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일본의 ‘반지성주의’ 담론 분석

        남상욱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9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ssue of accepting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in Japan's discourse space in the mid-2010s, focusing on the magazines “Gendaisisho”and the book “Japanese Anti-intellectualism”.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in the current article: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modern Japanese society, what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exposed through the use of the term ‘Anti-intellectualism’and what are hidden at the same time? In Japan, ‘anti-intellectualism’emerged to present intellectual and moral depravity in the words and actions of politicians such as Shinzo Abe and Taro Aso as evidences of crisis in democracy. As Masahiro Noguchi pointed out, their words and actions are supported by the voluntary obedience of bureaucrats and politicians who want to live on the legitimacy of governance through elections to avoid certain conflicts.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ostensibly refers to the decline of intelligency of some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in support of them ; however, that represent an affirmation of state, and a desire to restore state’s normal functioning. In other words,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emerged as a term to reveal elements that posed a great threat to the continuation of ‘state’ in Japan.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served as an element to raise the question in people’s mind that ‘what is a state and what should it be?’ Finally,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 sometimes creates opposition to intellectual monopoly, but it ironically reveals that such monopoly has not been easy. The ‘Anti-intellectualism’ discourse is negative about the resistance to the monopoly of intellectuals' knowledge, in fact it ironically reveals a situation where monopolization of knowledge by intellectuals is not easy.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an confirm that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is not only a subject itself, but also an issue of the political system, and is an term that even reveals changes in members' attitudes toward the state and the ‘intellectual.’ 이 글에서는 2010년대 중반 일본의 담론 공간에서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의 수용의 문제를 잡지 『겐다이시소』와 단행본 『일본의 반지성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즉 이 글에서는 ‘반지성주의’라는 용어의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일본 사회와 정치 구조의 문제들은 무엇이며, 그와 동시에 무엇이 감춰지는지를 묻고자 한다. 일본의 ‘반지성주의’는 아베 신조나 아소 타로 같은 정치인의 언행 속에 보이는 지적, 도덕적 타락을 민주주의의 위기의 증거로서 제시하기 위해 출현했는데, 노구치가 지적하고 있듯이 그들의 이러한 언행은 다양한 가치관의 대립을 회피하기 위해 통치의 정당성을 선거를 통해 연명하고자 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관료들의 자발적인 복종에 의해 지탱된다. ‘반지성주의’ 담론은 겉으로는 일부 정치인과 그를 지지하는 일반대중의 ‘지’의 퇴락을 얘기하고 있지만, 실은 그 이면에 국가라는 존재에 대한 긍정과, 그것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에 대한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지속에 큰 위협이 되는 요소를 드러내기 위한 말로서 출현하여, 그것을 통해 ‘국가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로 사람들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지성주의’는 기득권 유지의 도구로서 전락한 ‘지’에 대한 실망감과 그곳으로부터 소외되었다고 하는 원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한편, ‘지’가 더 이상 일부에 독점되지 않게 된 상황을 드러내는 말이기도 하다. 요컨대 ‘반지성주의’ 담론은 일견 지식인들의 지의 독점에 대한 반발을 문제시하지만, 실은 그 이면에 지식인에 의한 지의 독점이 쉽지 않아진 상황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그것으로 호명되는 대상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것을 허용하는 정치 제도의 문제이며, 나아가 국가와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까지도 드러내는 시대적 용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계란머리에서 트럼피즘까지 - 미국의 반지성주의 연구 -

        김대중 ( Kim Dae-jo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본 논문은 미국의 지성사에서 나오는 다양한 반지성주의의 양태와 이에 대한 비판을 계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해 미국 내 반지성주의가 미국의 형성과정부터 나온 지성과 실용성의 대비, 종교와 과학의 대립, 지성과 반지성 이데올로기의 대립, 종교의 정치화와 정치의 종교화의 대립 등을 분석하려 한다. 이를 위해 1960년대에 출판되어 이 분야의 고전으로 알려진 호프스태터의 『미국인의 삶에서의 반지성주의』와 이 저작의 문제의식을 이어 트럼프 시대를 다룬 수잔 제이코비(Susan Jacoby)의 『반지성주의 시대』(The Age of American Unreason)을 이러한 분석의 기본 텍스트들로 이용하려 한다. 호프스태터는 대각성운동으로 시작된 반지성주의 문화가 어떻게 미국 사회 주류가 되었고 매카시즘과 더불어 성장했는지 분석한다. 호프스태터의 책이 60년대까지의 상황을 정리했다면 이후 나온 제이코비의 반지성주의에 대한 글은 현대 미국 정치에서의 반지성주의가 어떻게 트럼피즘과 반백신운동 등으로 표출되었는지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본 논문은 이 두 권의 내용을 비교할 뿐 아니라 이 책들이 나온 시대적 배경과 현재까지의 영향을 살핀다. This essay aims to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 from the early American history to the modern or postmodern America by mostly delving into two books: Richard Hofstadter’s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a masterpiece of American anti-intellectualism and Susan Jacoby’s The Age of American Unreason in a Culture of Lies, a recent book covering from 1960s to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American politics. Anti-intellectualism, especially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found a voice in various media. Hofstadter’s book contains historical analysis of anti-intellectualism. Hofstadter digs out various evidences from the early American era to the 1960s focusing on self-help, populist democracy, sneer at intellectuals in politics, general education, etc. Hofstadter’s work, though criticized for elitism and political-bias, truthfully describes MaCarthysm, New Awakening as religious fanaticism, etc as causes of anti-intellectualism. In turn, the essay analyzes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 from 1960s to the 2020 with help of Susan Jacoby’s thought-breaking work in which she argues that anti-intellectualism has been part of American culture from 1960s to now. Jacoby elucidates the history of anti-intellectualism in both right and left wing.

      • KCI등재

        왜 대중은 반지성주의에 매료되는가?: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반지성주의

        강준만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1

        Recently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is widely used, but it is very opaque to the great confusion. This essay proposes to use it both as a value-neutral concept applying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left or right and as a microscopic concept applying for specific words and actions. With those two premises, this essay defines anti-intellectualism as “mental condition or attitude that does not accept rational and reasonable communications” whose three elements are religious conviction, failure ro reflect, and hostile expression.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 social background of anti-intellectualism is egalitarianism, materialism, and intellectual’s self-alienation, and on the individual level the five cognitive biases cause and facilitate anti-intellectualism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five cognitive biases are 1) action bias, 2) availability bias, 3) confirmation bias, 4) negativity bias, 5) story bias. The quest for those cognitive biases not only illuminates that anti-intellectualism is formed by 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condition, but also explains why anti-intellectualism enjoys the public’s wide support. The reason is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those cognitive biases is shared by the audience. In that sense, anti-intellectualism can be a litmus paper test that reveals the society-wide quality of communication. 최근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이 개념의 정체는 매우 불투명해 적잖은 혼란을 낳고 있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를 이념의 좌우를 막론하고 적용하는 가치중립적 개념이자 특정 언행에 적용하는 미시적 개념으로 쓸 것을 제안한다. 그런 두가지 전제와 더불어 반지성주의를 지성의 유무나 정도가 아니라 지성의 작용방식을 기준으로 “이성적‧합리적 소통을 수용하지 않는 정신상태나 태도”로 정의하면서 그 3대 요소로 신앙적 확신, 성찰 불능, 적대적 표현을 제시한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의 사회적 배경으로 평등주의, 물질주의, 지성의 자기소외를 지적하는 동시에 개인의 차원에서 다섯가지의 인지적 편향이 소통의 과정에서 반지성주의를 유발하거나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그 다섯가지 인지적 편향은 1) 행동 편향, 2) 가용성 편향, 3) 확증 편향, 4) 부정성 편향, 5) 이야기 편향이다. 이런 인지적 편향에 대한 탐구는 반지성주의가 문화적 환경과 소통의 조건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혀줄 뿐만 아니라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이 편향들은 수용자들도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반지성주의는 사회 전반의 소통의 질을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民·官 그리고 知識人 주도의 반부패운동-중국 반부패소설의 주선율화, 통속화, 예술화를 중심으로-

        김창경(Kim ChangGyeong),안승웅(Ahn SuengWoong)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4

        본 논문은 중국의 부패문제를 문화사적인 입장에서 반부패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살 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반부패소설이 중국에서 흥성하게 된 원인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반부패에 대한 중국정부의 의지와 반부패소설의 주선율 문 화로의 편입이다. 반부패운동의 성패여부가 당과 국가의 존망을 결정짓는다는 인식을 한 중국정부는 반부패운동의 성공을 위해 반부패소설의 창작을 적극 지원하였다. 둘째, 대중의 심미요구와 반부패소설의 통속화를 들 수 있다. 반부패소설은 내용상 독자대중 의 흥미를 끄는 요소를 풍부히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에 권력의 폭력에 저항하고자 하 는 민중의 염원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이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주제의식과 형식 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중국지식인의 현실참여 정신과 반부패소설의 문학적 성취를 들 수 있다. 반부패소설의 창작이 단순한 어용문학으로서 정치적 구호에 머물거나 통속 문학으로서 대중의 말초적 호기심에 영합하지 않았던 것은, 현실주의 문학으로서 반부 패소설이 지닌 리얼리즘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 반부패소설의 성행은 사회의 부패를 일소하려는 정부의 의도, 시대적 요 구에 호응하려는 작가들의 창작정신, 그리고 독자대중의 문화적 수요라는 삼요소가 일치함에 따라 말미암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부패소설의 연구는 기존의 사회학 적 측면과 다른 인문학적 차원에서 부패의 문제를 바라보는 것으로서 보다 다양한 측 면에서 부패의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Chinese corruption issues focusing on the anti-corruption novel from cultural perspective, and analyzed the causes to promote anti-corruption novel from the thre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reason is Chinese governmental intention which tries to absorb a main melody culture of anti-corruption novel for the governmental propaganda of anti-corruption. As we know with the title of the anti-corruption novel, anti-corruption novel is closely related to the anti-corruption movement which was led by the Chinese government. Chinese government supported the creation of anti-corruption novel for the success of the anti-corruption movement. The second reason is the aesthetic demand by the public and the popularization of anti-corruption novel. The anti-corruption novel had a lot of factors that were the allure of the people’s interest, the people’s desire for resistance against the violence of power, and the easy topic and format for the public. The third reason is Chinese intellectual’s participation in political issues and the achievement of anti-corruption novel. Even if anti-corruption novel is popular literature, it did follow the people’s trivial curiosity which a popular literature try to satisfy. It does not remained just as political slogan. The anti-corruption novels are based on the reality. In conclusion, the popularity of anti-corruption novel in China are influenced by governmental intentions to eradicate corruption, authors’ creation spirit which fulfills the need of the times and readers. Therefore, the research of anti-corruption novel makes a opportunity to see a corruption problem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while the current studies of corruption are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sciences.

      • KCI등재

        미국 반지성주의의 근원과 현상들

        김대중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2 영어권문화연구 Vol.15 No.2

        This essay aims to trace down the origins and explore the phenomena of anti-intellectualism in the U.S. focusing on transcendentalist's writings including Ralph Waldo Emerson's essays and Henry David Thoreau's Walden. In turn, the essay read thorough Alexis de Tocqueville's Democracy in America to show what kinds of anti- intellectual factors in the U.S. a foreign intellect could detect. And then, the essay consolidates whole arguments in the context of Richard Hofstadter's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Analyzing Emerson's essays, this research finds out contradictions between spirtuality and practicality as well as between romantic vision of the world and prejudices against others. Tocqueville also noticed and critiqued contradictions and anti-intellectual elements in American democracy. Hofstadter presents genealogy of anti-intellectualism to discuss what makes common people in the U.S. ignore and even hate intellectual's ideas or practices by delving into the long history of contradictions in religion vs. science and populism vs. academism.

      • KCI등재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경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4

        This paper presents a historical review of anti-intellectualism present in women’s literature. Here,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 which has many meanings, was understood as being anti-intellectual, and ‘women’s literature’ was defined as woman writer’s literature or feminist writing,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main point is that the attitude toward women’s literature could be influenced by anti-intellectualism, even if they were of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For exampl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the term ‘jibungi’, and even from the modern era, women’s writers have not been treated properly in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excessiveness of early feminism caused the classical female writer to fall into excessive ‘appreciation’. In the present, feminism, branded as ‘Megalia’, is excessive, and it is cursed everywhere. It was the general public’s gaze. This paper examined the fact that due to this situation, even those of a progressive attitude kept away from ‘radical’ feminism. 본고에서는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목표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반지성주의’를 ‘반지식인’ 또는 ‘타자에대한 적대감’의 뜻으로 썼다. 그리고 복잡하고 다양한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의 관계를 드러내는 데 더 적합하다 여겨 긴 역사적 개괄을선택하였다.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는 단일하지 않다. 여성문학이 반지성주의적일 수도 있고, 여성문학이나 여성주의를 다루는태도가 반지성주의적일 수도 있다. 본론에서 살핀 바, 예전에는 여성이 지식인이 아니란 이유로 여성문학이 외면당했고, 여성문학을 대하는 태도는 당대 지식인이라 해도 반지성주의적일 수 있었다. 물론 조선 시대 여성은 지식인이 아닌것으로 되어 있으니 여성문학도 비지식인 문학이다. 그런데 조선뿐만 아니라 현대에서도 한동안 여성작가문학에 대한 일종의 편견, 타자에 대한 적대감이 있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지분기’라는 말도있었고, 근대 이후 문학사에서도 여성작가문학은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했다. 한편에서는 초기 여성주의의 과도함이 고전여성작가에대해 지나친 감상에 빠지게도 했다. 반대로 고전여성작가에 대해 지성만을 강조하기도 했다. 현재에는 ‘메갈리아’로 낙인찍힌 여성주의가 지나치다고, 남성을 적대시한다고 여기저기서 욕을 먹는다. 그 시선을 신경 써야 하는 일부의 ‘진보’도 마찬가지여서 이른바 ‘급진적인’ 여성주의를 멀리했음을 살폈다.

      • KCI등재

        월남지식인의 반공이데올로기 수용 및 대응양상의 일고찰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와 유현목의 〈카인의 후예〉를 중심으로 -

        김경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50

        At a time when anti-communist ideology was cemented into a government policy that guaranteed the legitimacy of the Government power,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越南作家) had to continuously face and respond to internal or external pressure to prove their ideological loyalty. They had no choice but to internalize anti-communist ideology for their ‘survival,’ and the layered and divisive inner-world is exposed in their creations. This exposure can be demonstrated in both the novel The Descendants of Cain and the movie adaptation <Descendants of Cain>. <Descendants of Cain> is the only work that connects both Hwang Soon-won and Yoo Hyun-mok together as, representative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Hwang Soon-won, who was once left-wing, increased the anti-communism sentiment in this text through several modifications after creating The Descendants of Cain in 1953, and Yoo Hyun-mok, who usually did not make ideological films, got received an outstanding anti-comunism film award in 1968 with <Descendants of Cain>. This work is a clear example of how anti-communism had impacted these writers, and it clearly shows that literature is not the author's own product, but i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romise or coordination in relation to institutions and society. This logic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Descendants of Cain and <Descendants of Cain>, which seem to lie under the same anti-communist banner, have different production motivations and response methods. It also means that one side of writers who responded to the anti-communism of the 1950s and 1960s can be seen through the modifications of The Descendants of Cain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t into a movie. Furthermore,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of <Descendants of Cain> and empirically compares Hwang Soon-won and Yoo Hyun-mok's acceptance/response to anti-communism. Further still, the <Descendants of Cain> is compared with the 《Sasangge(思想界)》 in this paper because it shows that the two writers were under a common influence of anti-communism discourse produced by the collective category. In conclusion, both writers show the typical commonality of upper-middle class writers, but their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 and life trajectory is also clear. It is important to capture the commonalities of groups and the individual specificities in writers ideological research.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can provide one way to understand the writers acceptance/response to anti-communism.

      • KCI등재후보

        Anti-Competitive Practices as Trade Barriers Used by Korea and Japan: Focusing on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이은섭 법무부 2005 통상법률 Vol.- No.66

        This study shows that the anti-competitive practices as trade barriers in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of the two countries have almost identic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the study that the author made about their service market and somewhat different from their commodity market which reveal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anti-competitive practices of the two countries market. Considering the overall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situations of the two countries, even though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have systematically and legally tried to achiev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 regulating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particularly under pressure from their trade partner countries, it will take substantial time to eliminate the real gap between both countries' policy objectives and those required by the TRIPS or their trade partners. The similarity of the anti-competitive practices in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between the two countries could not be illustrated as, so cal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ver-all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se analytical results imply that such social/cultural aspect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from the controversial aspects in the TRIPS mechanism between the developed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anti-competitive practices of both countries have been comparatively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trade norms or competition norms that have only been discussed but not yet established, without consideration of other external factors, which is expected to be followed by an interdisciplinary analysis of the anti-competitive practices of the two countries' intellectual property market.

      • KCI등재

        반지성주의와 음모론

        안재원 한국서양사연구회 2022 서양사연구 Vol.- No.66

        This paper trie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of anti- intellectualism with conspiracy theory. For this, firstly, the paper provides a critical reading of the story of Polyphemus in Homer’s Odyssey to show that anti-intellectualism is rooted on the one- eyed cognition that is confined by a certain idea, belief, experience, memory, information, interest, and ideology. The paper, then, attempts to read Cicero’s The First Speech against Caitline from the viewpoint of conspiracy theory for demonstrating that it is supported and even authorized strongly by the theory of justice that reinforces the faction theory. To this, the paper adds another critical reading of Euripides’ Heracles for showing the danger of fake news that is strongly tangled with conspiracy theory. These critical readings come to the confessing that it is not easy to reject the human identity of “homo conspirans”. The paper, however, strives to suggest how to fight against the anti-intellectualism endorsed by conspiracy theory, providing the philosophical training of suspension of all action and all opinion (epoche) and the rhetorical way of arguing both sides(in utramque partem dicere). On the basis of this, the paper contends that the history of humanities is to be summarized by the fighting and struggling of intellectualism against anti-intellectualism.

      • KCI등재

        초자연주의 신앙에 대한 재고찰과 대안적인 신앙 모델 모색 -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길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5

        This paper presents anti-intellectual cases of Christianity (Protestantism) in Korea. This cas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kinds: superstitious behaviors, prejudice and aversion of non-Christian culture,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The question we have to ask here is anti- intellectualism’s problems of Christianity. I think that the central problem of anti-intellectualism of Christianity in Korea is the faith of super- naturalism. Especially,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conflicts scientific theories. In the sense that, paradoxically these groups shows anti-intellectual aspects. I think that the cause of anti-intellectualism is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Consequently,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is incompatible with the naturalism of modern science. From this viewpoint, we should make up some counter-plan for it. Finally, at this writing I propose a new model of developmental religious faith. 이 글에서는 한국개신교 내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반지성주의 요인에는 초자연주의에 대한 종교 신앙이 핵심 원인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논하고 있다. 먼저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적 사례들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보는데 1) 초자연적인 신의 개입을 믿는 미신적 행태 2) 비기독교 문화에 대한 편견과 반감 3) 자연과학 진영과의 충돌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을 거부하는 세 번째 경우에선 창조론과 지적설계론을 내세우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입장이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보다 훨씬 더 지성적이고 과학적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매우 역설적인 반지성주의 사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의 자연주의를 무신론적인 것으로만 간주하는 오도된 이해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맥락에선 여전히 초자연주의 신앙관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점에서 볼 때 자연주의에 기초된 현대 과학 진영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선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발달론적인 신앙 유형이라는 새로운 신앙 모델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