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과 지방의회선거의 선거구획정 간의 관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김소연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4

        As the primary and collective representative of local residents, local councils are given representativenes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Th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of local councils can be said to be 'the extent to which the local council members can exercise their authority by reflecting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region'. Under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strengthening of regional representativeness in local councils is a democratic value required from the composition of local councils. Considering that the composition of local councils is carried out through elections, the strengthening of regional representativeness in local councils is ultimately related to the electoral system of local councils. The electoral redistricting process is a system that exists between the local council elections and th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of the local council. And regional represen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lectoral redistrictin. Under the current law, the process of electoral redistricting in local council elections is stipulated in Article 26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ccording to this, the criteria of electoral redistricting are roughly divided into population factors and non-population factors. The Constitutional Court replaces the population factor with ‘population representativeness’ and the non-population factor with ‘regional representativeness’. Then, by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electoral redistricting for local council elections is judged. The National Assembly, a legislative bod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regional representativeness is strong in local council elections. The National Assembly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electoral redistricting procedure within the scope of not deviating from the right to form legislation, and creates a practical environment in which regional representativeness can be strengthened. In this process, methods of securing independence and expertise in th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the Redistricting Committee and methods of granting legal binding force to the draft of the Redistricting Committee can be considered. 지방의회는 지역주민의 일차적 대표이자 집단적 대표로서 ‘지역(region)’이라는 특성이 부여된 대표성을 부여받는다.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이란 ‘지방의회의원이 당해 지역이 가진 실질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 강화란 궁극적으로 ‘지역의 특성이 실질적으로 반영된 지역사무처리의 비중 증가’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 강화는 지방의회의 구성에서부터 요구되는 민주적 가치이다. 지방의회의 구성이 선거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 강화는 지방의회의 선거제도와 관련성을 갖게 된다. 선거제도 중 선거구획정 절차는 지방의회선거와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 사이에 존재하는 제도로서, 선거구획정 절차를 통해 지방의회선거에 있어서 지역대표성의 역할과 비중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현행법상 지방의회선거의 선거구획정 절차는 공직선거법 제26조에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입법자는 ‘인구·행정구역·지세·교통 그밖의 조건’을 고려하여 선거구를 획정하여야 한다. 해당 기준은 인구요소와 비(非)인구요소로 대별되는데, 헌법재판소는 인구요소를 ‘인구대표성’으로, 비인구요소를 ‘지역대표성’으로 치환 후 양자의 관계를 조율함으로써 지방의회선거에 대한 선거구획정의 합헌성 여부를 판단한다. 지방의회선거에 있어서 지역대표성이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사법기관인 헌법재판소 외에 입법기관인 국회에 의해서도 판단될 수 있다. 지역주민의 의사가 왜곡될 경우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은 약화되므로, 국회는 입법형성권이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행 선거구획정 절차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며 지역대표성이 강화될 수 있는 실질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구성·활동에 있어서 독립성·전문성을 확보하는 방법과 선거구획정안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다.

      • KCI등재

        해외 지역혁신 추진기구 및 국내 지역혁신협의회 조사·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지역혁신협의회 활성화 방안 연구

        고경일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1

        본 연구는 최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전개하고 있는 지역혁신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의 성장발전에 주축이 되고 있는 지역혁신협의회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혁신협의회의 모태가 되고 있는 해외의 대표적인 지역혁신 추진기구들을 살펴보고 국내 지자체별로 구성하여 추진하고 있는 몇몇 지역혁신협의회의 현황을 실적과 계획 위주로 진단해 봄으로써 해외 지역혁신 추진기구들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지역혁신협의회의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해외 지역혁신 추진기구를 벤치마킹하고 국내의 지역혁신협의회의 현황을 진단한 결과 국내 지역혁신협의회 활성화를 위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정책적 제안들을 살펴봄으로써 지역혁신지원단의 기능 및 권한 강화,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체계의 개편, 추가적인 제도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lan to revitalize the regional innovation council, which is the main focu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cently unfold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promotion organizations and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several regional innovation councils organized and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performance and plans, we intend to derive implications from overseas regional innovation promotion organizations and diagnose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domestic regional innovation council. . Through this, this study benchmarks overseas regional innovation promotion organizations and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innovation councils in Korea. As a result, by looking at policy proposals commonly required to revitalize the regional innovation council, strengthen the functions and authority of regional innovation support groups, reorganization of the innovation council's organizational system and additional plans to improve the system are suggested.

      • KCI등재

        지역 사회적 대화의 법⋅제도적 쟁점 및 개선방안

        이호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지역 노동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역 사회적 대화 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 다. 본 연구는 국내의 지역노사민정협의회, 지역고용심의회 및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 고용 ⋅노동⋅인적자원개발 관련 거버넌스의 법⋅제도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관련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 노동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가칭’ 「지역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및 지원을 위한 법」 제정을 제안한다. 둘째, 새로운 거버넌스는 기존 지역노사민정협의회의 상시적인 정책 협의체(본협의회, 실무협의회, 분과위원회 등)의 ‘회의체 활동’을 우선 지원하고, ‘사업’은 부수적 으로 그를 지원하는 방안으로 지역 고용⋅노동거버넌스 운영방향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새로 운 지역 고용⋅노동거버넌스는 지역노사민정협의회와 「고용정책 기본법」과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등에 각각 그 근거 규정을 두고 있는 현재의 지역고용심의회,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의 통합적 운영을 지향하고, 협의체의 사무국 운영방식을 전면 개편토록 한다. 셋째, 지역 고용 ⋅노동거버넌스의 목적, 법적지위,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하고 법적지위가 정책자문기구로서 ‘지자체장’은 물론 ‘지방의회’에 상시적으로 자문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지자체장은 사회적 파트 너들에게 참여적 개방행정을 보장하고, 지방의회는 고용⋅노동 부문관련 입법적 지원을 위한 사회적 파트너들의 자문, 보고청취 및 연례보고서를 채택토록 한다. 운영과 관리감독을 지자체 외에 지역 주민대표기구인 지방의회에 두도록 하여 지역 고용⋅노동거버넌스를 실질적으로 활 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개편되는 지역 고용⋅노동 정책협의체는 지방행정체계 내에서는 지자체와 지방의회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수직적으로 위로는 중앙 사회적 대화기구와 지역 사회적 대화기구 간 그리고 아래로는 광역과 기초단위 사회적 대화기구 상호간에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ways to improve local social dialogue laws and systems to vitalize the local labor marke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laws and institutions of the ‘local labor-management-civil representatives council’, ‘regional employment council’, and ‘regional skills council’ etc. we propose related improvement plans. First, it is proposed to enact an “Act for Activation and Support of Local Social Dialogue” for vitalization of the local labor market. Second, in the new governance is the existing regional labor-management civil representatives council and its main council, working-level council, subcommittee, etc. as the key ‘meeting body activities’ should be stably supported first, and ‘business’ incidentally supported. To this end,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governance aims at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current regional labor-management civil representatives council, regional employment council, and regional skills council with the basis for the 「Employment Policy Framework Act」, 「Work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t」. The local labor-management civil representatives council should be completely reorganized so that the consultative body can operate at least at the level of the current regional skills council and its secretariat. Third, the purpose, legal status,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employment and labor governance should be clarified and, as a policy advisory body with a clear legal status, the results of consultation should be consulted on a regular basis with the local parliament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head.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guarantees participatory open administration to social partners, and the local parliament operates and manages it through legal support related to the employment and labor sector, as well as consulting, listening to reports and annual reports from social partners on local employment and labor issues. In addition to local governments, supervision should be placed at the local parliamen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ody of local residents, so that local employment and labor governance should be practically revitalized. Fourth, The reorganized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policy body strengthens the link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parliament with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vertically between the central social dialogue organization and local social dialogue, and at the bottom, between the regional and basic unit social dialogue organizations. It should be designed to be more organically linked with each other.

      • 지방의회와 지방정치 발전 요인

        송건섭 한국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It is argued that the Korean local politics has been progressed through the pivotal contribution of the local councils in the post-democratic period. The local council was always an unwavering engine of the local politics even in the wake of a turbulent history of contemporary political-economic circumstances includes the economic catastrophe of the late-1990s, the first time (peaceful) power transition of 1998, and the controversial presidential impeachment of 2004. Despite its relatively positive involvement, the recent status of the local council is likely remaining an ineffective implement. This is due primarily to local constituents` feeling a lack of gratification for their local councils. We pay attention to the two factors that created such dissatisfaction: first, an inept operation of the council which presumably originated from diminutive professionalism of the council members and the shortcomings of institutional and legal schemes. Secondly, there is a lack of space created for local constitu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governance. During this study, we will collect reliable evidences which directly result in the dependent variable, a stand still local council in terms of its genuine role in the local politics. Throughout survey among selected local constituents in major cities like Busan, Daegu, and Kwangju, which are a paragon of regional cleaver age as a dominant resource in politics. Yet, very few academics have focused on local politics in these cities when they develop their research on Korean regional politics. Moreover, not many academics specifically underscore regional party system and regional backed local council lead governance as the alternative for surmounting the shortcomings of Korean regional. At the presentation, we would highlight how the Korean local council is a key agent in local politics and can rejuvenate regional party system and a local council centered governance. We have a resolute confidence that our distinguished research subject, specified targets, and unprecedented proposition would be a meaningful asset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ocal politics.

      • KCI등재

        지역 및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김유미,박상오,정수연,황현웅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ank and job curriculum that staffs in regional skills council, industrial skills councils are required to develop their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The survey targets were staff in regional skills council and industrial skills councils. Of the total 68 copies collected, 68 copies with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priority of rank and job curriculum was analyzed using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shows that the 1st priorities of rank and job curriculum in regional skills council staffs are data collection & analysis and establishing strategy of skills councils, and the 1st priorities of rank and job curriculum in industrial skills council staffs are trend of policy in labor market & training(MOEL) and establishing SQF.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staff in regional skills council, industrial skills council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및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로서 갖추어야 할 직급과 직무별 교육과정을도출하고, 교육요구도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먼저, 기존 지역 및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 대상 교육과정을 도출하고, 지역 및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17개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와18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전체 180명 중에서, 총 68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 37.8%), 회수된 모든 응답자료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100.0%).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보리치(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교육과정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의 직급별 교육과정의 1순위는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략 방향 수립으로, 직무별 교육과정 1순위는자료 수집 및 분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 직급별 교육과정 1순위는 고용노동부정책동향에 대한 이해로, 직무별 교육과정은 SQF 기반 조성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및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 전담자의 역량개발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혁신체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김주태,고경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역혁신체계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지역혁신협의회의 현황 및 사례를 살펴보는 동시에 우리나 라 혁신생태계의 문제점을 국내 대학 및 국내 혁신기관을 포함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지역혁신체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를 도 출하고 있다. 먼저, 내생적 지역 발전을 위해 상호작용적 지역혁신체계로서 지역의 대학, 연구소, 금융기관, 교육기관, 지방정부 등이 지역 내 혁 신 활동을 위해 효과적으로 협력하고, 자립적·분권적 조직구조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 내 산·학·연·관 등 협력적 파트너십에 기초한 지역 거버넌 스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로,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와 같이 지자체 자체적으로 지역발전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여 지역의 필요를 해당 지역이 판단하여 보강해 나아가는 사업들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지역혁신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세째로, 지역혁신협의회 활성화를 위 해 지역혁신지원단의 기능을 현실화하여 균형실과 여타 실국간의 협력을 유도하고, 추진 사업에 대한 정보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분과협의회 활성화를 통해 혁신사업 관련 컨설팅 및 모니터링을 충실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인적·물적·지적 자원의 거점인 대학을 활용하여 지역발전과 혁신을 도모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강조한 지역-대학 혁신모델을 구축하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derives what policies are needed to vitaliz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o this end, it explains what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council, and considers the problems of the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including domestic universities and domestic innovation institutions. First, local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financial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must cooperate effectively to achieve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governance based on regional industry-academia-research-research cooperation partnership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transition to an independent and decentralized organizational struc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regional innovation that local residents experience by promoting projects that reinforce the needs of the region, such as discovering and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on their own, such as the regional development investment agreement system.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gional innovation council, the function of the regional innovation support group is realized to induce cooperationwith the departments, and the information sharing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the project are strengthene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ithfully consulting and monitoring related to innovation project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ubcommittee.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by utilizing universities, which are the bases of human, physical and intellectual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build a regional-university innovationmodel that emphasizes sustainable growth in the region.

      • KCI등재

        광역-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가칭) 광역정책지원단의 설립을 중심으로

        유동상(Yoo DongSang),강인호(Kang In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This study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previous literature have provided nonrealistic alternatives to enhance local councils' expertise. Even though all of the alternatives have been justified, they could not be feasible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parent laws, deteriorated local financial health, and the difficulties of deriving social consensus. So, based upon the regional-cooperative governanc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feasible alternative that can avoid the previous problems, tentatively named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can be more feasible than the previous alternatives. Since it is jointly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it could reduce the concerns about local government financial health. In addition, legal issu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organization would not be raised since it is financed and jointly owned by local governments. Finally, those advantages would be a driving force to get social consensus from local residents. The problems that local governments face have become complex and changed day to day. Local councils, as a policy decision making body, should enhance their expertise to address those problems effectively. One of feasible way to support and enhance it should be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본 연구는 기존의 지방의회 전문성 강화와 관련된 대안들이 현재의 상위법령의 제약,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 그리고 이로 인한 주민의 사회적 합의 도출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광역-협력적 거버넌스의 이론적 근거 하에 ‘(가칭)광역정책지원단’ 설립을 제시 하고 있다. ‘광역정책지원단’은 그 성격상 일정 권역내의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이 공동부담으로 설립할 수 있기 때문 에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출자 혹은 출연하여 공동의 광역연구기관을 설립하기 때문에 법적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공동의 투자는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연구기관의 설립에 동의를 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오늘날 지방자치단체의 당면한 문제는 더욱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 지방의회는 전문성을 구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대안 을 개발•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현실적인 전문성 제고 방안이 ‘(가칭)광역정책지원단’ 설립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지역 운영의 군사개입과 ‘예외 공간’의 형성(1957~1971년) - 주한미군의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금보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2

        After the division, the Korean government emphasized security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uthoritarian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with controlling regional operations. Local autonomy, which had been discussed for efficient and democratic regional operatio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was delayed for security purposes, and control by the government was applied to regional operation. However, an "exceptional space" was formed in the operation of the region for the purpose of security under division, which was an area where the U.S. military was stationed. This study identifie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ommunity Relations Advisory Council(CRAC) as a medium to intervene in regional operation in Korea with depicting the space where the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USFK) could manage as an "exceptional space" from the control of Korean government on region. At this time, regional operation is generally performed by local governments, and refers to activities to improve and support the living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The USFK began its long-term military presence, emphasizing exchanges with the residents around the base, and organized and operated the ‘CRAC’ in earnest. The 'CRAC', which was expanded to a lower regional leve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FK, was integrally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USFK headquarters. Through this committee, the U.S. Forces Korea provided assistance to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o direct cultural exchanges between U.S. soldiers and residents in the region, and supported community living space maintenance activities.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Korean region under the Cold War and division, which justified control for security purposes as the USFK intervened in the oper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round the base for stable base operation. Foreign troops were able to intervene in the regional operation of Korea, and policies that prioritized military and security values over the promotion of residents' lives and welfare were implemented. 분단 이후 한국 정부는 안보를 강조하며 이를 목적으로 권위주의 정부의 수립 및 운영을 정당화하는 가운데, 지역 운영을 통제했다. 정부 수립 이전부터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지역 운영을 위해 논의되었던 지방자치는 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지연되었고, 중앙의 통제가 적용되었다. 그러나 분단 하 안보를 목적으로 전개된 지역 운영에서 ‘예외 공간’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미군이 주둔한 지역이었다. 본 연구는 분단 하 미군의 주둔을 계기로 한국의 지역 운영에 미군이 개입할 수 있었던 ‘예외 공간’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그 매개조직으로서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의 조직 및 활동을 규명하였다. 이때 지역 운영은 일반적으로 지방 정부가 수행하는 활동들로 지역 주민의 생활 환경 개선 및 지원 등을 말한다.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는 주한미군의 장기 주둔 이후 기지 주변 주민들과의 교류를 중시하며 조직 및 운영되었다. 주한미군 주둔지를 기준으로 하부 지역 단위로 확장된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는 주한미군 사령부와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되었다. 주한미군은 이 위원회를 통해 지역 내 미군과 주민 간 직접적인 문화교류에 더하여 지역사회에 원조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생활공간 정비 활동을 지원하였다. 이는 주한미군이 안정적인 기지운영을 목적으로 기지 주변 지역사회의 운영에 개입한 것으로서 안보를 목적으로 통제를 정당화 했던 냉전 및 분단 하 한국 지역 운영의 특징을 보여준다. 한국의 지역 운영에는 외국군이 개입할 수 있었고, 주민생활 증진 및 복지 보다 군사‧안보적 가치가 우선된 정책이 시행되었던 것이다.

      • 영국 문화정책과 전략

        이경진(Kyung-Jin Lee)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2

        본 논문은 영국의 예술위원회가 설정한 비전과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결론부분에서는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와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먼저, 영국의 문화예술의 기본정책인 ‘팔 길이의 원칙(Arms’ length principle)’이란 무엇이며, 정책을 통해 영국 문화, 예술이 지향하는 방향성을 이해해 본다. 두 번 째 장에서는, 예술위원회의 미래전략과 이를 이루고자 기획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설명하고자 한다. 예술위원회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 시각예술, 민속학과 고고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이를 기획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2022년 버밍엄(Birmingham)지역에서 이뤄진 코먼웰스 게임 문화제 페스티벌(Commonwealth Games Culture Festival)의 예시를 통하여 지역 활성화 및 지역 예술가의 활용방식을 살펴본다. 세번 째 장에서는, 브리스톨 지역프로젝트와 그린위치 도서관 프로젝트를 깊이 논의한다. 예술위원회가 어떤 방식을 통하여 교육, 예술 전문가(큐레이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기획자, 교수 등), 역사, 문학, 고고학, 공공기관 등과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성공적인 결과물로 발전시키는지 그 방향성과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예술위원회가 정한 비전이 미래전략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영국 사회와 예술계에 어떠한 발전과 변화를 이뤄냈는지를 도출할 수 있다. 마지막 결론부분에서는 서울문화재단이 코로나 기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와 영국의 지속가능한 지역 문화예술 정책,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국내 미술의 한계성과 새롭게 재정립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ision and projects of the British Arts Council, presenting a comparison with – and subsequent analysis of – project development in Korea. This paper begins by defining the direction of British culture and art by analysing the ‘Arm’s length principle’, which is a fundamental policy element in British culture and art. Following this, our gaze shifts to consider the British Art Council’s future strategy, the projects it plans to undertake, and the goals it hopes to achieve.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British Art Council’s aim to inform the public on several topics and plan events that include various genres of music, visual arts, folklore and archaeology, as well as its approach to revitalizing a region of England using the works of local artists in the example of the 2022 Commonwealth Games Culture Festival held in Birmingham. In the third chapter, we discuss the Bristol Regional Project and the Greenwich Library Project in depth, explaining the British Arts Council’s approach to collaborating with the fields of education, history, literature and archaeology, art experts (including curators, creative directors, planners, professors, and so on), and public institutions to successfully develop and complete projects. By analysing the cases of the Bristol Regional Project and Greenwich Library Project, we aim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jects are consistent with the vision and future strategy set by the British Arts Council, as well as how these projects have developed and altered British society and the art world more broadly. In addition to local projects, the British Arts Council intends to work abroad to discover new artists and to promote British art through them to facilitate its growth, which will also be a point of discussion in Chapter 3. The final chapter will examine projects conducted by the Seoul Cultural Found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Making a comparison to the UK’s regional culture and arts policies and programs,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domestic art landscape are discussed and areas that need to be re-established are identified.

      • KCI등재

        지방의회의 거버넌스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경상남도의회를 중심으로

        안성수,정세영 한국정책개발학회 2023 정책개발연구 Vol.23 No.2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although the need for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is increasing for common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between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and city and county councils, organic cooperation is not being achieved in reality as each is an independent legal entity. There is virtually no prior research on governance between metropolitan councils and basic councils. Therefore, we sought to find ways to revitalize governance between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and city and county councils, focusing on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model. Information exchange and opinion exchang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exchange, client consultation, and joint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were derived as network types, and the network contents were set to suit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is, a perception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members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wareness analysis, measures to revitalize the governance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and city and county councils were proposed, including activating information and opinion exchange, promo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 exchange, active client inducement and cooperation, and close joint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