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필사 고문헌에 나타난 어휘 고찰- 필사본 고어대사전의 어휘를 중심으로-

        박재연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All the studies of language can be said to start from vocabulary. In particular,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well-known for its diachronic changes, deserves research on its chronological transformations. The existing dictionaries of archaic Korean words had failed to show how each word changed over the course of time, let alone their limited entries.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that comprises words from Pre-Modern manuscripts expand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ope of entries of a dictionary. This dictionary made it possible to view rare words, abstruse words, extinct words, residual words and borrowed words. Rare words include 올/오리(lost amount), 어리쇠/어르쇠(match), 문(door, turn), 운(group, swarm), 몰 /물 /믈 (ugly looking, dense), 배 /배싸 /배 (interrupt), 가락하 (speak), and 돈길가 (expensive). Abstruse words include ‘어ㅎ,’ which could denote either ‘existing method' or ‘mind/face,' and ‘어머리,’ which could mean ‘trivial' as well as ‘conspicuously.'‘稚子’ and ‘襟丈’ are shown to have been the Chinese equivalents of ‘티’ and ‘금장’ respectively, whose meanings are ‘hostage' and ‘husband of wife's sister.' It was also revealed that such words as ‘도산’(present/a charge for a prostitute), ‘도의'(a broker, merchant) and ‘내맛'(a horse without a saddle)that had been used up to 16th century were used in the 18th century manuscripts as well

      • KCI등재

        한글 필사 고문헌에 나타난 어휘 고찰

        박재연(Park, Jae-yeo)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All the studies of language can be said to start from vocabulary. In particular,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well-known for its diachronic changes, deserves research on it schronological transformations. The existing dictionaries of archaic Korean words had failed to show how each word changed over the course of time, let alone their limited entries.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that comprise swords from Pre-Modern manuscripts expand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ope of entries of a dictionary. This dictionary made it possible to view rare words, abstruse words, extinct words, residual words and borrowed words. Rare words include<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lost amount), 어리쇠/어르쇠(match), 문(door, turn), 운(group, swarm), <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몰<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물<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믈<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ugty looking, dense), 배<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배싸-/배<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interrupt), <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speak), and 돈길가-(expensive). Abstruse words include '어 ㅎ,' which coutd denote either 'existing method' or 'mind/face: and '어머리,' which could mean 'trivial' as welt as 'conspicuously.' '稚子' and '襟丈' are shown to have been the Chinese equivalents of '티<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 and '금장' respectively, whose meanings are 'hostage' and 'husband of wife's sister: It was also revealed that such words as '도산'(presentla charge for a prostitute), '도의'(a broker, merchant) and '내맛<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a horse without a saddte)that had been used up to 16th century were used in the 18th century manuscripts as well.

      • KCI등재

        (번역)『박통사』(상)의 난해어

        김양진(Kim, Ryang-jin),장향실(Chang, Hyang-sil)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6

        This article aims lexicologically to research difficulty words which we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declinable words in the (Beonyeok)Baktongsa(朴通事) volume one. By this research, we find out meaning of several verbal words, as follows "japsoeu-[잡소으-](lesson 1 ), hyang-nario-[향나리오-](lesson 2), bopnol-[봅놀-](lesson 19), al-[알-](lesson 26), gatalh?-[가탈하-](lesson 33), and also uncovered meanings of abjective words like s?m?itgap-[사밋갑-](lesson 6), s?lgap-[살갑-](lesson 6), p?n[펀](lesson 13) etc.. This thesis present the reason why gatalh?-[가탈하-] means ‘totter’, ‘stagger’ and ‘stagger’. And also it was a significant research which find out ‘s?m?itgap-[사밋갑]-’ means ‘considerate(생각이) 깊-’ and the word of p?n[펀]means ‘p?l-[펄-]’ as meaning of ‘bluish green’. In fact, it was the controversialword. There were controversi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se words.Of course still there were lots of unsolved words in (Beonyeok)Baktongsa(朴通事), those are wait for in-depth research.

      • KCI등재

        雲門三句의 전승에 대한 白坡亘璇의 해석 고찰

        김호귀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3 No.-

        운문문언은 당대에 출현한 선종오가 가운데 운문종의 개조로 추앙되는 인물이다. 운문의 선사상은 후 대에 소위 一字關으로 불리웠고, 또한 그 선풍은 雲門天子로 표현되듯이 절제된 언어를 구사하기로 널 리 알려진 선자였다. 그 가운데 운문삼구로 알려진 가르침은 운문 이후에 그들의 제자에 의하여 명칭 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운문의 법어에서 삼구로 알려진 것은 函蓋乾坤·目機銖量·不涉春緣이었다. 이것을 그 제자 덕산원명은 函蓋乾坤·截斷衆流·隨波逐浪으로 정형화하여 크게 유통시켰다. 덕산원명의 운문삼구는 이후로 송대 회암지소의 『인천안목』과 고려시대 진정천책의 『선문강요집 』과 조선시대 환성지안의 『선문오종강요』 등을 통하여 전승되어 내려왔다. 이 가운데서 조선후기 에 백파긍선은 『선문오종강요』에 주석을 붙인 『선문오종강요사기』를 통하여 운문삼구와 軆中玄· 句中玄·玄中玄이라는 임제의 삼현을 적용하여 그 순서를 논하였다. 백파는 운문의 법어에 보이는 본래 에는 중·용·체의 순서로 간주하였고, 덕산원명의 경우는 체·용·중의 순서로 간주하였으며, 보안도 선사 의 경우는 중·체·용의 순서로 간주하였다. 백파는 각각 다른 이들의 순서에 대하여 어느 한 가지에 집 착하지 말도록 내세운 방편이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곧 백파는 운문의 삼구법문에 대하여 그 제자 및 손제자의 시대에 각각 다른 명칭으로 전승되어 적용되었을지라도 그들의 본의는 근기에 따른 방편설 법이었음을 백파는 수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The Seonmoon - Ojong - Gangyo - Sagi is an annotated book of Seonmoon - Ojong - Gangyo by Hwangsung-Jian in the late of Joseon-dynasty. OJONG means the five seon sects formed in the Dang-dynasty. So called, the Southern seon school was divided into the five sects : Lin-chi, Yün -mên, Tsao-tung, Wei-yang and Fa-yen. BACKPA emphasized the Yünmên three phrases by Seonmoon - Ojong - Gangyo - Sagi. That is, the Yünmên three phrases were consist of two types the three phrases. First are original three phrase. Second are acquired three phrase. First are original three phrase. That is to say, (1) hamgaegeongon[函蓋乾坤], (2) mokgisuryang[目 機銖量], (3) bulseopchoonyeon[不涉春緣] by Yünmên. Second are acquired tri-phrase, That is to say, (1) hamgaegeongon[函蓋乾坤], (2) jeoldanjoonryu[截斷衆流], (3) supachooklang[隨波逐浪] by Tȇ-shan. BACKPA emphasized that the Yünmên three phrases are related to three teaching methods[三玄] by Lin-chi I-hsüan. Three teaching methods are so called three kinds of truth. That is to say, (1) the abstruse beyond real[軆中玄], (2)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 namely, ordinary words[句中玄], (3)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玄中玄]. BACKPA compared Yün-mên three phrases with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the abstruse beyond real. And BACKPA compared Yün-mên three phrases hamgaegeongon, jeoldanjoonryu, supachooklang by Tȇ-shan with the abstruse beyond real,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And BACKPA Yün-mên three phrases by Fuan-Tao with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the abstruse beyond real,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BACKPA concluded that these divergence of opinions about the Yünmên three phrases are from expediencies for promulgating by zen masters.

      • KCI등재후보

        『박통사』상(上)의 몇몇 난해어들

        김양진 ( Ryan Gin Kim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漢城語文學 Vol.30 No.-

        Parktongsa(朴通事) was written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during the Won[元] dynasty. It had been used as a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rom the Korea dynasty to the Choseun dynasty. Even though it used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for several centuries, still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a abstrusity word in the (peonyeok)Parktongsa to understand the 16C Korean. For examples, ``가사?다가, 고디식-, 얼-, 봅놀-, 지체소옴터리로뷔??니, 버근?, ?-, 션?, ??려녀, ????집``. The other unsolved matters remains still, but part of lexical background of (peonyeok)Parktongsa considered to be solved

      • KCI등재

        (번역)『박통사』(上)의 명사류 난해어에 대하여

        김양진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번역)『박통사』(상)에서 보이는 ‘비므슬ㅎ, 보십고지, 박픵이, 귀엿골희, 귀여, 마지, 지페’ 등의 고유어와 ‘도산, 향초, 날, 갸품’ 등의 외래어계 난해어 명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 결과 ‘비므슬ㅎ’는 ‘비의 양’이라는 뜻이고 그 안에서 ‘’의 큰말인 ‘*슳’을 가정하고 이 단어의 구성을 ‘비+믈+슳’로 볼 수 있다고 보았고 ‘보십고지’는 ‘보습 모양의 곶’이라는 뜻에서 ‘보습곶’으로 현대역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 ‘박픵이’의 단어 구성을 ‘박+픵이’로 보고 이 단어의 뜻을 ‘호로박으로 만든 픵이’로 보아야 하고 이 단어 속의 ‘픵이’는 음성상징어로부터 왔을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귀엿골희’에 대해서는 이 단어가 중세국어의 ‘엊’과 관련되는 ‘귀어엿’에서 온 말로 ‘귀어엿’이 ‘귀엿’으로 줄어든 뒤 잘못 인식되어 ‘귀옛골희’ 형태를 만들어 17세기에 전해졌다고 보았다. ‘귀여’에 대해서는 『숙명신한첩』의 ‘귀여’의 예를 통해 이 단어가 담벽에 기대거나 붙여서 쌓아두는 장식용 가산(假山)이었음을 주장하였고 ‘네 마지호마’, ‘뒷지페디더라’와 같은 문장에서의 ‘마지’와 ‘지페’가 기존의 논의와 달리 용언의 어간 ‘맞-, 짚-’ 등의 활용형이라기보다는 이로부터 파생된 명사 ‘마지’, ‘지페’로 보아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 중국어의 입말에서 들어온 ‘도산(土山)’이나 ‘갸품(夾縫)’ 및 몽골어에서 들어온 외래어 명사 ‘날[紅玉, 루비]’과 ‘향촛빛’ 속의 한자어 ‘향초’를 ‘香燭’의 의미로 보고 ‘향촛빛’의 기본 의미를 ‘沈香色’과 연결시켜 살펴보고자 하였다. Parktongsa(朴通事) was written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during the Won[元] dynasty. It had been used as a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rom the Korea dynasty to the Choseun dynasty. Even though it used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for several centuries, still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a abstrusity niminal word in the (peonyeok)Parktongsa to understand the 16C Korean. For examples, Middle Korean mother tongue noun ‘비므슬ㅎ, 보십고지, 박픵이, 귀엿골희, 귀여, 마지, 지페’ and Borrowing word ‘향초, 도산, 갸품, 날(nal)’. The other unsolved matters remains still, but part of lexical background of (peonyeok)Parktongsa considered to be solved.

      • KCI등재

        『칠대만법(七大萬法)』 연구

        김무봉 ( Kim Mu-b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칠대만법』은 국어사 자료로서 가치가 큰 책이다. 1569년에 간행되어 16세기 후반의 국어가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간행 지역인 경북 영주 지역의 방언이 보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교법(敎法)을 설명한 불서(佛書)인데, 원문이 따로 없고 구결문을 두지도 않았다. 언해본이 아닌 것이다. 한글과 한자를 함께 써서 만든 국한 혼용의 한글 문헌이다. 한자에는 독음(讀音)을 달지 않았다. 또한 16세기 후반 문헌임에도 방점(傍點)이 없다. 그만큼 문장 구성에 제약이 없어서 번역투의 문어체 문장 중심이라는 앞 시대 언해 불서의 한계를 뛰어넘었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문장 구성과 일상의 언어가 많이 보인다. 모두 23장에 지나지 않지만, 국어사 및 불교사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첫째, 현재 후쇄본 책들이 몇 권 전하는데, 책의 인쇄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원고본 작성에서 비롯된 오류가 보이고, 판목의 완결이나 탈획, 책 보관 과정에서 생긴 오·탈자 등으로 인해 해독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본들은 대부분 19세기 이후에 쇄출되어 현전 책들간 내용에 별다른 차이는 없다. 둘째, 이 책은 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체를 크게 세 장(章)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진여세계(眞如世界)」, 「삼신여래(三身如來)」, 「성적등지(惺寂等持)」 등이다. 내용 구성이나 설명의 방법은 논리정연하면서도 체계적이다. 수요층인 불자들을 배려한 흔적이 뚜렷하다. 각 장별 구성은 앞쪽에서 교설(敎說)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대강을 밝히고, 뒤쪽에서 다시 상술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설명이 끝나면 교설한 내용을 다시 요약·정리하는 한편, 한두 문장으로 핵심을 드러내는 방법을 취했다. 연역적(演繹的)인 방법과 귀납적(歸納的)인 방법을 아울러 구사한 것이다. 또한 항목 나열식 구성으로 설명이 일목요연하게 이루어진 데에다, 적절한 예화(例話) 제시와 일상의 일로 비유를 드는 등 설득력을 갖추었다. 결과적으로 책 저술의 목적 실현에 부합하는 구성으로 본다. 셋째, 이 책은 16세기 후반에 간행되어 당시 한국어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국어사 자료 중 하나로 다루어져 왔다. 책에 실려 전하는 표기, 음운, 형태, 어휘 등의 언어 사실은 중세 후기의 국어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논의에서는 표기, 음운, 형태, 문장 유형, 어휘, 방언 반영 등 이 책의 특성이라고 할 만한 내용들을 살폈다. 특히 당시에 일부 동요를 보이고 있는 음운의 변화와 표기의 특성 등을 책의 용례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체언과 조사의 통합에서 나타나는 분철표기 및 중철표기 현상을 분석하여 연철표기의 전통에 동요가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문장의 유형별 특성을 변별해 주는 기제로써 종결어미와 연결어미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밝혔다. 사용된 연결어미와 종결어미는 이 책의 문장 구성 및 설명의 방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책에는 상당한 수의 희귀어 및 난해어, 그리고 사용례가 흔하지 않은 고유어가 나오는데,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형태와 의미를 정리했다. I studied 『Childaemanbeop』, which is an invaluable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This book was published in 1569. Therefore, it reflects the Korean language in the late 16th century. This book also reflects regional dialect of Gyeongbuk Yeongju, the province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This book is not a Buddhism scriptures, but a Buddhism literature that includes Buddhism creeds. This book does not have original texts and Gugyeolmun. This book is written in both Hangul and Hanja, in which Hanja does not accompany reading sound. Also, this book does not have Bangjeom although it was pu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Because sentence structure of this book does not follow any particular restriction, we can discover unconstrained sentence structures and ordinary languages. Although this book consists of only 23 chapters, it is an invaluable research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Buddhism history. The brief research summary is as below. 1) I studied classification of this book, material bibliography, preservation condition, and value as a research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Buddhism history. 2)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Buddhism creeds. This book consists of three parts, 「Jinyeosegye」, 「Samsinyeorae」, and 「Seongjeokdungji」,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book more clearly. As a first step of the research, I introduce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of this book.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is logical and systematical. It is obvious that the publisher of this book was considerate of Buddhists, main readers of this book. This book introduces brief contents first and then explains more specific details later. After each explanation, summaries about main points are given in one to two sentences. In short, this book makes use of both deduction and induction. 3)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Therefore, this book has been considered as an invaluable reference to study language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6th century. Language characteristics in this book, such as writings, phoneme, linguistic form, and vocabular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search in Korean language history. Also, I reviewed analyzed linguistic forms and meanings of rare words, abstruse words, and indigenous words used in this book. In addition, I emphasize the value of this book by reviewing overall Korean languag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