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권 보호의무 위반 여부의 심사척도와 심사강도- 기후위기 헌법소송에의 적용 -

        이재홍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4 환경법과 정책 Vol.32 No.2

        기후위기 헌법소송에서 보호 대상인 권리로 ‘안정적인 기후에서 생활할 권리’라는 헌법상 환경권을 상정할 수 있다. 기본권보호의무 위반을 심사하는 헌법재판소의 심사척도인 “적절하고 효율적인 최소한의 보호조치”는 경우에 따라 “전적으로 부적합하거나 매우 불충분한 경우” 법리 혹은 비교형량 법리와 병행하여 설시되기도 한다. 그 중 “전적으로 부적합하거나 매우 불충분한 경우”라는 심사척도는 별도로 설시할 실익을 찾기 어려운 반면, “비교형량”은 적절하고 효율적인 최소한의 보호조치의 구체화 기능을 하는 바람직한 심사척도이다. 특정 사안에 적합한 구체적인 심사강도는 위해의 심각성, 사회적 연관성, 예측 필요성, 사법부의 입법부에 대한 상대적 전문성이라는 네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되고, 이를 근거로 기본권보호의무 위반을 심사하는 심사강도를 다양화할 수 있다. 기후위기 헌법소송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 즉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해 보면 2.9℃ 상승이 예측되고 이는 파국적인 기후 불안정을 야기하므로 안정적인 기후에서 생활할 권리의 침해 위험이 매우 큰 상황인 점, 온실 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 안정성 확보라는 이익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라는 불이익을 부담하는 사람에게까지 고르게 돌아가므로 감축 목표 설정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피해를 입을 사람을 찾기 어려운 점, 입법자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입장에서 기온 상승을 1.5℃로 억제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적극 동참하기로 이미 정책적 판단을 마치고 이를 탄소중립법 제3조 제8호에 규정한 점,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 불안정 초래 위험에 관한 과학적 증거가 축적되어 입법자의 예측 판단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 기후 위기는 어린이, 비인간존재 등 전형적인 소수자/약자 보호 사안이어서 권력분립원칙상 사법부가 입법부에 대해 상대적 전문성의 우위에 있음이 인정되는 전형적인 사안인 점이 두드러진다. 위와 같은 특징들 때문에 심사강도 결정 4요소들 모두 심사강도 강화 쪽을 지지한다. 따라서 기후위기 헌법소송은 그 심사강도를 “명백성”보다 강화해야 한다. 본안 판단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이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고통을 가하는 계획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온실가스 배출은 온갖 자유의 근원이므로, 그 배출량을 감축하는 계획은 우리의 자유를 자발적으로 줄이는 고통을 스스로에게 가하자는 계획이다. 이는 단기적 행복 추구라는 인간의 뿌리 깊은 성향에 반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이를 담보할 강제 장치가 없다면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다. 위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계획의 특징과 심사척도 및 심사강도 법리를 기후위기 헌법소송 중 2031년부터 205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미설정이라는 부진정입법부작위에 적용해 보면, 이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최소한의 보호조치에 이르지 못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부진정입법부작위는 안정적인 기후에서 생활할 권리를 침해하여 위헌이다. In a constitutional litigation concerning the climate crisis, the protection of right to live in a stable climate is a key issu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standard for reviewing violations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constitutional rights is "adequate and efficient minimum protection measures." Depending on cases, this standard is presented alongside the doctrine of “entirely inappropriate or extremely insufficient measures” or the balancing principle. However, the latter—balancing principle—is more suitable for specifying “adequate and effective minimum protection measures.” The specific intensity of the review for a given case is determined by four factors: the severity of the harm, its social relevance, the need for legislature’s prediction, and judiciary’s relative expertise over the legislature. These factors allow for varied intensities in reviewing violations of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constitutional righ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NDC) of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predicts a temperature rise of 2.9°C, leading to catastrophic climate instability. This indicates a high risk of violating the right to live in a stable climate. The benefits of ensuring climate stability through greenhouse gas reduction are distributed equally, even to those bearing the burden of reduction obligations. Korean legislature has already decided, from a developed country’s perspective,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fforts to limit temperature rise to 1.5°C, as stated in Article 3, Clause 8 of the Carbon Neutrality Act. Scientific evidence on the risks of climate instability due to greenhouse gas emissions has accumulated, reducing the uncertainty in policymakers’ predictive judgments. The climate crisis particularly affects typical minority and vulnerable groups, such as children and non-human entities, making this a case where the judiciary’s relative expertise over the legislature is evident, under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Given these characteristics, all four factors—severity of the harm, social relevance, need for predictability, and judicial expertise—support strengthening the intensity of review. Therefore, intensity of review for the climate crisis constitutional litigation should be stronger than the “manifest” violation. Regarding the meri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nique aspect that greenhouse gas reduction plan, which continually impose suffering on community members. Since greenhouse gas emissions underpin various freedoms, plans to reduce emissions inherently involve self-imposed suffering by voluntarily limiting these freedoms. This runs counter to the deep-rooted human tendency to pursue short-term happiness, making specific target setting and enforcement mechanisms crucial for feasibility. Applying these standard and intensity of review to the case of the non-legislative omission of sett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from 2031 to 2050,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omission fails to meet the requirement for adequate and efficient minimum protection measures. Consequently, such non-legislative omission is unconstitutional as it violates the constitutional right to live in a stable climate.

      • KCI등재

        회생절차에서 신규지원된 자금에 대한 법적 보호방법에 관한 연구 − 우리경험과 미국의 DIP Financing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원삼 한국경영법률학회 2014 經營法律 Vol.24 No.3

        A firm continues to carry on business during reorganization proceeding. Although injunction order freezes the enforcement rights of creditors against the firm's assets and effectively extends the maturity of outstanding debt, the company must finance its continuing operations and investments. Because the firm have no additional to secured asset, it is difficulty to get funding. This paper explores, to resolve difficulties procuring postpetition financing required for the reorganization of a debtor, how to protect creditor rights in the current Korean Insolvency Act. Also this paper show a means of legal protecting origin from Corporate Restructuring Agreement, Corporate Restructuring Promotion Act ETC. To comparative law approaching, This paper investigate the Debtor- in-Possession (DIP) Financing in the US, which enables the debtor to authorize a priority over its other prepetition or postpetition creditors to the lender providing new financing.

      • KCI등재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원자력안전규제체계와 시사점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허가제도와 검사제도를 중심으로-

        윤혜선 ( Hye Sun Yoo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一鑑法學 Vol.0 No.27

        Nuclear power once promised to be cheap, clean, semi-homemade, and abundant and economic energy source for Korea. Today none of those claims are accurate. The tragic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n 2011 have caused another reconsideration of the role of nuclear power to many. The Korea government in general, the Korea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in particular are now confronted with safety regulation reform issues - so central to the core of their mission, as have arisen following the Fukushima accident and a series of domestic nuclear issues. On the other hand, despite of Fukushima and its own accident at Three Mile Island in 1979, nuclear power is a key element of the Obama Administr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gulatory framework of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and its approach to adequate protection, America`s regulatory standard for nuclear safety regul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our own regulatory practice. First, it provides the US nuclear industry overview, then covers regulatory overview based on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framework and the NRC. Next, it explains the NRC regulatory practice in the following order: separation of regulatory function and decision-making, the adequate protection standard, the 10 CFR Part 52 licensing regime and inspection programs. Finally the paper discusses some lessons learned from the foregoing analyses.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률상 형사처벌규정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전응준(Jeon, Eung-Jun)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2

        현행 개인정보보호법률은 단독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도 개인정보로 보고 있기 때문에‘쉽게 결합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의 범위에 따라 개인정보의 성부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동적인 개념은 현실상 불가피한 면이 있지만 수범자로서는 어떠한 정보가 법률상 보호되는 개인정보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 원칙 중 핵심적인 내용인 ‘적절한 고지’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헌소지를 막기 위하여는 개인정보의 정의조항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하거나 형사처벌법규에 제한적인 표지를 두어 자의적인 적용가능성을 적절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처리과 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동의에 대하여 필요이상의 기대를 하거나 동의만능주의와 같은 도그마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여야 한다. 동의는 정보주체의 법익처분의 의사 표시에 해당하므로 의사표시의 일반이론에 따라 처리하면 족하고 그 외에 엄격한 제한을 할 필요가 없으나, 현행 수사실무, 행정실무는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라는 용어에 과도한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고 보인다. 개인정보침해행위에 대한 형사처 벌법규는 수범자에게 적절한 행위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주체의 개인정 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Under the data protection act, not only the single information that identifies person, but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other information to identify person as well are regarded as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the scope of ‘easily combinable information’ determines establish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lthough it is inevitable that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definitively fixed,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law does not qualify for ‘adequate notification’ of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s one cannot accurately predict whether the information he or she is dealing with is in fact protected by the data protection act. To avoid violation of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define personal information articles or to limit the delegation of punitive law in order to prevent its arbitrary implementation. Also expecting too much from the role of ‘consent’, which is a necessary requisite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 or falling into a dogma of almighty ‘consent’ should be rejected. The consent is expression of allowing use of the data, therefore abiding by general theory of declaration of will is sufficient. However, current administration practice is granting excessive meaning to the term of ‘informed consent’. The criminal penalties against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need to be improved through establishment of distinct standard of action to protect personal data and to adequately use the information.

      • KCI등재

        유럽사법재판소의 Safe Harbor 무효판결의 의미 -국외전송정보의 보호를 위한 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권과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권혁심 ( Hyuk Shim Kweo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고려법학 Vol.0 No.81

        미국과 유럽간의 개인정보 전송체제는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양안의 상거래, 특히 소셜미디어나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디지털산업에 중요하면서도 필수적이다. 지난 2000년을 전후하여 유럽의회와 이사회는 EU 개인정보 보호지침 제25조 6항에 의거한 Decision 2000/520에서 미국기업이 Safe Harbor 원칙을 준수하면 유럽시민의 개인정보를 미국으로 전송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미국 상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는 Safe Harbor Privacy Principles이라는 개인정보 보호기준을 정하고 이에 관한 유권해석을 FAQs에서 밝혔다. 그러나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에 근거하여 오스트리아 청년 Maximillian Schrems는 유럽에서 사업을 하는 미국기업이 EU법상의 적절성 판정 기준을 준수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아일랜드 정보보호위원회를 거쳐 아일랜드 고등법원에 소를 제기하였다. 고등법원이 사법재판소에 선결적부탁절차를 신청한데 대하여 2015년 10월 사법재판소는 정보보호위원회가 기본권을 수호하여야 할 헌장상의 기관으로서 조사권과 전송중지권을 행사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Decision 2000/520의 타당성 문제에 대하여는 미국의 국가정보기관이 기본권제한의 예외규정에 적용되어야 할 필요최소한 제한의 원칙을 무시하고 대량의 무차별적 접근의 통로로써 이용한 Decision 2000/520, 즉 Safe Harbor 체제는 무효임을 판결하였다. 한편 스노든의 폭로 이후에 진행된 양안의 협상결과는 사법재판소의 무효판결 이후에 일련의 법제도로써 발표되었다. 그간의 EU 정보보호지침을 대체하는 일반정보보호규정을 제정하여 2018년 발효될 것이며, 미국은 개인정보침해를 입은 유럽시민을 구제할 수 있는 사법배상법을 제정하였고, 사이버보안정보공유법에 의하여 기업과의 정보공유를 법제화하였다. 또한 Privacy Shield라는 자율정보전송체제가 2016년 6월 출범할 것이다. 개인정보의 전송체제를 둘러싼 미국과 유럽간의 법적 다툼과 협상을 통하여 디지털정보시대의 개인정보의 보호는 기본권적 가치를 가지며 이를 수호하여야 할 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afe Harbor Framework was declared to be invalid by the Judgement of Court of Justice of European Union. The Judgement of the Court came from the complaints of Max. Schrems and the finding of Snowden`s revelation on the access of NSA to servers of organizations in U.S. Max. Schrems who was a student of Law School in Austria brought this revelation into the Judge of history. The Judgement answered the questions referred by the Irish High Court as follows: Article 28 of Directive 95/46/EC o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and Articles 7 and 8 of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empowered a national supervisory authority to investigate a complaint alleging an inadequate level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 data transferred and to suspend the transfer of that data. Article 25(6) of Directive 95/46/EC requires of condition that a third country ensures an adquate level of protection, within the meaning of Safe Harbor Principles and Q&As and enforcement. European Commission made a Commission Decision 2000/520/EC of 26 July 2000 pursuant to that Directive, which gave a birth of Safe Harbor Framework. However, in the fourth paragraph of Annex I to that decision, titled derogation, open the door to the United States authorities` use of personal data of EU citizen. And their misuse of derogation was contrary to Articles 7, 8 and 52(1) of the Charter since it does not pursue an objective of general interest defined with sufficient precision and the proportionality of the interference. Therefore that Decision 2000/520, and provided by the safe Harbor privacy principles declared to be invalid.

      • KCI등재
      • KCI등재

        유럽사법재판소의 ‘Safe-Harbor-Principal’의 무효 판결과 그 영향

        임규철(Gyeo-Cheol, Lim) 미국헌법학회 2015 美國憲法硏究 Vol.26 No.3

        유럽연합과 미국사이의 상호 민간부분의 정보전송의 경우는 ‘safe-harbor’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2015년 10월 6일 유럽사법재판소(EuGH/ECJ)는 그 safe harbor에 대한 2000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on)의 결정에 대해 Richtlinie(Directive, 이하 준칙) 95/46/EG Art. 25 제6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개인정보의 ‘적정한 보호수준(angemessenes Schutzniveau) 보장’이 안 되기에 무효이고, 유럽연합 각국의 개인정보호청은 완전히 독립성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자국민의 개인정보가 미국으로 전송 시 유럽인만큼 적절한 보호수준을 누리는 지에 대한 독자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는 판결을 했다. 미국은 유럽사법재판소의 해당 판결에 대해 잘못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약 2년 전부터 진행해온 개정 작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빠른 시기에 공개하겠다고 했다. 반면에 고위급 개인정보 실무전문가 모임인 유럽연합의 ‘Gruppe-29’(Arbeit Party 29)는 이후 유럽인 개인정보가 미국에서 적절하지 못한 보호수준에서 미국으로의 safe harbor에 근거한 정보 전체의 전송은 위법한 정보처리이며, 전송된 유럽인의 정보에 대해 무제한적인 미 공공기관의 감시를 억제하는 것은 유럽연합의 주요한 임무이기에 유럽사법재판소의 판단은 옳다고 지지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 대안으로 각 국의 개인정보보호청의 독자적인 심사권 강화 및 유럽연합의 표준거래약관 및 의무적(규제적)인 자율규제(EU-Standardvertragsklauseln und Binding Corporate Rules)를 토대로 한 임시적인 전송허락을 주장하고 있다. 더불어 유럽연합 각 국의 개인정보보호청은 미국 기업들이 보유한 유럽인의 정보의 영구삭제는 반대하지만 비례성 및 투명성 확보나 보상 및 권리의 명시 등의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적절한 보호수준 준수를 심사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무효판결 후 safe harbor에 근거한 미국으로의 정보전송은 위법하다고 했다. 동시에 집행위원회는 2016년 말까지 미국과 판결에서 언급한 내용을 중심으로 새로운 규범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afe harbor에 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무효판결은 자국민의 정보를 국외에서 수집하면서 평가를 통해 영업수단으로 활용 혹은 감시 등의 정보처리를 하는 IT 민간기업의 규율에 대한 논의를 강하게 불러 올 것이다. 동시에 외국인에 대한 감시의 적법성 및 그 한계설정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규범마련에도 영향을 줄 듯하다.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회생기업의 자금조달방법 -미국 연방파산법상의 DIP Financing 제도의 도입가능성을 중심으로-

        남동희 ( Dong Hee Nam )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10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의 여파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를 비롯한 전국 법원의 법인회생사건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법원에 회생절차개시신청을 한 기업들의 경우 회사의 재산은 물론, 대표이사 본인 또는 그 가족 명의의 재산까지 모두 담보로 제공하여 더 이상 가용자금이 없는 상태에 처하는 등으로 해결방안이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러 그 상태로는 회생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회생기업의 성공적인 회생을 위하여는 사업운영의 기초가 되는 운영자금을 조기에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인바, 이 글에서는 회생기업이 이와 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운영자금을 회생절차 내에서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조달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회생기업의 경우 현행법상 추가적으로 운영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인데, 특히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추가로 차입한 예는 실무상으로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법무부에서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을 개정함에 있어 미국 연방파산법상의 신규조달자금에 대한 우대책인 "DIP Financing"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바, 회생기업의 성공적인 조기회생을 위하여는 위 제도와 같은 신규자금조달의 유인책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를 그대로 도입할 경우 우리나라 법제와의 관계에 있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연 우리의 현행 법제상 위 제도의 도입이 가능한지, 만일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지 여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표호건 한국지식재산학회 2007 産業財産權 Vol.- No.22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stern cells are used for and why scientists want to research them as much as they do. Stem cells are unique cells that have the capacity to reproduce themselves for indefinite periods in culture and give rise to specialized cells and tissues of the body. These cells are useful because they have the ability to develop into most of the tissues in the human body. They could eventually be used in curing people with life threatening diseases. These discoveries may provide cures for diseases which have yet to be uncovered by current medical research. Although stem cell research raises religious, moral and ethical concerns, it has far reaching potential for beneficial applications government are trying to address and balance these benefits with the concerns of their respective societies through legislation and regulations. The current patent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s fairly favourable to granting patent rights in most areas of stern cell research while Europe has much more restrictive provisions. In contrast, it is interesting to nate that while the United States has taken the roast expansive position with regard to the granting of patents arising from stem cell research, it has taken are of the more restrictive positions with regard to funding of this research. The opposite is true in certa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