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19세기 명·청대 박고문(博古紋)자기의 유행과 동아시아로의 영향

        신주혜 ( Shin¸ Ju-hye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4 No.-

        본 논문은 17~19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제작배경, 유형과 시기별 특징, 그리고 조선과 일본도자에 미친 영향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삼았다. 박고문자기는 고동기에 대한 완상 및 애호가 일종의 문인취미로서 확산되었던 명·청대 사회상을 반영한 대표적인 시각작품이다. 그 제작배경과 관련하여 당대 문헌사료들을 통해 박고취미가 성행했던 시대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7~19세기 자기 박고문에서 보이는 고기물 도상, 문방청완, 팔보 등 기타 길상소재 등의 구성요소로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유형별 자기 박고문의 편년자료와 양식을 통해 17~19세기 박고문자기의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7~19세기 자기 박고문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했으며, 이는 곧 시기별 박고문자기의 변천과 특징으로 이어졌다. 17세기 중후반, 경덕진 민요에서 문인취향이 적극 반영되어 나타난 박고문자기는 18세기 이후에는 官樣의 내수뿐 아니라 다양한 품종으로 유럽 수출자기로도 크게 성행하였다. 19세기에는 전반적으로 자기의 질이 쇠퇴되며, 민간 잡보를 비롯한 여러 길상적 문양요소로 이전보다 더욱 번잡해지는 구성으로 변모되었다. 한편 박고문자기는 같은 한자 문화권이었던 조선과 일본도자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전하는 작품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조선의 경우, 조선 후기 골동애완풍조 등 중국의 복고적 취향을 잇는 주요 매개체로 작용하였으며,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19세기 민화적 요소와 결합되어 자기의 문양으로 변용되었다. 일본은 조선과는 달리 17~18세기 유럽시장을 배경으로 한 수출자기에서의 수용과 변용이 이뤄졌으며, 일본식 미감이 가미된 일본 수출자기의 특색으로 자리하였다. 이처럼 조선과 일본 각국에서 중국 박고문자기를 수용하는 시기와 경로, 모방과 변용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점을 통해 동아시아 도자문화에서 갖는 박고문자기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Chinese ceramics featuring the 'Hundred Antiques (bogǔ) motif. A detailed analysis of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focuses on production background as well as changes in the types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his ceramic genre by period. Additionally,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how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of China influenced Joseon and Japanese ceramics from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refer to the Chinese wares produced visual representation of this aspect of scholarly interest once prevalent in Ming and Qing society. For the purposes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bogu ceramics of the seven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design are first categorized as iconography representing ancient objects, munbang cheongwan (文房淸玩 well-equipped scholar’s study), or auspicious signs according to subject matter.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and their overall composition, the bogǔesigns are then separated into four categories (I, II, III, IV). Through an examination of each group’s production period and style,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produced in the seven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originating in China affected the ceramics of Joseon and Japan, which were in the same spher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works, this thesis confirms a dynamic of influence between the ceramic industries of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case of Joseon, it served as a major medium for connecting China's predilection for ancient objects, such as the taste for bog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 the same context, it was transformed into its own pattern in combination with folklore ele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Unlike Joseon, Japan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the European market in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nd it became a characteristic of Japanese exporters with a Japanese aesthetic. As such, the fact that the timing and path of accepting the 'Hundred Antiques' ceramics in Joseon and Japan,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patterns are different suggests the meaning of significance in East Asian ceramic culture.

      • KCI등재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송희경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8 No.-

        조선 후기에는 문인들이 한양이나 그 근교에 마련한 정원이나 서재에서 향을 피우고 차를 마시면서 시문, 서화와 음악을 즐기고 서책, 분재, 수석 등을 감상하는 것이 크게 유행하였다. 이에 독서와 집필의 공간이었던 서재는 고동기물과 문방청완류를 수집, 보관하는 고동서화각이자 친한 벗과 축적된 지식을 공유하는 지적 공간이었다. 서재와 그 문화는 북송 시기 문인 사대부에 의해 정착되어 명물학(名物學)적 생활 패턴을 지향했던 명대에 계승되었고, 18세기 조선에 성행된 고동기물과 문방청완류의 수입, 전시, 품평 취미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서재 내부를 장식한 소도구들은 주인의 애틋한 벗으로 간주되어, 후기 지식인이 존경하는 고사(高士)로 의인화되었다. 또한 실용성과 우의성을 간직한 채 아회의 장소로 혹은 가거인(家居人)의 독락처(獨樂處)로 시각화되었다. 특히 고가의 고동기물, 문방청완류가 묘사된 지식인의 독락처는 인물이 배제된 채 내부 장식품만으로 연출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19세기 이후 유행하는 기명절지화나 책가도는 문인들의 고동기물 구매와 수요 충족의 대안이며, 호사 취미에 대한 과시 욕구의 한 단면이었다. 사랑채를 장식한 소도구는 문인이 추구한 아취의 표상이지만, 나아가 당시의 사치 풍조를 증명하는 도시 문화의 산물이자, 18세기 문인 사회에서 급속도로 확산된 박물학적 취향의 징후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그 시각화 과정을 통하여 18세기 이후 더욱 확산되는 문인문화의 한 단면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물을 분석하는 감식안의 전환과 다양화된 지식의 축적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A library in the Joseon dynasty was a study room composed mainly of SarangChae Korean traditional house used as study and parlor, which was known as a space for men, and at the same time a case for keeping personal collections such as antiques, paintings, and writings of aristocratic gentlemen. Libraries with these functions and their subsequent culture were established by them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passed on to Ming dynasty which pursued a taste for collecting rare and precious antiques and gave an influence to the tendency to import, exhibit, and value old vessels or objects made of copper and stationery items, which were very popular in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period. As such, little items of libraries collected based on advanc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considered to be a kind of highly attached companion by their owners and were personified as gosa (高士) who intelligent people of the time respected and were visualized as a space of Ahoi'-do’(Elegant assembly Paintings) with both practical and allegorical traits or sometimes as a solitary den of the gageoin 家居人 a recluse who is stuck in his house after quitting his high ranked office. The depiction of a solitary den of intelligent recluse reached to the exclusion of figures only including internal ornamental items along with a description of antiques and the stationeries of an old architecture. In addition, GiMyeongJeolJiHwa, 器皿折枝畵 a painting of a variety of vessels, flower branches, fruits, and others or ChaekGado 冊架圖 a still painting mainly of stationeries like books, ink, inkstones, brushes, etc. and common items used in a room like vases, kettles, clocks, etc , that appeared beginning inthe nineteenth century was an alternative to the purchase of antique items and a useful way to cover demands and at the same time a snapshot of exhibiting the widely-prevalent desire of luxurious taste. As such, the landscapes with libraries which were visualized with the help of collecting trends, widespread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play a role as proof that the status of libraries changed from an object for appreciation and appraisal as one of CheongWanRyu 淸玩類 valuable objects such as paintings, potted plants, and others which high ranked officials appreciated and enjoyed, including stationeries and antiques to that of intellectual exploration, thus being progressed to the study of antiques.

      • KCI등재

        Antiques Matters: Chinese Bronz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이자원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9 No.-

        Chang Sŭngŏp established the distinct genre of paintings featuring Chinese bronze vessels, inkstones, fruit, and auspicious flowers with the support of affluent patrons of the cultural elite.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antiqu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in the collection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rends in appreciating and collecting Chinese antiquities generate a new fashion of presenting such antiquities in late Chosŏn paintings. Chang Sŭngŏp particularly rendered certain types of bronzes, namely Xuande-type censers and ding vessels, in response to the aspirations of the newly-emerging chungin collectors in the nineteenth-century Korea. While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functioned as a means to disclose patrons’ cultural sophistication, they most likely served as surrogates for real collecting.

      • SCOPUSKCI등재

        Collecting Culture, Representing the Self: Chosŏn Portraits of Collectors of Chinese Antiquities

        ( Ja Won Le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1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bronzes in Chosŏn portraits to understand how a trend in collecting and appreciating Chinese bronzes impacted the artistic developments of the late Chosŏn Dynasty. Focusing on Portrait of Yun Tongsŏm and Portrait of Yi Haŭng, collectors are identified as a critical force in shaping aesthetic principles that promoted new styles of painting. By investigating possible pictorial sources, modified visual elements, and cultural transmission, it becomes apparent how collectors perceived Chinese bronzes as symbols of culture and how portraits of collectors of Chinese antiques reflect the enthusiasm for certain types of Chinese bronzes. Chosŏn Confucian scholars sought to portray themselves in a scholarly setting with antiques, as they accumulated and appreciated them as a way of expressing their veneration of the past, thereby enhancing their social prestige. While Yun Tongsŏm emphasizes his cultural identity as a scholar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Xuande-type censer, Yi Haŭng reinforces his authority through the rendition of the square cauldron for King Wen of the Zhou Dynasty. Portraits of collectors not only represented their desire for self-fashioning among the elite, they also functioned as a means of showcasing their knowledge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s part of their cultivation and high character.

      • KCI등재

        이태준 수필의 주제와 표현 특성 고찰

        오형엽(Oh, Hyung-yup)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이 글은 이태준의 수필을 제재 및 주제별로 분류하여 자연에 대한 사색, 일상에 대한 사색, 기행의 경험과 사유, 고완미(古翫美)와 동방의 정취, 소설 혹은 문학적 사유 등으로 대별하고,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표현상의 특성을 고찰한다. 자연의 대상을 제재로 사색을 표현한 이태준의 수필은 대체로 자연물들을 관찰하거나 경험하면서 그 아름다움, 크고 오래됨, 정화와 성스러움, 고절과 소박함, 생명력 등을 예찬하면서 작가 자신의 삶과 내면을 성찰하여 고요한 여백의 깊이 속으로 가라앉힌다. 일상의 삶과 사물을 제재로 사색을 표현한 이태준의 수필은 대체로 일상의 사소한 생활 속에서 오래 살고 싶은 소망, 죽음에 대한 태도, 외로움 및 무서움과의 대면, 이성간 우정에 대한 생각, 장인정신의 지향, 낚시에 대한 생각, 세태 비판, 자기반성 등을 소박하고 진솔하게 표현하면서 작가 자신의 삶의 일면을 관조하고 사색하는 내면적 기품을 보여준다. 기행의 경험과 사유를 표현한 이태준의 수필은 대체로 타지를 여행하거나 방문하면서 경험한 바를 사실에 입각하여 서술하거나 자신의 사유나 감정을 솔직하게 서술함으로써, 당대 사회적 현실에 대한 사유나 작가의 내면 의식을 직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고완품이나 동양적 완상품을 제재로 상고주의와 동방의 정취를 표현한 이태준의 수필은 대체로 옛사람들이 남긴 오래된 물건들에 대해 연모, 존경, 예찬, 숭상 등의 상심(嘗心)을 가지고 도일(度日), 무위, 허욕, 소장 등의 태도와 구별되는 덕윤(德潤)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의 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은 이태준의 상고주의가 단순한 과거 지향의 전통주의와는 구별되면서 현대성과의 길항이라는 특성을 내포한다는 점을 확인시킨다. 이태준의 상고주의는 한편으로 죽음과 고독이라는 인간의 실존적 심연의 차원과 맞닿아 있고, 다른 한편으로 현대성의 차원과 길항하는 특성도 가지고 있다. 소설 혹은 문학적 사유를 표현한 이태준의 수필은 대체로 좋은 소설 작품의 기준, 고전소설 및 신소설과 구별되는 현대소설의 특성과 자질, 현대소설 작법 및 자신의 창작 경험, 현대소설의 음미 방법, 고평하는 소설가 및 시인에 대한 인식과 평가 등을 직설적인 어법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수필들을 통해 우리는 작품의 미학적 완성도와 작가의 장인정신을 중시하는 동시에 동양적 예술세계 및 선비정신을 숭상하는 이태준의 소설관 혹은 문학관의 내밀한 면면들을 쉽고 친근하게 살펴볼 수 있다. This article classifies Lee Tae Joon"s essays into them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to five categories: speculation about nature, speculation about daily life, experience and reason of travel, reason for antiques, reason for novel or literary. An essay that expresses speculation about nature reflects on the artist"s own life and inner side while admiring the beauty of natural objects, big and old, cleansing and sanctity, suffering and simplicity, vitality. An essay that expresses speculation about daily life is based on a desire to live for a long time, an attitude toward death, a confrontation with loneliness and fear, an idea about friendship between two sexes, a craftsmanship orientation, thinking about fishing. An essay that expresses experiences and reasons of travel describes the travel experience or frankly describes one"s own feelings and feelings. An essay that expresses reason for antiques shows the attitudes of modern reinterpretation of antiques and the thoughts of wisdom, respect, praise, reverence for old objects. An essay that expresses reason for novel or literary are based on the criteria of good novels,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modern novels, contemporary novels and their own creative experiences, methods of enjoyment of modern novels, and evaluations of novelists and poe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17-18세기 유럽에 수출된 명·청대 박고문(博古紋)자기의 양상과 그 영향

        신주혜 한국미술사학회 2022 美術史學硏究 Vol.313 No.313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a particular design that appears on Chinese export porcelain produced for the European market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bogu design portrays bronze vessels or other ancient objects as the central component supplemented by auspicious subjects such as scholar's accoutrements(文房 淸玩) and the eight treasures(八寶). The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the design and the overall composition changed throughout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se chang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types and periods. Chinese bogu ceramics exported to Europe also had an effect on the ceramic production of its destination. The European reproduction of bogu ceramics took form in two ways. The first is a faithful imitation that strived to emulate the exact shape, design, and style of the Chinese ceramics. The second is a departure from the original as it incorporated elements of European taste. Most notably, the combination of 'bogu' elements with aspects of Chinoiserie and European still-life paintings, as seen during the transformation stage of Chinese bogu ceramics,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 that emerged as a new trend in European ceramics. 본 논문은 17-18세기 유럽에 수출된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양상을 살펴보고 수출자기로서의 특수성을조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박고문자기는 고동기 혹은 古器物 도상이 중심문양을 형성하고 시기에 따라 文房 淸玩, 八寶, 그리고 吉祥 등 다양한 소재가 조합된 도안의 자기를 말한다. 박고문자기는 17세기 중후반 고동기를 완상·애호하는 박고취미가 문인취향의 일환으로 유행하면서 출현하였다. 이후 이러한 박고취미가 상품경제의 발전과 확대에 힘입어 점차 사회 전반적으로 향유되면서, 청대에 이르면 황실을 비롯하여 상하계층을 막론하고 널리 성행하였다.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는 내수용으로도 제작되었지만, 특히 동시기 유럽과의활발했던 동서교류를 통해 유럽에 다량 수출되면서 점차 유럽 수출용 자기로서 특징을 보여주었다. 수출자기로서 박고문자기의 특징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유럽에 수출된 박고문자기가 애호될 수 있었던 요인을당시 유럽 내 열풍이었던 중국풍 시누아즈리(Chinoiseire)와 연계하여 고찰해 보았으며, 이어서 유럽 수출 박고문자기를 크게 3시기로 구분하여 양식적 특징 및 시기별 변천양상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가 유럽도자에 미친 영향을 모방과 변용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특히 변용단계에서 시누아즈리 양식과 결합되거나 유럽 정물화적 요인 등과 유사함을 보이는 점은 유럽도자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유럽에 수출된 박고문자기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유럽 수출자기로서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특수성과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 가회민화박물관 책거리 소장품의 유형과 성격

        김수진(Kim, Soo-jin)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본 연구에서는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책거리 27점의 유형을 분류하고 성격을 논의했다. 아울러 깊이 있게 연구해 볼만 한 세 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그 문화사적 의의를 조명했다. 이를 통해 첫 번째로 가회민화박물관에 초본과 완성작이 모두 전하는 ‘토끼 모형’ 도안이 있는 책거리에 주목하여 동일한 초본을 공유한 유물 15점을 포함하여 총 16점을 분석·비교함으로써 책거리 공방과 초본의 역할에 대해 조명했다. 두 번째로는 ‘소석’이라는 인장 도안이 남아 있는 흑백 책거리 유형을 발굴하여 이 유형의 도상적 특징에 대해 논의했다. 세 번째로는 ‘하사 박병훈’이라는 인장 도상이 남아 있는 기명절지도 형식의 책거리에 주목함으로써 책거리의 유행이 어떻게 기명절지도로 옮겨갔으며, 그 안에서 어떤 도상적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검토했다. 본 연구가 앞으로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책거리 연구에 대한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dentifies, classifies and discusses Chaekgeori painting collections in the Gahoe Minhwa Museum. For this, I conduct categorizing three groups of Chaekgeori of the Gahoe Minhwa Museum. The first group, which includes motifs of ‘rabbit sculpture’, shared the preparatory drawing (Ko. chobon) which served as models and samples. I analyze sixteen Chaekgeori cases with ‘rabbit sculptur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ections, based on similar style and the same template. In this group, final products’ quality or the level of workmanship shows discrepancies. The second group shared the partial preparatory drawing and included motive of seals written Soseok. I also excavated the other similar works, which were assumed to be produced with Gahoe case in the same workshop. The third group shows the artist’s name Pak Byonghun through a seal motif. This group shows a new trend of Chaekgeori by emphasizing on the motif ‘antiques and flowers’. With new motives, this group illustrates the Chaekgeori trend transmitted toward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Through these groupings based on analysis on workshops, templates and preparatory drawings, I hope this study would become a cornerstone in the study on Chaekgeori painting collections in the Gahoe Minhwa Museum.

      • KCI등재

        이태준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2010년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야나가와 요스케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Lee Tae-Jun’s research in the 2010s, focusing on the recently discovered data. In the 2010s, Lee Tae-Jun’s research entered a new phase with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Lee Tae-Jun and the discovery of materials. In particular, the materials related to Antiques highlighted the fact that Tae-Jun Lee’s traditionalism began in the early 1930s and had various relationships with collectors mainly in Seongbuk-dong. Based on these facts, this article showed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Tae-jun’s life in the 1930s, the ceramics collection activity, the Seongbuk-dong collector’s network, and the publisher Baekyangdang. 이 글은 최근 발굴된 자료를 중심으로 2010년대 이태준 연구의 성과와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010년대 이태준 연구는 이태준 전집 (소명출판, 2015) 출간과 자료 발굴을 계기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서화골동과 관련된 자료들은 이태준의 상고주의가 193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성북동을 중심으로 수집가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이 글은 1930년대 이태준의 삶을 도자기 수집 활동과 성북동 수집가 네트워크, 그리고 출판사 백양당과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안대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한국문화 Vol.60 No.-

        This essay explores the ways that various hobbies were enjoyed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Chosŏn Dynasty. Hobbies are not merely related to individual tastes; more importantly, they also demonstrate the contemporary cultural trends. While gaining and losing popularity under the influence of fashion and trends of consumption, various hobbies were reflected i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Escaping from the ascetic culture fostered by Neo-Confucianism where the pursuit of pleasure was deemed undesirable, appreciation of diverse kinds of tasteful hobbies was regarded as cultural qualification for the literati elite. Thus, attitudes towards hobbies were drastically changed. That is, hobbies were no longer regarded as an obstacle to fulfilling the duties of members of the ruling elite; on the contrary, it was considered that their duties would not be performed successfully without refined appreciation of hobbies. Hobbies were promoted by the consumer culture of the urban wealthy class who started to spend money on high-quality items, and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extravagant consumer culture of the late Ming China. The popularity of short essays contributed to spreading a positive viewpoint on consumption and hobbies. People were widely interested in traditional calligraphic works, paintings, antiques, and stationery items; in addition, they developed a new kind of hobbies, including gardening and keeping pets such as pigeons and goldfish. Especially, as seen from the popularity of collecting and appreciating unusual and beautiful rocks, quite a few hobbies gained considerable popularity in this period. The phenomenon of enjoying various hobbies provides a valuable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Chosŏ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