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가의 법정 증언에 대한 인식 및 증언의 허용성 평가

        김민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판사 또는 배심원에게 증거를 이해시키거나 사실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문가의 법정 증언에 대한 판단은 판사가 한다. 미국의 경우 전문가의 법정 증언 허용에 대한 기준들이 마련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과학적 증거나 과학적 증거에 바탕을 둔 전문가 증언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며 관련 증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한국의 판사와 일반인들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전문가 증언에 대한 허용 경험, 전문가 증언의 허용 여부를 고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판사와 일반인들은 일반적으로 법과학 증거나 의학 증거 관련 전문가들의 법정 증언이 유무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 보다 더 정직하고 유능하며 신뢰롭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경찰, 회계/부동산 감정가, 거짓말 탐지 검사관에 대한 중요성, 정직성, 유능성, 신뢰성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았다. 또한 판사들은 전문가 증언에 대한 허용 여부를 고려할 때 전문가가 받은 훈련의 내용, 증언에서 사용된 이론이나 증거 분석 및 연구 방법이 학계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지, 이전에 전문가로 증언했었는지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t testimony is intended to assist the trier of fact in understanding certain type of evidence and the admissibility of expert evidence is determined by the trial judge. The admissibility standards for expert witness exist in the United States, but Korean legal system do not have structural standards or explicit rules for evaluating the admissibility of scientific evidence or expert testimony. This study examined 1) general perceptions of Korean judges and lay people on a variety of expert witnesses, 2) judges' admissibility evaluation experiences, and 3) which criteria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when evaluating admissi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judges and lay people rated forensic science or medical experts as most important, honest, competent, and reliable, whereas police officer, accountant/appraiser, and polygraph expert were placed at the bottom. Further, training, general acceptance, prior expert testimony experience, and level of education are perceived as important criteria when evaluating admissibility of experts in Korea.

      • KCI등재

        교육과정 연계형 선발의 방법론: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황두환(Hwang, Du-Hwan),조용개(Cho, Young-Gae) 한국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America and of the selection system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 typical selection system by the linkage of high school-university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policies are collected and operated by the state government. Second, the type of admissions is simplified to early admissions, regular admissions, and occasional admissions. Third, as an example, UC Berkeley is conducting a university admission with a method of holistic reviews .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operations in America are that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 is independent of the selection in university for guaranteeing normal operation. The selection is made by articulation betwee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nd the admission data is unified regardless of admission types. Using the case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alyzed in this study, first, various admission materials are used such as recommendations from counselors and teachers, and letters of self-introduction as well as high-school records when selecting students. Also, the high school records are of more importance and have greater weight to university admission than the national standardized testing. The framework of universities selection systems applies a model that selects students who meet the purpose of the major unit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context of social selection and reflecting the university s ideology and educational nee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calle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considered as a competitive system. But in order for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to actually contribute as a mechanism towards the candidate’s selection the linkage of high school-university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in Korea must be included in the admission process, otherwise the weight of standardized test alone has the opposite crippl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curriculu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nfluenc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o extend nation-owned evaluation rights to individual schools and teach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s student selection method to the major unit selection system that selects students who meet the purpose of the major unit education.

      • 입학사정관제 공통지원서 구축을 위한 전형영역 표준화 방안

        이교혁(Lee Kyo Hyeo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2

        이 연구는 한국의 입학사정관제도에서 공통지원서 양식의 토대를 제공할 전형영역 표준화에 그 목적이 있다. 대학마다 인재상이 다르고 모집단위가 다른데 어떻게 공통양식을 만들 수 있겠느냐는 반대의견도 상당수 존재한다. 하지만 연구결과 각 대학에서 요구하는 전형요소가 표현의 방식은 달라도 대부분 일정한 범주에서 선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소개서에서 동기(Motive), 활동(Activity), 계획(Plan), 환경(Environment), 자아(Identity)의 5대 전형영역이 나타나고, 추천서에서 학업영역, 인성영역(개인적 특성, 사회적 특성), 교육환경영역의 3대 전형영역이 나타나고 있었다. 즉 공통지원서에는 위의 영역의 질문으로 통일하고, 각 대학은 세부전형요소를 만들어 대학별 또는 모집단위별 고유의 인재상과 부합하는 지원자를 선발하도록 하는 것이 사정관제도 시행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새로운 문제들-고교 현장의 입시업무 과중, 사교육의 입학사정관제 침투-을 해소할 것이다. 전형영역의 표준화는 공통지원서 설계에 있어서 그 바탕이 될 것이고 이는 입학사정관제도가 한국 내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Admissions Office System,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2007, presented a few problems although it had a very positive aspect of enabling evaluation of applying student as a whole person. Since universities have autonomy in selecting evaluation methods, they use various different criteria. They also ask students to submit personal statement, letter of recommendation and other documen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et for special admissions. Applicants and high school teachers face a number of difficulties. At the same time, many problems seem to emerge including surging workloads for high school teachers, low reliability of personal statements and letters of recommendation which are usually prepared in a rush. Even worse is the ghostwriting of recommendation letters, which offset the very purpose of the Admissions Office System, which is to curb negative sid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d a method of making Common Application required by the Admissions Office System. This method will save considerable amount of social expenditures. The key issue in this regard is how to sufficient various questions and evaluation materials as a precondition that each university requir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evaluation criteria can be standardized into 5 areas of Motive, Activity, Plan, Environment, Identity in self introduce and 3 areas of Scholastic Achievement, Human Nature,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commendation.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a method to standardize evaluation criteria is found as a preliminary work to make Common Application in the Admissions Office System.

      • KCI등재

        형사절차상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명력과 증거능력에 대한 연구 - 미국의 논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강우예 ( Kang Wu Y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1

        비교적 낮은 과학적 엄밀성을 지닌 사회과학적 증거라고 하더라도 형사절차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법정에서는 단지 과학계에서 승인된 고도의 정확도를 자랑하는 과학만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을 평가하는 데에는 미국 연방대법원의 도버트 기준이 활용될 수 있다. 사회과학적 연구 또한 경성과학에서 활용하는 방법론을 활용하는 경우들이 있으므로 검증가능성, 출판 및 동료심사, 오류율, 일반적 승인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당 증거가 형사절차의 특정한 국면에 현출되는 것이 적절할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과학적 증거의 방법론에 대한 도버트 식의 검토가 불가능하거나 적절치 않은 경우 관련성 기준을 고려하는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관련성 기준은 일면 도버트 기준에 비하여 해당 전문지식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성질을 지녔다. 사회과학적 증거의 타당성과 유효성에 대한 직접적인 판단이 유보된 상태로 남게 되면,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과 증명력 판단은 절차의 역동성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절차참가자들의 역할을 종합하여 해당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명력(probative value)이 불공정한 효과(unfair prejudice)를 넘어섰는지 여부에 따라 증거능력이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폭력피해자인 피고인의 방어권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하여 또는 강간피해자 처한 심리적·사회맥락적 정황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위하여 피학대여성증후군이나 강간외상증후군과 같은 사회과학적 증거를 현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Even social scientific evidence that hold low scientific value can be helpful to prove the fact in issue in the criminal process. It is not true that only science with high accuracy can be used in a court. Most of all, the Daubert-standards posited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n be applied to a social scientific evidence to determine its admissibility. Some social sciences rely on the methodology commonly held in hard science. Therefore, the Daubert`s factors, such as testability, publication and peer review, error rate, general accept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ecide whether it is proper to admit a particular social scientific evidence in a cour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evancy standard when the Daubert standards cannot be applied to a methodology of a scientific evidence in issue. In contrast to Daubert standrads, the relevancy standards indirectly assess validity of methodological aspects of a social scientific evidence. When a review of validity of a scientific evidence is put aside, the consideration of a scientific evidence will be placed on dynamics of a process. In this case, after considering all participants` opinions in the process, the admissibility of the social scientific evidence can be determined with striking balance between probative value and unfair prejudice. In this sense, some clinical evidences, such as battered women syndrome and rape trauma syndrome, can be admitted to sufficiently support a female defendant`s right and to more clearly understand socio-psychological context of a rape victim.

      • KCI등재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란 무엇인가?

        이원석(Wonsuk Lee),Robert E. Stak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본 논문은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론을 제시하고자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의 개념과 핵심적 관점을 소개하고 현장 적용 방식 등을 논의한다. 반응적 평가는 표준화된 준거와 기준 위주의 이른바 기준-기반 평가(standards-based evaluation)와는 달리, 이해관계인들(stakeholders)의 경험과 활동에 대한 인식, 이해관계인들이 가지고 있는 이슈(issues), 세밀한 묘사를 통한 간접적 경험(vicarious experience), 맥락(context),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 등을 중시한다. 이를 통해 반응적 평가는 평가 대상(evaluand)인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이해(experiential understanding)를 추구하며 프로그램의 질(quality)을 판단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반응적 평가에 대한 현장 적용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반응적 평가 계획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and the core perspectives of responsive evaluation and discusses how to apply it in practice. Contrary to standards-based evaluation, responsive evaluation values stakeholders' perceptions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issues, vicarious experience by portrayals of evaluand, contexts, subjectivity, and pluralism. Responsive evaluation pursues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a program as evaluand, judgments of program qua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inally, a plan for a responsive evaluation on the Korean college admissions officer program is presen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responsive evaluation in practice.

      • KCI등재

        고입 체육특기자 입시전형 개선방안

        이창현,이용식 한국체육정책학회 2021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9 No.2

        The Sports Innovation Committee in 2019 recommended a fair and clean high school entrance admi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because there were too many problems in this admission. This study examined improvements for the high school entrance admi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requirements of entrance examina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related document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s for student athlet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tc in Korea. There were three findings as follows. First, we set up a basic direction of the standard of the high school entrance admi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Second, we suggested each solu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selection in two models. Finally, we recommended specific plans for subjects achievements, sports game results and practical examinations in the high school entrance admission. Other improvements would be suggested in relation to this study inteviewing student athletes, parents and instructors because this study examined mainly documents.

      • KCI등재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 도입에 따른 진로선택과목 운영 및 이수에 대한 고교생의 인식

        고영빈(Young-Bin Go),지은림(Eunlim Ch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 진로선택과목에 성취평가제가 처음 적용된 2019년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선택과목 운영 및 이수에 대한 고교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고교의 진로선택과목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학생의 과목 이수와 관련된 요인들 및 대입과의 연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1년에 고교 3학년생들이었으며, 질문지는 배경변인과 5개 영역에 대해 총 30개의 문항들로 구성되었으며 학생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들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작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문항별 평균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결과 첫째는 학생들이 진로선택과목을 자신의 진로⋅적성에 맞추어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나, 과목에 대한 정보 부족을 어려움으로 겪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개설되지 않는 과목에 대해서는 포기하게 된다는 응답이 많은 비율(64.8%)을 차지했으며, ‘공동 교육과정’ 또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통해 원하는 과목을 이수한 학생의 비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셋째, 기존의 석차등급제를 적용할 때보다 성취평가제를 적용하게 되면서, 학생이 자신의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결정하는 경향성은 향상되었다. 넷째, 진로선택과목 이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였고, 다음으로는 ‘진로 성찰 도움’, ‘과목 선택권’, ‘과목 개설 수’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대체로 진로선택과목이 대입에 연계되는 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현재 학생들이 진로⋅적성에 맞춰 자율적으로 진로선택과목을 이수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에서 고교학점제의 취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향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교육 여건 및 지원체제 개선, 성취평가제 적용, 대입제도와의 연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taking career-related subje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standard-based assessment to understand how career-related subjects are operated in high schools, what factors are related with students’ selections, how career-related subjects are related with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capital areas, who entered in high schools in 2019 when the standard-based assessment began to get implemented to career-related subjects. It consisted of 30 items for student background and five domains related with the operation of career-related subjec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ections of subject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related subjects and university admis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mad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factor for students’ selecting subjects was their career and aptitude, but students were found to require more professional counseling. Also ‘common curriculum’ and ‘online curriculum’ need to be developed to provide the variety of subjects for students. To help students select subjects for their own career and aptitude, the reliability of standard-based assessment should also be ensured. For students’ satisfaction of taking subjects, the quality of teaching should, first of all, be improved. Final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sidered the career-related subjects they had taken should be reflected for university admission. Conclusions Career-related subjects tend to be operated in high schools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u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with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selective curriculum-related conditions, standard-based assessment, and university admission system.

      • 성취평가제의 대입전형 활용에 대한 한국사 교사의 인식 연구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이명규 ( Myoung Gyu Lee ),이태수 ( Tae Soo Lee ),성태모 ( Tae Mo Sung ),정대근 ( Dae Keun Jeong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9 No.-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경쟁력 있는 학생들을 육성하기 위해 혁신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환경과 창의적인 수업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중등교육에 있어 교육과정과 평가방법에 있어 변화가 있으며, 그 평가방법으로 성취평가제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성취평가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며, 대학 입시전형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교사가 현재 시행 중인 성취평가제를 대입전형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등급 간 격차는 크게 가져가는 좋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성취평가제가 대입전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교육부는 각 학교에서 시행중인 평가요소를 통합하여 각 과목별 평가항목을 제시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로 성적 부풀리기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Current society demands innovat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creative class change for developing competitive students in knowledge-based society. With this flow, a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 in middle-class education such as standard-based assessment have been changed. This research shows the application plan of college admission process and the understanding of awareness and management of teachers through conducting a survey. Some results represent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standard-based assessment of teachers is insufficient. In spite of this result, considerable number of teacher respond that standard-based assessment is applied to entrance into college and high difference between grades is better. For using standard-based assessment on college admiss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pose evaluation items in respect of each subject after integrating assessment factors in effect in schools. Also, guideline is suggested for a fair evaluation. additionally based on continuous management, problem of ballooning grades will be solved as a general rule.

      •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임진택 ( Jin Teak Lim ),조민경 ( Min Gyeong Cho ),김효희 ( Hyo He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4 입학전형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교우관계, 중도탈락률 등을 통해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입학전형별 입학생 학업성취도에서는 2011∼13학년도 입학생 모두 수시 입학사정관전형, 수시 논술전형, 정시 수능전형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입학전형별 재학생들의 생활적응도 분석 결과에서도 수시 입학사정관전형 재학생들이 타 전형에 비해서 긍정적인 수치를 보여주었다. 입학사정관전형 내 N전형 입학생학업성취도 분석 결과 수능성적이 우수한 그룹이 수능성적이 낮거나 미 응시한 그룹보다 입학 후 학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생 및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생활적응도 결과를 통해서 향후 대학입학전형 방향과 수능 최저학력기준 설정 여부를 위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tness of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experience satisfaction, peer relation, and abandonment rate base on types of admissions. Based on this study,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year 2011-2013, all students resulted in high academic performance in the order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early admission, essay test of the early admission, and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the regular admission. In addi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ose students who were enrolled through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showed positiv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college experience compare to other types of admission. Students with excellent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chieved higher academic grades compare to students with low or non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within the college admission of N in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 The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freshmen and current students suggest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whethe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llege admissions and the minimum scholastic standard of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KCI등재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과 대학의 자율성

        이상명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4

        On September 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college entrance system of 2022 school year',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nference. Of these, there are three parts that hinder the autonomy of college. First, in connection with 'high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college support project', it is evaluated whether or not a prose-based oral test is necessary to induce minimization, and the essay test is gradually phased out. Second, only the college with more than 30% of the regular admissions will be granted eligibility conditions. Third, whether to use the minimum standard of scholastic ability in college admissions at college is at autonom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ruitment units in a comprehensive manner so as not to hinde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election method and applying the excessive minimum scholastic ability standard, it is evaluated negatively in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The problem is that it recommends these reform ideas to college or that it is autonomous to the college, but in the meantime, it is inevitable to accept them as a compulsory measure by linking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high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college support project'. First,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Higher Education Act, the essay test can be carried out autonomously by the head of the college. In order to abolish the essay test, the essay test should impair the original purpose pursu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the essay tes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lective test and provide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at have been emphasized so far by our educational system. It i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Act because it can not find any legal foundation to press the college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project without the educational purpose or philosophy for the ratio of the occasional and the regular admissions. In addition, it is not unreasonable to reflect the ambiguity of the minimum standard of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inancial support program whether to use the minimum scholastic ability standard of the scholastic ability or not, and it infringes the right of student selection of the college. The autonomy of college is inevitable in order to train future talents. Educational policies should ensure maximum autonomy of college. College should be given autonomy so that they can select suitable students for their pursuing talent and educational goals. 지난 9월 17일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 권고안을 반영하여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을 발표하였다. 이 중에서 대학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부분을 세 가지로 지적하였다. 첫째,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전형 특성상 제시문 기반 구술고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최소화를 유도하고, 논술전형은 단계적으로 폐지를 유도하며, 둘째, 수능위주전형 비율 30% 이상 대학에만 재정지원사업 참여 자격조건을 부여하고, 셋째, 수시 모집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 활용 여부는 대학 자율로 하되, 선발방법의 본래 취지를 저해하지 않도록 모집단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과도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할 경우 재정지원사업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 등이다. 문제는 이러한 개편안을 대학에 권고한다거나 대학의 자율로 한다고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이라는 재정지원과 연계함으로써 대학으로서는 사실상 강제적인 조치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선 논술고사에 대해 살펴보면, 고등교육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논술고사는 대학의 장이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이를 폐지하기 위해서는 논술고사가 초・중등교육이 추구하는 본래의 목적을 훼손하는 경우라야 한다. 그러나 논술고사는 기존의 선택형 수능시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제까지 우리 교육계가 꾸준히 강조해 온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수시와 정시의 비율을 놓고 교육적 목표나 철학 없이 국고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대학을 압박하는 것은 어떠한 법적 근거를 찾을 수 없어 헌법과 고등교육법을 위반하는 것이다. 또한 ‘과도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모호함을 정리하지 않고 수능최저학력기준 활용 여부를 재정지원사업에 반영하는 것은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자율성 확대는 불가피하다. 교육정책은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대학마다 추구하는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적합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대학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특성화된 대학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