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고대의 ‘가(家)’의 기원 - 신라의 골(骨)과 족(族)에 대한 연구사를 중심으로 -

        이현주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8

        A key issue in the study of family history in ancient Korea is the 'Descent Rules'. In early studies, it was understood that ancient society of Korea developed from a Matriarchal to a Patriarchal. This research i s a t opic that later researchers want t o overcome, and s ince then, research has been mainly conducted to find the "Patriarchal" elements and principles of Korean ancient society.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theories were introduced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s of family and relatives in ancient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theory of Lineage and Kindre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family and relatives in Korea. However, in the study of family and relatives in ancient Korean society, there is still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perception and reality. The records of Silla's family and relatives show that there are dual principles. One is the patrilineal principle, and the other is the non-patrilineal principle. The dual principles of operation of the "Family" in ancient Korea is due to the difference in marriage and family systems in ancient Korea from China. As the system based on China's general legal system was accepted, the concept of paternal family was accepted, but maternal family and wife’s familiy were still important factors that made up the "Family" in korea. Therefore the dual operating principles of family and relatives in ancient Korea was also a way to overcome the gap that comes from accepting and operating China's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family and relatives system in ancient Korea.

      • KCI등재

        청년학우회 하기강습회와 최남선의 「大韓上古史講稿」

        권두연(Kwon, Du-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청년학우회는 각종 부설활동을 전개하였지만 강습회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주목된 바가 없던 차 최남선이 , 청년학우회의 하기강습회를 위해 쓴 원고인 「대한상고사강고」가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장지영의 기증 문고에서 발견되었다. 이를 계기로 이 연구는 새 자료 소개를 겸해 청년학우회의 하기강습회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1910년 7월 이전에 작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강고」는 최남선의 초기 역사 서술에 관한 사료라는 점에서 탐구적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학우회의 하기강습회가 그간 상동청년학원의 강습회로 오인되었던 점을 바로잡고 장지영이 원고를 소장하게 된 경위를 추정해봄으로써 강습회가 실제 하기강습회 형식으로 실행되었을 가능성을 논증했다. 무엇보다 「강고」의 체재를 분석함으로써 최남선이 상고사와 단군에 대한 인식을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Young Student Academic Association in Korea which started has not attracted attention so far about the class. By the way, is the manuscript which Choi Nam-seon wrote Korea Ancient history for the Lecture Notes (大韓上古史講稿) for the summer course of Young Student Academic Association in Korea and this ancient history scheme article was discovered newly. This paper studied the summer courses of Young Student Academic Association in Korea while serving as the document introduction and, with this discovery, handled it in earnest. Korea Ancient history for the Lecture Notes(大韓上古史講稿) is possessed in Yonsei University Kokugaku Library as a donation library of Zhang Ji-young which is a scholar of national language in large Korea. It is estimated that the ancient history scheme article was made in large Korea before August, 1910. Korea Ancient history for the Lecture Notes has the value of the document in the point called the document about the initial history description of class and Choi Nam-seon of the young man student"s union in large Korea. I was able to confirm in particular that Choi Nam-seon had upper ancient history and recognition to a platform from considerably early time by the class of Young Student Academic Association in Korea being really established in the form of the summer course, and at least run possibility analyzing the appearance of Korea Ancient history for the Lecture Notes in considerably high point and large Korea.

      • KCI등재

        요시다 도고(吉田東俉)의 조선 연구

        윤소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5 일본사상 Vol.0 No.29

        요시다 도고(吉田東俉, 1864-1918)는 대표적인 일본근대지리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저술로는 『대일본지명사서』(1907, 총13권)와 『日韓古史斷』(1893), 『倒敍日本史』(14책), 『日本朝鮮比較史話』(1924) 등이 있다. 종래 요시다 도고에 대한 한국에서의 연구는 『日韓古史斷』(1893)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사를 왜곡한 식민사학을 대표하는 역사학자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요시다 도고의 연구업적은 고대사 뿐 아니라 근대사와 한일비교사에 이르는 방대한 연구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고대사에 국한한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되지 않은 『倒敍日本史』, 『日本朝鮮比較史話』 등의 저술을 통하여 근대한일관계사를 중심으로 요시다 도고의 조선인식과 그가 조선인 유학생에게 끼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식민사학에서는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식민화했으며 일본은 본가, 한국은 분가로 지배-종속관계에 있었다고 파악한다. 또한 근대 한일관계에 대해서는 일본이 한국의 독립을 지켜주었는데 한국의 동양평화를 교란시켰기 때문에 동양평화를 지키기 위해 일본이 한국을 병합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요시다 도고는 고대 한일관계는 한반도 남부의 인종과 일본 북서부의 인종이 한 민족이며 인위적인 장벽이 없이 서로 정치와 문화를 교류하던 관계에 있었다고 본다. 그리고 중세와 근세 한일 문화의 차이를 ‘편문’과 ‘편무’ 문화로서 그 특징을 설명했다. 한편 근대 일본은 조선을 장악하기 위해 교묘한 술책을 쓰면서 일본의 국익을 지키고자 했다고 밝히고 일본의 한국 식민화 정책에 대해 한국인들의 거센 반발이 있었다고 서술했다. 그는 고대의 우호적인 한일관계에 비추어 향후 문화공동체로서의 한일의 우호적인 관계형성과 국세 발전을 희망하면서 자칫 일본인들이 신영토를 차지했다는 기세로 함부로 한국인과 갈등을 초래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그는 와세다대학에 유학한 최남선, 현상윤, 이병도 등에게 역사연구를 위한 자료 연구법과 역사연구방법론, 한일문화론 등에서 큰 영향을 끼쳤다. 그들은 주체적인 관점에서의 ‘조선’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각각 ‘조선학’분야의 대가로서 한국 근대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요시다 도고는 일본의 한국 식민지배를 긍정하면서도 우호적이었던 고대 한일관계를 거울삼아 한일 간에 역사적으로 거듭된 ‘애증’의 연쇄를 극복하고 문화공동체로 거듭나야함을 역설했다. 이러한 점에서 그를 이상주의적 역사가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Yoshida Togo吉田東俉 is a modern Japanese representative geographer and is a historian. His representative writings include Japanese Place Name Dictionary 『大日本地名辞書』(1907)、Nikkan Koshidan (Ancient Histories of Japan and Korea) 『日韓古史斷』(1893),UpsidedownJapaneseHistory『倒敍日本史』,Historical Anecdote of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Korea 『日本朝鮮比較史話』. The Korean researcher analyzed a study of Yoshida's 『日韓古史斷』 mainly. When the book distorted Korean history, Korean researchers criticized it. This study examines Yoshda's Korean recognition mainly on the historical concerned on modern Korea day through the『倒敍日本史』and『日本朝鮮比較史話』which did not attract attention so far. In additoin, I consider the influence that he gave to Korean students. Generally, Japan rules Korea in the colonization historical study insist that Korea was a colony of Japan in the ancient times. In addition, though Japan helped with independence of Korea in the modern times. But she was disturbed Oriental peace, therefore Japan annexed Korea for the peace of East. However, in Yoshida, as for the relations, a race of the south side of the Korea Peninsula and a race of the northwestern part of Japan consider the relations to have been one race on ancient times. He insists that both interchanged culturally politically. He characterized Korean and Japanese culture as one is inclined to literature, and the other is inclined to millitary power each on Middle Ages and early modern day. He pointed that Japan of modern times protected Japanese national interest while lecturing on a good artifice and invaded Korea. He said that the Korean resisted aggression of Japan intensely. He recognized it was necessary to make Korea the colony on development of the Japanese state of the nation. But followed the friendly relationship in the ancient times of the two countries, he insisted that we should intend a culture community. And he warned Japanese people must not bring about a tangle with Korean people on the pretext of Japan gained a new territory. On the other hand, he had a big influence on Choi Nam-Sun崔南善、Hyun Sang-Yun玄相允、Lee Byong-Do李丙燾 which studied in Waseda University in posture and the study methodology of the history study, the point of view of the Korea Confucianism study. I think that Yoshida was an idealist who prayed for building the relations to be reconciled with each other across the chain of "love and hatred" that Korea and Japan continued historically.

      • KCI등재

        БНСУ-д монгол хэл заан сургаж ирсэн түүхэн байдал, тулгамдсан асуудлууд

        어트겅체첵 한국몽골학회 2012 몽골학 Vol.0 No.33

        This small article presents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present stateof Mongoli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ith focus on Mongolian language pedagogical materials currently in use at academic institutions the Republic of Korea. Historically, Kitan (an early Mongolic language) was first taught in Korea (Koryŏ高麗) in 995 A.D. After this point in time, there is no clear evidence regarding to the teaching of Mongolic languages in Korea until the Chosŏn朝鮮 period (1392-1897), when we have information that there was a regular exchange of teachers and students from and to Mongolia. After this period,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teaching of Mongolian in Korea until modern times. In 1990, Mongolia became a democratic country. Not long after March, 26,1990—the date that Mongolia and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Mongoli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egan to resume. Beginning in the early 1990s up to the present, variou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ve established Mongolian language programs, including Dankook Universit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University,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o on. This article will largely focus on pedagogical materials employed in post-1990 Mongolian language education at such institutions in Korea, including textbooks, language handbooks, and dictionaries. Mongolian language textbooks, handbooks, and dictionaries are being in use widely at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These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1) Those written by Korean scholars, and 2) those written by Mongolian and other scholars. 1. Mongolian language textbooks, handbooks, and dictionaries written by Korean professors and other scholars: Korea is one of leading country interms of Mongolian educations. They established various academic programs in Mongolian studies, offering bachelor’s degree programs, master’s degrees, and doctoral degree programs. Most oldest institutions in Korea is the Dankook University Department of Mongolian Studies, and the associated Institute for Mongolian Studies established in 2008. Owing to the efforts of these institutions, as well as professors and scholars at other private and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Mongolian studies in Korea has reached its present state of development. 2. Below I provide a list of Mongolian language textbooks, handbooks, and dictionaries written by Korean professors and other scholars in Korea in the past 15 years: Below I provide a list of Mongolian language textbooks,handbooks, and dictionaries written by Mongolian scholars, as well as scholars outside of Mongolia. These works are also used for research at teaching at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3. Issues relating to the textbooks and handbooks: Most of the textbooks tend to be mechanical, focusing on grammatical rules accompanied by several example sentences for review and practice. Since there are only a few example sentences provided for each grammatical rule, the textbooks do not provide enough practice for students to learn to speak. The texts do not focus enough on Mongolian culture, society, life style and daily interests, Mongolian youth,and other essential topics for accurately learning Mongolian language. For this reason, the student may feel less interest about the textbooks. The textbooks do not include sufficient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video and audio files or other media-based activities for students to catch students’ interest and give them an opportunity to study at home and positively reinforce language skills.

      • KCI등재

        在韓後三國時代以前金石文'諸子學'初探 - 以後三國鼎立時期前金石文‘諸子學’印記爲中心

        강성조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2 No.-

        This paper is a first step inquiry into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pr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more detailed inquiry themes are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ost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and its value etc. Early Chinese philosophers equivalent to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began to appeared at the age of 700(that age was equivalent to King Hyo-So in the Kingdom of Shin-Ra , at same time Tang, Sheng-Li 3 in Ancient China), continued to at the time of 890(equivalent to Queen Jin-Sheng of Shin-Ra, at same time Tang, Shao-Zong 2 in Ancient China). However thos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restricted to two kinds of literary style: tombstone(碑) and Descriptions(記), among those quoted the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ppeared at the classical canons: 『Analects of Confucius』(lun Yu 論語),『Discourses of Mencius』(Meng Zi 孟子),『Lao Zi』(老子), 『Lie Zi』(列子), 『The book of master Guan』(管子), 『Zhuang Zi』(莊子), 『Xun Zi』(荀子), 『Yin Wen Zi』(尹文子), 『Han Fei Zi』(韓非子), 『Lushichunqiu』(呂氏春秋) , 『Hui Nan Zi』(淮南子) etc. On the stand point,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Go-Ryoe(高麗) and Cho-Son(朝鮮) dynasty, We can fond out contrast point obviously, even considerably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m. that is related with consequences of valu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Taken an examples of those values are five kinds of point as followed: relatively scop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re most broad than any others, most highly quoted frequencies, worth seeing of development situation i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writer and one's social status o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using a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described Buddhist monk or Buddhist image and temple bell. like above,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re-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has a fixed value, so enough to make a hard foundation o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and also can make an opportunity and basis for engage upon the related study. Therefore hereafter we can make a further development chances by way of new evaluation. 본문은 제목을 “한국 후 삼국시대 이전의 ‘제자학’에 관한 초보적 탐구”라 정하고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 ‘제자학’의 개황,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의 흔적,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흔적의 가치의의 등 문제를 탐구 토론한다. 해당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가 관련된 시기는 일찍이 700년(신라 효소왕 9년 즉 당나라 측천무후 성력 3년에 해당)에 시작되어 줄곧 이어져 890년(신라 진성여왕 4년 즉 당나라 소종 대순 2년)에 이르기까지이다. 그런데 해당 금석문은 단지 ‘비’, ‘기’ 2종류 문체에 한정되며 그 가운데 관련 ‘제자학’ 문자를 인술 원용한 것으로 『논어』, 『맹자』, 『노자』, 『열자』, 『장자』, 『관자』, 『순자』, 『한비자』, 『윤문자』, 『여씨춘추』, 『회남자』 등 서적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바로 후 삼국, 고려, 조선시대와 서로 비교하면 그 대비되는 점이 분명하고 차이가 상당하다. 이는 곧 관련 금석문 ‘제자학’의 가치의의 문제로 귀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제자학’ 의 관련 범위가 가장 넓음, ‘제자학’의 원용빈도가 가장 높음, ‘제자학’의 발전 상황이 가장 볼만함, 금석문 ‘제자학’ 문자의 작가 및 그 신분, ‘제자학’ 문자를 인용하여 스님을 묘사하고 서술하거나 불상과 범종을 기술함 등 5가지 점이다. 이처럼 한국 후삼국시대 이전의 금석문 ‘제자학’은 일정한 가치의의를 지녀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제자학’의 기초를 충분히 다질 수 있고, 이로 관련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 토대와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까닭에 앞으로 새로운 평가를 거친 발전의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在韓後三國時代以前的'諸子學'初探 - 以後三國鼎立時期前金石文'諸子學'印記爲中心

        강성조 ( Kang Seong Jo )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2 No.-

        본문은 제목을 "한국 후 삼국시대 이전의 '제자학'에 관한 초보적 탐구"라 정하고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 '제자학'의 개황,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의 흔적, 후 삼국시대 이전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흔적의 가치의의 등 문제를 탐구 토론한다. 해당 금석문에 보이는 '제자학' 문자가 관련된 시기는 일찍이 700년(신라 효소왕 9년 즉 당나라 측천무후 성력 3년에 해당)에 시작되어 줄곧 이어져 890년(신라 진성여왕 4년 즉 당나라 소종 대순 2년)에 이르기까지이다. 그런데 해당 금석문은 단지 '비', '기' 2종류 문체에 한정되며 그 가운데 관련 '제자학' 문자를 인술 원용한 것으로 『논어』, 『맹자』, 『노자』, 『열자』, 『장자』, 『관자』, 『순자』, 『한비자』, 『윤문자』, 『여씨춘추』, 『회남자』 등 서적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바로 후 삼국, 고려, 조선시대와 서로 비교하면 그 대비되는 점이 분명하고 차이가 상당하다. 이는 곧 관련 금석문 '제자학'의 가치의의 문제로 귀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제자학' 의 관련 범위가 가장 넓음, '제자학'의 원용빈도가 가장 높음, '제자학'의 발전 상황이 가장 볼만함, 금석문 '제자학' 문자의 작가 및 그 신분, '제자학' 문자를 인용하여 스님을 묘사하고 서술하거나 불상과 범종을 기술함 등 5가지 점이다. 이처럼 한국 후삼국시대 이전의 금석문 '제자학'은 일정한 가치의의를 지녀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제자학'의 기초를 충분히 다질 수 있고, 이로 관련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 토대와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까닭에 앞으로 새로운 평가를 거친 발전의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is a first step inquiry into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pr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more detailed inquiry themes are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ost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and its value etc. Early Chinese philosophers equivalent to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began to appeared at the age of 700(that age was equivalent to King Hyo-So in the Kingdom of Shin-Ra. at same time Tang, Sheng-Li 3 in Ancient China), continued to at the time of 890(equivalent to Queen Jin-Sheng of Shin-Ra, at same time Tang, Shao-Zong 2 in Ancient China). However thos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restricted to two kinds of literary style: tombstone( 碑) and Descriptions(記), among those quoted the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ppeared at the classical canons: 『Analects of Confucius』(lun Yu 論語), 『Discourses of Mencius』(Meng Zi 孟子), 『Lao Zi』(老子), 『Lie Zi』(列子), 『The book of master Guan』(管子), 『Zhuang Zi』(莊子), 『Xun Zi』(荀子), 『Yin Wen Zi』(尹文子), 『Han Fei Zi』(韓非子), 『Lushichunqiu』(呂氏春秋). 『Hui Nan Zi』(淮南子) etc. On the stand point,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Go-Ryoe(高麗) and Cho-Son(朝鮮) dynasty, We can fond out contrast point obviously, even considerably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m. that is related with consequences of valu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Taken an examples of those values are five kinds of point as followed: relatively scope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are most broad than any others, most highly quoted frequencies, worth seeing of development situation i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writer and one's social status o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using a letter of Early Chinese Philosophers described Buddhist monk or Buddhist image and temple bell. Like above,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in trace marks appeared at the Inscriptions on Metal and Stone in the pre-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has a fixed value, so enough to make a hard foundation on the Early Chinese Philosophers. and also can make an opportunity and basis for engage upon the related study. Therefore hereafter we can make a further development chances by way of new evaluation.

      • KCI등재

        최근 20년간 中外學界의 古朝鮮에 대한 연구와 과제

        李宗勛,鄭載男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3

        古朝鮮은 동북아에서 한때 강성하였던 고대국가로서, 그 세력범위는 오늘날의 중국 遼東반도 동부 및 한반도 북부를 포함하였다. 그 지리적 위치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고조선 역사를 연구하는 주요 국가는 북한, 중국 및 한국이다. 고조선 역사발전의 진실성을 밝히는 것은 韓民族의 원류 문제 및 初期國家 형성(연구)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중국 동북지역의 古代民族史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추동할 수 있다. 최근 20년 이래 국내외 古朝鮮史 연구는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으나, 관련 사료가 매우 부족하고 이에 더하여 세 나라 학자 사이에 연구 시각, 歷史觀 및 문화전통상의 차이로 인하여, 관점이 다양하고 의견 차이가 비교적 크며, 특히 檀君神話·箕子朝鮮 등 國家起源의 중요 문제에서 이견이 집중적으로 표출되고 있고 아울러 이와 관련된 韓民族의 起源, 한반도 문명의 발상지 및 고조선 역사발전 과정 등의 문제에서 論戰을 유발하였다. (본 논문은) 1990년대 초에서 2010년대 초까지 20년간 남북한 및 중국 학계의 고조선 역사에 대한 연구상황 분석 및 총괄을 통하여, 세 나라 역사학자의 서로 다른 학술관점을 상세히 소개하는 동시에, 최근 20년간 남북한 및 중국 학계 각자의 연구전통, 특징 및 관점의 변화와 대립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동시에, 앞 시기의 中外學界 연구 성과를 정리한 기초 위에서 檀君朝鮮에 대한 견해 및 향후 고조선사 연구의 주요 과제를 제기하였는데, 이 과제에는 고고학적 자료를 중시해야 한다는 것, 學際間 (성과를) 交叉 利用해야 한다는 것, 가능한 조기에 古朝鮮의 개념 및 그 연구범위를 정립하여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고조선사 연구에 있어서의 정치적 태도를 바로 잡고 편협한 민족주의사관을 벗어나야 하는 문제 등을 주요하게 포함하고 있다. The ancient Korea was a powerful country in the Northeast Asia. Its forces ranged from the eastern part of the Liaodong Peninsula to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geographical positio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have been the main countrie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in the last twenty years. However, due to the extreme scarcity of historical materials, scholars of the three countrie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historical views, scholars and traditions, disagree on issues such as the origin of the Korean nation, the cradle of civilization and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This paper is a summary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in the last 20 years, and it also introduces different academic views of scholars from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 KCI등재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 기원, 전개 및 배경

        김종명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rigins of secular Buddhism, which is used as a synonym for Buddhism for blessings in this paper, together with its development and background in ancient Korea. In India, early Buddhism was a self-sustaining life education system. However, Buddhism introduced to ancient Korea was a Chinese form of Buddhism as a belief system. The agents of Buddhist acceptance in ancient Korea was the political circles, and Buddhism functioned as a political religion, a religion for blessings, and a miraculous religion at that time. Believing in karmic retribution, ancient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kings and nobles, misunderstood Buddhism or had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it: they regarded the Buddha as a divine being, Buddhism as a belief system, and the Buddhist community as a subject of national control. This tradition is believed to have continued until the present with different forms and contents. Thes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n Buddhism still remain points of debate for further stud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the Buddhist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karmic retribution, Buddhism as a trad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intelligence. 이 연구의 목적은 4세기부터 10세기까지 고대 한국의 기복불교로 대표되는 세속불교의 기원과 전개 및 배경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기복불교는 한국불교의 제반 문제점이 집약적으로 돌출된 현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 3장의 본문으로 구성된 이 논문의 1장 「세속불교의 기원」에 서는 인도로부터 중앙아시아로,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다시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세속불교의 기원에 대해 검토하였다. 2장 「세속불교의 전개」에서는 4세 기부터 10세기까지 한반도에서 전개된 세속불교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논하였다. 3장 「세속불교의 배경」에서는 세속불교의 인적 배경으로서 승려, 국왕을 포함한 왕족 및 관리로 대표되는 지식인들의 불교관 및 세속불교의 사상적 배경으로서의 업설을 검토하였다. 초기 불교는 자력에 바탕을 둔 인생교육제도였다. 그러나, 불교의 시공간적 전개와 함께, 그 성격도 변하였으며, 업사상을 바탕으로 한 기복신 앙은 그 대표적인 산물이었다. 인도에서 성격 변화를 거친 초기불교는 중앙아시아로 전파되었으며, 다시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전해졌다. 중국으로 전파된 불교는 중국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고대 한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도 이러한 중국화 된불교 전통이었다. 초기불교의 성격 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치계와 불교계의 유착으로 간주된다. 현존 자료들에 의하면, 고대 한국에서도 불교 수용의 주체는 정치권이었으며, 불교는 정치 종교, 기복 종교 및 기적 종교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전통의 인적, 사상적 배경은 당시의 지식인과 업사상으로 나타났다. 불교의 수용 및 전개와 관련된 당시의 지식인들의 불교에 대한 이해는 잘못되었거나, 제한적이었는데, 그들은 초기불교에서와는 달리, 붓다를 신적 존재 로, 불교를 타력 신앙으로, 승단을 국가적 통제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이 전통은 고려(918~1392)와 조선(1392~1910)을 거쳐 현재까지도 그 형태와 내용을 달리한 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대 한국불교의 뿌리가 된 고대 한국불교의 이러한 특성들은 종교와 정치의 관계, 업설의 불교철학적 의미, “전 통”으로서의 불교, 종교성과 지성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쟁점 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고깔과 종이접기

        채금석,김소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8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tgal and paper-fold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aning and history of Korean ancient Kotgal and then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Kotgal and Korean paper-folding culture which has been inherit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along with empiric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old that Kotgal was used a as a trident hat symbolizing the sky, land, and man, whereas Korean paper-folding is known as closely related to the folk beliefs which had existed since ancient times. From ancient times, the Korean ancestors expressed the Three Gods representing beauties of the nature, 'sky(Chun), land(Ji) and man(In)' on the conical hat and prayed for their wish to the heaven. Second, Kotgal has been evolved in various ways from ancient times through Goryeo and Joseon Dynasty to present. The form of Kotgal has begun with folding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 of Korean paper-folding, which is the Korean traditional craft. Third, the paper-folding tradition of Korea has been variously applied in the Korean culture such as rituals, life crafts and plays and expresses the unconventional philosophical concepts unique of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evidently shows that the Korean philosophical ideas behind Kotgal which originated from ancient paper-folding are scientific and systematic.

      • 북한의 역사 인식과 부여사로의 적용 -권승안의 『조선단대사 : 부여사』 비평-

        이종수 ( Lee Jong-su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3 No.-

        『조선단대사 : 부여사』는 과학백과산전출판사가 2011년에 출판한 단행본으로 저자는 권승안이다. 북한의 부여사 연구는 초기 유물사관에 기초하여 기술되었다. 1990년대 들어 주체사관에 입각한 북한형 민족주의 역사관이 확립된 이후에는 모든 역사 연구가 이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부여의 역사를 기원전 1500년경에 건립되어, 기원후 494년에 멸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더불어 기원전 2세기를 기준으로 고대노예제사회인 고대부여와 봉건 농노제사회인 후부여 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이 책의 문제점으로는 역사기록의 자의적 해석이 너무 지나치다는 점, 부여 영역을 너무 광범위하게 설정하고 있는 점, 고대부여에서 다룬 내용들이 모두 후부여 시기를 기술한 문헌자료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등을 들 수 있다. 우리와 북한의 부여사 인식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북한역사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향후 남북한이 서로 한 민족으로서 동질성을 강조하면서 협력하여 역사연구의 새로운 합일점을 찾아낸다면 우리민족의 역사로서 부여사는 재정립될 것이다. 『Joseon Dandaesa : Buyeo History』 was released in 2011. It is written by Kwon Seung-an and the publisher is Encyclipedia of science. North Korea`s Buyeo history is based on early historical materialism. From 1990 (90`s), all the studies of North Korea started making progresses with their unique historical view after it was consolidated. It is called Subjective historical view of North Korean Nationalism. North Korea considers that the historical period of Buyeo is from BC.1500 to AD 494. Based on the second century BCE, it is divided into ancient Buyeo, a slavery society, and later Buyeo, a feudal serfdom society. The composition of the book is divided into Part 1 ancient Buyeo and second part later Buyeo. This book describes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period, the realm, the regime, the economy, culture, foreign relations, the process of destruction. The problems of this book include the excessiv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the fact that Buyeo area is set too wide.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ncient Buyeo are all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describing the later Buyeo period. There are some huge differences of acknowledgement of Buyeo histor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ut we have to keep looking over historical study of North Korea. Because I believe that the time will come when we can cooperate each other with our common sense as being one nation. It will bring two countries to get an agreement with historical view of Buyeo history to organize with one consensus. this would a condition to reestablish as a result. We get an agreement with historical view between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