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사용한 트위터와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홍서호,차희원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is the key factor of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To fulfill this purpose, survey was conducted by Twitter and Facebook users.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there was critical difference between Twitter and Facebook factors that affec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Meanwhile, based on online social capital form which was figured out at each Twitter and Facebook appli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also wanted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of online social capital on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As a result, Twitter and Facebook both have significant effect of bonding social capital. The findings also show the regulating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while social media use affect social media application. Thus, it is critical that considering social media users’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patterns as well as the key factor―online social capital―to preven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As the result, this study insists that future studies have to consider these variables and provides solution of PR campaign of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연구된 소셜 미디어 중독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만 20세부터 만 29세의 트위터 이용자 156명과 페이스북 이용자 15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용과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독 사이에 온라인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한편, 개인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부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소셜 미디어 이용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연구를 통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비교함으로써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중독 예방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 특성과 디바이드에 관한 연구

        김미경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user’ and ‘the smart media divid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dia technological trait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media literacy policy which protects inequality from ‘media divide’. As the result of study, smart media divide is the gap which comes from use and application of smart media. Smart users are characterized as customized, participated, connected and expanded type. Smart media as a personal media and multi functional media needs to be focused on the aspects of ‘using experience’ and ‘use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se aspects are caused of smart media divide between personal and personal, and group and group.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practical use of ‘App’ by generation acknowledge and using experience of ‘smart media’ and the ‘application divide’ and ‘multi divide’ between ‘limited user’ and ‘expanded user’.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mart media literacy’ such as smart opportunity index, smart media literacy index, smart privacy protection, SNS literacy, application divide literacy for minor users.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의 특성과 디바이드 수준을 검토하고 디바이드 수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격차가 이용과 활용면에 적용되는 격차이며 이용자는 스마트 미디어 특징에 적용하여 맞춤형, 참여형, 연결형, 확장형으로 규정한다. 또한 스마트 미디어가 개별 미디어이며 다기능적인 미디어인 점을 감안하면 이용자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이용경험과 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이용 경험이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기하고 제한적 이용자와 확장적 이용자 집단 간의 활용격차 검토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들 내부에서의 다층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수용자의 각 특징과 격차의 발생 수준 및 대응 방안에 대해서 제시한다. 구체적인 정책으로 스마트 기회 지수 개발,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스마트 프라이버시 보호, SNS 리터러시, 마이너 이용자 중심의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정책 등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불평등 극복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연구 동향 분석

        이보아,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미디어의 빠른 진화와 기술 확장에 따라 현대 사회 환경은 무엇보다 매체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올바른 사용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세상 인식 방식을 바꾸어 놓았고 사회 문화와 시공간에서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영향을 주었다. 미디어의 활용도가 높은 공공공간인 복합커뮤니티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발전된 양상을 선행연구된 문헌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미디어의 현재 상황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시대 변화와 발전에 따른 미디어에 활용 현황과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기본 자료를 토대로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 대상은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를 적용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동향을 분석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복합커뮤니티 공간과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개념을 파악한다. 또한 빅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복합커뮤니티 공간 미디어와 연관된 단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처리 분석을 통한 최근 1년 간 포털 사이트 네이버, 다음, 구글, 트위터, 유튜브 플랫폼의 사용 키워드를 분류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단어 활용 용어 빈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적용과 관련성이 낮거나 중복되는 자료는 제외한다. 각각 분류와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통한 수량 변화와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된 자료 내용의 유형과 성격의 분류를 통하여 동향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2000년 이후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연구된 논문을 176편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 2016년 이후에 활발한 연구가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관한 복합연구로 문헌연구와 사례, 조사연구 실증연구가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분야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통해 미디어 관련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신문방송학 분야 연구 빈도가 높았으며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는 건축도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관하여는 복합문화 공간과 커뮤니티 시설 공간의 연구가 많은 논문 편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 선호도 조사가 많은 빈도수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연구가 그 뒤를 이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와 관련하여 연구한 동향과 최근 1년간의 포털 사이트 5곳의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를 도출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공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디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오늘날 첨단시대에 맞추어 디지털미디어에 집중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이해가 중요하다.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수단인 미디어가 상황과 조건에 맞게 제공되며 환경과 인간이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evolution and technological expansion of media, the correct use of media is emphasized in the modern social environment above all els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which is a public space in which media is used, are examined through the studied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Through research that considers the usability of media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 complex community space, the current status and availability of media use in the media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are examined. Based on these basic data, we inte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media use of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subsequent research and prepare basic data. (Method) The subject of the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that applied media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definition of media and the concept of media in complex community spaces and complex community spaces are identified. In addition, through data pre-processing of portal sites on complex community space media based on big data, the current status is identified through keyword analysis and derived results through data collection of Naver, Daum, Google, Twitter, and YouTube over the past year, and the trend of media use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s identified through platform data analysis of five portal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and flow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contents. (Results) As a result of looking at 176, an active study of the composite communication space was found that the activ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investigation method.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a lot of frequency of satisfaction and related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related to the phenomenon. (Conclusion)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by deriving keywords based on media-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since 2000 and big data from five portal sites over the past year. In research on the use of media in public spaces, there is a strong phenomenon tha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media is concentrated on digital media in line with today's high-tech era.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media. It is hoped that the media, which is the core means of communication,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that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d humans can smoothly interact through media will be conducted widely.

      • KCI등재후보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 특성과 디바이드에 대한 연구

        김미경(Kim, Mikyu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본연구는 스마트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이용자의 특성과 디바이드 수준을 검토하고 디바이드 수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미디어리터러시 정책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격차가 이용과 활용면에 적용되는 격차이며 이용자는 스마트 미디어 특징에 적용하여 맞춤형, 참여형, 연결형, 확장형으로 규정한다. 또한 스마트 미디어가 개별 미디어이며 다기능적인 미디어인 점을 감안하면 이용자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이용경험과 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이용 경험이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기하고 제한적 이용자와 확장적 이용자 집단 간의 활용격차 검 토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들 내부에서의 다층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수용자의 각 특징과 격차의 발생 수준 및 대응 방안에 대해서 제시한다. 구체적인 정책으로 스마트 기회 지수 개발,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개발, 스마트 프라이버시 보호, SNS 리터러시, 마이너 이용자 중심의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정책 등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불평등 극복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user’ and ‘the smart media divid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dia technological trait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media literacy policy which protects inequality from ‘media divide’. As the result of study, smart media divide is the gap which comes from use and application of smart media. Smart users are characterized as customized, participated, connected and expanded type. Smart media as a personal media and multi functional media needs to be focused on the aspects of ‘using experience’ and ‘use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se aspects are caused of smart media divide between personal and personal, and group and group.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practical use of ‘App’ by generation acknowledge and using experience of ‘smart media’ and the ‘application divide’ and ‘multi divide’ between ‘limited user’ and ‘expanded user’.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mart media literacy’ such as smart opportunity index, smart media literacy index, smart privacy protection, SNS literacy, application divide literacy for minor users.

      • 인포테인먼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김성훈(Kim, Sungho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3 No.-

        많은 스마트 미디어 디바이스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하여 스마트 미디어 시대로의 도래가 이루어 졌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양질의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 산업 또한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넘어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 산업이 필요한 시점에 오게 되었다. 따라서 스마트 미디어 디바이스의 가장 큰 특징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으로 사용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제공해주는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을 그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사용자가 인포테인먼트의 특징인 새롭고 흥미로운 경험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이용하게 되면,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며, 이는 문화콘텐츠의 충성도로 이어져 문화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엔’ 어플리케이션을 인포테인먼트 세부요소인 감각적 자극(비주얼 펀, 다이내믹 영상, 사운드), 인지적 재미(스토리텔링, 인터랙션, 이벤트), 경험적 흥미(유머, 게임, 놀이)의 3가지 요소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요인들은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각 요소를 고려한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구현이야 말로 문화 콘텐츠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겠다. The advent of Smart Media age is realized due to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ny Smart media devices. Various Smart devices gave great influence on environment that can use good quality contents beyond restriction on time and space. Thus, cultural content industry also is at the point that requires content industry utilizing Smart media over digital content industry. So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that uses application, the biggest feature of Smart media device, became necessary. This study deducted infotainment design that provides interests to users as the plan for effective activating of cultural content through application, the biggest feature of Smart media device, became necessary. This study deducted infotainment design that provides interests to uses as the plan for effective activating of cultural content through application. When user uses the content based on new and interesting experience, Immersion to content gets increased, leading to loyalty to cultural content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 application. Thus in this study ‘Gyeonggi Content Agency’s application was analyzed as infotainment’s detailed 3 elements of sensible stimulation(visual fun, dynamic video, sound), cognitive interest(storytelling, interaction, event). Through this the result that each element gives positive influence on cultural content activating plan has been drawn, and the realization of infotainment design that considered each element can become the plan to activate cultural content industry.

      • KCI등재

        채팅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성매매방지를 위한 법률적 규제방안

        이성대 한국형사정책학회 2019 刑事政策 Vol.31 No.1

        These days, access to cyber space has been greatly improved to have relation with practical use of cyber crime. Mobile device and its appli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Widely use chatting application and random chatting application are used to commit prostitution crime. This study investigated legal control of prevention of prostitution: The application was found to be a kind of applied software to be simple and to have less limitation. The feature had characteristics of mobile crime, and the study examined abuse of chatting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applications. And, the study investigated legal regulation of chatting application under current legal regulation. No regulation regulated smart phone application itself, and applications with pornographic information and crime were based on special laws. Current regulation on smart phone application had problems: 1) Difficult to regulate because of spacial limitation, 2) Technical limitation, 3) Legal problems. The study investigated ISP's obligation on supply of prostitution information overcoming current limitation, application production and expansion of admission of accomplice of prostitution for positive and strict punishment, assignment of juvenile harmful media, blocking of juvenile harmful media of smart devices and compensation of juvenile prostitution reporting. However, regulation on application, obligation of online service provider, punishment of application production and developer had legal problem and escape of regulation, and 'kid control application' and compensation for juvenile prostitution reporting were no more than supplementary means. Prostitution prevention could not be done because of laws and systems to be done secretly online and to control and evidence. Cyber secret investigation could solve the problems. 이 글은 채팅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성매매 방지를 위한 법률적 규제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그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어플리케이션의 의미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응용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기존의 컴퓨터단말기에서 이용되던 것 보다 간편하고 제약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모바일범죄의 특성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채팅어플의 악용가능성과 어플리케이션 규제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법제상 채팅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법률적 규제의 가능성에 대하여 개관하였다. 채팅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법률적 규제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법률들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현행 법제상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규제법규는 존재하지 않지만,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음란한 정보나 범죄를 조장하는 내용이 포함된 경우에는 개별·특별법에 근거한 규제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현행법제의 문제점도 알 수 있었는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현행법상의 규제는 ①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현실적인 규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② 기술적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 ③ 법리적 문제점 등을 내포하고 있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성매매정보의 유통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ISP)의 의무강화,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개발자에 대한 성매매공범 인정범위의 확대 등을 통한 적극적이고 엄격한 처벌, 적극적인 청소년유해매체물지정과 스마트기기에 청소년유해매체물 등의 차단수단제공, 청소년 성매매신고포상제도의 확대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대한 규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의무강화,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개발자의 처벌확대 등은 법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규제회피수단이 다양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차단수단의 제공과 청소년 성매매신고포상제도 등은 성매매방지를 위한 보조적 수단에 불과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결과적으로 성매매방지의 어려움이 처벌법규나 제도의 미비에 있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온라인 공간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성매매를 효율적으로 단속하고 입증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현실적 해결수단으로서 ‘사이버 함정수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유형별 인포테인먼트 적용 방안 연구

        박준우(Joon Woo Park),박정기(Jeong Kee K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확산으로 인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인간의 자유적 본능인 유희 추구로 인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흥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디어환경의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이해하고, 인포테인먼트 경험요소를 도출하여, 사용자 관점에서 효과적인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스마트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전문가 집단과의 자문회의를 통해 인포테인먼트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인포테인먼트 경험 요소를 도출해냈다. 그에 따라 분류된 실용적관점(커뮤니케이션, e-bbook, 오피스), 정보적 관점(생활정보, 금융, 뉴스)과 흥미적관점(동영상, 오락, 음악)의 어플리케이션 유형과 인포테인먼트 요소인 조형적 요인에서의 메타포, 비쥬얼펀, 레이아웃과 구조적 요인에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심리적 요인에서의 인터랙션을 통한 사례분석과 적합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활정보와 오락 유형에서 인포테인먼트의 적극적 반영과 같은, 유형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요소 적용 지수가 도출되었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내용은 어플리케이션 제작과 활용에 있어 각 유형에 따라 효과적으로 인포테인먼트가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어플리 케이션의 효과적 구현을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With expansion of Smart Media equipment the necessity of users` interest in application is on the rise due to various application service and peoples` seeking of amusement, human`s liberal instinct. So this Study intends to find infortainment applying plan for producing of effective application in user`s view, by understanding the type of application in Smart Media environment, and deducting infortainmentexperience factors. This Study grasped the Smart Media environment an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infortainment design through contempl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Thus the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infortainment through advisory meeting with experts group, and deducted infortainment experience factors. And progressed the case analysisand suitability analysis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application type of practical viewpoint(communication, e-book, office), informative viewpoint(lifestyle, finance, news) and interesting viewpoint(video, entertainment, music) and metaphor, visual fun in formative factors, layout and structural factors, interaction in psychological factors. As a result, the infortainment factors applying index was deducted upon types like infortainment`s positive reflection in type of lifestyle and entertainment and the result that it should be applied based on this was de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for effective realization of application based on thi,s as a plan that infortainment will be eff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each type in production and utilizing of application.

      • KCI등재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성 민 지,신 혜 진,이 문 정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아트 유아 미술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5세 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미술활동을 지원해주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디어아트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소개한 후, 미디어아트 활동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9주에 걸쳐 이루어진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가지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들은 처음에는 미디어아트의 신기함을 발견하였다가 점차 용이함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디어아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술 요소와 원리에 주목하고 탐색하며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유아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더 쉽게 표상하고 여러 번의 실패를 통해 더욱 창의적인 디자인을 생산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유아들이 미술작품에 대한 저마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언어로 공유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이 기존의 누리과정 미술교육에서 추구하는 목적에 맞게, 유아의 흥미와 창의적 표현, 예술적 소양을 증진시키는 유의미한 활동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responses and educational value to various types of media art activities. To this end, we selected and introduced a media art application linked to the curriculum that supports voluntary art activities for children in a 5-year-old class and then observed the children's reactions to media art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conducted over 9 weeks, four results were derived. First-born children first discovered the novelty of media art, but gradually began to take advantage of its ease of use. Second, they showed attention to,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art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media art applications. Third, children appeared to represent their ideas more easily and produced more creative designs through multiple failures. Fourth, it appeared that children shared their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artwork through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media art activities that promotes children's interest,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knowledge keeping in line with the purpose pursued i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art education.

      • KCI등재

        모바일 미디어 상의 브랜드 홍보에 관한 연구 : 아이폰 '앱스토어(App Store)'의 브랜디드 애플리케이션(Branded Application)을 중심으로

        조진경,황현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모바일 미디어는 이용자의 개인성, 이동성, 휴대성 등의 측면에서 퍼스널미디어로서의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과 통신의 융합미디어로써도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어, 모바일 미디어 특성을 이해하고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특성을 세분화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애플의 '아이폰'의 등장이후 사용 편이성이 개선되고 콘텐츠 이용 즉, '앱스토어'를 이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와 제품 간의 관계 형성 역할을 수행하는 브랜드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특히 쌍방형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그 위력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브랜드 파워 강화를 위한 모바일 미디어의 역할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브랜드 로열티 구축에서 마케팅 도구까지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긴밀한 관계 구축'을 강조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위한 최적의 위치이다. 브랜디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차별적 서비스는 독자적으로 매출액을 증대시키지는 못하더라도 해당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와 결합하여 고객 가치와 충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고객과의 연대성을 강화 해주는 도구로 고객의 즉각적 응답을 이끌어내어 별다른 데이터 제공 없이도 충분히 그것만으로도 유용한 마케팅 도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미디어의 이해, '앱스토어'를 활용한 브랜디드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파악하여 홍보용으로 제작된 브랜디드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앱스토어'를 활용한 브랜디드 애플리케이션은 제품 및 브랜드를 상기시키고 고객들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고객들의 변화 및 반응에 주시하며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감 등 오감을 자극하는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면, 사용자의 접점에 다가갈 수 있는 홍보방안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모바일 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 홍보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향후 모바일 미디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또는 유지해야 한다. Mobile media is widely spread by individual for leading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 this point, we are needed to figure it out how mobile media affects our life, especially about mobile characteristics. Recently Apple iPhone is used to promote products as the marketing method and makes to be close customer and brand by installing branded application of special product. On my study, there are some cas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branded application on 'App Store' and the understanding of mobile media. As the result, mobile media is useful to make a strong relationship for customers and become a method for marketing.

      • KCI등재

        Influences of Xeno-Free Media on Mesenchymal Stem Cell Expansion for Clinical Application

        Bui Hue Thi Hong,Nguyen Liem Thanh,Than Uyen Thi Trang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21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18 No.1

        Mesenchymal stem/stromal cells (MSCs) are multipotent somatic stem/progenitor cells that can be isolated from various tissues and have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This is due to MSCs showing great potential for incurable disease treatment, and most applications of MSCs involve tissue degeneration and treatment of immune- and inflammation-mediated diseases. Conventional MSC cultures contain fetal bovine serum (FBS), which is a common supplement for cell development but is also a risk factor for exposure to animal-derived pathogens. To avoid the risks resulting from the xenogeneic origin and animal-derived pathogens of FBS, xeno-free media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o satisfy MSC expansion demands for human clinical applications. This review summarized and provided an overview of xeno-free media that are currently used for MSC expansion. Additionally, we discussed the influences of different xeno-free media on MSC biology with particular regard to cell morphology, surface marker express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immunomodulation. The xeno-free media can be serum-free and xeno-free media or media supplemented with some human-originating substances, such as human serum, human platelet lysates, human umbilical cord serum/plasma, or human plasma-derived supplements for cell culture medium. These media have capacity to maintain a spindle-shaped morphology, the expression of typical surface markers, and the capacity of multipotent differentiation and immunomodulation of MSCs. Xeno-free media showed potential for safe use for human clinical treatment. However, the influences of these xeno-free media on MSCs are various and any xeno-free medium should be examined prior to being used for MSC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