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riptural Hermeneutics as Practice: Zhiyi’s View on the Interpretation of Contemplating Mind

        김용표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5 No.-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criptural hermeneutics and practice for attaining enlightenment by focusing o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mind as presented in the Fahua wenju of Zhiyi. It also attempts to compare Zhiyi’s view Schleiermacher’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Traditional Buddhist hermeneutics only focused on grammatical interpretation which was based on a 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al text. Zhiyi thought to bridge this gap by interpreting scripture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mind, in terms of hearing, thinking, and practice. That was Zhiyi’s solution to how we could attain the stage of enlightenment that transcends language even though we study the written word. Zhiyi’s method requires tracing back the author’s thought process to re-experience his enlightenment. It is the bridge between enlightenment and written scripture. Zhiyi regards each phrase of the scripture as the reader’s own mind reflected in meditation. In this way, Zhiyi established a more dynamic form of hermeneutics by connecting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 with practice.

      • KCI등재

        元曉의 『梵網經』주석서와 天台智顗의 『菩薩戒義疏』의 비교연구

        이충환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2 No.-

        This paper studies Zhiyi’s influence on Wonhyo’s commentary on the Fanwang-jing (梵網經 Sutra of Brahmāʼs Net). The Yogacara School’s teaching of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三聚淨戒) was introduced in Zhiyi’s Commentary on the Fanwang-jing , the Pusajie yishu (菩薩戒義 疏 Commentary on the Meaning of the Bodhisattva Precepts). Wonhyo expounded on these “pure precepts” more broadly and applied them to the concept of “All Sentient Beings Receiving the Buddhist Precepts. In addition, Wonhyo emphasized the essence and effects of these precepts presented in the Fanwang-jing and commented on them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Marvelous Existence of the Middle Way”. The textual organization used by Zhiyi and Wonhyo are quite similar. In writing Beommanggyeong-bosalgyebon-sagi (梵網経菩薩戒本私記 Commentary on the Chapter of the Bodhisattva Precepts in the Brahmā’s Net Sutra), Wonhyo used a textual organization similar to Zhiyi’s commentary on the Fanwang-jing . Wonhyo subdivided Zhiyi’s textual organization to emphasiz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Thus, Wonhyo’s commentary on the Fanwang-jing was based on introducing the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using Zhiyi’s textual organization. Wonhyo then actively applied it to the development of precepts in Mahāyāna Buddhism. 『梵網經』은 天台智顗의 『菩薩戒義疏』에 의해 주석된 뒤, 法藏이나 太賢 등 의 주석가들에 의해 한층 더 대승적으로 주석된다. 그러나 智顗의 주석과 法藏 이후의 주석에는 戒體論이나 註釋法 등에 있어서 몇 가지의 상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元曉와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것을 제안한다. 元曉의 『梵網經』주석서로서는 『菩薩戒本持犯要記』와 『梵網經菩薩戒私記』가 현존한다. 元曉는 많은 저술에서 智顗의 영향을 받았다고 논해진다. 특히 『梵網經』에 있어서는 智顗의 三聚浄戒사상을 인용하여 보다 대승적으로 발전시킨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元曉의 『梵網經』주석서와 智顗의 『菩薩戒義疏』에 나타난 戒體論과 科文 등을 비교하여, 元曉의 주석에 나타나 있는 智顗의 영향을 파악하겠다. 그리고 元曉가 그것을 어떻게 인용하여 대승적으로 발전시켰는가에 대하여 논하겠다.

      • KCI등재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김정희(Kim Jung-Hee)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이 글은 지의의 천태삼대부를 중심으로 천태종의 성구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성구설은 모든 경험현상이 마음의 본성인 불성에 갖추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문자대로 해석하면 불성은 물건을 담는 그릇과 같이 경험현상의 존재근거로서 경험현상보다 근원적인 존재를 가리킬 수 있다. 이는 불성을 자기원인적인 형이상학적 실체로 해석할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불성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존재한다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대립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 직면해서 지의의 성구설을 이루는 두 개의 주요 개념인 불성과 ‘구(具)’ 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성구설에서 불성의 의미이다. 지의는 불성을 중생즉불, 중생과 부처가 다르지 않다는 불이(不二)로 주장했다. 본고는 이원성을 부정하는 절대(絶待)에 대한 지의의 설명을 통해 불이의 의미를 분석했다. 지의에 따르면, 불이는 현상적인 이원성을 초월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를 통해 중생과 부처의 이원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중생과 부처가 서로 의존해서 존재함으로써, 자성이 없기 때문에 중생과 부처를 이원적으로 분별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불이는 이원성의 해체이다. 이는 성구설의 불성이 형이상학적 실체가 아님을 말해준다. 다음은 성구설에서 ‘구’의 의미이다. 구는 주관인 불성이 객관인 경험현상을 갖춘다는 의미가 아니다. 지의는 불성을 불이로 정의함으로써, 자성이 없는 공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에 따르면, ‘구’는 모든 경험현상이 불성을 그 본성으로 갖는다는 점에서 평등하다는 뜻이다. 요약하면, 성구설은 『열반경』의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의 다른 표현으로, 번뇌를 제거하지 않고 번뇌의 실상을 통찰함으로써 해탈에 이른다는 대승불교의 수행법을 확립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theory that Buddha-nature embraces all phenomena (xing ju yi-qie fa) set by Tian-Tai Zhiyi. The Buddhist thought of Zhiyi was based on Nāgārjuna's theory of emptiness. Literally,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simply means that all phenomena depend on the Buddha-nature. That is, Buddha-nature is the ontological basis of every things and events. Buddha-nature is a primordial, independent, self-causative entity preceding phenomena themselves which are reflections of the Buddha-nature. Here, we run across a contradiction: If the Buddha-nature means the transcendental reality, it could not be compatible with Nāgārjuna's theory of emptiness, which denies metaphysical substance free from causes and conditions. In regard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ian-Tai Zhiyi's theory of xing ju yi-qie fa. There are two ways to analyze Zhiyi's theory of xing ju yi-qie fa. The first wa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non-duality. Zhiyi defined Buddha-nature as the non-duality. Non-duality means the deconstruction of duality. The second wa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ju(具) in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is, as often the case, not a theory of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but that of relationship among the all phenomena namely, hells, pretas, beasts, asuras, men, devas, śrāvakas, pratyeka -buddhas, boddhisatvas, Buddhas. Xing ju yi-qie fa means that all phenomena do not differ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emptiness. According to Zhiyi,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signifies the theory of non-duality that deconstructs the duality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 in terms of soteriological context.

      • KCI등재

        Zhiyi’s Notion of Disease and its Relationship with Taoism

        LI Silong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8 No.1

        Ven. Master Zhiyi (538–597) is the founder of Tiantai Buddhism in the sixth century. This paper highlights the concept of disease and various treatments of it in Tiantai Buddhism, based mainly on several of Zhiyi’s important treatises on meditation, such as Mohe zhiguan, Tongmeng zhiguan, and Cidi chanmen. Although the perfect treatment method of disease suggested by Zhiyi was to contemplate disease in its reality, he discussed the symptoms and causes of various diseases in detail. Zhiyi interpreted Buddhist notion of disease in both Indian and Chinese medical terminologie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particular, as an introduction of concrete treatment methods, Zhiyi explained different methods derived from Buddhism, Taoism and folk healing techniques; for example, usage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with six kinds of Qi and with twelve kinds of breathing. All of these methods and terminologies, in the end formed a system of medical culture that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Indian Buddhist medicine, and also included Taoist medicine and folk healing.

      • KCI등재

        『금강반야경소』의 저술 경로 재고찰 ‒ 천태지의의 저술로 전해지는 『금강반야경소』와 길장소⋅승조주의 관계 ‒

        신사임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4 No.-

        There exist six Chinese translations of th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Among them, the Chinese translation by Kumārajīva has been preferred by the earliest Chinese commentators such as Zhiyi, Jizang, and Sengzhao. The relationship between Zhiyi’s commentary, the Jingang Banruo Jing Shu (『金剛般若經疏』), and Jizang’s commentary, Jingang Banruo Shu (『金剛般若疏』), has been dealt with and figured out prominently by Hirai, who asserted that Zhiyi’s commentary had been influenced by Jizang’s commentary.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Zhiyi’s commentary and the Jingang Jing Zhu (『金剛經註』), the earliest Chinese commentary on th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For this, I collated the Jingang Jing Shu with the Jingang Jing Zhu word by word up to the sixteenth Chapter. As a result of this collation, I was able to find out the cases where Zhi-yi had quoted the sentences of the latter in the exegesis of the main text of th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隨文解釋) with or without changing the words from the Jingang Jing Zhu.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other cases where he had quoted or paraphrased them in the part of the essential meanings (玄義) from the Jingang Banruo Shu. These cases indicate that, I believe, not only Jizang’s commentary, as proposed by Hirai, but also Sengzhao’s commentary might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mentary by Zhiyi. 『금강경』은 6종류의 한역본이 현존한다. 그 가운데 구마라집 역 『금강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초기의 주석서로는 천태 지의의『金剛般若經疏』권1(T33), 길장의『金剛般若疏』권4(T33), 승조의 『金剛經註』권1(X24) 등이 있다. 본고는『금강반야경소』를 중심으로 최초의 주석서『金剛經註』와 지의와 동시대 인물인 길장의『金剛般若疏』를 비교하여, 『금강반야경소』가 저술된 경로 및 그 영향 관계를 검토하였다. 『금강경소』와 길장소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일본학계에서 몇 편의 연구가 있으며, 특히 “지의소가 길장소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다”는 히라이슌에이의 주장과 근거가 주목할 만 하다. 본고에서는 『금강경소』가 길장소의 영향을 받은 것 이외에도『금강경주』의 영향을 받은 흔적에 주목하여『금강경소』의 저술 경로를 재검토하였다. 그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정설분의 전반부인 제 16분까지『금강경소』와 『금강경주』를 대교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길장소 이외에 『금강경주』의 문장을 인용한 여러 흔적들, 즉『금강경주』의 문장을 그대로 혹은 몇몇 단어만을 바꾸어 수문해석에 인용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금강경소』가 히라이에 의해 제기된 것처럼 길장소의 영향을 받은 것은 물론, 아울러『금강경주』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聊齋志異》 중의 詞와 曲

        배병균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3 No.-

        There are quite a few verses in LiaoZhai ZhiYi(聊齋志異), as is the common case in ancient novel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 Ci(詞) and Qu(曲). The role of Ci and Qu in LiaoZhai ZhiYi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ly, they create a lyrical or fantastic environment in the story. Secondly, they depict the shape or emotion of the poetic self. Thirdly, they play a cert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story plot, in other words, they become the turning point of the plot or foreshadow of the story. Although these roles of Ci and Qu in the story are somewhat limited compared to those of poem, considering the fact that mainly poems were inserted in ancient novels, it is noteworthy that relatively not a few Ci and Qu are included in the LiaoZhai ZhiYi. Furthermore, the most of Ci and Qu in LiaoZhai ZhiYi are not only good in themselves, but also naturally dissolved in each story and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whole plot. All of this would have been possible because Pu Songling(蒲松齡) had an outstanding talent for Ci and Qu as well as the short storie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his other works. In particular, The Ci works in LiaoZhai ZhiYi are closely related to his LiaoZhai Ci(聊齋詞), and most of the inserted came from here. The Qu works have no direct relation to his LiaoZhai Liqu (聊齋俚曲), but these are also regarded as his creation, because he was good at the folk songs(俗 曲) as well. 《聊齋志異》에는 고대소설이 대개 그러하듯 적잖은 운문이 삽입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그중에서도 詞와 曲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요재지이》 중에서 사와 곡의 역할은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이야기에 서정적이거나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둘째, 서정적 자아의 형상이나 감정을 묘사한다. 셋째, 이야기줄거리의 발전에 伏線이 되는 등, 모종의 역할을 한다. 이야기 중에서 사와 곡의 이런 역할은 시의 그것에 비하자면 다소 제한적이지만 고대소설 중에 주로 삽입되는 것이 시였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요재지이》 중에 상대적으로 적잖은 사와 곡이 들어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게다가 《요재지이》의 사와 곡은 대부분 그 자체로 훌륭할 뿐 아니라 각각의 이야기 중에 자연스럽게 용해되어 있고, 또 전체이야기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은 포송령이 소설뿐 아니라 사와 곡에도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포송령의 다른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요재지이》 중의 사는 그의 《聊齋詞》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요재지이》에 삽입된 대부분의 작품도 여기서 나왔다. 반면에 曲은 그의 《聊齋俚曲》과 직접적인관계는 없으나, 포송령이 俗曲에도 능했음을 볼 때 이들 또한 그의 창작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의 통합 담론 전개에서 원효의 역할 ‒ 지의의 원융사상과 원효의 화쟁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지혜경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ine Wonhyo’s harmonizing disputes system by comparing it to Zhiyi’s unifying system. Wonhyo and Zhiyi, influential Buddhist exegetes in the East Asia, attempted to harmonize and synthesize diverse Buddhist doctrines. Their common method for doing this was to check the validity of various arguments by finding the source in Buddhist scriptures and then categorizing them. Although their basic process was similar, each used a different pivotal concept to harmonize Buddhist teachings. Zhiyi used the concept of the One Principle (一理) while Wonhyo used the concept of the One Mind (一心). In Zhiyi’s system, the One Principle is contained in all Buddhist teachings and all teachings return to it. Wonhyo’s principle of the One Mind plays the same role as Zhiyi’s One Principle. Wonhyo innovatively applied the concept of mind to harmonize teachings as combining the discourse of the concepts of mind in his times. Wonhyo led Buddhist discourse to focus on the mind more but, at the same time, he left it up to scholars to interpret his harmonization as disorganized interfusion or relativism. The work of that comparison will give greater clarity to the meaning of harmonization of the One-mind.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통합담론의 전개라는 큰 그림에서 지의와 원효 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드러내어 원효의 일심에 의한 화쟁사상이 갖는 의미를 다시 조망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상호 모순적이기까지 한 경전의 가르침들을 불교의 틀 속에서 정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교판과 통합담론이 발달하다. 교판을 세운 많은 불교학자 가운데에서 통일적이고 정합적인 통합체계를 세워 본격적인 통합담론을 시작한 것은 天台 智顗 (538-597)이다. 천태 지의는 一理 개념을 사용한 원융의 방법론을 통해 불교의 다양한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였다. 원효 (617-686)는 비록 자신만의 독특한 통합체계를 세우지는 않았지만, 일심을 통합 담론의 중심 개념으로 세운 화쟁 사상을 제시함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통합 담론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이들의 통합담론은 『법화경』의 일미일승사상과『열반경』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성립하으며, 다음의 세 가지 전제를 공유한다. “모든 경전의 말씀은 붓다가 설한 일미이다,” “불교를 하나로 꿰어내지 못하고 각자의 주장만 옳다고 하는 것은 편협한 사고에 사로잡혀서 진리를 보지 못하는 것일 뿐이다,” “부 처의 가르침을 온전히 드러내주는 최고의 가르침인 일승이 있다.” 통합의 논의를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을 하나로 엮어줄 수 있는 공통분모 가 있어야 한다. 지의는 일리개념을 사용하여 불교의 가르침을 하나로 꿰었다. 일리는 붓다의 가르침인 공⋅마음⋅불성⋅실상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으 로, 시계의 기어 같은 역할을 하는 도구적 개념이다. 원효는 일심개념을 바탕 으로 여러 가르침들을 포섭한다. 원효의 일심은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실상이 며 모든 불교의 가르침들도 일심이 인연에 따라 발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모든 존재와 가르침이 일심으로 돌아갈 때, 화쟁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통합의 공통분모가 일리에서 일심으로 바뀐 것은 통합의 논의가 형이상학적인 이론 논의에서 구원론적인 실천 논의로 바뀜을 의미한다. 지의의 원융은 삼범주 구조인 반면, 원효의 화쟁은 이범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의는 모든 불교의 가르침을 진성궤, 관조궤, 자성궤, 공가중 등의 세 가지 범주에 분류하고 셋의 긴한 상태를 원융으로 규정한다. 삼법이 하나로 긴하게 엮어 원융의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일리이다. 원효의 화쟁의 구조 는 일심을 바탕으로 진여문(본질)과 생멸문(현상)의 두 범주의 끊임없는 순환관계 속에서 화쟁이 이루어진다. 각 구조를 비교해 볼 때 삼범주를 사용하는 지의의 원융의 구조는 정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범주를 사용하는 원효의 화쟁의 구조는 좀 더 역동적이라 할 수 있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통합담론의 하나로, 비록 통합적 체계를 따로 세우지는 않았으나 일심을 통합의 기준으로 세움으로써, 형이상학적 논의로 치우친 통 합담론이 실천적 논의로 전개될 수 있게 하다. 나아가 이후 규봉종을 비 롯한 다른 통합체계를 세우는 불교학자들에게 마음을 중심으로 한 통합체계 의 모델을 제시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의 방편행과 MBSR 치유기제의 상통성 고찰

        차차석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Zhiyi’s five dharmas taught in the Smaller-Śamatha-Vipaśyana (小止觀, T46, No.1915) and compare it to MBSR's mindfulness. Zhiyi’s Śamatha-Vipaśyana and MBSR program are both a systematic device to develop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through meditation practices. Zhiyi’s five dharmas, which are included in his twenty-five devices for real meditation, contains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based on his theory of Śamatha-Vipaśyana meditation. Zhiyi attempted to include all Buddhist doctrines and concepts in his Śamatha-Vipaśyana (止觀)system. MBSR's mindfulness program has been studied in many ways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the stress of the general public and has shown its considerable healing effects. MBSR's mindfulness is reported not only to reduce anxiety and relieve stress, but also to produce one’s own potential and positive social outcomes. Although MBSR’s mindfulness was developed from a viewpoint that the concept of sati contains many beneficial mental component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heravada Buddhist notion that sati is only one of many steps in Vipassana meditation, it has proven the healing mechanisms of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despite its lack of sufficient explanations about healing mechanisms of the system, Zhiyi’s theory of five dharmas puts great emphasis on how a practitioner gradually develop the ability to meditate intensely for lo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demonstrated how both systems can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Buddhism is a religion that has grown up around the Orient with the aim of attaining Enlightenment, but research on the psychotherapeutic use of Buddhist practice has been actively pursued in the West. The study of the MBSR program, which applied the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on Buddhist temples to the hospital and everyday life, can give great implications to the modernization task of Buddhism, which considers the annihilation of suffering as the ultimate purpose. It is the task of modern Buddhists to develop the wa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practical aspects while maintaining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Enlightenment and Nirvana. Therefore, applying the method of Zhiyi’s five dharmas as an in-depth psychotherapy can be one of the ways to heal the psychological pain of the modern man. 본 논문은 "天台小止觀"의 방편행과 MBSR의 마음챙김을 비교하여 심리적 관점에서 어떠한 치유 요인과 상호관련성이 있는지, 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고찰로 시작되었다. "天台小止觀"의 수행론과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개발된 MBSR의 마음챙김은 인간의 심리에 대한 근원적 접근이며, 서로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본다. 현대인들은 첨단 의학의 발달에도 불구학도 심리적·정신적 병리증세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나타나는 정신적 공황은그 심각성이 늘고 있으며 이로 이해 치러야 할 사회적 비용 또한 매우 크다. "천태소지관"의 「치병장」에서는 방편을 강조하고 있다. 이 내용은 심리치유의 관점에서 활용성이 있다고 본다. 서양의 상담심리학자들이 고안한 MBSR의치유기제와는 모종의 관련성이 고찰된다. MBSR의 마음챙김 프로그램은 일반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목적으로 다방면에 걸쳐 시도되고 있고, 상당한 치유적효과를 보이고 있다. MBSR의 마음챙김은 불안을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해소할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능성을 깨닫고 변화시켜 긍정적 사회적 결과를 가져오는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두 사상의 접점으로 인식되는 내용이다. 불교는 괴로움의 소멸을 목표로 동양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종교지만, 불교수행의 심리치료적 활용에 대한 연구는 서양에서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찰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마음챙김 명상을 병원과 일상생활에 적용한 MBSR의마음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괴로움의 소멸을 궁극적 목적으로 여기는 불교의 현대화 과제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특히 『천태소지관』의 심신 치유의방편과 MBSR의 마음챙김은 현대인의 심리적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각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대응 방법의 하나가 될 수도 있다. 깨달음과 열반이라는 불교의 궁극적 목적을 유지하면서 현실적, 실용적 측면에 대중과 소통할 방법을 필요로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이자 불교인들의 과제이다. 따라서 『천태소지관』에 나오는 방편을 심층심리치유의 입장에서 응용한다면현대인의 심리적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고통의 원인을 자각하고, 그것의 근원적 해소와 예방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알려주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천태지의의 불성론

        김정희(Kim, Jung-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5 No.-

        이 글은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그의 불성론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불교도들은 불성론을 모든 중생의 깨달음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론으로서 대승불교의 가장 뛰어난 교의로 간주했다. 현대의 중국불교학자들은 종종 불성을 인도불교의 중국화와 관련해서 논의했다. 이들에 따르면, 불성은 중생과 부처가 공유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깨달음 자체이자 모든 중생의 최종적인 깨달음을 보장하는 초월적 실재이다. 이러한 불성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존재한다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대립한다. 불성론은 인도불교로부터의 일탈이자 비불교라는 주장은 이렇게 성립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 직면해서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불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의는 자신의 불교사상이 공사상에 근거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불성을 대승불교의 핵심적 교의로 간주했다. 이는 지의가 불성을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사상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중관사상에 근거한 불성의 의미를 밝혔다. 그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중생과 부처의 불이(不二)를 주장한다는 것, 수행은 중생 자신의 참된 모습을 통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불교의 수행을 실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다른 하나이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uddha-nature in Chinese Buddhism through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of T"ian-T"ai Zhiyi. In general, Buddhist scholars have regarded Buddha-nature to be a metaphysical principle which all sentient beings share and which ensures their final enlightenment. Here, we run across a contradiction: If Buddha-nature means transcendental reality, it could not be compatible with N?g?rjuna’s theory of emptiness, which denies metaphysical substance free from causes and conditions. In regard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ian-T’ai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The Buddhist thought of Zhiyi was based on N?g?rjuna’s theory of emptiness. He regarded the Buddha-nature doctrine as being among the principal tenets of Mah?y?na Buddhism. It follows from these that Zhiyi didn’t consider Buddha-nature as a metaphysical substance. There are two ways to analyze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 nature. The first wa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Second, I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Buddha-nature as a complete cause of Buddhahood and Buddha-nature as an auxiliary cause of Buddhahood. According to Zhiyi,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signifies the theory of nonduality that negates the duality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 in terms of soteriological context. Negating dualism i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emptiness.

      • KCI등재

        천태 지의의 불교 철학과 서양의 심리치료이론 접목을 위한 소고

        지혜경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7 No.-

        불교와 불교명상의 심리치유적 방법론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누적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불교의 방법론을 심리치료의 기법으로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구의 심리치료를 불교적 틀에서 살펴보는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여러 불교 철학 가운데에서 본 연구는 천태지의의 철학을 그 틀로 삼는다. 논의할 서양의 대표적 심리치료는 정신역동 심리치료, 인지적 심리치료, 인간중심 치료, 자아초월적 심리치료로, 이들은 각각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별적 심리치료 이론을 정립해왔다. 불교는 서양의 심리치료와 서로 통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기본적으로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고, 마음의 고통을 구분하는 방식과 해결방식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으나, 여전히 깨달음과 심리치료 사이의 간극은 존재한다. 지의의 철학은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 하나의 체계로 이 모든 논의를 종합하는 데에 좋은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그의 성구적 인간이해는 다양한 인간관을 종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주며, 지의 철학의 핵심적인 분류법인 체(體, 근본바탕) 종(宗, 핵심가르침) 용(用, 적용)은 기존의 심리치료법과 불교의 깨달음을 하나의 체계 안에서 이해하게 돕는다. 즉, 인간의 근본바탕에 대한 이해인 체에는 불교적 수행법을, 마음에 대한 근본적이고 원론적 치료인 종에는 정신역동 방법과 인간주의 방법론을,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치료방법인 용에는 인지치료를 배치할 수 있다. 이 틀을 통해 다른 심리치료의 경우도 근본적이고 원론적 치료(종)와 응용적이고 직접적 치료(용)으로 나누어서 배치해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지의의 십경십승관법은 이들을 종합한 심리치료의 체계로 해석해볼 수 있는 접점들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attempt an examination of Western psychological therap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Among various Buddhist philosophies, this study adopts the philosophy of Tiantai Zhiyi as its framework. Among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rapies to be discussed are psychodynamic psychotherapy, cognitive psychotherapy, human-centered therapy, and transpersonal psychotherapy, each of which has established individual psychological therapy theori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fter examining the common ground between Buddhism and western psychotheraphy I will apply Zhiyi’s system to arrange psychotherapy theories. Tiantai Zhiyi philosophy provides a promising theoretical framework to bridge this gap and integrate all these discussions into a cohesive system. His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offers a foundation to accommodat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human condition. The core classifications in Tiantai Zhiyi’s philosophy, namely “fundamental basis(體),” “core teachings(宗)” and “practical application(用),” aid in understanding Buddhism's enlightenment and existing psychological therapy methods within a unified system.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human being can be associated with Buddhist practices, the profound core treatment of the mind can be linked to psychodynamic methods and human-centered approaches, and the more direct and concrete therapeutic methods align with cognitive therapy. Through this framework, other psychological therapies can also be categorized as fundamental and profound treatment or applied and direct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