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흥사의 역사와 사상

        문무왕 ( Mu Wang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신흥사 사적기에 따르면 신라(新羅) 진덕여왕 6 년(서기 652)에 자장율사가 설악산 동쪽에 향성사(香城寺)를 창건 하였다. 자장은 계조암(繼祖庵)과 능인암(能仁庵)을 세웠으며 구층석탑을 세우고 불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향성사라는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불토국(衆香城佛土國)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이다. 1644 년에 영서(靈瑞)·연옥(蓮玉)·혜원(惠元) 등이 중창을 발원하던 중,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비몽사몽간에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 주며 “이곳은 누 만대에 삼재가 미치지않는 신역(神域)이니라” 말씀 하신 후 홀연히 사라지는 기서(奇瑞)를 얻고 절을 중창하니 지금의 신흥사이다. 절 이름을 신인(神人)이 길지(吉地)를 점지해 주어 흥왕(興旺)하게 되었다 하여 신흥사(神興寺)라 한 것이다. 선정사 옛터 아래쪽 약 10 리 지점에 다시 절을 짓고 이름을 신흥사라 하였다. 1965 년 대한불교조계종 제 3 교구 본사가 되어 양광·속초·강릉 등지의 사암을 관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 절의 주지를 지냈던 성원(聲源)이 대소의 당우들을 거의 모두 중건 또는 중수하였고, 범종을 새로 만들었다. 최근 절이름을 ‘神興寺’에서 ‘新興寺’로 고쳐 부르고 있다. 비문은 염거화상은 도의선사로부터 법을 받은 뒤 억성사(億聖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도의선사에게 법을 받은 염거화상이 제자 체징(體澄)을 만나 가르쳤다는 것이다. 체징은 뒷날 장흥으로 내려가 가지산문을 일으키고 설악산문을 계승한 인물이다. 이는 억성사가 설악산문에서는 매우 중요한 거점사찰의 하나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신흥사는 진전사와 함께 그의 사상을 펼친 곳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홍각선사가 억성사에 머물렀다면 그 선배인 염거화상에게 배웠다는 추론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홍각선사 억성사에 거주했다면 당연히 염거화상에게 선법의 요체를 배웠다는 가정이 성립한다. 설악산문의 번창과 관련해 또 한 가지 주목할 사실은 염거화상이 열반한 곳이 억성사가 아니고 원주 흥법사라는 점이다. 흥법사는 홍각선사의 스승인 현욱선사가 머물던 여주 고달원에서 가까운 절이다. 이는 염거화상이 현욱선사나 그 제자들과 교류가 깊었을 가능성에 대한 단서가 된다. 실제로 당시에는 서로 다른 산문을 찾아가 수행하는 것이 어색한 일이 아니었다. <조당집>에 따르면 현욱선사만 해도 한때 지리산 실상사에 머문 적이 있고, 실상산문의 홍척선사는 설악산에 머문 적이 있다. 이런 사실을 고려하면 가까운 사찰들에서는 자연스러운 왕래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 이런 친 According to the temple records of the Sinheung-sa Temple, the Hyangseong-sa Temple (香城 寺) was founded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Jajang built Gyejo-am (繼祖庵) and Neungin-am (能仁庵), and erected a nine-story stone pagoda and enshrined Buddha relics in the pagoda. The name ‘Hyangseong-sa’ came from ‘Jung-hyang-seong-bul-guk-to (衆香城佛土國)’ of Buddhism. In 1644, Yeongseon (靈瑞), Yeonok (蓮玉), and Hyewon (惠元) made an oath and were praying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in their dream, a snowy god-like man appeared and indicated the present site of the Sinheung-sa Temple with the word “This is a divine realm where the three types of calamities cannot reach for tens of thousands of generations,” and then disappeared in a flash. With this auspicious omen (奇瑞), they rebuilt the temple and it was the present Sinheung-sa Temple. The temple was named ‘Sinheung-sa’ for a god-like man (神人) pinpointed the propitious site (吉地) and, as a result, the temple was prosperous (興旺). The temple was rebuilt at the site about 10 km below the old site of the Seonjeong-sa Temple and was named ‘Sinheung-sa.’ Sinheu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the 3rd parish of the Ch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is supervising temples and hermitages in Yanggwang, Sokcho, Gangreung, etc. Seongwon (聲源), who had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the temple, recently rebuilt or extended almost every small and large building of the temple, and created a new Buddhist bell. In addition, the temple was renamed from ‘Sinheung-sa (神興寺 - Divine Prosperous Temple)’ to ‘Sinheung-sa (新興寺 - New Prosperous Temple).’ The epitaph records that Monk Yeomge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and spread Zen teachings at the Eokseong-sa Temple (億聖寺).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Monk Yeomgeo, wh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met and taught his disciple Chejing (體澄). Chejing is the one who later went down to Jangheung, revived the Gaji School, and inherited the Seolak School. This suggests that the Eokseong-sa Temple is one of very important base temples to the Seolak School. Along with the Jinjeon-sa Temple, the Sinheu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a place where Yeomgeo developed and spread his thought because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he was likely to learn from Monk Yeomgeo.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it naturally supports the presupposition that he learned the essence of Zen teachings from Monk Yeomgeo. Another fact to be noted in connection to the prosperity of the Seolak School is that Monk Yeomgeo passed away not at the Eokseong-sa Temple but at the Heungbeop-sa Temple in Wonju. The Heungbeop-sa Temple is close to Godal-won in Yeoju where Monk Hyeonwook, Monk Honggak’s teacher, stayed. This provides a clue to the possibility that Monk Yeomgeo associated closely with Monk Hyeonwook or his students. In fact, it was not unusual in those days for monks to visit another school for ascetic practice. According to Jodangjip, Monk Hyeonwook also once stayed at the Silsang-sa Temple in Mt. Jiri, and Monk Hongcheon from the Silsang School stayed in Mt. Seolak. These facts suggest that it was common for Buddhist monks to visit nearby neighboring temples. It is also believed that this affinity accelerated the spread of Zen teachings. The Sinheung-sa Temple was first founded as ‘Hyangseong-sa’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and Monk Yeomgeo is believed to have transferred its tradition to the current Sinheung-sa Temple. Thus, Sinheung-s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emple that succeeds to the Dharma lineage of Zen Buddhism.

      • KCI등재

        乘廣禪師塔를 통한 八角亭形 僧塔史의 再考

        황문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건축역사연구 Vol.28 No.1

        “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844) is known as the earliest Seon-stupa relic remains in Korean peninsula, from which, during late Silla and ealy Goryeo period, there were more than 30 of stupa was built on such canon. and became the well-known material culture in Seon Buddhism in late Silla period. In 9th century, with the JeonDeong(delivering the light of Seon)from Tang to Silla, the culture of “GeonTapIpBi(building the pagoda and erecting stele)” was also moved in. And it was right after the style of monk’s stupa had been methodically changed in china, from having the room in stupa for the corpse, named as “QuanShenSheLi”, to the lessened stupa that contain the cremated. Analyzing the “Master ChengGuang’s stupa”(807)and its stele, it can be found the correspondences of octagonal plan and the subjects of ornamentation to that of Stupas built in Silla, reveals they were made by the same canon. By the document in the stele, surmising the historical cause of alteration in Chan stupa, there was the most famous zen master ShenHui at the time, who h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making the NanZongChan to get the authenticity in Chan Buddhism. His reliqury was the first śarīra casket discovered among Chan monks’ relics, consequentially it was to influence to Chan cuture and size the monks ’stupa for his śarīra. The stupa of master ChengGuang, by its shape and geological location, is the lost piece in the Puzzle of Chan stupa culture between Silla and Tang. 廉巨和尙塔(844)은 한반도에 있는 禪僧塔 文物 중 가장 이른 시기의 八角亭形僧塔으로 알려져 있으며, 뒤이어 高麗代까지 30여개의 승탑이 동일한 刑制로 세워져 禪佛敎 物質文化로 널리 알려져있다. 9세기 禪宗의 傳燈과 함께 唐에서 新羅로 建塔立碑의 문화가 함께 들어왔는데, 이는 眞身舍利를 安置하는 塔心室이 있는 僧墓塔에서 茶毗한 舍利를 담기 위해 승탑이 규모가 작아진 후였다. 乘廣禪師塔(807)과 그 塔碑를 분석하며, 신라에서 만들어진 승탑과 일치하는 팔각의 평면과 장엄을 통해 이들이 동일한 範本에 의해 造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碑銘을 통해 선승탑의 변화 원인을 추측할 수 있었는데, 南宗禪의 正統化에 중요한 역할을 한 荷澤神會가 있었다. 그의 사리함은 발견된 선종승려의 사리함중 가장 최초의 것으로 변화된 선종의 장례 문화의 영향으로 선승탑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신회의 제자였던 승광선사의 묘탑은 그 形態와 당시 신라승들의 求法 行蹟의 지리학적 위치가 일치하며 신라와 당 사이의 선종승탑 문화의 잃어 버린 퍼즐 조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普照体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体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体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崛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萼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体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 ...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특별기고 : 보조분징(普照體澄)과 명주(明州) 대매법상(大梅法常)의 법사(法嗣) 가지(迦智)

        조영록 ( Yeong Rok Jo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體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體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掘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裏山 慧撤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臺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惡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邏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臺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體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 『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그의 입당 바로 1년 전에 法常老丈이 선원을 세워 그 명성이 인근에 자자하였으므로 이 소식을 듣고 법상 문하에 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 법이 道義의 가르침에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법상선사의 입멸 5개월 후 더 이상의 巡行을 접고 조기 귀국한 것이다. 그는 귀국 후 고향에서 전법하다가 왕이 迦智山寺로 이거하기를 청하므로 860년 봄에 옮겨 法主가 되었다. 禪宇를 확충하고 法燈을 높이 달아 수많은 제자를 배출하다가 880년 입멸에 드니, 왕은 시호를 普照, 塔號는 彰聖이라 내리고, 사액은 寶林寺라 하였다. 이같이 그가 迦智山門을 개창하여 도의의 홍주종법을 크게 선양하니, 후일 이 소식이 중국 불교계에 전하여 ‘法常의 法嗣 가지선사’로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 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설악산문'의 성립과 역사적 전개

        홍사성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4 No.-

        이 글은 우리나라 선종의 요람지였던 설악산문의 성립과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라말여초 고승들의 비문을 모아놓은 역대고승비문과 조당집의 옛자료를 통해 확인한 역사적 사실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설악산문은 우리나라에 처음 선법을 전래한 도의선사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많은 자료는 도의선사는 해동선종의 초전자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그가 한국선종의 주류가 된 남종선을 전래해왔기 때문이다. 또 도의가 왕경에서 멀리 떨어진 설악산에 근거지를 마련한 것은 이곳이 오래 전부터 선수행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수행처였던 까닭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왕실과 중앙귀족의 귀의를 받지 못해서 은거했다는 종래의 주장을 상당부분 수정해야 한다. 둘째, 설악산문은 도의가 처음으로 법석을 펼친 9세기 이후 최소한 13세기까지 이후 한국선종의 성지로 인식되었다는 것이다. 이 무렵 많은 고승들은 설악산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금석문을 보면 도의의 제자인 염거, 체징은 물론이고 같은 시대에 활동한 홍척국사를 비롯해 수철선사, 심희선사, 홍각선사, 등이 설악산에서 수행하고 있다. 또 뒷날에는 일연선사가 설악산으로 출가한다. 그런가 하면 고려시대 선승들은 道義靈塔 참배 등을 통해 진전사를 해동선종의 祖宗寺刹로 삼고 있다. 이는 설악산이 우리나라 선종을 울흥지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셋째, 설악산문의 교화영역은 양양, 원주, 안성 등에서 중부지방으로 넓게 확장되었다는 사실이다. 설악산 억성사, 원주 흥법사, 안성 석남사 등에서 도의의 제자 염거화상의 행적이 발견된 것이 그 증거라 할 수 있다. 넷째, 도의의 손제자 체징의 장흥으로 내려가 가지산문을 개창한 것은 경제적 이유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또 도의를 祖師로 내세운 것은 선문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가지산문에서는 형미, 일연, 태고 같은 한국선종사에 빛나는 별들이 전통을 이어서 오늘의 조계종에까지 계승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계종조 도의선사, 중흥조 태고보우선사가 모두 가지산문에서 배출된 것은 가지산문의 뿌리인 설악산문의 역사적 중요성을 말해준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역사적 사실의 전개는 설악산이 훌륭한 선적 전통을 이어왔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 글의 제목을 ‘雪嶽山門’이라고 붙인 것도 설악산을 중심으로 전개된 화려한 선적 전통과 역사를 한마디로 요약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의 영광이 곧 오늘의 영광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오늘의 시점에서 빛나는 전통을 잇지 못한다면 아무리 화려한 과거라 하더라도 허망한 전설이 될 뿐이다. 설악산문은 이러한 자각아래 전국최고의 선원 운영, 기본선원 유치 등을 통해 전통계승에 매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려면 더 기다려보아야 한다. 어떤 산문의 영광은 당대의 명성보다는 뛰어난 인물을 얼마나 많이 배출하느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This writing i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eorak Monastery which was the cradle of Korean Seon sect. There are some historical factors confirmed through the old materials, Jodangjip and Successive high priests' epitaphs containing the epitaphs of high priests from the Silla to the Goryeo. First, Seorak Monastery was started by Seon Master Doeui who handed down Seon Dharm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oeui prepared the basement at Mt. Seorak far from Wanggyeong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people practicing Seon came in from the old times. So it needs to correct many parts of existing arguments which insisted that they concealed themselves because couldn't get supports from Kingdom and central Aristocracy. Second, Seorak Monastery was recognized as the shrine of Korean Seon sect from 9C Doeui preached for the first time to 13C. At this time, many high priests had their activities around Mt. Seorak. Third, the edification areas of Seorak Monastery were widely expanded from Yangyang, Wonju, and Anseong to the central district. Its evidence is that the account of conduct of the elder Yeomgeo, a Doeui's disciple, was found at Yeokseong Temple of Mt. Seorak, Heungbeop Temple of Wonju, and Seoknam Temple of Anseong etc. Forth, the reason why Chejing, a Doeui's grand-disciple, came down to Jangheung district and made the Gaji Monastery was financial factors. And also, he considered Doeui as the great Seon Master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Seon Monastery. Especially, the founder of Jogye order Seon Master Doeui, Seon Master of restoration Taego Bowoo were all from the Gaji Monastery. It manifest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Seorak Monastery, the root of Gaji Monastery. Such a development of the historical factors tells us that Mt. Seorak was the place where the magnificent Seon tradition was passed down. The title of this writing was named as 'Seorak Monastery' to define as a word for the splendid Seon tradition and its history around Mt. Seorak. However, such a past glory is not guaranteed for today's prosperity. If we cannot hand down the shining tradition today, it will be the futile tradition. It was very splendid past though. Seorak Monastery recognized it and tried to succeed the tradition by managing the best Seon center in the nation, the establishment of basic Seon center etc. However, we need to wait more time for the fruits of such an effort. The prosperity of a monastery is defined as how many brilliant figures it will have rather than the fame at that time.

      • KCI등재

        普照?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 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 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 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 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 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 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 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 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 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 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 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 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 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 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 ?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