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무(Kim, Jong M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중국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Creator)는 자신의 많은 팔로워 수를 바탕으로 기업 제품의 간접광고를 통해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Baidu)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 국민의 60%가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광고 보다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의 조언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소비자의 태도를 반영하듯 중국 개인방송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창출되는 시장 규모가 1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방송이 기업의 광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의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속에서 보이는 간접광고 태도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간에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2017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오류가 없는 191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은 “즐거움 추구 요인”, “콘텐츠 매력 요인” 그리고 “사회적관계 추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만족도 요인 중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에 대한 지속시청의도는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간접광고 태도는 조절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에 대한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 방송의 주 수입원인 간접광고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시청자의 시청태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or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making considerable revenue by indirectly advertizing the products of enterprises on the basis of its countless followers.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Baidu, the largest portal site in China, 60% of Chinese people trust the advice of creator of personal broadcasting more than the advertizement of products when they buy products. It is estimated that the scale of market created by creators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mounts to Won 18 trillion as if reflecting such attitude of consumers. In the situation where personal broadcasting is noted as advertizement means of enterprise, this study analyzes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whether influence that viewing inten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PPL Attitude seen in the program exerts moderator effect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ariables of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analysis, the question paper used in preceding study was revised & supplemented to be proper to this study. On-line experiment was carried on for 200 people living in China from April 20 to 30, 2017 and 191 error-free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re “enjoyment pursuit factor”, “contents attraction factor” and “social relation pursuit factor.” Second, out of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i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Third, PPL Attitude has moderator effect for the influence that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have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materials o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for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 influence that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the indirect advertizement, the main source of income of personal broadcasting plays the role of moderator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be basic materials for creators producing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to understand viewers’ viewing attitude later.

      • KCI등재

        일반논문 : 중학생의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 구전의도,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준걸 ( Jun Geol Lee ),정태욱 ( Tae Wook Ch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중학생의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 구전의도,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본 연구결과는 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TV 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 있는 체육수업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강서구, 강남구, 강북구, 강동구 내에 위치한 중학교 각각 한 곳을 임의로 선정 각 학교 남·여 학생 100명씩 400명을 임의 표집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분석은 SPSSVer.1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 중 사회적 동기, 오락적 동기, 정보적 동기가 시청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 동기중 사회적 동기, 오락적 동기, 대리만족 동기, 정보적 동기 변인이 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V 스포츠프로그램 시청 동기 중 사회적 동기, 대리만족동기, 정보적 동기 변인이 체육수업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만족도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만족도가 체육수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of watching TV sports program on satisfaction of watching, word-of-mouth intention, and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the result, this study would offer fundamental documents which helps conducting effective and interesting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TV sports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400 middle school students was selected: 100 boy and girl students respectably through random sampling in each middle school in Kang-seo, Kang-nam, Kang-buk, and Kang-dong district in Seoul. The SPSS Ver. 14.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tching TV sports program motivation (social, entertaining, substitutional satisfaction, consuming time,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 on satisfaction of watching it, and social, entertaining,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influenced positively the watching satisfaction. Second, watching TV sports program motivation (social entertaining, substitutional satisfaction, consuming time,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 on word-of-mouth intention, and social, entertaining, substitutional satisfaction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word-of-mouth intention. Third, watching TV sports program motivation (social, entertaining, substitutional satisfaction, consuming time,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 o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ocial, substitutional satisfaction,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influenced positively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Fourth, the satisfaction of watching TV sports program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 on word-of-mouth intention, and i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greater satisfaction did more amount of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satisfaction of watching TV sports program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 on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i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greater satisfaction influenced more positively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중국 내 한국 모방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현지 대학생의 시청반응 연구 :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의 모방요인(모방요소)을 중심으로

        쟝샤오밍,최영준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한류 열풍으로 표현되고 있는 중국판 모방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떤 모방요인들이 중국 현지 대학생 시청자들에게 시청선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판 <나는 가수다2>에 대하여 총 20명의 20대 중국인 대학생을 중국 현지(산둥성 ‘산둥대학교’)에서 5라운드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고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대학생 시청자의 시청선택 이유를 모방요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가 된다. 모방요인의 내용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진행방식이나 포맷(코너)의 공정성과 공평함을 높이 평가하였고 모방요인의 형식적 측면에서 중국내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서 볼 수 없는 극적 분위기의 무대셋트와 조명효과,실제 콘서트를 보는듯한 오디오 음향효과를 시청선택의 이유로 답하였다. 모방 프로그램으로서 <나는 가수다2>의 모방요인과 시청 만족도, 시청 충성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한 질문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모방요인에 대하여 형식적 요인들이 긍정적으로 인식될수록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긍정적 이미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방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해 주변인들과 사회교류 욕구가 커질수록 시청권유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regards to this phenomenon, the study sets out to focus on the reactions of Chinese college viewers to China’s copying Korean programs, and find out their reasons for watching the program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relations to China’s reason for copying the Korean programs. For this, 20 Chinese college viewers of the Chinese version of “I am a singer 2”, the Korean program copied by China, were selected, and were made to have fiv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young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from Shandong University in Shandong province. The Chinese college viewers were impressed by the way the program was run, which was very unique, and that the new format brought justice and fairness to the program, eventually leading them to watch the copied program. Also, the dramatic directing, stage settings and the lights that were never seen before in Chinese programs as well as the audio effect that reminded them of a concert were another reason for watching the program. Concerning their loyalty to the program, they responded that they recommended the program to others as they wanted to interact and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Regarding their reasons for watching and loyalty to the program, they continued watching the program to evade reality (absorption into the program). Lastly, in regards to the question in the interview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sons for copy, satisfaction and loyal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viewers liked the background settings such as the stage settings, lights and audio effec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as for the program.

      • KCI등재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가 한국 호감도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사(Lee Sa),박상희(Park Sang 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3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중국 시청자들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지 살펴보고, 한국드라마 시청동기가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 만족도와 한국에 대한 호감도 및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중국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한국 드라마 시청 경험이 있는 중국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8월 24일부터 9월 7일까지 총 400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드라마 시청 동기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시청 동기요인(문화적 호기심, 드라마 매려도, 문화적 유사성, 관계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의 실증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드라마 시청동기의 4 개요인 중에서 드라마 매력도는 가장 높은 비율로 시청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은 관계적 요인, 문화적 호기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드라마 시청동기 요인 중 관계적 요인이 호감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드라마 매력도, 문화적 호기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 만족도는 호감도와 화장품 구매의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호감도는 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attributes of Chinese’ watching motivation. Second, we also evaluates the influence of Chinese’ watching motivation of Korean drama on their satisfaction from Korean drama and Korea favor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smetics. Third, this study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from Korean drama, Korea favor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smetics. .In this study, a Chinese online survey site was used to survey. It was conducted for about 15 days (August 24 to September 7 in 2015) and, out of the 436 questionnaires collected, 400 questionnaires valid for empirical analysi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used th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our factors of watching motivation of Korean drama(cultural curiosity, drama attractiveness, cultural similarity, relational factor), the one with the biggest effect on satisfaction of from Korean drama was shown to be drama attractiveness. Second, among the four factors of watching motivation of Korean drama(cultural curiosity, drama attractiveness, cultural similarity, relational factor), the relational factor is an important motivation factor that most influence the Korea favorability. Finally, the Chinese’ watching motivation of and satisfaction from Korean drama lead to Korea favor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to Korean cosmetics. Future research may study other different factors that can affect the degree of watching motivation of Korean drama and the satisfaction from Korean drama.

      • KCI등재

        사회적 시청에서 콘텐츠 몰입의 매개 효과에 대한연구: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서동욱,이상은,이정훈 한국정보사회학회 2017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8 No.3

        Watching TV had been regarded as social behavior, traditionally. However, it became personalized due to development of new media such as Internet, and later social characteristics was added since emergence of smart mobile device,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etc. This study defines this watching pattern as 'Social Viewing'; while watching television, people started to express and share their thoughts, opinion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V program they are watching to others, not in the same space. Some researches state that there is a relation between this watching behavior and contents engagement. However, this study tries to search for the motivations and the act of social viewing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ntents engagement in the social viewing's motivations- acts-gratification relation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In addition, group differences in contents engagement according to different genres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isresearch, it was found that 'engagement of content', 'social relation seeking', 'enjoyment seeking', 'information seeking', and 'share of viewing experience' are 5 motivations, and 'dissemination' and 'reception' are the acts of social viewing. In addition, both dissemination and recep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tent engagement, and content engagement also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positively. This study shows that people tend to have more contents engagement when watching variety show and sports genres than movie and drama genres. To conclude, this study will give an insight in how to enhance viewer's contents engagement and viewing satisfaction when broadcasting businesses plan strategies of either contents or services, related to social viewing context. TV를 시청하며 시청 중인 TV 프로그램과 관련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정보를 같은공간에 있지 않은 타인에게 표현하고 공유하는 행위를 사회적 시청이라고 한다. 사회적시청 행위와 콘텐츠 몰입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몇몇 연구도 존재 하지만, 본연구는 사회적 시청의 동기와 행위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시청의 동기, 행위, 충족에 있어 콘텐츠 몰입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콘텐츠 몰입에 대해 장르에 따른 집단 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시청의 동기는 ‘프로그램 관여’, ‘사회적 관계 추구’, ‘즐거움 추구’, ‘정보 추구’, ‘시청 경험 공유’의 5가지 요인으로, 행위는 ‘확산 활동’과 ‘수용 활동’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확산 활동과 수용 활동의 시청 경험 행위는 모두 콘텐츠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콘텐츠 몰입 또한 시청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콘텐츠 몰입에 대한 장르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버라이어티쇼, 스포츠가 영화, 드라마보다 사회적 시청 시 더 높은 몰입을 하는 장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방송사업자가사회적 시청과 관련된 서비스와 콘텐츠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콘텐츠에 대한 몰입과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김하연,장하원,이수범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7

        본 연구에서는 ‘먹방’시청자들을 대상으로 TV 음식 프로그램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TV 음식 프로그램 중 ‘먹방’프로그램을 최근 6개월 이내에 시청한 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총 273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20.0을 이용한 빈도분석 및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모델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한 확인 요인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 및 다중 그룹 분석을 통해 총 7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동기가 시청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시청동기 요소 중 오락과 대리 만족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태도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성을 검증한 결과, 시청태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행동 의도 요소인 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따른 태도 및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시사점과 TV 음식 프로그램을 통해 외식업체의 방문이나 메뉴를 구매하는데 호의적인 감정을 갖는 시청자들은 외식 소비자가 되어 방문의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외식소비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한국인의 중국 TV 드라마 시청 동기, 문화 근접성이 중국 국가 이미지 및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하사원,한창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1

        In this study, with the popularity of Chinese dramas in Korea, Chinese dramas have become popular among Korean viewers so that the trend of Chinese dramas can continue for a long time, such as the Korean Wave, which is suitable for the time when Chinese dramas began to enter Korea in earnest through the OTT platform. Therefore,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Koreans to prefer Chinese dramas through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motivation for watching Chinese dramas, satisfaction with Chinese dramas, national image (likability), and cultural proximity, and to empirically analyze ways to continue the success of Chinese drama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and surveyed Koreans who had watched Chinese dram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ltural proximity among the motivation for watching TV dramas are intimacy, star longing, and character preference, active interest and convenience, and learning of Chinese actors/ cult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hing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nese national image among the motivation for watching TV dramas were intimacy, star longing and character preference, fascination of Chinese dramas, and Chinese actor/cultural learning, and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among the motivation for watching TV dramas resulted in intimacy, star longing and character preference, and Chinese actor/cultural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demand for Chinese dramas and improve the national image by expanding the status of Chinese dramas in the Korean drama market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내 중국 드라마가 인기를 얻게 되면서 발생한 한국에서도 중국 드라마 유행이 하나의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한국인의 중국 드라마 시청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시청자들 사이에서 중국 드라마가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OTT 플랫폼을 통해 본격적으로 중국 드라마가 한국에 유입되기 시작한 시점에 적합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이 중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동기와 중국 드라마 만족도, 국가 이미지(호감), 문화 근접성 간의 영향 관계를 통하여 한국인이 중국 드라마를 선호하게 된 동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 드라마의 흥행이 지속되기 위한 방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고, 중국 드라마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을 대상으로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TV 드라마 시청 동기 중 문화 근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친밀감, 스타동경 및 캐릭터 선호, 적극적 관심 및 편리성, 중국 배우/문화 학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 드라마 시청 동기 중 중국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친밀감, 스타 동경 및 캐릭터 선호, 중국 드라마 매료, 중국 배우/문화 학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TV 드라마 시청 동기 중 시청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친밀감, 스타 동경 및 캐릭터 선호, 중국 배우/문화 학습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한국 드라마 시장에서의 중국 드라마의 지위와 향후 발전 방향 등에 대한 연구로 확대함으로써 중국 드라마에 대한 수요 향상 및 이를 통한 국가 이미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튜브 실시간 방송 플랫폼 및 이용자의 특성이 시청 만족도를 통해 지속적 시청의도 및 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재현(JaeHyun Yoon),김한구(HanKu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3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실시간 인터넷 방송 플랫폼의 성장세가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 콘텐츠를 제공하며 수익(후원금)을 내는 스트리머들이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지속적 시청의도와 후원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실시간 인터넷 방송에 대한 이용자들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플랫폼 서비스의 특성(개인 맞춤성, 선택 가능성)과 시청자들의 상호작용적 특성(준사회적 상호작용, 공명 전염)을 선행변수로 하여 시청 만족도, 지속적 시청의도 및 후원의도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맞춤성, 선택 가능성, 준사회적 상호작용 및 공명 전염은 시청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 만족도는 지속적시청의도와 후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지속적 시청의도도 후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시간 방송 플랫폼 서비스의 특성 측면뿐 아니라 시청자들의 상호작용적 특성도 함께 고려하여실시간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 대한 시청자들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효과적인플랫폼 관리 전략 수립에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the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the growth of live streaming platform is remarkable, and the number of streamers who want to make a profit by providing content to the live streaming service is increasing. Thu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 of factors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intention to donate, and expand the study on viewers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oward live stream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intention to donate with YouTube live streaming platform(personalization, choice possibility) and users characteristics(parasocial interaction, resonant contagion) as a leading variable, the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ization, choice possibility, parasocial interaction and resonant contagion have positive effects on watching satisfaction. Watching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intention to donate,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donat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effects of view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live streaming platform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live streaming platform services but also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view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develop effective platform management strategies for companies that provide live streaming servic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시청동기 및 만족도 연구

        임양준(Yang-June 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1 No.1

        최근 미국드라마가 지상파와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젊은 수용자들에게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미드’라고 불리는 미국드라마는 인터넷을 통한 파일 공유로 미국에서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까지 실시간으로 유통되어 대학생들 사이에 새로운 미드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 구조와 만족도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드라마와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대학생들의 미국드라마 시청만족도 요인이 한국 텔레비전 시청 형태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국드라마 시청동기 구조는 ‘오락과 휴식’, ‘정보 획득’, ‘환경/동반자’, ‘성적 흥미’ 등과 같이 4개의 인자로 구성되었다. 이와 반면에 한국드라마 시청동기 요인은 미국드라마 시청 요인에 ‘드라마 특성’과 ‘습관적 소일’이 추가되어 모두 6개의 인자로 나타났다. 만족도의 경우, 두 나라 드라마 시청자를 경시청자와 중시청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미국드라마 5개의 요인 중 3개 요인이, 한국드라마는 2개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국드라마 만족도가 한국 텔레비전 시청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 대부분의 만족도 요인은 시청 형태와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U. S. TV dramas favored by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U. S. TV dramas are also compared with the Korean TV drama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motives and satisfactions of students on the U. S. dramas influence on watching patterns of the Korean TV drama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 that student's motives on watching the U. S. TV dramas are composed of four factors, such as 'Entertainment/Relaxation', 'Getting Information', 'Environment/Companionship', and 'Sexual curiosity'. In contrast, the motives of watching Korean TV dramas are composed of six factors, which are added 'Korean Drama Characteristics' and 'Habitual Time-Spending' to four factors of the U. S. dramas. After dividing the student groups with the heavy and the light watchers, this research shows that three out of five for the U. S. drama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two out of six factors for the Korean counterparts. Finally,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U. S. dramas favored by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fluence little on the watching patterns of the Korean TV dramas.

      • KCI등재

        OTT 시청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분석 - 한국 오리지널 드라마를 중심으로 -

        임훈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0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watch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ho showed active media use behavior targeting OTT Korean original drama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OTT core cont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we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roduction activation and development to improve the watching satisfaction of OTT Korean original drama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ivation factors for OTT Korean original drama watching by college students, four factor structures were identified: 'companion motive', 'use convenience motive', 'social usefulness motive', and 'learning/information motiv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four factors of OTT Korean original drama watching motivation on watching satisfaction, 'use convenience motive' and 'learning/information motiv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use convenience motive' was the most has been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