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이씨절중초(李氏折中鈔)」 고찰 Ⅰ

        이난숙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studies the 「lishizhezhongchao(李氏折中鈔)」 of 『Yeohakseoeon(易學緖言)』 written by Jeong Yak-yong(丁若鏞). 「lishizhezhongchao」 suggests that the article was selected from the writings of li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In this respect, a thorough masterpiece of the comments made in 「lishizhezhongchao」 along with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Jeong Yak-yong’s main role and liguangdi’s Yeohak(易學) has been reviewed. 「lishizhezhongchao」 describes the analysis of more than 37 Chinese scholars starting from Han Dynasty, Zhengxuan(鄭玄), Yufan(虞翻), and Yi(魏), Song(宋), Won(元), Meng(明), Qing(淸)’s scholars and up to liguangdi(李光地). Jeong Yak-yong acknowledged eleven scholarly interpretations by Wei leWeng(魏了翁), Shuyan(兪琰), Huyuan(胡瑗), Wang zongyun(王宗傳), Qian zhili(銭志立), Chao shuozhi(晁說之), Xiang anshi(項安世), Yufan(虞翻), Guo zhongxiao(郭忠孝) and Zhuzhen(朱震). On the other hand, Jeong Yak-yong negatively criticized 60 scholarly interpretations. Jeong Yak-yong recognized the editorial purpose and undertakings to restore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by dividing 『Yijing』 and 『Yichuan』 in 『Zhouyizhezhong』 and placing 'major scripts(『Zhouyibenyi』)' in the presence of 『Zhouyizhezhong』. Furthermore, Jeong Yak-yong also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guaxu(卦序) by liguangdi. The negative assessments were made by extracting interpretations that did not meet the purpose of editing. It contrasted because of the theories related to wuxiang, guabian(卦變), muji of yaobian(爻變), analytical adoption of tuxiangshuo(圖象說), suanshujia(算數家) and especially the analysis of sangbyeon(象變), yeokdo(易道) and guaxu(卦序). Jeong Yak-yong commented on the theory of hypergeology and the exegetics, asserting that the guabian wa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process of ancient 『Zhouyi』. Due to this reason, Jeong Yak-yong was evaluated as a "disaster" of Chinese epidemiology. As a result, it can be noted that Jeong Yak-yong’s yeokhak revealed the original meaning of 『Zhouyi』 and attempted a fusional interpretation of shangu(象數) and yili(易理). And Jeong Yak-yong’s yeokhak tries to clarify the dynamic connection of the forming elements of ci·bian·xiang·zhan(辭變象占). 이 글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역학서언(易學緒言)』·「이씨절중초(李氏折中鈔)」의 세부적인 내용을 고찰한 논문(Ⅰ)이다. 「이씨절중초」는 정약용이 ‘이광지(李光地)의 『주역절중(周易折中)』 가운데 『주역』 해석사례를 가려 뽑아 논평한 역학비평론’이며, 세부적인 내용으로 저술 목적과 논평한 중국학자들, 10가지 논제의 구성 및 중국학자의 해석에 대한 정약용 긍정과 부정의 평가를 고찰하였다. 정약용은 한(漢)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을 비롯하여 위(魏), 송(宋), 원(元), 명(明)대 학자들 및 청(淸)대 이광지(李光地)까지 중국학자 37명이 해석한 총 70여 가지의 해석사례를 『주역절중』에서 발췌해 논하였다. 『주역절중』 「범례」는 『주역절중』이 『역경』과 『역전』을 나누어 편집하고, 『주역본의』를 앞에 두어 고경(古經)의 뜻을 회복하려 한 문헌임을 말하고 있다. 정약용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편집목적을 긍정하고, 괘서(卦序)의 뜻을 온전히 해명해야 한다는 이광지의 주장을 명론(名論)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위료옹, 유염, 호원, 왕종전, 전지립, 이광지, 조열지, 항안세, 우번, 곽충효, 주진의 11가지의 해석사례를 긍정 평가하고, 더불어 『주례』, 『서경』, 『예기』 등을 고증해 훈고한 글자의 의미와 『주역』 해석사례를 긍정하였다. 반면 『주역절중』에 수록된 이광지의 안설(案說)과 중국학자들의 60여 가지의 해석사례는 조목조목 부정 평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주역절중』의 편집목적과 다른 해석이기 때문이었다. 그 내용들은 물상의 취상(取象), 괘변(卦變), 효변(爻變)에 무지함과 도상(圖象)과 수리(數理) 해석 등이며, 상변(象變), 역도(易道)의 해석, 괘의 배열, 훈고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정약용은 괘변이 역을 지은 도【作易之道】라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괘변설에 무지하여 수용하지 않은 채 한대의 상수 해석방법론의 원형까지 폐기해 버린 이광지와 중국학자들의 해석들을 부정 평가하였다. 또 산수가의 학설로서 역수를 해명하여 설시법의 근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한 이광지 역학을 결국 정약용은 중국역학사의 ‘재앙’이라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정약용의 「이씨절중초」는 이광지의 청대 역학과 『주역절중』에 수록된 중국학자들에 대한 해석 및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씨절중초」를 통해서 정약용의 역학이 고대 『주역』의 역의(易義)를 토대로 상수와 역리의 융합적 해석과 사변상점(辭變象占)의 핵심 요소의 유기적 연관성에 초점을 둔 『주역』 해석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역절중·계몽부론』을 통해서 본 동서문화접변 - Joachim Bouvet의 「天尊地卑圖」와 李光地의 「加倍變法圖」에 나타난 파스칼 삼각형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방인 한국실학학회 2023 한국실학연구 Vol.- No.46

        Joachim Bouvet(1656-1730) was appointed by King Louis XIV of France as one of the royal mathematicians and sent to China. Bouvet taught Western mathematics to the Emperor Kangxi(1654-1722), who ordered Li Guangdi(李光 地, 1642-1718) to insert several geometric figures, including Pascal’s Triangle, into the Zhouyizhezhong(周易折中: Balanced Annotations of Zhouyi). Li Guangdi gave Pascal’s Triangle a new name, Jiabeibianfatu(加倍變法圖: Chart for the modified doubling method) and put it into the Qimengfulun(啓蒙附論: Appendix on the Introduction to the Zhouyi) of the Zhouyizhezhong. However, Li Guangdi did not link Pascal’s triangle to Western mathematics, but rather interpreted it based on the theory of Cheng Dawei(程大位, 1533-1606) and Shao Yong(邵雍). On the other hand, Bouvet gave Pascal’s Triangle a new name, Tianzundibeitu (天尊地卑圖: Chart of Heavenly Superiority and Earthly Subordination) and, like Li Guangdi, interpreted Pascal’s Triangle relying on Cheng Dawei and Shao Yong. Although their way of thinking was fundamentally different, Bouvet and Li Guangdi were able to find a common denominator through the mathematical numbers. The Pascal’s triangle originally had nothing to do with the Yijing but it came to be recontextualized in connection with the Yijing. However, unlike Li Guangdi who intentionally excluded the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or Western mathematics, Bouvet tried to discover the composition of God's creation in the Yijing. Since their purpose was fundamentally different, the interpretation could not but be the “tongchunagyimeng”(同床異夢, to share the same bed but have different dreams). However, the academic exchanges they shared in Forbidden City(紫禁城, Zijincheng) through the Yijing remained one of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e dialogue between East and West civil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