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靈樞 經脈編』 및 『東醫寶鑑』의 주요 肺病證과 四象體質病證의 비교 고찰

        김오영,김일환,박혜선,김효수,임치혜,초재승 사상체질의학회 2006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8 No.2

        A Study on Chief Lung-Disorder Diseases of Yeong-Chu Gyeong-maek Chapter and Dongui-Bogam on the Relationshiop of Sasang Constitutional Diseases Kim Oh-young, Kim Il-Hwan, Park Hye-Sun, Kim Hyo-Soo, Yim Chi-Hye, Cho Jae-Seung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1. Objectives This study is purposed to classify deficiency syndrome and Excess syndrome of chief lung-disorder diseases. 2. Methods It was researched on the comparative and literal study about the relation to Yeong-Chu Gyeong-maek Chapter,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in chief lung-disorder symptoms or diseases. 3. 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chief lung-disorder diseases of Yeong-Chu Gyeong-maek Chapter ,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are asthma, coughing, fullness in the chest, sweating symptoms, cold-heat symptoms, dysphoria and sneezing. (2) Asthma symptom was shown to Soeumin’s 4 exterior deficiency diseases, Taeumin’s 1 exterior deficiency disease and 1 interior excess disease, and Soyangin’s 1 interior excess disease. (3) Coughing symptom was shown to Soeumin’s 1 extrerior deficiency disease and Taeumin’s 1 interior excess disease. (4) Fullness in the chest was shown to Soyangin’s 4 exterior excess diseases. (5) Sweating symptoms was shown to Soeumin’s 10 exterior deficiency diseases, Taeumins’s 1 exterior deficiency disease, and Soyangin’s 1 exterior defecieny disease. (6) Cold-heat symptoms was shown to Soyangin’s 4 exterior excess diseases. (7) Dysphoria was shown to Soeumin’s 1 exterior deficiency disease and 8 interior deficiency diseases, Taeumin’s 1 interior excess disease, and Soyangin’s 4 exterior excess and interior excess diseases. (8) Sneezing symptom was shown to Taeumin’s 1 exterior excess disease.

      • KCI등재

        퇴계문인(退溪門人) 추천(鄒川) 손영제(孫英濟)에 대하여

        황위주 ( Wee Joo Hwang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5 No.-

        손영제는 퇴계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 예안현감으로 부임하여 퇴계 문하에 입문하였고, 현감 재임시절 퇴계의 자문을 받아 예안향교를 중수하고 立約을 제정하였으며, 퇴계가 세상을 떠난 직후에는 陶山祠의 건립과 陶山書院의 사액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퇴계문인 가운데 특별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 인물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하여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고, 학문적 검토 대상으로 삼은 적도 없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그와 관련된 문헌이 철저하게 소멸되어 집안에서조차 그의 주요 행적과 업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현재 확인 가능한 각종 문헌과 고문서 자료를 폭넓게 조사하여 그의 家系 行蹟 詩文 功績 등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정밀하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성과를 거두었다. 첫째 그의 家系는 밀양을 터전으로 삼아 중·하급 관직을 역임해 온 鄕班이었다. 둘째 그 동안 불분명했던 출생연도, 과거급제 시기, 지방관 역임 경력, 관직이력 등 주요 행적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셋째 그의 문집 『鄒川集』 외에 『鄒川先祖遺蹟』·『鄒川先祖遺墨』 등과 같은 자료를 발굴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가 다른 문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비롯한 시문의 실상을 처음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그가 예안현감으로 재임하면서 스승 퇴계를 물심양면으로 적극 지원한 사실과 예안향교를 중수하고 도산서원을 창건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사실 등을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d most accurately all the information on the family line, track, writings and services of Son Yeongo-je (孫英濟, 1521-1788), the disciple of Toegye (退溪). Son`s family line was Hyangban (鄕班, local gentry) that had successively filled middle and low level local government posts in Milyang area. Some unknown key tracks were became known by this study, such as his birth year, state examination pass time, local officer career, the time appointed to Yean governor, government posts career and so on. Besides his collection Chu·cheon·jip(鄒川集), Chu·cheon·seon·jo·yu·jeok(鄒川先祖遺蹟) and Chu·cheon·seon·jo·yu·muk(鄒川先祖遺墨) were newly discovered by this study. From those material, poems and letters between Son and the other literary persons of Toegye school were studied for the fist time.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s that Son supported positively his teacher Toegye both materially and morally during his Yean governor term and he played a leading role in Yean Hyanggyo remodeling and Do·san·seo·won foundation.

      • 靈樞를 中心으로한 經絡·經穴의 診斷法 硏究

        양범식,박성익,송문영,정규원,김상현,강정아,윤탁현,장협,정요한,조명수,김경식,손인철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4 한국전통의학지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diagnostic skills that use meridian points and meridian which shows the signs of illness. From the text of Yeong-Chu,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 meridian(contain meridian point) and disease. The diagnosis with the meridian, we made a study of the relationship with multiple abscess, channel disease, so-saeng-byung. The diagnosis with the meridian point, w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characteristic of each meridian point, disease and diagnosis.

      • KCI등재후보

        신라하대 寶林寺 금석문의 서체와 그 서풍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5

        본고는 신라하대에 설립된 九山禪門 가운데 가장 먼저 개창된 迦智山門 寶林寺에 있는 세 금석문의 서체와 그 서풍을 재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鐵造毘盧舍那佛造像記〉(859)와 〈南北塔誌〉(870)는 구양순풍 해서로 쓰였고, 〈普照禪師彰聖塔碑〉(884)는 김원의 구양순풍 해서와 김언경의 왕희지풍 행서 두 서체가 한 비에 쓰였다는 것이 대부분의 기왕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김언경의 글씨가 저수량풍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필자는 본고에서 〈철조비로자나불조상기〉와 〈남북탑지〉는 북위풍과 고신라풍인 고풍의 해서로 쓰였고, 〈보조선사창성탑비〉는 김원의 구양순풍 해서와 김언경의 저수량풍 해서 즉 해서라는 한 서체에 그 서풍이 다를 뿐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특히 저수량풍인 김언경 해서의 행기는 왕희지풍은 물론 통일신라의 행서 명가인 김생과 석영업의 행서풍도 같이 품고 있다는 것도 밝힐 것이다. 이로써 보림사를 개창한 체징을 기린 〈보조선사창성탑비〉는 그의 제자이자 조상 불사의 후원자인 김언경의 글씨로 인해 신라하대 선사비 가운데 서예사적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김원의 서풍과는 차별되는 독창적인 자가풍을 구사한 김언경은 이 한 작품만으로도 신라하대의 명필에 들 만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alligraphic script and its style of the three stone inscriptions of Borimsa at Gajisan in the Late Silla. Most of previous studies told us that both the Inscription of Seated Iron Vairocana Buddha Staue and Epitaphs of Southern and Northern Pagodas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of Ou-yang Xun (歐陽詢, 557-641) style and the Stele of Changseong Pagoda for Bojo Priest in regular script of Ou-yang Xun style by Gim Won (金薳) and running script of Wang Xizhi (王羲之, 307-365) style by Gim Eon-gyeong (金彦卿),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stele was written in two different scripts. But two scholars argued that Gim Eon-gyeong’s writing was written in Chu Suiliang (褚遂良, 596–658) style. However, I will find out that the former two were written in old style show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style and Old Silla style and the third in regular script in different styles, which are Ou-yang Xun style by Gim Won and Chu Suiliang style with some characters in running script by Gim Eon-gyeong. Moreover, some characters in running script by Gim Eon-gyeong were written in not only Wang Xizhi style but Gim Saeng (金生) and Monk Yeong-eop (釋靈業) styles. At the end of this paper one will recognize that the Stele of Changseong Pagoda for Bojo Priest occupies a high position among the priest stelae of the Late Silla, due to the writing of Gim Eon-gyeong who is a disciple of Bojo Priest Chejing and financial patron for building the Seated Iron Vairocana Buddha Staue. In addition, one will also notice that Gim Eon-gyeong who created his own style differentiating with the style of Gim Won could be join the ranks of master calligraphers in the Late Silla.

      • KCI등재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여헌학旅軒學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박학래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One of the most notable faction in relatio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Indong Jang Family is the ‘Namsan faction’(南山派). ‘Namsan faction’ was divided into central families in the 15th century, and in the 17th century, it produced the forest scholar Yeoheon Jang Hyun-kwang(旅軒 張顯光, 1554~1637), who represents the study of Yeongnam, and embodied the characteristic family’s academic tradition. In addition, thereafter, many notable scholars from Chosun Confucianism such as Samiheon Jang Bok-Chu(四未軒 張福樞, 1815~1900), Hoedang Jang Seok-yeong(晦堂 張錫英, 1851~1929), and Wiam Jang Ji-yeon(韋庵 張志淵, 1864~1921) hav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that is, the Yeoheon’s Learning(旅軒學), embodied by Jang Hyun-kwang, was embodied and succeeded by later the Namsan people, while paying attention to various contents categories encompassing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As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Namsan family had no exclusive character in terms of its establishment and succession, this study at tempt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by covering the contents inherited by other factions other than the Namsan family. Especially, it was evaluated as a positive variation of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ality and a new change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about the academic spirit of integration shown by the Namsan academic tradition within the Yeongnam academic world where there were many conflicts and conflicts since the 18th century. 인동장씨 가문의 가학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지파 중 하나는 ‘남산파’이다. 15세기에 이르러 종중宗中에서 분파된 남산파는 17세기에 접어들어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학자인 장현광張顯光(1554~1637)을 배출하며 특징적인 가학 전통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장복추張福樞(1815~1900), 장석영張錫英(1851~1929), 장지연張志淵(1864~1921) 등 조선유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가학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 본고에서는 가학이 포괄하는 다양한 내용적 범주에 유의하면서 장현광에 의해 구체화된 남산파의 가학 전통, 즉 여헌학이 남산파 문중 인사들에 의해 어떻게 구체화되고 계승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산파의 가학 전통은 그 수립과 계승의 측면에서 배타적인 성격이 없었던 만큼, 남산파 이외의 다른 지파의 인사들에 의해 계승된 내용도 일정 정도 포괄하여 남산파 가학 전통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18세기 이후 대립과 갈등이 적지 않았던 영남 학계 내부에서 남산파 가학이 보여준 통합의 학문 정신에 대해 남산파 가학 중심인 여헌학의 긍정적인 변주이자 남산파 가학 전통의 새로운 변화라 평가하였다.

      • KCI등재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 여헌학<SUB>旅軒學</SUB>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박학래(朴鶴來)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인동장씨 가문의 가학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지파 중 하나는 ‘남산파’이다. 15세기에 이르러 종중宗中에서 분파된 남산파는 17세기에 접어들어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학자인 장현광張顯光(1554~1637)을 배출하며 특징적인 가학 전통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장복추張福樞(1815~1900), 장석영張錫英(1851~1929), 장지연張志淵(1864~1921) 등 조선유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가학 전통을 계승‧발전시켰다. 본고에서는 가학이 포괄하는 다양한 내용적 범주에 유의하면서 장현광에 의해 구체화된 남산파의 가학 전통, 즉 여헌학이 남산파 문중 인사들에 의해 어떻게 구체화되고 계승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산파의 가학 전통은 그 수립과 계승의 측면에서 배타적인 성격이 없었던 만큼, 남산파 이외의 다른 지파의 인사들에 의해 계승된 내용도 일정 정도 포괄하여 남산파 가학 전통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18세기 이후 대립과 갈등이 적지 않았던 영남 학계 내부에서 남산파 가학이 보여준 통합의 학문 정신에 대해 남산파 가학 중심인 여헌학의 긍정적인 변주이자 남산파 가학 전통의 새로운 변화라 평가하였다. One of the most notable faction in relatio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Indong Jang Family is the ‘Namsan faction’(南山派). ‘Namsan faction’ was divided into central families in the 15th century, and in the 17th century, it produced the forest scholar Yeoheon Jang Hyun-kwang(旅軒 張顯光, 1554~1637), who represents the study of Yeongnam, and embodied the characteristic family’s academic tradition. In addition, thereafter, many notable scholars from Chosun Confucianism such as Samiheon Jang Bok-Chu(四未軒 張福樞, 1815~1900), Hoedang Jang Seok-yeong(晦堂 張錫英, 1851~1929), and Wiam Jang Ji-yeon(韋庵張志淵, 1864~1921) hav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that is, the Yeoheon’s Learning(旅軒學), embodied by Jang Hyun-kwang, was embodied and succeeded by later the Namsan people, while paying attention to various contents categories encompassing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As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Namsan family had no exclusive character in terms of its establishment and success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by covering the contents inherited by other factions other than the Namsan family. Especially, it was evaluated as a positive variation of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ality and a new change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about the academic spirit of integration shown by the Namsan academic tradition within the Yeongnam academic world where there were many conflicts and conflicts since the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李萬敷의 『南風』에 나타난 嶺南士人의 歷史認識

        金周富(KIM, JOO BOO) 동양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2 No.-

        息山 李萬敷는 숙종 시대 남인과 노론의 정치적 부침을 체험하고 재야학자의 길을 걸어간 17세기 명문가의 후예였다. 조부 李觀徵은 허목의 뒤를 이어 청남계의 영수가 되었고, 아버지 李沃은 이민구와 조경에게 시와 문을 인정받았던 문장가였다. 식산은 在京시절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가학을 전수받고 허목 계열의 박학을 배운 뒤 영남으로 이거하였다. 영남에서 생활한 후반기는 고전과 성리학에 침잠하여 『息山志書』와 『道東編』을 저술하며 학자로서 두각을 드러내었다. 특히 영남지역의 사인들과 폭넓은 교유와 오랜 여행을 통하여 축적한 국토와 역사의 지식을 『지행록』과 『남풍』으로 정리했다. 본고는 식산의 문학사상이 응축되어 있는 『남풍』을 분석하여 체제와 창작 배경을 고찰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식산이 지니고 있었던 영남에 대한 의식과 역사인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남풍』의 구성은 ?序文?, 5언고시 14수, ?後識? 순으로 되어 있다. 서문과 시는 식산이 1730년 전후에 지었고 ?후지?는 李敬儒가 1810년 쯤에 지었다. 『남풍』의 형식은 오언 고시체이고 분량은 5언 4구에서 5언 18구까지 다양하다. 유형은 『해동악부』 계열의 영사악부에 속하며, 특히 운을 사용할 때 환운하여 내용의 역동성과 음악성을 추구하였다. 표현법은 한 작품 안에 여러가지 사실이나 인물을 서술하였다. 서술한 시대는 단군조선에서 임진왜란까지이다. 삼국시대 이전은 삼한과 신라를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통일신라 이후는 고려와 조선의 역사와 인물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내용은 고금의 연혁, 산천의 형승, 물산과 도로, 인물과 풍속, 정치의 득실, 상서와 災異 가운데 후세에 귀감이 될 만한 것을 선택하였다. 1728년에 일어난 戊申亂으로 영남은 반역의 고을로 낙인찍혀 반세기 동안 관계진출이 봉쇄당하였다. 그러나 식산은 반란군 진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729년 戊申倡義의 공적으로 조정에 천거되어 벼슬을 제수 받았다. 이러한 시점에 창작되었기에 『남풍』은 18세기 영남남인의 역사인식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식산은 무신란 이후 영남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오던 국왕과 집권세력의 편견을 불식시키기 위해 많은 저술 활동을 하였다. 특히 이러한 조정의 차별의식에 대응하기 위하여 영남의 역사와 인물을 재해석하여 『남풍』을 창작하였다. 그 속에 삼한정통론과 人才府庫論 등의 역사인식을 피력하였다. 영남의 역사와 인물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여, 침체된 영남인사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실추된 명예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영조 시대는 줄곧 영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 식산의 이러한 인식을 계승한 손자 李承延은 정조 때 ?嶺對?란 작품을 창작하였다. ?영대?는 『남풍』에서 다루지 못한 조선 후기 영남의 산천, 물산, 풍속, 인물, 문장, 도학, 古今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Lee Man Bu with the nom de plume of Sik San is a 17th-century scholar from a prestigious family with lots of academic achievements who experienced the historical vicissitudes of Nam In and No Ron, ones of political faction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ending in living his life as an out-of-office scholar. Lee Gwan Jing, his grandfather, succeeded Heo Mok as a leader of Cheong Nam Gye (a branch of Namin), and Lee Ok, his father, was quite a writer whose poetry and prose was acknowledged by Lee Min Gu and Jo Gyeong. He was initiated into disciplines inherited from his father and grandfather when he lived in Hanyang (the then capital of Chosun Dynasty), and then learned "Bak Hak"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of "Geun Gi Nam In" School from Heo Mok before moving to Yeongnam Province later.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life, his learning was mainly affected by Heo Mok, while, during the remaining half of his life in which he lived in Yeongnam Province, he was devoted to classics and Neo-confucianism. This devotion enabled him to write 『Sik San Ji Seo』(息山志書) and 『Do Dong Pyeon』(道東編) so that he cut a conspicuous figure as scholar. In particular, he compiled into 『Ji Haeng Rok』(地行錄) and 『Nam Pung』(南風) his knowledge of history and territory he had accumulated while making inclusive exchanges with scholars in Yeongnam Province and traveling around lots of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am Pung』(南風) (an essence of his ideas about literature) and contemplate its structure and background to identify his understanding of Yeongnam Province and his historical awareness he had kept to himself. 『Nam Pung』(南風) consists of three parts: ?Preamble?, 14 classical Chinese verses with five-character line stanzas, and ?Hu Ji?(後識). The former two parts (i.e. ?Preamble? & 14 ancient poems with five-character lines) were written around 1730 by Lee Man Bu, and the latter part (i.e. ?Hu Ji?) were written around 1810 by Lee Gyeong Yu. 『Nam Pung』(南風) takes on the style of classical Chinese verses with five-character line stanzas (including five-character four line stanzas to 18 line stanzas). The type of 『Nam Pung』(南風) belongs to "Yeong Sa Ak Bu"(詠史樂府) of 『Hae Dong Ak Bu』(海東樂府). Especially, its rhyming patterns are so changed to lead to the creation of dynamics and musicality. Also, various facts and figures are described even in a single work, and time coverage include Tan-gun's Chosun (i.e. 2333 B.C.) to the Imjin Warfor the parts cove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ncluding Silla, Goguryeo and Baekje) or earlier, its description focuses on Silla, with a focus on Korea and Chosun for the parts corresponding to United Silla and later. It addresses various contents, including (the history of) old and current times, beautiful mountains & rivers, local products & roads, figures & customs, gains & losses of politics, and others that would be a model for coming generations. For half a century since 1728 when military vassals' riot broke out in Yeongnam, the province had been branded a so-called "Place of Traitors" so that no one from the same place could get in government office. However, since he played an active role in suppressing the riot raised by those rebels, Lee Man Bu was recommended for government office in 1729the rebels recognized him as a public enemy against their cause. 『Nam Pung』(南風) written around this time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awareness of Namin in Yeongnam Province in the 18th century. That is, he tried to realize the switchover of awareness by re-translating the history and figures of the province through 『Nam Pung』(南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