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조민석(Cho Min-Seok),문하영(Mun Ha You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41 No.-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 온 생명연장 시술의 중단, 즉 존엄사 혹은 안락사는 매우 뜻이 다양하게 해석되어지고 있다. 본래 안락사란 희랍어 eu(아름답고 행복하게)와 thanatos(죽음)에서 유래한 euthanasia(인간답게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이다. 죽음이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리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운명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사람마다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와 어떤 경우는 자연사와 구별이 애매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가 문제된다. 법적 시비는 2009년 5월 21일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법적으로는 최종 확정됐었다고 볼 수 있다. 대법원은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진입한 경우, 환자는 전적으로 기계적인 장치에 의존하여 연명하게 되고, 전혀 회복 가능성이 없는 상태에서 결국 신체의 다른 기능까지 상실되어 기계적인 장치에 의하여서도 연명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를 기다리고 있을 뿐이므로, 의학적인 의미에서는 치료의 목적을 상실한 신체 침해 행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죽음의 과정이 시작되는 것을 막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는 이미 시작된 죽음의 과정에서의 종기를 인위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생명권이 가장 중요한 기본권이라고 하더라도 인간의 생명 역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이라는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가치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판시하고 있다(대법원 2009.05.21. 선고 2009다17417). 그러나 현실에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직 적극적인 안락사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 사회적분위기 이기는 하나, 병원과 환자들 간에는 심각하게 고려되고 있는 것이 묵시적인 사실이다. 예컨대 말기 암환자에게 강력한 마취제 투입 등을 들 수 있다. 네덜란드를 비롯한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적극적 안락사도 활발히 논의 되고 있으나, 아직 우리니라에서는 소극적 안락사로 불리는 존엄사만 논의 되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은 사회적으로 환자나 보호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생명을 연장 시술을 할 경우 그 병원비를 누가 지급할 것인가에 관하여 병원 측과 보호자간에 법적분쟁이 진행하고 있다. 결국 이 문제에 관하여는 사회적으로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이를 기초로 관계법을 제정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존엄사에 관한 관심사를 살펴보고, 존엄사를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보고, 그에 따른 법적 문제를 살펴보며, 현실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입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has been much debate on the issue of withholding life-sustaining medical care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since the judicial decision of the The Supreme Court for the Kim grandmother. The withhol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accepted only to “Patient after reaching the stage of irrecoverable death”. This paper is about withholding life-sustaining and Euthanasia. Euthanasia, or voluntary assisted suicide,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moral, religious, philosophical, legal and human rights debate in Korea. At the core of this debate is how to reconcile competing values. For example, the desire of individuals to choose to die with dignity when suffering, and the need to uphold the inherent right to life of every person, as recognised by article 6(1) of the ICCPR(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PART III Article 6(1), Every human being has the inherent right to life. This right shall be protected by law. No one shall be arbitrarily deprived of his life. Definitions are followed. Euthanasia: Euthanasia is the intentional killing by act or omission of a dependent human being for his or her alleged benefit. Voluntary euthanasia: When the person who is killed has requested to be killed. Non-voluntary: When the person who is killed made no request and gave no consent. Involuntary euthanasia: When the person who is killed made an expressed wish to the contrary. Assisted suicide: Someone provides an individual with the information, guidance, and means to take his or her own life with the intention that they will be used for this purpose. When it is a doctor who helps another person to kill themselves it is called “physician assisted suicide.” Euthanasia By Action: Intentionally causing a person’s death by performing an action such as by giving a lethal injection. Euthanasia By Omission: Intentionally causing death by not providing necessary and ordinary (usual and customary) care or food and water. In conclusion, we must be wary of those who are too willing to end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the ill. If we ever decide that a poor quality of life justifies ending that life, we have taken a step down a slippery slope that places all of us in danger.

      • KCI등재

        플라톤과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사상 안에서 본 안락사의 문제

        이상임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The highest concern of the human beings in general would be the pursuit of happiness. Human beings pursue not only individual happiness, but also the happiness of the whole society or nation as a whole, community. And the goal is toward a society where everyone is happy, beyond that happiness, to a perfect society, that is, the most ideal society, utopia. One of the elements of happiness is longevity. And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medicine, we are about to reach the centenarian age. In line with this, discussions on voluntary death, such as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are also underway. Discussing euthanasia while presupposing a utopia may seem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However, some Utopian thinkers emphasize the aspect of "seeking utopia requires euthanasia," and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lassics of these ideas appear to be Plato's "Republic" and Thomas More's "Utopia." One of the interesting things about these works is the discussion of death, among which today's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or issues related to it are being mentioned. In other words, in the work of depicting the most ideal state, euthanasia spoken in modern society has been dealt with positively. This can be seen as a preemptive position in favor of euthanasia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society. Based on this premise, this paper is discussed as follows. Firstly, the focus is on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euthanasia, along with a view to favor euthanasia. Next, I will discuss the problems of euthanasia in Plato's Republic and Thomas More's Utopia. Finally, I will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lato’s and More’s view of voluntary death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on utopian state and discuss its meaning. 인간 일반의 최고 관심은 행복 추구일 것이다. 인류는 개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회나 국가 전체, 즉 공동체적 행복을 추구한다. 그리고 그 목표는 모두가 행복한 사회, 그 행복을 넘어 완전한 사회, 다시 말해 가장 이상적인 사회, 즉 유토피아로 향해 있다. 행복의 요소 중 하나는 장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는 의학을 비롯한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우리는 곧 100세 시대를 앞두고 있다. 그런데 이와 맞물려 안락사나 존엄사 등 자발적 죽음에 대한 논의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토피아를 언급하면서 안락사를 논한다는 것은 일견 모순적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토피아 사상 중에서 ‘유토피아를 추구하니까 안락사가 필요하다’라는 측면을 강조한 사상가들이 있으며, 이러한 사상을 담은 고전들 중 가장 대표적인 작품은 플라톤의 『국가』와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뽑을 수 있다. 이 저작들의 내용 중에서 흥미로운 점 중의 하나는 죽음에 대한 논의이며, 그러한 논의 가운데 오늘 날의 ‘안락사와 존엄사’, 혹은 그것과 관련된 문제들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가장 이상적인 국가를 그리는 저작 안에서 현대 사회에서 말하고 있는 안락사를 긍정적인 관점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사회의 관점에서 볼 때 안락사에 대한 찬성 입장이 선취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논의된다. 먼저 안락사 개념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더불어 안락사 찬성 견해에 초점을 맞춘다. 그 다음은 플라톤의 『국가』와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각각에 나타난 안락사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플라톤과 모어의 상이한 유토피아적 국가관의 차이에 따른 인간의 자발적 죽음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의미를 논의해 본다.

      • KCI등재

        자발적인 소극적 안락사와 소위"존엄사"의 구분 가능성

        최경석 ( Kyung Suk Choi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 No.1

        The concept of "death with dignity"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South Korea recently. While some believe that death with dignity is different from euthanasia, others maintain that it is a form of voluntary passive euthanasia. Medical futility and autonomy clearl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ral justification of death with dignity. This article argue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criterion of medical futility into the classification of euthanasia, for there may be moral differences between medically futile treatment and basic treatment such as antibiotics, hydration, and nutrition. The patient`s views on what constitutes medical futility may also be relevant. One notion of death with dignity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idea of not interfering with "natural death." This notion of death with dignity is distinct from any form of euthanasia defined as hastening a patient`s death for him/herself. However, as is shown in this article, this notion is impractical due to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natural death." Thus, this article defends the claim that death with dignity is a form of euthanasia.

      • KCI등재

        The Right to Refuse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in South Korea: The Case of Ms. Kim

        John M. McGuire 한국의료윤리학회 200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 No.1

        In North America and elsewhere there exists a legal and ethical consensus concerning the right of patie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right of families or other proxies to make such decisions for patients who are themselves unable to do so. This consensus emerged gradually and through several landmark legal rulings, such as those made in the cases of Karen Ann Quinlan and Nancy Cruza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rights of families to make decisions concerning the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behalf of incompetent patients and, until recently, there was no legal recognition of a patient’s right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However, the situation in Korea seems to be changing with the recent court rulings in the case of Ms. Kim, a case which may do for medical practice in Korea what the case of Karen Ann Quinlan did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the US. This paper makes a contribution to the much-needed consensus-building process in Korea by reviewing some of the landmarks cases in the international right-to-die movement, identifying the key legal and ethical lessons from those cases, and then applying those lessons to the case of Ms. Kim in order to evaluate the decisions that have been made in her case so far and to make further recommendations on what else needs to be done.

      • KCI등재

        The Right to Refuse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in South Korea: The Case of Ms. Kim

        ( John Michael Mcguire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 No.1

        In North America and elsewhere there exists a legal and ethical consensus concerning the right of patie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right of families or other proxies to make such decisions for patients who are themselves unable to do so. This consensus emerged gradually and through several landmark legal rulings, such as those made in the cases of Karen Ann Quinlan and Nancy Cruza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rights of families to make decisions concerning the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behalf of incompetent patients and, until recently, there was no legal recognition of a patient`s right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However, the situation in Korea seems to be changing with the recent court rulings in the case of Ms. Kim, a case which may do for medical practice in Korea what the case of Karen Ann Quinlan did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the US. This paper makes a contribution to the muchneeded consensus-building process in Korea by reviewing some of the landmarks cases in the international right-to-die movement, identifying the key legal and ethical lessons from those cases, and then applying those lessons to the case of Ms. Kim in order to evaluate the decisions that have been made in her case so far and to make further recommendations on what else needs to be done.

      • KCI등재
      • KCI등재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정진연(Chung Jin-Yeon)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6 No.-

        최근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면서, 인간답게 죽을 권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망의 단계에 접어든 환자에 대하여 단순이 현상태만을 유지시키는 연명치료를 중단하여 자연스러운 사망으로 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여러 법률적 쟁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번 판결은 비록 무의미한 연명치료장치제거를 청구한 민사소송이지만, 다수의 형법적 쟁점이 포함된 것이다. 이에 연명치료중단의 의의와 관련하여 기존 안락사, 존엄사와의 관계가 문제되며, 연명치료중단의 형사처벌 가능성과 관련하여 처벌가능성 및 정당화 근거 등이 문제된다. 또한 연명치료중단 과정에서 환자의 동의의 법적 성질을 피해자 승낙으로 보는 경우 피해자 승낙의 유효요건 및 추정적 승낙의 형법적 처리 등이 문제된다. 의료적으로 연명치료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사전적인 판단이지만, 사망의 결과가 나타나고 관련자의 이해가 충돌하여 법적 분쟁으로 확대된 후 사후적 판단은 동일한 기준에 의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특히, 민사적 법률관계를 떠나 관계자의 형사책임을 논함에 있어 그 기준은 엄격할 수밖에 없다. 환자 본인인 피해자의 승낙이 아니라 그러한 승낙의 추정을 인정하여 사망이라는 결과에 적법성을 부여하는 추정적 승낙의 인정과정에서 관련자에게 ‘양심에 따른 심사’라는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요구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하다. 형법이론 상 피해자의 승낙에 대하여 보충적 지위에 있는 추정적 승낙이지만,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는 오히려 주가 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 Supreme Court ruling on death with dignity has increased the interest in the right to die like a human being. Various legal issues have been raised within the process of guiding a person who has entered into the steps of death to a natural death by cease of medical treatment which has been prolonging such person. Although the current ruling was a civil case petitioning the removal of meaningless life-prolonging medical device, it includes number of criminal law issues. Thereupon, there are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in relation to the existing voluntary or involuntary euthanasia, the possibility of criminal prosecution and the ground of justification. Furthermore, if a patient's consent to the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 is viewed as consent of a victim then there are issues of what will constitute as the effective requisites for such consent of a victim and the handling of presumptive consent in the viewpoint of criminal law. Although the medical decision to cease the life-prolong treatment is a judgment before-the-fact, the judgment after-the-fact which will be required after the resulting death and related legal disputes between the related parties has been raised, cannot be viewed with equal standard. Especially, outside of the civil legal relationship, the standard must be stricter in the context of criminal liability of the related party. It is inevitable to require a subjective justification element such as 'judgment with conscience' to a related party when recognizing presumptive consent, which places legality to a death by acknowledging a presumptive consent rather than victim's consent by the patient, Despite of the presumptive consent having the supplementary status to the consent of a victim in criminal theory, as presumptive consent will be the main theory in the cases of cease of life-prolong treatments, studies need to be continued in this contex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