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心雕龍⋅總術≫篇에 관한 새로운 탐구 — <總術>편은 ≪文心雕龍≫의 맺음말이다

        김관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6 中國學論叢 Vol.54 No.-

        The most well-known ancient fifty chapter long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by Liu Xie in the Liang of southern dynasties, And especially the Zong-Shu were very deeply misunderstood. This thesis is a kind of trial to bring corrections to all its misunderstandings and to revive its original meaning.

      • KCI등재

        ‘大衍之數’와 ≪文心雕龍≫의 체계

        김관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 中國學論叢 Vol.55 No.-

        The effection of “Zhou Yi” on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system is full ranging. And especially “The Great Expansion Method of Divination” has affected the inner most structure of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This thesis is a kind of trial to find a hidde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that Zong-Shu represents the “Tai Chi” in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because “Zong-Shu” has a quality of “Tai Chi”

      • KCI등재

        `대연지수(大衍之數)`와 ≪문심조용(文心雕龍)≫의 체계

        김관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 中國學論叢 Vol.55 No.-

        The effection of “Zhou Yi” on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system is full ranging. And especially “The Great Expansion Method of Divination” has affected the inner most structure of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This thesis is a kind of trial to find a hidde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that Zong-Shu represents the “Tai Chi” in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because “Zong-Shu” has a quality of “Tai Chi”

      • KCI등재

        ≪문심조룡(文心雕龍)·총술(總術)≫편(篇)에 관한 새로운 탐구 ― <총술(總術)>편은 ≪문심조용(文心雕龍)≫의 맺음말이다

        김관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6 中國學論叢 Vol.54 No.-

        The most well-known ancient fifty chapter long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Literary Mind and Carving of Dragons” by Liu Xie in the Liang of southern dynasties, And especially the Zong-Shu were very deeply misunderstood. This thesis is a kind of trial to bring corrections to all its misunderstandings and to revive its original meaning.

      • KCI등재후보

        中國 花鳥畵譜의 類型과 系譜

        차미애(車美愛)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2

        明ㆍ淸代에는 새를 그리는 법식과 새의 자세를 소개하거나 歷代名人들의 화조화를 複製하여 게재한 화보들이 상당수 제작되었다. 花鳥畵가 실린 화보는 「고송영모보」(1554)를 시 작으로 『개자원화전』3집(1701) 가운데 「영모화훼보」상ㆍ하책이 간행될 때까지 金陵(南京)과 武林(杭州)을 중심으로 150여 년간 활발하게 출판되었다. 「고송영모보」(1554)는 화조화만을 제재로 한 가장 이른 시기 화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이 화보에서 최초로 시도한 새를 그리는 법식은 이후에 제작된 『화수』의 「춘곡앵상」, 『개자원화전』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 화보의 새 그림들은 송대의 절지화조류를 근간으로 하면서 임량과 변문진 등 명대 궁정화조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화수』(1598) 중 영모보인 「춘곡앵상」은 송ㆍ원ㆍ명대 화조화에서 취한 다양한 새의 자세를 제시하여 이후에 제작된 화보에 크게 영향을 미친 화보이다. 「춘곡앵상」에 실린 새의 다양한 자세들은 『도회종이』의 「영모화훼초충보」와 『삼재도회』중 「人事」6卷의 ‘寫翎毛’에 대부분 차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목본화조보』와 『십죽재서화보』, 『개자원화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고씨화보』(1603)는 중국 역대 대표적인 화조화가의 그림을 소개함에 있어 오대와 송대의 작품은 당시에 전하는 예가 드물어 소수의 작품을 실은 데 반해, 비교적 실견하기 용이했던 명대 특히 명대 중ㆍ후기의 작품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화보의 화조 그림은 『도회종이』, 『당해원방고금화보』, 『십죽재서화보』에 영향을 미쳤다. 『도회종이』(1607)는 「고송영모보」, 『화수』의 「춘곡앵상」과 『고씨화보』 내용을 총집산한 화보이다. 『도회종이』와 같은 시기에 제작된 『삼재도회』의 「人事」 6권에 실린 ‘起手’와 30종의 새의 자세를 도해한 그림들은 모두 『화수』의 「춘곡앵상」의 삽화를 배경만 약간 바꾸어 차용하였다. 1621년에 출판된 『목본화조보』와 『초본화시보』는 사생을 바탕으로 각종 식물의 품종들을 전문적으로 다룬 화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 결과 이후에 제작된 『십죽채서화보』의 화조 그림에도 다양한 품종의 화목들이 그려지게 되었다. 그뿐 아니라 만명기 문인들의 공통된 특징인 ‘淸供癖’에 의해 제작된 선구적인 화조화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십죽재서화보』(1630)는 다색다중판화로 인해서 색의 농담과 미묘한 변화의 효과까지 잘 표현하여 원화의 진가를 획득하여 감상화로서의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 화보의 화조 그림은 선행화보인 『화수』, 『고씨화보』의 삽도를 일부 차용한 예도 있으며, 명대 오파후기화가인 周之冕(약 1580~1610 활동)과 송강파화가인 孫克弘(1533-1611)의 채색화조화풍을 반영한 예도 발견된다. 이 화보는 이후에 제작된 『개자윈화전』과 『고금명인화고』에 영향을 미쳤다. 『개자원화전』 중 「영모화훼부」 상ㆍ하책(1701)은 다색판화인 『십죽재서화보』를 한층 발전시켜 사생을 바탕으로 섬세한 필선과 부드러운 몰골이 조화를 이룬 가운데 아름다운 채색을 가미한 명ㆍ청대 채색화조화풍을따르고 있어 감상용화조화로서의 가치를 획득하였다. 이 화보는 선행화보인 「고송영모보」, 『화수』의 「춘곡앵상」, 『십죽재서화보』의 내용을 일부 차용하였다. 이 화보의 삽화는 『고금명인화고』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을 장식한 『고금명인화고』1ㆍ2ㆍ3집(1집 1888, 2집 1889, 3집 1890)에도 「영모화훼」부분을 나누어 화조화가 상당수 실려 있다. 화조 삽도들은 명ㆍ청대 화조화 및 화보를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The painting manuals that particularly specialized in bird and flower subjects were highly appreciated among painters as bird and flower paintings became revived during the Ming and Qing periods. Those painting manuals not only provide pictorial instructions for these subjects, but also introduce famous bird and flower paintings of old masters. Since the Gao song ling mao pu(高松翎毛譜) was first published in 1554, a series of painting manuals like The Mustard-Seed Garden Painting Manual Ⅲ (芥子園畵傳) vol. 3 (1701) came to include an independent chapter for bird and flowers such as Ling mao hua hui pu(翎毛花卉譜). This type of painting manual were especially favored in such provinces as me Jin ling(金陵) and Wu Lin(武林) during next 150 years. Gao song ling mao pit (高松翎毛譜, 1554) of Gao song hua pu (高松畵譜) is a highly important work since it was the earliest painting manual that exclusively dealt with manuals how to draw birds and flowers. In fact, this painting manual gave a profound influence on Chun gu ying xiang (春谷?翔) of Hua sou (畵藪) and The Mustard-Seed Garden Painting Manual. Although this painting manual was mainly based on a che-chib (broken branches) style (折枝畵) of Song bird and flower paintings, it also displays Ming court bird and flower painting styles like those of Lin Liang and Bian Wenjin. Chun gu ying xiang (春谷?翔), one of the chapters of Hua Sou (1598) that exhibits diverse postures of birds was highly influential on later painting manuals. Various postures of birds introduced by Chun gu ying xiang were adopted in later painting manuals such as Ling mao hua hui cao chong pu (翎毛花卉草蟲譜) of Tu hui zong yi, Birds Drawing (寫翎毛) of Human Affairs Vol. 6 Ⅵ(人事) of San cai tu hui(三才圖會), Mu ben hua niao pu, Shlh zhu zhai shu hua pu, and The Mustard-Seed Garden Painting Manual. Gu shih hua pu(顧氏畵譜, 1603) introduced works of the Five dynasties and Song dynasty, but the main portion of me manual is dedicated to the mid and late Ming period. This manual also gave a gre-at influence on Tu hui zong yi, Tang jie yuan ao gu jin hua pu(唐解元倣古今畵譜), and Shih zhu zhai shu hua pu. Tu hui zong yi (圖繪宗彛, 1607) is the most comprehensive painting manual. It comprehensively collects various painting manuals such as Gao-song ling-mao-pu, Chun gu ying xiang of Hua sou and Gu shih hua pu. Qi shou '起手' from the Human Affairs Vol. Ⅵ (人事), one of the chapters of San Cai tu hui seem to have been all included to Chun gu ying xiang. Mu ben hua niao pu (木本花鳥譜), published in 1621 and the Cao ben hua shi pu (草本花詩譜) is highly important in terms of its realistic rendition of various kinds of plants. This painting manual in which birds and flowers were depicted on base of sketches allowed later painting manuals such as Shih zhu zhai shu hua pu to deliver various types of birds and flowers in increasingly realistic pictorial languages. It is also important to notice that this painting manual was done by Qinggongpi(淸供癖), which featured the aesthete of late Ming literati scholars. Shih zhu zhai shu hua pu (十竹齋書畵譜 1630) printed in multiple colors was able to display shading and color variation in such a great delicacy. Since tile multiple wood block print technique was able to successfully deliver tile sophisticated aesthetic of original works, tile painting manual itself may be considered as a piece of charming works of art. In particular, the bird and flower chapter of Shih zhu zhai shu hua pu seem to have influenced by earlier painting manuals such as Hua sou and Gu shih hua pu. Some of bird and flower works of Zhou Zhimian (周之冕, active in 1580-1610) and Sun Kehong (孫克弘, 1533-1611) suggest thar these two painters must have closely studied this manual. With no doubt, Shih zhu zhai shu hua pu gave a great influence on The Mustard-Seed Garden Painting Manual and Gu jin ming ren hua gao. The first and second volume of Ling mao hua hui pu (翎毛花卉譜, 1701) in the Mustard-Seed Garden Painting Manual (芥子園畵傳) achieved the most aesthetic form of a painti

      • KCI등재

        《오공(五公)》의 《이사고게(Isagoge)》 번역어 초탐―公稱ㆍ宗ㆍ類ㆍ殊ㆍ獨ㆍ依를 중심으로

        염정삼,문수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9 N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Chinese translation of Isagoge from Conimbricensis, or Commentarii Collegii Conimbricensis e Societate Jesu In Universam Dialecticam Aristotelis, which was used by the Jesuits in 16th century, Portugal, as the main text book for logic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oimbra. Among the many works of that book, Porphyry’s Isagoge was translated in Chinese; the full text and explanatory footnotes. In his work, Porphyry explains five core concepts: genus, species, differentia, proprium, accidens. For that reason, Middle Age academics often referred to the book as “quinque voces,” which in China, centuries later, was translated as 五公Wugong. This thesis will introduce how Isagoge’s core concepts – universale, genus, species, differentia, proprium, accidens - were translated in the Chinese language in Wugong. Each concepts were translated as 公稱gongcheng․宗zong․類lei․殊shu․獨du․依yi. The first explanation will be about the meanings of 公稱gongcheng․宗zong․類lei․殊shu․獨du․依yi; how they are traditionally conveyed in the Chinese language. Secondly, we will compare the context behind the translation of Isagoge to Wugong and las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우리가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은 코임브라본Conimbricensis 《이사고게Isagoge》에 해당하는 내용의 중국어 번역 부분이다. 번역의 저본이 되었던 것은 17세기 포르투갈의 코임브라(Coimbra) 대학에서 예수회의 논리학 강의교재로 사용된 Commentarii Collegii Conimbricensis e Societate Jesu In Universam Dialecticam Aristotelis 이다. 이 중에 포르피리오스의 《이사고게Isagoge》 원문과 그에 대한 주석 및 해설이 중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포르피리오스는 ‘genus, species, differentia, proprium, accidens’의 다섯 가지 개념을 다루는 책을 명료하게 저술했고, 중세의 학자들은 이 책을 ‘다섯 가지 목소리 quinque voces’라는 별칭으로 불렀다. 중국에서는 이 책을 ‘五公’으로 번역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이사고게》의 주요 개념어인 ‘universale’를 포함하여 ‘genus, species, differentia, proprium, accidens’가 《오공》에서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소개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이들은 각각 公稱ㆍ宗ㆍ類ㆍ獨ㆍ殊ㆍ依로 번역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단계를 따라 설명한다. 우선 원래 公稱ㆍ宗ㆍ類ㆍ獨ㆍ殊ㆍ依가 중국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두 번째로 코임브라본 《이사고게》와 《오공》 번역의 맥락을 서로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그 둘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 『문헌통고』 경적고의 서지학적 가치에 관한 재고 - 경부 인용문헌 분석을 통해

        김소희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송원시대의 학자 마단림이 편찬한 문헌통고에는 다양한 전거자료를 토대로 역대의 전장제도(典章制度)가 수록되어 있는 책이다. 그 중 경적고는 학자들에게 해당 서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학문적 소양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편찬된 것으로, 그 안에는 경서 및 역대 사서로부터 서목집과 제가들의 의론 및 문집, 시집에 이르기까지 각종 다양한 전거자료가 인용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숭문총목』, 과 『군재독서지』, 『직재서록해제』, 가 주로 인용되었는데, 이들 인용방식을 통해 『문헌통고』가 현존하지 않는 자료의 원형을 복원하는데 귀중한 사료가 될 수 있다는 점과 당시 어떠한 판본을 저본으로 경적고를 저술해 나간 것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가치를 지니는 『문헌통고』는 이미 고려말에는 국내에 유입되어 상당한 권위를 지닌 서적으로 인식되었고, 이후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왕실 및 지식인 계층에서 각종 제도를 상고하고 지식기반을 확충하는 자료로서 매우 활발하게 이용되었다. In Wenxian Tongkao, which a scholar of Song-Yuan dynasties, Ma Tuanlin compiled, the National systems of many generations are included based on a variety of source materials. Among them, Jing Ji Kao was written to help scholars raise wider academic grounding by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books for them. Therefore, there are various kinds of source materials from the Confucian classics and dictionaries of many generations to a catalogues of books, discussion, a collection of works and an anthology of poems in the book. Among then, in particular, Chong Wen Zong Mu, Jun Zhai Room Reader's List and Zhi Zhai Shu Lu Jie Ti were mainly quoted and using the ways in the citation of them, Wenxian Tongkao can be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recreate the original form of nonexistent materials and we can find out which edition was the original materials to write Jing Ji Kao. Wenxian Tongkao with such advantages was recognized to be a fairly authoritative book,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after that, it was very actively used as a material to consider all kinds of systems and expand the basis of knowledge for Royal families and intelligentsia across Joseon Dynasty.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與黃人≪中國文學史≫之編纂槪觀 -兼及20世紀初期的文學史編纂-

        온경신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1 中國學論叢 Vol.32 No.-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psychology and "Jing Shi Zhi Yong"(經世致用)purposes, Huang Ren "Chinese literature history" was absorbed in the Criticism and the Critical Methods of the Si-Ku-Ti-Yao. This absorption is mainly reflected in the spiritual level and value level of similarity among the concepts. And because of the varied situations in late Qing dynasty, Huang Ren rendered a selective development of Si-Ku-Ti-Yao. Therefore, due to the Si-Ku-Ti-Yao significant role in the early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t could be one important way with an in-depth a grasp of the literary history of the early 20th century compi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