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체중인과 비만체중인의 보행속도에 따른 하지근 파워 비교분석

        김태완 ( Tae Whan Kim ),김지태 ( Ji Tae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과 비만인의 하지관절 움직임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속도 변화에 따른 근파워를 비교분석 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30대의 남자를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정상인집단과 비만인집단으로 각 8명씩 분류하고, 정상인집단은 표준보행속도(standard speed) 1.5m/s로 분석하고, 비만인집단은 표준보행속도(standard speed) 1.5m/s와 자기보행속도(self-selected speed) 1.3m/s 2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영상분석과 지면반력분석을 이용하여 지지기(stance phase) 동안의 하지관절의 근파워 (muscle power)를 산출하였다. 또한 비만인 그룹 내의 보행속도에 변화에 따른 근 파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one-way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M)를 실시하였고, 정상인그룹과 비만인그룹의 표준보행 시의 근파워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one-way MANOVA(RG)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분석을 위한 모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론을 요약하여 말하면 비만인을 자기보행속도보다 빠른 표준보행속도로 걷게 하였을 경우, 발목에서 근 파워의 발현과 흡수는 모두 더 크며, 비만인과 정상인을 동일한 표준보행속도로 걷게 하였을 경우, 발목의 근 파워의 경우 발현은 정상인이 더 크고 흡수는 비만인이 더 크며, 엉덩이관절은 근 파워 흡수가 비만인이 더 큰 것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비만인은 자기보행속도보다 빠르게 보행 시에 무릎 근 파워의 흡수와 발현이 모두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무릎관절 보호기전이 작용한다는 주장의 실제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동일한 표준속도로 정상인과 비만인을 보행하게 하였을 때의 유의미한 결과를 통해서 결국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보행시 push-off 파워가 적어 속도가 떨어지면서 에너지소모가 많은 보행(labored walking)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전자에 비만인을 두 가지 속도로 실험하였을 때의 결과와 일관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gait by comparing lower extremity muscle power, at a stance phase, of normal people with those of obese people according to different walking speeds. These experimental subjects, all males aged 20 to 30 yea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by Body Mass Index(BMI) : one group was 8 males with normal body weight who were experimented at a standard speed of 1.5m/s and the other group is 8 obese ones at two different walking speeds (standard speed of 1.5m/s and self-selected speed of 1.3m/s). We calculated muscle powers of lower extremity during a stance phase through video recording and platform force measuring. One-way MANOVA(RM) within the obese group at two different walking speeds and One-way MANOVA(RG) in the normal and obese groups at a standard walking speed, were applied to get the difference of muscle powers. In conclusion, when obese people walked at a standard speed, both production and absorption of muscle powers of ankle and knee in obese people were of bigger than ones in the normal people and those valu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ignificant muscle power of hip was achieved only in case of absorption.

      • KCI등재

        가상현실-트레드밀 보행에서 시각적 속도감과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에 미치는 영향

        최인범,박종진,김신우,이형철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3

        The inconsistency in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causes virtual reality (VR) sickness. This research verifies whether the consistent sensory information reduces VR sickness within treadmill-based virtual reality. Furthermore, we examine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visually perceived walking speed by optical flow in VR and the physically perceived walking speed in treadmill walking on VR sicknes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reported VR sickness levels while experiencing an increase in the virtual reality. We compared the VR sickness level reported on the standing still condition with that on the treadmill-walking condition. Based on our results, less VR sickness and more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were reported on the treadmill-walking condition than on the standing still condition. In 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e effect of inconsistency between perceived visual speed and perceived walking speed on VR sickness was examined. Interestingly, participants reported less sickness when the perceived visual speed was faster than the perceived walking speed, compared to when the sense of speed was consistent. These results imply that allowing participants to walk on a treadmill while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reduces VR sickness. Hence, the perceived visual-walking speed consistenc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reduce VR sickness. 서로 다른 감각 정보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기반의 가상현실 보행을 통해 감각 정보 일치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서 가상현실에서의 광학 흐름(optic flow) 단서에 의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을 통한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멀미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다. 실험1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MD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는 가상현실 체 험을 하면서 가만히 서 있을 때와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을 하며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 더 적은 멀미를 느끼고 실재감과 몰입감은 증가하였다. 실험2와 실험3에서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의 속도감을 조작해 두 속도감이 일치할 때와 불일치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참가자들은 시각적 속도감이 보행속도감보다 빠르게 느껴지는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조건보다 더 낮은 멀미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할 때 시각 적 정보와 일관되게 트레드밀 보행을 하게 하는 것이 가상현실 멀미를 완화시키지만 속도감의 일치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 분석

        장명순,임삼진,김경희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4

        현재의 보행신호는 보행자 녹색신호가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녹색점멸 신호로 바뀌게 되는데,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가 녹색점멸 신호의 잔여시간을 알 수 없어서 보행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로 ‘역삼각형’ 표시장치를 채택하여 설치․운영해 왔다. 이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도형이 아닌 ‘숫자’로 표시하는 방식이 새롭게 제안되어 시험운영 중인데,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대해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의 비교분석 결과 (1) 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1.44, 1.39, 1.42m/sec로 분석되었으며, (2)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 시 보행자 보행속도 분포 차이 검정을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 각각 유의수준 1.00으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3)미설치시 보행속도분포는 Erlang(0.117, 10)분포,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각각 Weibull(1.17, 3.72)분포, Gamma(0.137, 8.18)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edestrian countdown signals were newly introduced to make pedestrians feel more comfortable and safer in crossing the streets. This paper analysed pedestrian walking-speed through a before-after behavior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 sites, and the total number of pedestrians was 19,8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edestrian walking-speed of existing pedestrian signal, an inverted triangle countdown signal and a numeric countdown signal were 1.44, 1.39 and 1.42m/sec.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metho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walking-speed of existing signal, an inverted triangle countdown signal and a numeric countdown signal were statistically Erlang(0.117,10) distribution, Weibull(1.17,3.72) distribution and Gamma(0.137,8.18) distribution at 95% confidence level.

      • KCI등재

        보행속도가 비만인의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 과체중과 비만인 중심 -

        김태완 ( Tae Whan Kim ),김의환 ( Eui Hwan Kim ),권문석 ( Moon Seok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비만인그룹과 과체중(씨름선수)그룹간의 4가지 보행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보행의 매개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보행속도는 1.21 ±0.02m/s. 1.47±0.02m/s, 1.81±0.03m/s, 2.10±0.04m/s 4가지의 보행 과제를 주어 실시하였다. 분석변인으로는 지지기 동안으로 하지관절의 시간, 각도, 그리고 근전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 간의 단계별 보행속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ow-way ANOVA(2(RG)×4(RM))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모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지지기의 시간, 각도, 하지근육의 근전도의 통계적 결과를 요약하면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간의 단계별 보행속도에서 지지기의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발뒤축접지시 발목관절각과 무릎관절각에서 집단내 상호작용이 유의한 차이(p=.022, p=.031)를 보였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가락들림기시 발목, 무릎, 엉덩이관절각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계별 보행속도에 따라 하지근육을 평균 근활성도를 살펴보면, 대퇴직근(RF), 외측광근(VL), 내측광근(VM), 전경골근(TA), 비복근(MG)에서는 집단 내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퇴이두근에서는 집단 내 상호작용(속도×그룹)에서 유의한 차이(p=.024)를 나타내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단계별 보행속도에서 지지기의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nts of the walking by four different walking speeds between obese groups: one group is an obese group of lay people, the other is an obese group of Ssirum players which is named as an overweight group for convenience not by body mass index. Four different walking speeds are 1.21±0.02m/s, 1.47±0.02m/s, 1.81±0.03m/s, and 2.10±0.04m/s. Analyzed variants of the walking are time, angle, and EMG pattern of lower extremity joints in the stance phase. We applied tow-way ANOVA(2(RG)×4(RM)) and p value was α=.05.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of the stance phase between the obese and overweight group. At heel contact event of the stance phase, angle values of ankle and kne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each group(p=.022, p=.031) but not between groups. At toe off event, angle values of ankle, knee, and hip are all insignificant. Mean EMG muscle activity of biceps femoris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peed×group) between two groups(p=.024) and the others of rectus femoris(RF), vastus lateralis(VL), vastus medialis(VM), tibialis anterior(TA), and medial gastrocnemius(MG) muscle by the acceleration of walking speed were not significant both within each group and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nce phase between the obese and overweight group by the acceleration of walking speed.

      • KCI등재

        워킹화 기능 개선을 위한 보행 속도에 따른 중년 여성의 하지 동작 특성 연구

        공세진 ( Se-jin Kong ),이정호 ( Jung-ho Lee ),임규찬 ( Kyu-chan Lim ),김진현 ( Jin-hy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보행 속도에 따른 하지 동작의 특성을 밝히고 보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워킹화의 기능 개선 요소를 제안하는 것이다. 건강한 중년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자기가 선호하는 속도와 선호 속도에 20% 빠른 속도의 보행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3차원 동작 측정시스템과 족저 압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작 특성을 계측하였다. 선호 속도와 빠른 속도의 동작 차이 분석을 위하여 종속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이 때,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빠른 걸음의 보행이 선호 속도의 보행보다 발의 지면 접지각이 컷고, 동작 안정성이 낮았다. 또한 빠른 보행에서 큰 족저압력이 계측 되었으며 특히 엄지발가락의 압력이 높았다. 빠른 보행에서의 신체 안정성과 발의 압력 분산을 위한 신발의 기능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extremity motions of middle-aged women in accordance with their walking speed, and also to suggest elements of improving functions of walking-shoe for the improvement of gait stability. Total 30 healthy middle-aged women were asked to walk in their preferred speed and also speed 20% faster than that. Using the 3D motion capture system and the plantar pressure measuring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extremity motions were measured. For the analysis on differences in motions between preferred and faster speeds,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At this tim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up as α=.05. The walking in faster speed showed the greater ground contact angle than walking in preferred speed while its gait stability was low. Also, the faster walking showed the bigger plantar pressure, and especially, the pressure on the great toe was high.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functions of shoes for the gait stability and dispersion of pressure on feet while fast walking.

      • KCI등재

        보행 속도에 따른 고령자 건강지표 설계

        박혁,김민석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행속도를 이용해 고령자들을 위한 건강지표를 설계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있다. 연구방법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총 290명의 65세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연구하였다. 8m 보행속도를 기준으로 TUG 검사, SPPB검사를 활용하여 보행속도에 따른 고령자 건강지표를 설계하기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t-검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기능점수, TUG, 8m 보행속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신체기능점수(p=.001), TUG(p=.001), 8m 보행속도(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건강지표와 신체기능점수 결과의 연관성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게 나타났다. 넷째, 8m 보행속도가 신체기능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8m 보행속도(p<.001)는 신체기능 점수에 인과 관계의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결론 위 결과를 종합해 보면 29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 한 결과 보행속도가 그들의 건강지표로 활용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health indicators for the elderly using walking speed. Method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90 people aged 65 or older. Health indicators for the elderly were design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test based on walking speed of 8m.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chi-squar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to obtain research results. The SPSS 21 statistic program was used for al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Result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PB, TUG and 8m walking speeds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related SPPB (p=.001), TUG (p=.001) and 8-meter walking speed (p=001).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dicators and physical function score resul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Fourth, the analysis showed that walking speed of 8 meters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body function scores. Conclusion In summary,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involving 290 participants, it was confirmed that walking speed could be objectively utilized as a health indicator for the elderly.

      • KCI등재

        승선생활 미숙련 대학 신입생들의 여객선 내 보행속도 실험

        황광일(Kwang-Il Hw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승선 생활에 미숙련된 일반승객이 해상재난 발생 시 여객선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피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선박 항해 환경에 따른 승선 중 보행속도를 실측실험을 통해 취득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81명의 남녀 대학신입생이 참가한 승선 실험에서, 평면복도 직선부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항해시가 정박시보다 27.2%, 평면복도 코너부에서는 23.2%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항해중 선박 동요에 따른 속도 저하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항해상태에서 실측된 상향계단과 하향계단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0.71㎧, 0.75㎧으로 측정되었다. 군집충돌 이동실험에서는 인근 보행자와의 보행 간섭으로 인해 후미로 갈수록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선두의 이동속도가 군집 전체의 이동속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o increase the safety of onboard evacuation of guests who is unfamiliar with onboard living conditions, this study measured and compared the onboard walking speeds of 81 participants on a passenger ship, I t were found that the walking speeds at corridor on navigation were slower than those at berth by 27.2%, and the speeds of walking on the corner on navigation were slower than those at berth by 23.2%. This means that the ship motion on navigation directly influenced walking speeds. The walking speeds of upward-stairs and downward-stairs were measured to be 0.71㎧ and 0.75㎧, respectively. From the crowd counter-flow experiments, because of the narrow space between participants, the walking speeds were decreased as person after person. And it was clear that the group’s walking speeds were determined by the walking speeds of leading person(s) of the group. The walking speeds obtained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IMO guideline(MSC/Circ 1033).

      • KCI등재

        장애학교 장애학생의 보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분석

        강은혜,김순호,최정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6

        In recent years, interest in fires involving a number of casualties has increased, and the death toll ratio was 14% of all casualties in Seoul from 2009 to 2014, while the disabled accounted for 57% and about four times more people with disabilities died of fires than ordinary people. In addition, the major fires in the 2016 fire statistics analysis show that 203 cases (58%) of the fires occurred at the school, followed by other 78 cases (22%), 39 cases public offices (11%), and 22 cases public building (6%), and the this statistics results indirectly suggested that the most fires among the major fires except general fires are more susceptible to fir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non-gener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walking speed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significance of these walking speeds on the dependent factors i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The importance and correlation of the factors between factors affecting walking speed a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based on this, the walking speed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grouped and the evacuation completion times are analyzed with by Pathfinder simulation. Finally the basic data for evaluation evacuation stability in case of fi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rovided.

      • KCI등재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황덕수,오영태,이상수,김태호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교통약자(어린이와 고령자)에 대한 보행속도 및 인지-반응을 포함한 보행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교통약자의 보행 특성을 반영한 보행 신호시간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가상횡단보도를 이용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 및 고령자의 보행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가 고령자에 비해 보행속도가 높게 나타났고, 약 0.63 m/s, 0.57 m/s의 평균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인지-반응시간과 여유시간은 고령자가 어린이에 비하여 높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보행신호시간 산정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실제 보행행태에 적합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찰청 모형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상황에서 현재의 모형보다 증가된 보행 신호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는데 적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교통약자의 이동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weak pedestrian including walking speed and perception-reaction time and to propose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To collect the relevant data,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virtual crosswalk environments. Walking speed were found to be 0.63 m/s and 0.57 m/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respectively. However, the elderly had higher perception-reaction time than children. By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wo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were developed.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s can produce reasonable ranges of pedestrian signal time. The data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future references, and the mobility of weak pedestrian may be improved by applying the models suggested in this paper.

      • KCI우수등재

        동행여부와 보행속도를 고려한 노인의 근린가로환경 이용특성 해석

        허진아,이선재,박소현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alking speed of elderly people by using the travel route big data collected by travel diary and smart phoneapplication. We analyzed the change of walking behavior in the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of the elderly whether they had a company ornot. We interpreted the mean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se of the residential streetenvironment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hange in spatial speed according to the compan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usage patternsof the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accompanied or not. First, the elderly tend to do more socialactivities while walking alone than when they were accompanied. When they were accompanied the social activities occur in empty lot nearthe residential area. However,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occur in open space such as neighborhood park or playground while walkingalone. Finally, This study has strength that it empirically analyzes the elderly's walking behavior and usage paths in small outdoor spaces,including residential streets. 본 논문은 보행속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행일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수집한 노인의 이동경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노인의 근린생활실태를 밝히고 있다. 특히 동행 여부에 따른 노인의 보행행태 변화와 근린가로 이용양상을 분석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또한 가로의 공간적 특징과 가로에서 발생하는 사람들의 행위를 파악할 수 있는 '공간속도' 개념을 도입해 가로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동행인 유무에 따른 공간속도를 비교해 노인의 근린 가로환경 이용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선, 동행인이 있을 때의 보행은 특정 시설로의 이동에 집중하는 목적보행의 성격을 주로 보이고 있었으며 동행인이 없을 떄의 보행이 여가보행의 성격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동행 여부에 따라 노인의 사회활동이 주로 발생하는 외부공간 또한 차이가 있었는데, 동행인이 없을 때는 근린공원이나 놀이터가 사회적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동행인이 있을 때는 주거지 근처의 공터에서 사회적 활동이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근린가로를 포함한 소규모 외부공간에서 나타나는 노인의 보행행태와 이용가로를 동반여부와 보행속도에 집중해 그 시사점을 도출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해 노인의 근린가로 이용양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보행속도를 활용해 그 특성을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이후의 고령친화적 근린환경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