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CC 부산총회 종합평가와 선교적 의미

        변창욱(Chang Uk Byu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2013년 부산에서 개최된 제10차 WCC 총회는 남반구 기독교의 성장을 반영하며 세계선교의 지형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분단 상황의 한 반도에서 개최됨으로써 총회주제인 생명, 정의, 평화 중에서 정의와 평화 의 문제가 현장과 잘 연결되는 대회장소가 되었다. 제10차 부산총회에 이르기까지 발표된 WCC의 많은 문서에 나타나 있는 선교신학은 갑자기 나 온 것이 아니라, 시대적 상황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선교적 대안으로 나온 것이다. 부산총회의 선교문서 “함께 생명을 향하여”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라는 큰 틀 속에서 성령의 선교를 강조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궁극적 관심은 풍성한 생명(요 10:10)에 있고 “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마음에서 시작”되었으며 “‘선교사 하나님’은 모든 하나님의 백성을 부르시어 희망의 공동체가 되게” 하신다. 본 글에서는 역대 WCC 총회와 총회 사이에 개최되는 세계선교와 전도위원회(CWME)에서 논의된 주요 선교주제를 개관한다. WCC의 최근 선교신학이 반영되어 있는 부산총회의 새로운 선교선언문 “함께 생명을 향 하여: 기독교의 지형변화 속에서의 선교와 전도”(2013)와 “교회: 공동의 비 전을 향하여”(2012), “다종교 세계에서의 기독교의 증언: 행동 권고”(2011) 등의 선교문서를 중심으로 정의, 평화, 창조세계 보전 등의 의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끝으로 WCC 부산총회가 한국교회와 선교현장에 주는 교 훈과 실천방안을 제안한다. The WCC 10th Assembly left a significant mark in terms of the missiological point of view because of the announcement of a mission confirmation that was submitted and officially approved, “Together towards Life: Mission and Evangelism in Changing Landscapes.” As mentioned in the title, in the 21st century’s “Changing Landscapes,” a developmental blueprint for the new understanding and execution of mission and evangelism was announced. This new mission affirmation presents a new direction of world mission in the mission landscapes and an alternative way to revitalize “mission Dei.” The mission affirmation proclaims that Jesus Christ is the Life of the world and that affirming life in all its fullness is Jesus Christ’s ultimate concern and mission (John 10:10). It also states that “mission begins in the heart of the triune God” and “the missionary God calls all God’s people and empowers them to be a community of hope.” The mission affirmation emphasizes the mission of the Holy Spirit in the bigger picture of the mission of the Triune God. The 10th Busan Assembly of the WCC presented many documents. Among them, some significant resource documents were presented which could lead to paradigm shifts of world ecumenical movements such as “Together towards Life,” “The Church: Towards a Common Vision,” and “Christian Witness in a Multi-Religious World.” Busan Assembly of the WCC followed in the series of councils, committees, and CWME meetings calling for a wide range of ecumenical reflection and ecumenical sharing of missionary personnel.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ission theology of the WCC and CWME based upon the themes of the WCC and CWME meetings. First, it will focus on the specific issues of 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Second, it will explore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this new mission affirmation left to the Korean church and to the Korean missionaries who have to practice it in mission fields.

      • KCI등재

        한국교회의 보 · 혁갈등과 그 대책 :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을 중심으로

        이종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30 No.-

        In this paper, I want to survey the problems of the conflict between liberalismand conservatism of the Church in Korean context. I will especially focus on the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and Ecumenical movement and then I willpursue the solutions of reconciliation and restoration between Korean churches. Around 2013 WCC in Busan, the Korean church was drawn into conflict again. Even though pursuing reconciliation and restoration of churches, church councilcaused the conflict and disagreement of churches. As a result, the Korean churchis revealed shameful aspects of themselves to the other world's churches. In thisconflict, ecumenical controversies between liberalism and conservatism ofKorean churches involved theological and ideological arguments withhegemony. The issue is that WCC denies inerrancy and inspiration of the Bible, and WCCdisapproves that Jesus is the only intermediate. And also WCC holds religiouspluralism based on false soteriology and ecclesiology. But WCC is not liberalismbecause it pursues the holistic Gospel,Trinity, Ecclesiology, Soteriology,Eschatology based on the movements of faith and work, and seeks to the kingdomof God. Recently, one of the important causes that Korean church has lost confidenceis the conflict between churches. Therefore the primary task of us is the unionand restoration between church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urch must firstly have the consciousness of anorganism.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Every church is part of an organism consisting of Christ's whole body. Each part must be connected, harmonized andbalance one another. Secondly, church must destroy the obstacles between us,and be reborn toward a community of fence movers. Thirdly, church must get togetherand be the community of worship praying with repentance. Through worship,church must progress toward true accordance and unity. Church is the communit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refore church mustfulfill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as Jesus Christ who became the intercessorand destroyed the barrier, dividing the wall between God and man. 본 소고에서는 한국교회 안에 뿌리내리고 있는 보수와 진보의 갈등 문제를WCC와 에큐메니칼 운동과 연관하여 진단해 보고, 한국교회의 진정한 화합과회복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지난 제 10차 WCC부산총회 전후로 한국교회는또다시 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었다. 교회가 하나되는 화합과 일치운동의 기점이 되어야 할 WCC총회가 오히려 분쟁과 갈등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로 인하여 세계교회에 한국교회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보여주었다. WCC부산 총회를 전후한 갈등은 한국 장로교회의 뿌리깊은 에큐메니칼 논쟁과 이를 둘러싼 신학적이고 이념적인 갈등의 역사가 복잡하게 맞물려 있다. 보수 진영은 WCC가 성경무오설과 영감설을 부인하고, 예수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원의 중보자 됨을 부인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WCC가 잘못된 구원론과 교회론에 기초하여 종교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자유주의 신학을 추구한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WCC는 신앙과 직제 운동이 추구하는 복음, 삼위일체론, 교회론, 구원론, 종말론 등을 근거로 삶과 봉사 운동으로 나가고, 하나님의 선교와 복음전도를 함께 추구하기 때문에, 자유주의 신학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최근에 한국교회가 신뢰받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교회의 갈등과 분열이다. 이는 선교에 큰 걸림돌이 된다. 그런 점에서 교회의 일치와 회복은 교회의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교회가 하나되기 위해서는 첫째, 초창기 한국교회의 연합사업을 본받아 연합사업에 힘써야 한다. 둘째, 유기체의식을 가져야 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모든 교회는 하나된 그리스도의 몸을 구성하는 유기체의 구성원이며 각 지체들이다. 각 지체들은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셋째, 교회는 나와 타자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을 허물고, “담장을 옮기는 자들의 공동체”로 거듭나 교단과 교파의 장벽을 넘어서야 한다. 교회는 화해의 공동체이며 평화의 공동체이다. 따라서 교회는 하나님과 인간사이에 화해의 중보자가 되셔서 막힌 담을 허신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 화해의사역을 기꺼이 감당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권문상 ( Moon Sang Kwon )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9 No.-

        WCC는 사회구원적 사역을 위해 출범되었다. 따라서 WCC에서 교회 연합은 실제로 큰 주제가 되지 못하였고, 1차 총회로부터 9차에 이르기까지 이 세상의 정의와 자유, 평화를 위해서 정치, 사회, 경제적 구조 악을 제거하는 인간 해방 사역을 논하는 것이 거의 전부였다. 이러한 사회구원적 활동은 기독론이 그 중심적 기초를 담당하였다. 하지만 이 기독론은 처음부터 보편속죄론과 보편적인 주되심의 차원에서만 다루어졌기에, 개인구원과 개인적 종말은 논의되지 못하였다. 화해론에 기초한 기독론, 성육신의 필연성, 부정의로 고난 겪는 자와 자유를 박탁당한 사람들의 메시아 혹은 해방자로서의 그리스도, 모든 인류의 구세주 등의 개념이 기독론적 술어가 되었다. 전통적인 속죄론과 인격론은 논의되지 못하였다. WCC가 칼케돈 신조를 거부한 것이 결정적 근거이다. 이는 곧 사회구원을 위한 기독론이 그한계를 드러낸 것임을 의미한다. 나아가 종교적 다원성 혹은 종교 다원주의적 경향은 WCC가 지금도 기독론의 독특성을 선언한다고 주장하는 WCC 지지자들을 무색하게 한다.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은 성경적, 정통 기독론에서 벗어난, ``유사 기독론``이었다. 이제 WCC는 사회구원적 교회 사역의 신학적 근거를 찾기 위해, 기독론에서 신론으로 그 중심축을 이동 중이다. 창조주 하나님의 우주적 주되심 안에 정치, 사회, 경제적 구조 악으로부터 고난 받는 자들, 그리고 타종교인과 무종교인까지도 포용하는 사회구원적 교회론을 공고히 하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기독론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을 시대를WCC는 준비하고 있다. WCC started the steps forward to her work for social salvation from her founding(1948). Therefore, Church union was not really a key issue, but rather, WCC, from the first assembly to the ninth, almost took the subjects such as humanity liberation from the structural evils in political, social, economic areas for the justice and peace of the world. Christology played a central role in this work for social salvation. However, Christology has been considered in view of the universal atonement and Lordship from the beginning of WCC, and therefore, the theological subjects such as personal salvation and eschatology have not been discussed. Christological languages included understanding the person of Christ based on reconciliation, necessity of Incarnaiton, Christ as the messiah or liberator of people suffering from injustice and restricted freedom, and the Savior of all humanity. Traditional doctrines of atonement and of the person of Christ have not been chosen for discussion. The decisive failure of WCC was to reject the Chalcedonian Creed. This showed that the Christology as a theological basis for social salvation reached the limit. Furthermore, religious plurality or the tendency toward religious pluralism shamed the WCC supporters who believed that the WCC statements included the uniqueness of Christology. The Christology for social salvation developed itself into the form of ``pseudo-Christology``, breaking away from the biblical, orthodox Christology. Nowadays WCC moves herself from Christology to the doctrine of God to find another theological basis for the social salvational works of Church. WCC consolidates the social salvational ecclesiology, embracing the people suffering from political, social, economic structural evils, and even the other believers and non-believers, in view of the universal Lordship of God the Creator. WCC prepares the era anybody might not need the help of Christology any more.

      • KCI등재

        WCC의 일치 운동: 개혁신학에서의 평가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제1차 신앙과 직제대회로부터 교회일치운동이 시작되었고, 1948년 WCC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교회일치는 WCC의 주된 목적 중 하나이며, 오늘날까지 교회일치를 위해서 논의하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WCC는 교회 일치를 위해서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로 일치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특별히 사도성을 강조하고 그것의 표준으로서 니케아-콘스탄타노플 신경을 표준으로 내놓았다. 그리고 교회의 일치를 위해서는 교회들의 전통적 차이들을 극복하고, 그것은 코이노니아로 가능하다고 말하였다. 이때 WCC는 협의회적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WCC는 이 땅에서 가견적 교회가 일치될 수 있다고 하면서, 우선 세례와 성례, 그리고 직제를 모든 교회가 공통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만들고 그것에 참여하면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교회가 일치가 되면 세상에 대해서 증거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상이 신앙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WCC의 주장들은 외면적으로는 상당히 진일보해 보인다. 그러나 신학적으로 볼때, 교회의 거룩에 대한 개념이 없고, 사도성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며, 비가견적 교회를 인정하지 않음으로, 교회의 영적 실체에 대해서 눈을 감고 있다. 그러다보니 WCC는 외형적이며, 가시적인 일치를 이루려는 것인데, 이것마저도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 영역에서 혼동하고 있어, 마치 인간이 교회를 하나로 만드는 것으로 비추어지고 있다. 비성경적 이상주의로부터 교회일치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이러한 WCC의 일치 운동이 신적 근원을 무시하고, 외적 일치만을 추구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 From its inception in 1948,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hieving the unity of the church. It has constantly discussed various methods for uniting the church. As a result of its discussions, the WCC has proposed some common theological bases that could be accepted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The following propositions are the WCC`s plan for unity. First, in describing the united church, the WCC uses the terms catholic and apostolic. If a church participates in council fellowship, then it is regarded as catholic. Also, if a church endorses the Nicene-Constantinople Creeds, it is considered to belong in the apostolic faith. For the sake of unity, the WCC desires that all churches participate in council fellowship and hold to the Nicene-Constantinople Creeds. Second, the WCC affirms that all churches can overcome their differences in tradition in terms of koinonia. Third, the WCC sets one baptism, eucharist, and order. It believes that through these outward means it not only achieves the unity of the church visibly but also gives a strong testimony to the world. The WCC is confident that through its proposed methods the visible unity of the church will be accomplished in this world. There are many errors in its propositions. The WCC discounts the notion of holiness as the church`s true testimony to the world. Displaying a unity in holiness is how the church shines its light in the world. Also, the proposed plan reveals that the WCC does not believe in the idea of the invisible church and so it denies that the visible church consists of both believers and hypocrites. Furthermore, the WCC ignores and minimizes the differences in theologies among the churches and pursues a mere outward unity by having one baptism, eucharist, and order. This stress on outward unity shows that the WCC fails to recognize the spiritual sources of church unity, namely God`s election and the Holy Spirit`s effectual grace. The implications of its propositions are the disbelief of God`s sovereignty and the glorification of human ability. This plan shows that the WCC holds an unbiblical view of church unity. Therefore, the WCC`s movement of unification is steeped in error.

      • KCI등재

        WCC의 종교 간 대화와 풍류-해방도 모델

        손원영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In 2022, world churches are looking forward to the 11th WCC Assembly in Karlsruhe, Germany. In the meantime, this article reflects how interreligious dialogue paradigm has shif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WCC and strive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religious dialogue model for Korean church. Three characteristics of interreligious dialogue of WCC were identified from the reflection of its history. First, although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considered as WCC’s core business as well as its identity, the beginning of WCC revealed its ‘tendency of exclusivism’ following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urch. However, WCC felt the needs of interreligious dialogue as it encountered other religions from missionary sites and learn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to approach other religions with one-sided imperialistic attitude. Second, interreligious dialogue became legitimate as WCC and IMC integrated in the 3rd Assembly of New Delhi, and created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interreligious dialogue which admitted God’s work among neighboring religions under the ‘Missio Dei’ theology. The most significant events during this period were the invitation of WCC’s conferences to other neighboring religions and establishment of specific guidelines on interreligious dialogue regarding its attitude. Third, despite its significant progress and declaration which made a mark in WCC’s history after struggling with the problems of ‘religious plurality’ after 1990,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in a phase of ‘moratorium’ as conflict with groups which criticize interreligious dialogue leads to the issues of Christian identity. In the midst of such period, this article observes conflicts arisen in Korean church between other religions and introduces Pungryudo-liberation model which appeared from the progress of interreligious dialogue in the case of Korean church. 세계 교회는 지금 2022년 독일에서 열리는 제11차 WCC 칼스루헤 대회 를 앞두고 있다.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WCC의 역사를 통해 WCC 종교 간 대화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성찰하고, 한국교회에 적절한 종교 간 대화 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WCC 종교간 대화의 역사 성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WCC 종교간 대화의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종교간 대화는 WCC의 ‘정체성’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WCC의 핵심적 사업이었지만, 처음 출발의 시기는 전통적인 교회의 인식에 따라 ‘배타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렇지만 WCC는 선교 현장에서 만나는 이웃 종교와의 대면을 통해 일방적인 제국주의적 태도만으로 이웃종교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면서 종교 간 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되었다. 둘째, 제3차 뉴델리 대회에서 WCC와 IMC가 통합되고 또 WCC 산하에 종교간 대화를 전담하는 조직이 갖추어지면서 종교 간 대화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에 따라 이웃 종교 속에서도 역사하는 하나님의 활동을 인정하며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 시기 WCC의 가장 대표적인 작업은 WCC의 각종 회의에 이웃 종교들을 공식적으로 초대한 일과 함께, 교회가 이웃 종교와 어떤 자세로 대화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지침(Guidelines)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셋째, 1990년대 이후 종교 간의 대화는 ‘종교적 다원성’(religious plurality)의 문제와 씨름하면서 WCC의 역사에그 휙을 그을 만큼 매우 중요한 진전을 이루고 또 그에 따른 선언문들을 발표했지만, 현재는 종교 간 대화를 비판하는 그룹들과의 갈등 과정에서 기독교의 자기 정체성의 문제로 씨름하는 ‘모라토리엄’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런상황에서본논문은한국교회에서발생한종교간갈 등의 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등장한 종교 간 대화의 한 모델인 ‘풍류 -해방도 모델’(pungryudo-liberation model)을 한국 교회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WCC의 생명선교와 한국교회의 생명선교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이 글의 목적은 생태계 위기, 경제 위기, 사회적/국가적/전지구적 위기 등 지구생명공동체의 위기에 대응하는 WCC의 생명선교를 소개하고 한국 교회 생명선교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WCC는 “생명선교”라 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WCC가 1970년대에 다룬 창조세계, 1980년대에 다룬 창조보전, 1992년부터 시작한 기후변화에 대하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 참석한 활동과 논의를 소개한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한 WCC의 5개 주요 성명서의 내용을 제시한다. 그리고 WCC 부산총회가 다룬 기후변화, 경제정의, 정의로운 평화 등 핵심주제에 대해 서 총회 전체회의와 주요문서들, 에큐메니칼 대화에서 다뤄진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WCC는 기후변화가 윤리적, 영적 문제로서 생태정의를 세워야 함을 국제사회에 역설했고,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과 사고방식의 철저한 회개가 필요하며 기존 경제구조의 변화와 교토 의정서 체제의 붕괴를 막고 이후 의 대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제정의와 관련해서 WCC는 경제 위기, 생태 위기, 사회 위기 등 복합적 위기의 뿌리에 인간의 탐욕이 있음을 고백하고 탐욕, 이기주의, 인간중심주의의 죄로부터 회개를 촉구하며, 자선의 신학 대신에 정의의 신학을 세워야 하고 자신을 변화시키는 변혁적 영성을 필요로 하며, 국제금융기구를 개혁하도록 해야 한다. WCC는 정의로운 전쟁과 평화주의의 대안으로 정의로운 평화를 제시했다. 비록 정의로 운 평화가 성서의 샬롬에 근거하고 있지만 적극적 내용이 결여되었고, 실 제 갈등하는 국제사회에서 ‘법치’의 한계를 지적했고 강자보다는 약자에게 비폭력을 강조하는 것은 문제로 지적되었다. WCC 생명선교의 의의는 창조세계, 창조보전, 기후변화 등 논의와 활 동에 발전이 있었으며 신학적 입장을 정리했다는 데 있다. 그렇지만 WCC가 생명선교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생명신학과 생명선교에 대 한 통합적 접근과 이해가 부족하고, 부산총회는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참사 이후에 인근 지역에서 모인 총회에도 불구하고 핵발전소에 대한 입장정 리를 하지 못했고, 창조보전과 기후변화에 대한 WCC의 활동과 신학이 회 원교회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활동으로 연계되지 못한 것이 한계다. WCC 생명선교의 과제로는 복합적 위기의 근원에 있는 문명사적 위기 와 제국의 문제를 다뤄야 하고, 하나님과 맘몬을 동시에 섬기려는 혼합주의화된 기독교를 신학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부터의 철저 한 신학적 회개와 더불어 생명, 정의, 평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통합하는 신 학적 작업이 요구된다. WCC의 생명선교의 흐름에서 한국교회의 생명선교의 과제를 예장통 합에 국한해 살펴보았다. 이는 통합이 “생명살리기운동 10년”(2002-2012) 을 전개했고, 현재는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2012-2022) 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2012- 2022)의 과제로는 치유, 화해, 생명선교의 신학적 방향을 제시하고 생명선 교에 적절한 성서연구 교재를 발간하고, 치유와 화해와 생명선교가 필요 한 현장과 대안적 현장을 소개하며 신학화하며, 생명선교를 신학교육과 교회교육과 목회자 재교육과 연계하고, 노회가 생명선교를 전개할 수 있도록 신학교와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WCC 종교대화 프로그램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WCC의 종교대화 프로그램은 1961년 뉴델리의 제3차WCC총회에서 인도 신학자 더바난단(P. Devanandan)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공식적으로는 1970년 인도의 신학자들 사마르타, 파니카, 토마스 등에 의하여 공식적으로 논의되고 주장되었다. 이들은 신중심적 모델(theocentric model)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바르트 이래 주장된 그리스도중심 신학의 종교 배타주의를 극복하고 라아너의 기독론적 보편주의까지 넘어서고 있다. 1960년대 WCC 운동은 종교대화 프로그램을 공동적인 인간성의 관점에서 정초하고자 하였다. 1970년에 WCC는 종교대화 프로그램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천명하기에 이른다. 1980년대 WCC는 범종교적인 하나님 추구를 공식 프로그램으로 전개하였다. 1990년대 WCC는 타종교안에 있는 익명의 그리스도들을 인정함으로써 기독교의 정체성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2000년대 WCC는 종교대화의 방향을 다음 세가지로 특징지우고 있다. 첫째, 모험적인 영성(adventurous spirituality)을 너머서, 둘째, 포스트-회심시대(a post-conversion era)에서 종교대화 테이블을 넓히는 것을 촉구, 셋째, 종교대화의 새로운 질(a new quality of dialogue) 추구 한다. 이러한 WCC의 종교대화 프로그램은 종교간의 상호대립과 오해와 갈등을 풀어나감으로써 인류의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적 연합은 교리적 모호성에 기반함으로써 다음의 비판에 직면한다. 첫째, WCC는 오늘날을 종교적 회심이후의 시대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사도행전이 기록하는 베드로와 바울의 증언에 모순된다. 둘째, 종교대화와 그리스도의 유일성 주장은 상호모순 된다. 셋째, 선교개념이 개종(전도나 복음화)에서 공동적인 인간됨 추구로 변경된다. 넷째, 종교대화의 목표인 공동인간성 추구는 개종으로서 선교를 부정하기에 이른다. 공동인간성 추구는 교회연합체보다는 지구촌 NGO가 할 일이다. The religious dialogue program of WCC began by the imitative of Indian theologian P. Devandan at the third general assembly of New Delhi. This program was officially discussed and insisted by Indian theologians such as Samartha, Pannikar, and Thomas etc. They have suggested theocentric model, overcoming the religious exclusivism of Christ-centered theology insisted by Karl Barth and going beyond the Christological universalism of Karl Rahner. WCC religious dialogue program in 1960s tried to found the religious dialogue from the viewpoint of common humanity. WCC came to affirm religious pluralism as official position in 1970. WCC developed a pan-religious search for God as official program in 1980s. In 1990s WCC came to raise a severe crisis in Christian identity by approving anonym Christ existing in other religions. In st``s WCC has characterized the direction of religious dialogue in the three as follows. Firstly, beyond the aracterized the directio, secondly, riging to enlaige the table of religious teck in ue in the three as fo. thirdlo, searching for directio, secondly, rigin. The he tribition of WCC religious dialogue program has given uehe tribition to make a world peace by solving the he frontation, misunderstanding and he flicts between religions. Church unity, howethr, based on the doctrinal ambiguity, faces critiques as follows: firstly, WCC considers today as ue in the three as fo. Such a thought he tradicts the Pauline and Peter`s testimonies recorded in the Acts. secondly, religious dialogue and the thought of uniqueness of Jesus Christ contradict each other. thirdly,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mission rises. It is no longer proselytism but search for common humanity. fourthly, the search for the common humanity leads to denounce the mission as proselytism. A search for common humanity is what global NGO should do rathe r than the church community.

      • KCI등재후보

        WCC의 일치 운동: 개혁신학에서의 평가

        김홍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From its inception in 1948,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hieving the unity of the church. It has constantly discussed various methods for uniting the church. As a result of its discussions, the WCC has proposed some common theological bases that could be accepted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The following propositions are the WCC’s plan for unity. First, in describing the united church, the WCC uses the terms “catholic” and “apostolic”. If a church participates in council fellowship, then it is regarded as catholic. Also, if a church endorses the Nicene-Constantinople Creeds, it is considered to belong in the apostolic faith. For the sake of unity, the WCC desires that all churches participate in council fellowship and hold to the Nicene-Constantinople Creeds. Second, the WCC affirms that all churches can overcome their differences in tradition in terms of koinonia. Third, the WCC sets one baptism, eucharist, and order. It believes that through these outward means it not only achieves the unity of the church visibly but also gives a strong testimony to the world. The WCC is confident that through its proposed methods the visible unity of the church will be accomplished in this world. There are many errors in its propositions. The WCC discounts the notion of holiness as the church’s true testimony to the world. Displaying a unity in holiness is how the church shines its light in the world. Also, the proposed plan reveals that the WCC does not believe in the idea of the invisible church and so it denies that the visible church consists of both believers and hypocrites. Furthermore, the WCC ignores and minimizes the differences in theologies among the churches and pursues a mere outward unity by having one baptism, eucharist, and order. This stress on outward unity shows that the WCC fails to recognize the spiritual sources of church unity, namely God's election and the Holy Spirit's effectual grace. The implications of its propositions are the disbelief of God's sovereignty and the glorification of human ability. This plan shows that the WCC holds an unbiblical view of church unity. Therefore, the WCC's movement of unification is steeped in error. 제 1차 신앙과 직제대회로부터 교회일치운동이 시작되었고, 1948년 WCC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교회일치는 WCC의 주된 목적 중 하나이며, 오늘날까지 교회일치를 위해서 논의하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WCC는 교회 일치를 위해서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로 일치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특별히 사도성을 강조하고 그것의 표준으로서 니케아-콘스탄타노플 신경을 표준으로 내놓았다. 그리고 교회의 일치를 위해서는 교회들의 전통적 차이들을 극복하고, 그것은 코이노니아로 가능하다고 말하였다. 이때 WCC는 협의회적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WCC는 이 땅에서 가견적 교회가 일치될 수 있다고 하면서, 우선 세례와 성례, 그리고 직제를 모든 교회가 공통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만들고 그것에 참여하면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교회가 일치가 되면 세상에 대해서 증거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상이 신앙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WCC의 주장들은 외면적으로는 상당히 진일보해 보인다. 그러나 신학적으로 볼때, 교회의 거룩에 대한 개념이 없고, 사도성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며, 비가견적 교회를 인정하지 않음으로, 교회의 영적 실체에 대해서 눈을 감고 있다. 그러다보니 WCC는 외형적이며, 가시적인 일치를 이루려는 것인데, 이것마저도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 영역에서 혼동하고 있어, 마치 인간이 교회를 하나로 만드는 것으로 비추어지고 있다. 비성경적 이상주의로부터 교회일치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이러한 WCC의 일치 운동이 신적 근원을 무시하고, 외적 일치만을 추구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6.25전쟁과 WCC와 한국교회

        이은선 ( Eunseo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8 No.-

        1951년에 발생했던 WCC 용공 정책 논쟁은 보수주의 우파가 좌우연합을 하려는 WCC의 에큐메니칼 노선의 이데올로기적인 모호성을 공격하면서 발생하였다. 지금까지 이 논쟁은 이승만이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고 미국정부를 견제하며 한국기독교를 통제하려는 반공정책의 입장에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들은 WCC의 이념적인 모호성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당시 한국은 북한군과 중공군의 공격 아래 생존을 위협받고 있던 전쟁 중의 상황이었다. WCC는 1950년 7월의 중앙위원회에서 6.25전쟁에 대한 유엔의 경찰행동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그렇지만 WCC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미국의 NCC의 일부의 입장은 미국정부에게 중공을 인정하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공의 조자신은 항미원조를 주장하며 WCC 중앙위원회의 한국전 지지 성명을 비판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WCC와 NCC의 일부의 중공을 인정하라는 주장과 조자신의 WCC의 공동위원장으로서의 참여는 강한 반공노선에서 있던 한국정부와 교회에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념적인 모호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승만과 보수 우파의 정치지도자들과 교회 지도자들은 WCC의 용공 정책을 제기하여 한국교회가 WCC와 단절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국의 장로교회들은 강한 반공노선을 견지하여 WCC의 이념적인 노선을 따르지 않았고, 미국의 NCC와 WCC에 속한 교단들과의 교류를 통해 전쟁 상황에서 경제 원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이승만의 그러한 정책목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렇지만 당시에 이승만의 이러한 반공노선은 한국주재 선교사들의 지지를 받았고, 국내 교회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리하여 1953년의 WCC의 휴전제의에 대해 한국정부와 함께 선교사들과 한국교회는 일치하여 반대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승만의 반공노선이 권위주의로 변질되자 1950년대 후반부터는 반공전선의 균열이 발생하게 되었다. The WCC pro-communist debate that occurred in 1951 occurred when the conservative right had attacked the ideological ambiguity of the ecumenical line of the WCC to unite left and right. Until now, this debate has been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Rhee Syngman's anti-communism through which he expanded his power and checked the American government and controlled Korean Christianity. This analysis does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WCC's ideological ambiguity. At the time, however, Korea was in a state of war during which it was threatened to survive under the attacks of North Korean and Chinese troops. The WCC issued a statement in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police action against the Korean War in July 1950 at the Central Committee. However, the minority of US NCC, the mainstream of the WCC, insisted the US government recogniz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Chao himself criticized the WCC Central Committee's statement of support for the Korean War, insisting on the aid against America. Therefore, the WCC and NCC's claim to acknowledg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Chao's participation as co-chairperson of WCC had an ideological ambiguity that was unacceptable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church, which stood on strong anti-communist lines. Therefore, Rhee Syngman and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church leaders of the conservative right argued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be disconnected from the WCC by raising the WCC's pro-communist. Howeve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t that time did not follow the ideological line of the WCC by maintaining strong anti-communist lines and wanted to receive economic aid in the war situation through exchanges with NCC and WCC denomina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refore he did not achieve such a policy goal. At the time, however, his anti-communism line was supported by missionaries and Korean churches. Therefore, the Korean churches and missionaries were in agreement with the Korean government against the proposal for the armistice of the WCC in 1953. However, when his anti-communist line changed into authoritarianism, the anti-communist front was cracked in the late 1950s.

      • KCI등재후보

        WCC 제10차 부산총회에 대한 신학적 평가: 온건으로 돌아선 WCC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4 조직신학연구 Vol.21 No.-

        WCC 제10차 부산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통하여 한국교회는 이제는 세계의 기독교인들과 지성인들에게 교회사의 한 흐름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WCC는 부산총회를 통하여 1991년 캔버라총회 이후 약화된 추진력을 재충전하는 기회를 가졌다. WCC 종래의 사회적 관심을 한국교회의 전도와 선교, 성경공부와 기도회에 접목시켜 보다 교회 중심의 선교와 성령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하였다. 선교에서 성령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부산총회는 “종교다원주의”나 “용공”이나 “동성애”에 대한 확고한 결정은 WCC 안에는 없었다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그러나 핵심용어인 ‘생명’에 대한 진정한 기독론적이고 구원론적인 이해가 부산 총회를 위한 선교선언문에는 빠져 있다. 정치적인 평화개념에 치우치고 bios와 zoe의 구분이 명료하지 않다. 한반도 선언서에 북한의 인권조항 반영되지 않았다. 여태까지 복음주의자들이 비판해오던 종교다원주의의 문장들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다. 1982년도 그리스도 중심적 보편주의가 2013년에는 삼위일체 중심적 보편주의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포괄적 성령론의 경향을 씻지 못하고 있다. 선교 개념이 중심으로부터가 아니라 주변으로부터의 선교를 강조해 애매하다. 반성경적인 동성애를 차단하지 못했다. 따라서 사회선교를 강조하는 WCC와 개인구원을 강조하는 WEA는 상호 존중하는 태도로 교류하고 보완하면서 세계선교를 향하여 나가야 한다. Through the successful opening of the 10th WCC Busan Assembly, Korean Church has got to become a steam of the world Christian church. WCC has caught a chance of recharging the driving power weakened since Canberrah Assembly 1991. Busan Assembly contributed for WCC to turning to the church-centered mission and Spirit by connecting the past social concern with the evangelism and mission, Bible study and prayer meeting. The role of the Spirit in the mission was emphasized. It was proved that no any decision on “religious pluralism,” “accepting communism,” or “homosexuality” had been made in WCC. However, Busan Assembly Mission Statement lacks in a true christological and soter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life. Political concept of peace was closed up and distinction between bios and zoe was not clear. The article of human right in North Korea was not reflected in the Statement on Korean peninsular. The propositions of the religious pluralism was still there. Christ-centered universalism of 1982 was replaced by the trinity-centered universalism. The tendency of inclusive pneumatology was not washed away. The concept ofmission has been ambigious by mentioning the mission not from the center but from the circumference. The homo-sexuality that is unbiblical was not stopped. Therefore, WCC favoring the social mission and WEA supporting personal evangelism should respect each other and go together for the world mission, complementing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