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한·백제권 고분과 합천 삼가고분군 다곽식고분의 비교 -전남지역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최영주 ( Young-joo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본 논문은 마한·백제지역 가운데 전남지역의 고총고분 중 나주 복암리 3호분과 신촌리 9호분을 중심으로 합천 삼가고분군과의 고분의 축조 순서와 기술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였다.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삼가고분군의 다곽식고분은 선행하는 매장시설을 인식하면서 다장을 통한 수직확장과 주구의 의례행위 등에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양 지역의 고분은 고분의 입지와 분형, 매장시설과 위치, 고총화 방식과 축조기술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중에서 고분의 고총화 과정에서 양 지역의 고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남지역 고총고분은 선행분구 조정과 수직확장을 통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이에 맞는 구축기술이 필요로 했다. 그러나 삼가고분군에서는 중 소형분이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봉분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구축기술은 필요로 하지 않았다. 따라서 합천 삼가고분군의 ‘삼가식 다곽식고분’은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다르고 가야지역 어느 고분군과도 다른 삼가고분군만의 특징이다. 고대 가야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삼가고분군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학계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construction sequence and technology of the ancient tombs with the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focusing on Naju Bokam-ri tomb No. 3 and Sinchon-ri tomb No. 9 among the high-mounded tombs in the Mahan-Baekje area.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multi-chambered ancient tombs in Samga ancient tomb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vertically expanded through many funerals and there were ritual behaviors in pits, recognizing existing burial facilities. However, the ancient tombs in the two regions differed in tomb's location and shape, burial facilities and locations, and the method of high mound and construction techniques. Among them, the ancient tombs in two regions differ in the process of high mound.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Province needed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technology because they became high mounds by adjusting existing burial mounds and expanding vertically. However, in Samga ancient tomb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was not necessary because tombs were made by adding burial mounds upward along the slop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tombs. Therefore, the Samga-style multi-chambered ancient tomb in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is different from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any other ancient tombs in Gaya region. Samga ancient tombs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ancient Gaya society, so policy support and academic interests and effort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 연구–분포 양상과 변천과정, 고분의례과정을 통해-

        최영주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40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he chronological changing process of Bunju potteries excavated from Korea and the funeral ritual proces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constructive process of the ancient tomb. Bunju potteries in Korea were very popular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Bunju potteries are classified as a long-necked jar style (local power), Okya-ri style (mixed), Bannam style (local power) and cylindrical Haniwa style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where Bunju potteries were excavated turned to a square shape·a hoof shape (low Bungu)→ a square shape·a circular shape·a key hold shape(high Bungu) and Bungu became higher and bigger from the mid 5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from cylindrical special potteries of the midwestern region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round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they spread toward the southwest due to southern attacks by Baekje. During that time,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accepted long-necked jar style Bunju potteries and developed as a ritual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The constructive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started from ①choosing tombs and leveling the ground, ②constructing Bungu ③constructing burial facilities, ④burying, ⑤filling up Bungu, and ⑥maintaining external facilities (long necked-jar style). Bunju potterie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became a part of the ritual process as ancient tombs’ ornaments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nd it seems they were erected at the edge of Bungu during the last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Bunju got higher and it showed mixed-style potteries (Okya-ri style) which were combined with Japanese Haniwa style after accepting Japan’s ancient tomb culture, and it also turned to the local style which is Bannam style after reinterpreting Japanese Haniwa style. The constructive process of high tombs are basically similar with ladder-shaped tombs’ one but Bungu expanded vertically repeats the process of ②∼⑥ and completed squared-shaped tombs follow the previous step one time. After the late 5th century, introducing Janggo-shaped tombs which are Japanese burials and Kyushu-styled stone chamber tombs,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was popular, of that, cylindrical Haniwa styled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long the edge of Bungu at regular distance as ancient tombs’ ornaments.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progressed from building Bungu and burial structures (stone chamber style) at the same time and these are different from ladder-shaped tombs but same that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t the last phase. In this way,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to various style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by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It is understood that Bunju potteries appeared as a by-product of a social strategy that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searched for changes regarding the rationalization of the domination and cultural identities. 한반도 출토 분주토기의 분포양상과 시기적인 변천과정, 고분축조과정에서 나타난 장제의례과정과 시대적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분주토기는 3세기 말에서 6세기 전엽까지 성행하였다. 분주토기는 장경호형(재지), 옥야리형(복합), 반남형(재지화), 원통하니와계(왜계)로 분류된다. 분주토기 출토고분은 방형·제형(低분구)→방(대)형·원(대)형·장고형(高분구)으로 변화하며, 5세기 중엽경부터 분구는 고대화된다. 분주토기는 3세기 말경에 금강 하류 군산지역권에서 중서부지역의 원통형 특수토기를 변용·발전시켜 완성된 형태로 확인되며, 백제의 남방 공략으로 인해 남서쪽으로 확산되었다. 그 사이에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은 장경호형 분주토기를 수용하여 제형분 단계에 고분의례과정의 하나로서 발달시켰다. 제형분 단계 고분축조과정은 ①묘역 선정 및 정지 작업→②분구 축조→③매장시설 구축→④매장 행위→⑤분구 성토→⑥외부시설의 정비(장경호형) 순으로 이루어진다. 제형분 단계의 분주토기는 금강 하류 군산지역에서 고분의 장식물로서 의례과정의 일부분이 되었고, 마지막 단계에 분구 가장자리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전반경 왜계고분과 백제 토목기술의 영향으로 인해 5세기 중엽경에 분구는 고총화되고, 왜계의 고분문화를 수용하면서 왜계 하니와와 결합한 복합형(옥야리형)이 출현하였으며, 왜계 하니와를 재해석하여 반남형으로 재지화하기도 하였다. 고총화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은 기본적으로 제형분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과 비슷하지만 수직으로 확장된 분구는 ②∼⑥ 절차가 반복되며, 완성형 방대형고분은 앞의 절차를 1회로 마무리되었다. 5세기 후엽이후로는 왜계 묘제인 장고분과 큐슈계석실의 도입으로 왜계 고분문화가 성행하게 되는데, 그 중 원통하니와계 분주토기가 고분 장식물로 분구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다. 석실분 단계의 고분축조과정은 분구 축조와 매장주체시설(횡혈식) 구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점이 제형분 단계와 다르지만 분주토기가 마지막에 설치된 점은 같다. 이처럼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적극적으로 왜계 고분문화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발달하였다.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지배의 합리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사회적 전략의 부산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新羅古墳出土雲母의 性格

        김은경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보 Vol.77 No.-

        This study considered the mica having been regarded as a sort of a panacea and tried to review its significance in ancient tombs in the three period kingdoms when being buried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This study focused on Silla ancient tombs excavated articles in a wide variet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is mostly processed goods ‘produced in a fixed form with a fixed purpose’. Generally mica in Yuyeop ( ) type and Malgak inverted triangle (抹角逆三角) type is transforming into Simyeop (心 ) type mica. The fact that there is not so much difference of processing technique according to each form seems to originate from the role of mica as an accessory in the sam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ough excavated at the same ancient tombs, mica is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by size and the association phenomenon is identified among mica with almost same form and size. Usually 2~5 pieces forms a set. The mica excavated at ancient tombs is a ritual accessory added with Taoism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mpany relics and is buried in the form of ‘mica accessory’or ‘mica ornament’. The mica ornament kind shows the social status of the buried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is buried in ancient tombs even with relatively low rank. It is a mounted prestige goods as being buried in place of golden and silver prestige goods, but it is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prestige goods possessed relatively widel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shows the most abundant cas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earliest case is excavated goods at Hwango-ri No. 14, 1st and 2nd coffin. It suggests that in Gyeongju region, mica burial equipped with somehow system was carried out in early 5th century and as time passed by, burial expanded from large-size red-wooden coffin ancient tombs to mid- and small-size ancient tombs. The excavated mica suggests that mica accessories and ornaments were used for golden and silver accessories or attached to accessories. The period of 6th century and the case of mica burial is gradually reduced. In Gyeongju region, the aspect of burial similar to stage early 5th century is continued and even buried in part in stone ancient tombs. However Houchong (壺 塚) was the end and no more mica was buried in Gyeongju region at around middle of 6th century. Therefore the appearance of mica excava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can be traced to the period from before and after the Christian era to middle and end of 6th century.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mica burial is reduced is originated from the change of tomb system to horizon entrance style stone-chamber (橫口)style and horizontal-digging stone-chamber tomb (橫穴) style and the change of concept on burial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t is estimated, however, through the flower pattern mica ornament excavated in Wangheungsaji (王興寺址) in Buyeo that even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mica ornament was used continuously. It is, however, very likely to be used as a mere ornament as the meaning changes from relics related with the existing Taoist hermit thought.

      • KCI등재

        소가야지역 중심고분군의 변동성과 의미

        여창현(Changhyun Yeo) 한국상고사학회 2023 한국상고사학보 Vol.119 No.119

        본고에서는 5세기 초부터 6세기 중후반에 걸쳐 남강 수계의 경남 서남부 지역과 고성~마산 일대의 남해 연안 지역에서 형성되고 성장한 소가야 집단의 성격과 집단 내부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고자 고고학적 물질문화의 지표를 설정하고 중심고분군-하위고분군의 변동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성립은 전환기 대형목곽묘에 부장된 토기복합체에서 처음 나타나며, 이후 중심고분군들의 성장과 변동에 따라 토기양식의 분포정형에 영향을 끼친다. 소가야지역은 다수의 중심고분군이 시기에 따라 복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후기 가야의 제 소국들의 토기양식 분포와는 차이가 있다. 소가야지역 초기 수장층의 무덤으로 볼 수 있는 전환기 대형목곽묘는 잔자갈과 소형 할석을 사용한 평상의 관상 구조로서 지역양식의 토기복합체가 부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대형목곽묘는아라가야, 대가야, 다라국, 비화가야 등 내륙의 후기 가야의 초기 수장묘에 비해 고분군 내 입지, 매장주체부의 규모, 부장 유물의 수준에서 위계의 차이가 나타난다. 전환기 대형목곽묘에서 고총의 중심고분군으로 이어지는 후기 가야 고분군들의 성장 모델을 제시하고 그 양상을 비교한 결과, 소가야지역의 전환기 대형목곽묘는 대내외적인 복합 요인으로 대부분 고총 고분군으로 성장하지못한다. 합천 삼가 고분군은 후기 가야의 주요 소국들에 준하는 중심고분군으로 성장한 확장형A 모델, 고성 송학동 고분군은 6세기 이후 대외적인 교류의 기항지로서 급성장한 확장형B 모델로 상정하였다. 이 시기 소가야지역은 위세품의 분여나 그에 따른 통제의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고성송학동 고분군은 대가야⋅왜계 마구에서 백제계⋅신라계 착장용 금공품과 마구로 변화되는 부장유물의 모습이 보이므로 집단의 위계나 성격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소가야지역의 전환기 대형목곽묘의 출현, 토기복합체의 분포정형과 등급화된 중심고분군의 변동성이 제 집단의 관계망과 위계화 정도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고 이해되지만 광역에 분포하는 토기양식의 현상과 중심고분군-하위고분군으로 관계된 집단의 내부 구조 모습은 다양한 물질자료의 해석과 틀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gaya group formed and grown in the southwestern Gyeongnam region of the Namgang River water system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Goseong-Masan from the early 5th to the late 6th century, this paper attempted to establish indicators of archaeological material culture and find the volatility of the central ancient tomb group. The establishment of Sogaya-style earthenwar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an earthenware complex buried in a large wooden tomb, and it affect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arthenware-style according to the growth and fluctuations of the central ancient tombs. In the Sogaya area, there are multiple central ancient tombs depending on the period, so it is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f earthenware styles in the late Gaya countries. The large wooden tomb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ich can be seen as the tomb of the head of the Sogaya region, is a flat tubular structure using fine gravel and small stones, and a local-style earthenware complex is buried. Large wooden tombs with this structure show differences in hierarchy at the location, size of the burial site, and burial relics compared to the early burial tombs of the latter part Gaya in inland areas such as Aragaya, Daegaya, Daraguk, and Bihwagaya. As a result of presenting the growth model of the late Gaya tombs from the large wooden tombs to the central ancient tombs of the ancient tomb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most of the large wooden tombs in the Sogaya area could not grow into the ancient tomb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mplex factors.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were assumed to be an expanded A model that grew into a central ancient tomb group equivalent to the major small countries of Gaya, and Goseong Songhak-dong Ancient Tombs were assumed to be an expanded B model that grew rapidly as a port of external exchange after the 6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the Sogaya area did not show any control, but Songhak-dong Ancient Tombs showed gold pieces for Baekje and Silla dressing from Daegaya and Japan harnesses, so the hierarchy and character of the group can be inferred to some extent. Although it is understood that the emergence of large wooden tombs in the Soya area, the distribution of earthenware complexes, and the variability of the graded central tombs reflect the group's internal structure and hierarchy to some extent,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material data should be supplemented.

      • KCI등재

        논문 :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문형 ( Moon Hyoung Lee ) 한국고대학회 2014 先史와 古代 Vol.42 No.-

        최근 중부지방의 한강유역을 포함하는 서울과 경기도 및 충청도 일원에서 백제 한성기로 확실시되는 횡혈식석실묘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백제 한성기의 왕릉군으로 인식되는 석촌동고분에 대한 재인식과 새로운 자료 등이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즉, 기존과는 달리 석촌동 4호분 매장시설을 횡혈식석실묘 구조로 보는 적극적인 해석, 1917년에 작성된 석촌동 일대의 고분 분포도가 새로이 발견?보고되어 교착상태에 있던 백제 한성기의 매장유적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본고 역시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서울 가락동?방이동고분군과 석촌동고분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것이다. 즉, 가락동 3호의 서쪽 동일 능선에 축조된 20여 기의 고분군의 존재로 볼 때 가락동 3호분은 석촌동고분군과 연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가락동 3호분의 축조양상이나 규모 등에서도 확인된다. 한편 한강유역의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약 15km 이내에 분포하는 서울 우면동 유적, 하남 광암동 유적, 성남 판교 유적 등을 가칭 ‘한강유역권’으로 설정하여 한성기의 횡혈식석실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국 한성기 백제는 이미 중앙세력이 횡혈식석실묘를 수용하고 계기적인 변화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웅진기의 왕릉군인 송산리고분군에서도 적석총이 아닌 횡혈식석실묘가 사용된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포함하여 최근 백제계 고분 즉, 추가장이 가능한 횡혈식석실묘 내부에서 백제토기와 신라토기가 함께 공반 출토되는 사례, 즉 신라토기의 성격 문제이다. 결국 이들 석실분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한 이후에 정복지에 대한 정책과 신라인들이 이들 지역에 남긴 고고학적 자료 등으로 볼 때 백제의 유민(遺民)이 지속적으로 그들의 조상 무덤에 추가장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로 추정되어진다. Lately,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presumed definitely to be those of Baekje Hanseong period has been confirmed one after another in the area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including the basin of Hangang River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Furthermore, reports have made their way recently to the academic circles, revealing new data about Seokchong-dong ancient graveyard and recognizing the area as that for royal tombs of Baekje Hanseong perio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viewpoint, facilities of the tomb No. 4 in Seokchong-dong site are actively interpreted to have the structure of a stone-chamber tomb. The findings and reports of the map for ancient bombs in Seokchong-dong area completed in 1917 are expected to serve as a momentum to view the stalemated controversial buried remains of Baekje Hanseong period from a renewed viewpoint. In this context,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relevance of Garak-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to Seokchon-dong ancient tomb site, because there seems to be high probability of connection between Garak-dong tomb No. 3 and Seokchong-dong ancient tombs area judging from the existence of 20 or more old tombs constructed along the same ridge to the west of Garak-dong tomb No. 3. This way of presumption is confirmed especi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pattern and size of Garak- dong tomb No. 3. Meanwhile, attempts were made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features of stone-chamber tombs during Hanseong period by classifying the remains in Seoul Umyeon-dong, Hanam Gwangam-dong and Seongnam Pangyo located within 15 km centering around Garak- 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into the tentatively named category of ‘Hangang River basin area’. As a result, it was ascertained that, as early as in Hanseong period, the central power group of Baekje Kingdom decided to make drastic change and progress to accommodate the stone-chamber graveyard system, which is verified by the Songsan-ri ancient graveyard for royal family during Unjin period which used stone-chamber tombs instead of stone mound tomb. There still remains the issue of characters of Baekje and Shilla earthenware unearthed together within the ancient Baekje tombs or stone-chamber tombs like those in Baekje ancient graveyard including Garak-dong?Bangyi-dong ancient tomb sites in which additional burial is found. Eventually, it may be comprehended that, judging from archaeological data left by Shilla people and from their policies over the conquered in the colony after advance into Hangang River basin, Baekje migrants continued to bury additionally in their ancestors`` tombs.

      • KCI등재

        석당뮤지엄 발굴, 고성 송학동고분군의 가치와 확장성

        최경규 ( Choi Gyong-gyu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석당 뮤지엄에서 발굴조사한 고성 송학동고분군 1호분은 문헌기록이 영성한 가야사 연구에 무엇보다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그 중 소가야의 역사를 해명하는데 있어서는 1급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1999년~2002년에 실시된 고성 송학동고분군 1호분의 발굴조사는 그간의 전방후원분 논란을 종식하고 고분의 구조와 성격을 밝힌 학사적으로 매우 의미가 깊고 중요한 조사였다. 발굴조사가 있은 지 20년이라는 시간이 경과했지만, 공표된 송학동고분군의 보고서(동아대 석당뮤지엄, 2005)를 바탕으로 주변 가야 유적과의 비교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의 연구결과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소가야의 성장과 정치·교역 시스템을 증명할 수 있는 유적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고성 송학동고분군의 등장과 소멸은 소가야 정치체의 등장과 소멸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고분군 내 묘제의 도입과 위계화, 축조 질서 등의 변화를 통해 소가야 사회 구조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결국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가야고분군을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역사의 중요한 가치를 보여주며 삼국시대라는 한반도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에 가야를 예증할 수 있는 기념비적인 구조물이다. 송학동고분군 1호분의 발굴조사 후, 지속적 학술 연구의 결과로 유적의 가치가 확장되어 세계유산 등재 후보에 이르게 되었으며 인류가 함께 향유할 수 있는 무한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는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Goseong Songhak-dong Ancient Tomb No. 1 excavated by the Seokdang Museum provided the most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Gaya history, which lacks literature records, and among them, it is used as a first-class data to explain the history of So-Gaya. The excavation survey of the tomb No. 1 in Songhak-dong Ancient Tomb in Goseong between 1999 and 2002 was a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academic survey that ended the controversy over the Keyhole-shaped tumulus, a traditional tomb of the Japanese ancient tomb era.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xcavation survey, but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surrounding Gaya ruins continues based on the published report of Songhak-dong Ancient Tomb (Dong-A University Museum (Seokdang Museum)-, 2005). Studies have shown that Songhak-dong Ancient Tomb in Goseong has excellent universal value as a relic that can prove So-Gaya's growth and political and trade systems.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Songhak-dong Ancient Tombs in Goseong symbolizes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So-Gaya's political system, an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of So-Gaya can be seen through the introduction, hierarchy, and construction order of the ancient tombs. After all, Songhak-dong Ancient Tomb in Goseong shows the significant value of history and is a monumental structure that can exemplify Gaya at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fter the excavation survey of Songhak-dong Ancient Tomb No. 1, the value of the ruins expanded as a result of continuous academic research, leading to candidates for World Heritage listing, and it can be evaluated as a heritage with infinite scalability for mankind to enjoy together.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울릉도의 고분 구조와 축조 배경

        홍보식 영남고고학회 2019 嶺南考古學 Vol.- No.84

        The tomb shape of the ancient tomb constructed in Ulreung-do and the burial structure are analyz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established through the burial items and the system and background a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ancient tombs of Ulreung-do that had the burial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stone structure with the red stones and they were the most appropriate burial facilities for the natural environment of Ulreung-do with its geology, topography, climate or the likes. Originally, the ancient tombs of Ulreung-do had known its burial structure as th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but as a result of structure analysis, they were confirmed to be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Those reported ancient tombs of Ulreung-do from ground surface, excavation survey and others are confi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rthenware excavated as the burial items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to be late 8th century to 9th century. In the main land region of the unified Silla era, had a number of cases grouped in Ulreung-do for the disappearing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that it is confirmed to have similar shapes with the capital city of the similar period. Those earthenwares decorated splendidly with the stamped design pottery excavated from the living relics and ancient tombs of Ulreung-do were produced and consumed in the capital city. The structure of the ancient tomb is in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and the earthenware carried in for significant number from the capital city and based on such facts, the ancient tombs of Ulreung-do could be presumed as highly likely to be constructed by the migration of those people in the capital city of Silla Dynasty. 본 논문은 울릉도에 조영된 고분의 분형에 따른 축조 기법과 매장주체시설의 구조 분석을 통한 묘제 파악, 부장품을 통해 조영 시기를 설정하고, 계통과 배경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석축을 만들고, 그 위에 매장주체시설을 구축하고 적석을 한 울릉도의 고분은 지질·지형·기후 등 울릉도의 자연환경에 가장 적합한 매장시설을 만든 결과물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종래 울릉도 고분의 매장주체시설을 횡구식석실로 파악하였으나 구조 분석 결과 횡혈식석실임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지표 및 발굴조사 등에 의해 확인된 대부분의 고분은 그 조영시기가 8세기 후반에서 9세기임이 부장품으로 출토된 토기의 특징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에 횡혈식석실이 군집되어 조영된 사례는 왕경과 울릉도에 다수 확인되었고, 울릉도의 생활유적과 고분에서 출토된 화려하게 인화문이 장식된 토기들은 왕경에서 생산·소비된 것과 동일한 토기들이었다. 고분 구조가 횡혈식석실이고, 왕경으로부터 상당수 반입된 토기 등을 근거로 울릉도의 고분은 신라 왕경인들의 이주에 의해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학적 해석 -안악3호분과 덕흥리 고분, 무용총 벽화의 인물풍속도를 중심으로-

        임두빈 ( Doobin 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고구려 고분벽화(高句麗 古墳壁畵)는 이제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정작 미학적(美 學的) 차원의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했다. 이로 인해 필자(筆者)는 미학적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 각하여 본고를 쓰게 되었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안악3호분(安岳3號墳)과 덕흥리 고분(德興 里古墳), 무용총(舞踊塚) 벽화의 인물풍속도(人物風 俗圖)이다. 이들 고분은 인물풍속도의 규모와 풍부 한 내용으로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풍속도의 미학적 특징들을 밝히는데 충분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들 고분벽화에서 본 미학적 특징들은 거의 모든 고구 려 고분벽화 인물풍속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 는 특징이기도 하다. 연구결과 고구려 고분벽화 인 물풍속도의 미학적 특징들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 지 요소로 분류 할 수 있었다. ① 대상(對象)의 평 면화(平面化), ② 원근법(遠近法)의 배제(排除), ③ 나열형(羅列形)의 구성, ④ 자유로운 색채사용, ⑤ 인물화(人物畵)의 비개성적(非個性的) 이상화 (理想化), ⑥ 공간확장적(空間擴張的) 화면 구성.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첨가한다면 ``개방적인 선묘 (線描)``를 말할 수가 있겠는데 이것은 특정한 고 분벽화에서만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고구려 고분벽 화의 전체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는 없겠다. 이상의 요소들이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풍속도의 미학적 특 징들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부분적 으로 조선시대의 민화(民畵)에 까지 계승되어 왔으 며, 현대회화에서도 새롭게 적용되어 한국적 회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틀의 하나가 되고 있다. The painted murals of Goguryeo ancient tomb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aspects. However, the research has almost never specialized on the aesthetic dimension. For this reason the writer came to write this piece with the belief that a study on the aes thetic dimension is needed. The subject of this writing is the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the murals in Anak Tomb No. 3, Dokhungri Tomb and Dance Tomb. Through the scale and rich content of the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these ancient tombs reveal more than enough about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The aesthetic features seen in these ancient tomb murals are equally applicable to almost all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Gogoryeo ancient tomb mural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esthetic features of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may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six elements: 1) flattened (two dimensional ) objects, 2) exclusion of perspective, 3) composed list form, 4) liberal use of color, 5) non-individualistic, idealized portraits 6) extended spatial surface composition. These elements may be regarded as the aesthetic features of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While these elements partially succeeded into Joseon Dynasty folk painting, they have also been newly adapted into modern painting as an important foundation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 KCI등재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

        김용성(Kim, Young-Sung) 한국고대학회 2010 先史와 古代 Vol.33 No.-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는 일제의 침탈 이전부터 기초적인 조사가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대략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 이후 등 4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00년대는 근대적 고고학의 시작기로 외형적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고건축과 유명한 고분 등의 조사를 시작으로 지표조사의 수준에서 고고학조사가 시행되었다. 발굴된 고분도 있었으나 이는 내부관찰이 용이한 고분에 한한 것이었다, 1910년대는 조선총독부의 조선고적조사 일환으로 신라고분이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시작하였고, 아직 지표조사 수준을 벗어난 발굴과 보고서 작성은 이 시기 후반대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적석목곽묘, 횡혈식석실묘, 수혈식석곽묘 등 신라고분의 내부구조가 밝혀진 것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는 금관총의 조사에서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유물의 대량 출토로 조선고적조사의 관심이 경주에 쏠리게 되어 대규모의 봉토분이 발굴된 일제강점기 신라고분 조사의 전성기이다. 따라서 대형 적석목곽묘의 구조가 밝혀진 것은 이 시기의 성과라 할 것이다. 1930년 이후 신라고분 조사는 구제적인 성격의 발굴로 전환되었고, 따라서 다양한 중소형분의 구조가 밝혀진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일제강점기 신라고분 조사에서 신라고분 묘제의 다양성과 내부구조가 확인되고, 독특한 성격의 적석목곽이라는 묘제의 특이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당시 발굴 수준의 한계, 유물에 대한 집착 등으로 인해 구조의 파악과 발굴 방법의 개선 등에는 커다란 진전이 있었다고 할 수 없을 것 같다. 이는 현재의 검토를 통해 볼 때, 제대로 된 묘형의 인식, 축조 서열의 인식, 봉분의 구성에 대한 인식 등이 확립되었을 만한데도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에 의해 발굴된 신라고분에 대한 적극적인 재검토가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fundamental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has conducting in the former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ch research was divisible by the 1900's, 1910's, 1920's, 1930's. In the 1900s, The archaeology of modern has begun. It was tried upon Architecture what come to the front and beginning the research of famous tombs started the research of archaeology. At that time, sometime tombs was excavated, however, this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e observation inside of tombs. In the 1910s,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was started to Chosun historical remains’s research. But excavation away from surface survey protect’s scope and making research book is reached of the later parts of this period. at this time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Stone Chamber Tombs, Stone - Lined Tombs, etc, the innards of Silla Ancient Tombs revealed. In the 1920s, Shilla's representative artifact were excavated in quantity from the research of Gold Crown Mound. So, The interesting of Chosun historical remains’s research turned to it. This period,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was golden day because a massive tombs were excavated. Result of this period accomplished what trace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Since the 1930s,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have been converted to detailed excavation. So, this period, the structure of various small and medium-sized tombs revealed. During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ut of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various material, stack’s method of Silla Ancient Tombs and the inner structure come out into the open. Especially, Unusual material, stack’s method of Tombs stand out it that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of distinctive nature. But, in those days, grasp the structure and upgrade the method of excavation get no better for the limit of excavation level and stick to artifact. In the present view, the right awareness of tombs structure, a grade on the construction, awareness of burial mound's structure had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I think that need an active reexamination about excavated Silla Ancient Tombs by japanese.

      • KCI등재

        原田淑人 調査의 普門里古墳 檢討

        심현철 영남고고학회 2024 嶺南考古學 Vol.- No.98

        In Bomun-dong, Gyeongju-si, there is 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 (Dolmuji deonneol tomb) called ‘Bomun-ri Ancient Tomb,’ which was investigated by Japanese Yoshito Harada in 1918.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on were briefly introduced in 1922,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omb and the meaning of its construction were not properly evaluated. Many photographs and drawings from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remain as data on the Bomun-ri Ancient Tomb. Based on this data,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structure, construction aspects, and excavated artifacts of the Bomun-ri Ancient Tomb. As a result, the Bomun-ri Ancient Tomb is a medium-sized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 with a diameter of about 25m, and various accessories, harnesses, bronze vessels, and other prestige items were confirmed, making it possible to estimate the high status of the protagonist. However, the number of buried relics is less than that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 of the same perio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fact that it is located on a hill is a uniqu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Bomun-ri Ancient Tomb. Judging by the excavated artifacts, the Bomun-ri Ancient Tomb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is is an example of a phenomenon in which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moved to surrounding mountains from the stage just before the adoption of stone chamber tombs (Dolbang tomb) in the royal capital of Silla. This appearance shows that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already moved to mountainous areas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due to the lack of cemeteries on flat land, the emergence of new stone chamber tombs, changes in funeral rites, e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like the Bomun-ri Ancient Tomb existed in the Seoak-dong area, a new royal graveyard of Sill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경주 보문동고분군에는 1915년 조사된 보문동 합장분(적석목곽묘+횡혈식석실묘, 舊 보문리 부부총) 외에도 1918년 原田 淑人(하라다 요시토, 고적조사위원)가 조사한 ‘보문리고분’이라는 적석목곽묘가 있다. 1922년 간행된 대정(大正) 7년도 고적조사보고에 보문리고분의 조사 내용이 간략히 소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보문리고분에 대한 존재가 알려졌지만, 금제세환이식과 청동합 등 대표적인 유물만이 개별적인 연구를 통해 소개되었을 뿐 고분 자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축조 의의 등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진 적은 없었다. 보문리고분에 대한 자료는 1922년 보고 내용 외에도 조사와 관련된 유리건판사진이 다수 남아 있고, 각종 기록자료도 확인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문리고분의 구조, 축조양상, 출토유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문리고분은 봉분 지름이 약 25m인 중형급의 전형적인 단곽식 적석목곽묘이며, 다양한 장신구와 마구, 청동 용기 등 위세품이 확인되어 피장자의 높은 위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다만, 부장유물의 수량이 동시기 대릉원 일원에서 확인되는 적석목곽묘에 비해 현저히 적으며, 적석에 사용된 돌은 인근에서 구할 수 있는 할석을 주로 이용한 점, 적석부 중간 지점에 넓은잔자갈층이 확인된 점, 주변 고분과 함께 구릉 능선을 따라 열상으로 배치된 점 등 보문리고분만의 특징적인 모습이 관찰되었다. 보문리고분은 출토유물로 보아 6세기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왕경 내에 횡혈식석실묘가 채용되기 직전 단계부터 대릉원 일원에 축조되었던 적석목곽묘가 주변 산지로 묘역을 이동하는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양상은 건천읍 방내리고분군에서도 확인되는데, 고분군 조영 초기에 금척리고분군으로부터 이동한 적석목곽묘가 일정기간 산지에 축조되는 양상과 동일하다. 즉, 적석목곽묘는 6세기 전반에 이미 묘지 부족과 新묘제 출현, 장제 변화 등의 이유로 묘역을 산지로 이동하였고, 6세기 중반까지는 축조되면서 횡혈식석실묘와 일정 기간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 보아중고기 새로운 왕묘역으로 선정된 서악동 일원에도 보문리고분과 같은 늦은 시기의 적석목곽묘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