만이 라도 지방으로 넘겨주어야 한다는 시각이 학계나 박근혜 대통령의 시각을 통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가경찰에서도 100% 국가경찰제로 운용해야만 한다는 시각에서 이제는 부분적이나마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 는 시각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자치경찰의 권한 확대변화와 박근혜 정 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해 분석했다. October 21, 2015 is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s National Police Agenc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mplemented on July 1, 2006 only in Jeju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which makes a stroke in the history of Korea national police. Although this system is operated in a way that the governor of Jeju recruits autonomous police officers and pay their salaries and pensions independently from the national police, whereas the national police is still maintained, its introduction had a great implication.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began with 38 police officers transferred from national police agency showed development with increased number of officers to 138 as of February, 2015 (including special recruitment of additional 9 officers in Chinese field). The beginning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was humble as discussed in the text, the organization continues to expand and its budget also increases year to year. The authorities of autonomous police officers increase gradually, and there are many changes and expansion in promotion, class and budget areas. Although they perform a very limited range of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MOU between Jeju governor and Jeju Police Agency Commissioner, they have much greater authorities than those in France, Spain and Italy which also operate similar model as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is expected to be a benchmarking target in autonomous police system model which Park Administration actively tries to introduce in a nation-wide scale as well as Lee Administration. Year 2015 is 25th anniversary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hich was introduced in 1991. As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s 25 years old and it is considered to introduce full-scale autonomous police system difficult in terms of the authorities of autonomous police, the academic opinion that at least public order that local self-government may do better than central government shall b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increasingly holds the water in academics and through the perspective of president Park. With respect to national police, the opinion begins shift from the one that it has to be operated 100% by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one that the study on autonomous police system is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ve changes in authorities of Jeju autonomous police and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by Park Administration.

      • KCI등재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쟁점과 과제

        조성규(Cho, Sung-Kyu)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2

        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는 행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자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자치경찰제도는 지방자치의 형식적이고 제도적인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한 이유에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 실시 이후로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빈번하였고, 이에 따른 법제화의 시도 역시 끊임없이 있었으나, 그때마다 여러 가지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번번이 좌절되었다가, 2020. 12. 22. 경찰법의 전부개정을 통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자치경찰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의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는 전형적인 공간적 요소로서 지역과의 관련성을 가지는 사무이며, 특히 지역에서의 치안 및 질서 유지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른 행정작용, 가령 복리사무의 수행을 위한 당연한 전제인 점에서 자치경찰사무는 규범적으로 볼 때 지역적 사무로서 자치사무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자치경찰제도에 대해서는 지방자치와 동일하게 소위 전권한성 및 자기책임성의 보장을 통한 자치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규범적 요청이다. 그럼에도 현행법상 도입된 자치경찰제는 규범적인 이념형 자치경찰제도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여전히 국가경찰조직을 전제로 단지 자치경찰사무만을 수행하는 형태로서 경찰권의 ‘분산’일 뿐 ‘분권’이라고 하기는 어려우며, 한편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권한과 감독도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시·도자치경찰위원회에 있는 등 자치경찰제도를 통한 지방자치의 본질과 이념의 구현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경찰작용은 일반적 행정작용과 다른 특성을 갖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오랜 국가경찰의 역사적 경험 및 현재의 열악한 지방재정의 현실 등을 통해 볼 때,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자치경찰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가져올 혼란과 문제점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그러한 측면에서 현행법제상 도입된 자치경찰제는 이상적 자치경찰제의 도입을 위한 과도기적인 변형적 형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열악한 현실에서 자치경찰제를 도입하기 위한 고육지책의 결과물로서,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의 노력이라고 본다면, 향후 자치경찰제도의 운용에 있어 현행법제 하에서 자치경찰제의 이념적 실현을 위한 한국형 자치경찰로서의 제도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현재의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러한 방향성은 당연히 지방자치의 본질적 이념인 주민의 참여를 최대한 보장하는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주민의 치안수요에 최대한 부응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포괄적 위임의 법리를 통해 조례제정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등 지방자치의 규범적 원리가 최대한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s the perfunctory and institutional comple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because maintaining order in society is the most basic premise for administration to be efficient. For this reason,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ve been frequent since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attempts to legislate have also existed constantly. Nevertheless, legislation was repeatedly thwarted for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finally, by passing the National Assembly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on December 22, 2020,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The maintenance of security and order in the district of a local government is a typical spatial element, which is related to the area, and therefore, the local police affairs are local affairs and should therefore be regarded as autonomous affairs in the eyes of local laws. Therefore, it is a natural normative request that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so-called guarantee of full authority and self-responsibility, just like local autonomy. Nevertheles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under the current law is far from the normative ideologi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because it is only in the form of affairs that local police affairs is carried out through still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it is only a distribution of the police authority, and it is difficult to call it autonomous.“ However, it is true that police ac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administrative action, and also the poor reality of local autonomy in Korea is inappropriate for the introduction of radical and ideal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at respec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should be seen as a transitional variant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 which is a process for the introduction of an ide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fter all, i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second-best effort due to consideration of the poor reality of local autonomy, the important legal task ahead is to strive for institutional settlement as a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he goal should be to realize the ideology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the current incomplet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normative direction is, of course,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essential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to meet the needs of residents security as much as possible from a democratic point of view.

      • KCI등재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경찰공무원 등 전문가 집단의 인식태도와 정책적 함의

        이상훈,남재성 한국테러학회 2023 한국테러학회보 Vol.16 No.2

        In order for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tonomous police system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closely analyze the operation details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derive various operational issues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 Jeju Autonomous Police Commission and Jeju Autonomous Police officials, the most central operator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empirically analyzed to find the operation status, problems, and rational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rvey subjects have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Committee, followed by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On the contrary, it was also found that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evaluated the most negatively, so there were also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In particular, the average value is only about 30 point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o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and operation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n addition, since it appears to be very negatively aware of the performance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nd the Autonomous Police, intensive efforts to improve these problems should be made.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자치경찰제 시행 초기 단계에서의 운영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제도의 긍정적 성과는 물론 다양한 운영상 쟁점과 한계를 도출하여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가장 중심적인 운영 주체인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위원회와 제주자치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현행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인식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한 합리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위원회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형 자치경찰제,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운영 및 관리,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분야별 성과에 대한 순으로 긍정적 인식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반대로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일반적 성과에 대해서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나고 있어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성과, 운영 및 관리 등의 부문에서는 평균값이 약 30점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서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위원회 차원의 전반적인 제도 및 운영상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성과와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중점적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제1기 자치경찰위원회 운영 평가 및 법제도적 개선방향에 대한 小考

        조병노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法學論叢 Vol.31 No.1

        On January 1, 2021,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local autonomy was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ecurity following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In terms of decentraliza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essential purpose of local autonomy would be realized by providing customized policing servi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will of the residents, and the democracy, decentralization and resident orientation of police activities would be strengthened. In the second half of 2020, the unified autonomous police model bill was completely revised and enacted through a sudden policy change in the dualized autonomous police model, which was previously discussed, and the institutional basis was established with the leading rol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the situation of lack of preparation period. In the meantime, the term of the first autonomous police commissioners, who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expired and is now preparing for the formation of a new second autonomous police committee. At this poin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s well as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autonomous police committee to clar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and to present concret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In organizing this paper, I basically referred to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publication data, research papers and media report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municip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nd to find out the effectiv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egal system, I also listened to the vivid opin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direct interviews with som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members and police related NGOs such as autonomous crime prevention group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an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agencies has worked closely in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by securing the linkage between local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dministration centered on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in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Various policing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 reflect the will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police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policing services suitable for local specificity. The responsibility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for local security has been increased by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nd the budget for projects needed to carry out local police affairs has also been increased. However, despite many developments and achievements, there has been a constant need to supplement the essenti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low awar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the promotion of mutual cooperation with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and the national police. More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i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dualization model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the financial burden of the state are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secur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allocation of the national budget. It is hoped that the police system development committee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will make systematic and careful decisions based on national consensus and careful financial analysis and diagnosis so that the total amount of national security will not be damaged in the rapidly changing domestic and overseas security environment. Relatively simple issues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agencies such as the city, provincial council, autonomous police committe...

      • KCI등재후보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태(Kim, Yong Tae),유근환(Yoo, Keun Hwa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 No.

        전환기적 절충형 경찰체제를 맞이하고 있는 자치경찰제는 중앙집권적 국가경찰조직이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맞춤형·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치안에 대한 자기책임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한 지방자치 실현과 자치분권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제의 효율성과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제의 민주성과 융화될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안(정부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선진국의 자치경찰제도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살펴 본 후,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 도입은 자치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치분권의 강화와 경찰의 중립화, 민중통제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치안서비스 전달체계가 국가경찰제의 지구대ㆍ파출소 체제의 지역경찰제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시·도의 자치경찰은 또 하나의 국가경찰이 되지 않도록 지역주민을 위한 경찰활동과 주민에 의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경찰의 민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치분권 생태계의 한 축인 자치경찰 도입 정책이 더 이상 유보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으며 현재의 국가경찰 치안수준을 유지하면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찰체계의 발굴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facing a transitional eclectic police system, is to provide self-responsibility for local security by providing localized and community-based security services that centralized national police organizations cannot pro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and the democracy of the decentr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harmoniz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perfect local autonomy and strengthening of autonomy.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and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police to strengthe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First, the introduction of self-government police system should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self-governing bodies to meet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neutralization of police, and people s control. Second, the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switch from the local police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local police and police box system.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idents, the autonomous police of the provinces and provinces should ensure the democraticity of the police so that the police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appropriate control by the residents are ensured so that they are not another national police. Finally, the autonomous police introduction policy, which is an axis of autonomous decentralized ecosystem, should not be suspended anymore, and the police system should be discovered and applie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police police level.

      • KCI등재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이상훈(Sang Hun Lee),남재성(Jae Sung Na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의 선도적 자치단체라 할 수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제 운영성과와 한계점들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일원적 자치경찰제를 개선하여 실질적인 이원화 자치경찰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최상의 자치경찰제 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인식태도를 조사하여 그동안 시행된 제주형 자치경찰제를 평가하고 도민의 안전과 치안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구현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지도는 타 지역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자치경찰제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사회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착된 것으로 평가되며, 현행 제주자치경찰제의 기대효과와 관련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교통행정과의 교통경찰사무 연계협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교통분야 활동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제주자치경찰단의 어린이 통학로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이 어린이 교통안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주자치경찰의 중점 추진 사무분야와 중요도에 있어서는 교통사고 발생요인의 예방활동 증대를 가장 중요한 사무분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므로 그동안 가시적 성과를 보인 교통 분야의 활동을 더욱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제주자치경찰제에 대한 도민의 높은 인식태도와 참여의지에 비해 정책적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경로에 대한 인지여부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고 있어서 제주도민의 인식도 제고와 참여확대를 위한 홍보 활성화와 제도적 장치의 확대가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제주도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제주자치경찰제 발전을 위한 기본원칙으로는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향후 제주자치경찰제는 중앙정부와의 적절한 견제와 균형속에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요구와 치안수요에 부응하는 독자적인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모델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z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 leading autonomous police system in South Korea, and drawing up measures to implement a practical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very important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est autonomous police system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a survey of Jeju residents' awareness of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t has been implemented so far and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improve the safety and security services of Jeju-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eju residents' awarenes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regional studies, so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relatively stable in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Jeju Municipal Police Agency's project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commuting routes contributed to children's traffic safety. As it is analyzed that the Jeju Autonomous Police's focus and importance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office area.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ional device and path to express policy opinions are the lowest compared to the high awareness and willingness of the residents of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o it is urgently necessary to promote public relations and expand institutional devices to raise awareness and participate. In addition, ensuring political neutrality is the highest basic princip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recognized by Jeju residents, so in the futur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establish an independent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model to meet the needs and security need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