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술계 위작(僞作)·대작(代作)에 대한미디어 담론 분석- 프레임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

        양희수,현은정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5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media discourse affects the behavior and outcomes of relevant actors. In particular, media discourse analysi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has been increasingly used to captur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ontentious social issues across various fields. The use of this method, however, has not been very active among researchers of arts and cultu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sis of media discourse related to art forgery in the Korean visual art sector as a test case to depict the topography of media discourse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We focus on three major art forgery scandals (e.g., Lee Woo Hwan, Chun Kyung ja, Jo Young Nam) and identify 8 major frames (conflict, blame attribution, context description, sensation, government intervention / institutional measures, market economy, power, morality) used in 83 opinion columns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s as well as arts magazines about those instances from 1991 to 2017. We examine how theses frames that reflect the perspectives on art forgery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so as to better make sense of how media discourses about art forgery in the Korean visual art sector are constituted.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은 행위자들의 행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특히,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미디어 담론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사회적인 이슈의 구조적 특성을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예술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은 비교적 새로운 분석 방법으로, 최근 들어 문화예술분야의 연구 동향을나타내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해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의 지형을 나타내기 위한 사례로서,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사건과 관련된 미디어 담론(meida discourse) 을 ‘프레임(frame)’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논란을 다룬 사설·칼럼 83개를 대상으로 11개의 프레임(frame)을 부여하고, 11개의 프레임(frame)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 1) 11개 프레임(frame)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중심성(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등위성 분석(cluster) 2) 미디어 매체(media)의 이데올로기적 성향(ideological tendency)별로 11개 프레임(frame)에 대한 연결 중심성 분석(degree centrality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 매체(media)가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에 대해 전체적으로 각 사건들에 대한 사실·갈등 양상을 나열하거나, 각 사건의 행위 주체의 책임을 묻는 등의 프레임(frame)을 중점으로 담론(discourse)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미디어 매체(media)의 이데올로기적 성향(ideological tendency)에 따라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논란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에서 비교적 새로운 분석 방법인 프레임 분석(frame analysis)을 통해 국내 미술계의 위작(僞作)·대작(代作)논란에 대한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을 파악하고, 이를 네트워크 지도(network map)를 통해 시각화하였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11개의 프레임(frame)을 대상으로 실시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해 미술품 위작(僞作)·대작(代作)을 둘러싼 미술계 외부와 내부의 견해차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정부 부처가 이와 관련한 정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본 논문이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력시스템 해석과 교육을 위한 정보시각화 프로그램 개발 - Part II: 전력계통 해석 기능

        김병호,홍민,김규호,김홍래 대한전기학회 2020 전기학회논문지 Vol.69 No.9

        As modern power system has grown rapidly and becomes complex, it is no longer possible to operate and develop the power systems without the help of a computer. By solving the computational problems required for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using a comput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y of power system analysis,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ystem operation,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ystem.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es many power system analysis applications, such as state estimation, power flow, stability analysis, fault analysis, economic dispatch and contingency analysis, which can analyze inform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power system. In case of state estimation and power flow, their role is very important as application programs that are the basis of power system analysis. Commercial tools for power system analysis provide various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the expression of power system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for grid analysis, but they do not usually include state estimation function as a basic application for power system analysis performed in a real-tim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st of purchasing and maintaining commercial tools is very expens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n educational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nd used by a user using computer in the educational stage for power system analysis. In this paper, we develop and introduce a program for power system analysis and education with information visualization function.

      • KCI등재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 분석 모형 개발

        강선영(Sun Yo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는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인쇄 매체인 음악 교과서를 핵심적인 교수ㆍ학습 자료로 사용하는 현재의 학교 상황은 일상적으로 감각적인 멀티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학생들과 간극을 보이고 있으며, 이 간극을 줄이는 방법은 음악 교과서를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 분석에 대한 여러 연구들과 저서를 고찰하여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 모형의 대상은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추출되었고, 분석의 범주와 준거는 선행 연구들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설정하였다. 이 분석 모형은 첫째, 정보 내용에 따른 시각화 분석, 둘째, 정보시각화의 기능 분석, 셋째, 정보시각화의 유형 분석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범주는 5개에서 7개의 하위 준거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alysis models to examine problems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in South Korea. Schools still depend on conventional music textbooks, printed media, as their fundamental teaching tools while students obtain information through an array of sensory media on a daily basis. In order to bridge the gaps betwee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s and students’ expectations, it will be the most realistic to come up with concrete ways to convey information to students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rough music textbooks. For these objectives, I studied a variety of books and research on analysi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developed appropriate models to analyz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Subjects of this analysis models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the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set up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analysis model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models for visual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contents; second, models for analysis of function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hird, models for analysis of type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Each category includes five to seven criteria.

      • KCI등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윤소현,이지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2

        Background: Throughout the data industry markets grow in size globally, in-page analytics Tool to help gain insights and make storytelling using data is widely used.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in-page analytics Tools are focused on the public analysis based on the heatmap and the UI and func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overall flow of the insight for the service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I development that helps users to get service improvement factors from UX side, focusing on trend data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visualiz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investigating service for UI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in web p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visualization tool, which is a visualization tool for easy access and data viewing for future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gress. Analysis of basic components and improvement factors of data visualization tool through analysis of Beusable and derived service idea from trend data perspective.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idea, the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through the prototype, we focused on the trend of the data and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tegory by comparing the comparison. Key improvements include the need to define long-term trend data and the lack of a link between the heatmap and th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tudy, UX designer made a research hypothesis and prototype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how user data flow changes over time and to improve problem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not only the suggestion of the interaction but also the expert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ability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to have received a positive answer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ata analysis func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focused on the essential fun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actitioner.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데이터산업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in-page analytics tool)가 전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들의 기능은 히트맵을 기반으로 한 공시적 분석 위주이며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통시적 분석을 위한 UI와 기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UX 측면에서 서비스 개선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UI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국내외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시각화 방식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UI 개발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했다. 주요 연구 대상은 추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진행을 위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각화 도구인 뷰저블로 선정하였다. 뷰저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 및 개선 요소를 분석하고, 추세 데이터 관점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아이디어의 기능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프로토타입을 통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 결과, 데이터의 추세에 집중하여 비교를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 한 것에 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장기간 추세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와 히트맵과 분석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UX 디자이너가 시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 가설을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사용성 검증 및 개선점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실무자 관점에서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하여 새로운 시각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행위자 기반 시각분석을 위한 시각적 접근-노출 모델

        이승재(Lee Seung-Jae)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index for the application to the agent-based visual analysis model. The existing visual analysis models are not reasonable to reflect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so in this paper the isovists having orientation, visual field angle, limit visibility distance, and visual access-exposure level( ) from object distance were proposed. Through comparative and static analysis by several visual analysis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w index is more influenced by spatial shape and limit visibility distance than spatial size. Second, it shows significant results in the visual analysis considering orientation. Third, it could represent multi-agent visual features as well.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ew index would be applicable to the agent's visual dynamic analysis as well as the static spatial-visual analysis. And the agent behavior analysis from this visual index could allow the analyzer to interpret visual complexity and visual dynamics of real world.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 UX 디자인 개선 방안 제안 ­뷰저블 애널리틱스(Beusable Analytics)를 중심으로­

        정지현,김서연,박민희,이지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4

        Background : With the recent growth of big data and the advancement of data analytics, the importance of data-informed UX design is being highlighted. As the need for more sophisticated analyses on user needs and behavior patterns, a great variety of analysis methods were developed. But, there is a lack of study that focuses on detailed data exploration and analysis based on interaction designs that implement such concepts for the moment. Methods : Beusable Analytics, data-informed user journey analysis tool in South Korea, as a research subject to improve user experience based on data analysis. First,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about the User Journey Map, Funnel Analysis, Data Visualization types and Flow factors for Data Analytics. data visualization types and interaction methods of data informed user journey analysis tools were analyzed. Afterwards,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and major problems and design improvements were proposed by analyzing the evaluation contents and measuring priorities. Results : Finally, four improvements were proposed as wireframe and key path scenario to improve the ‘limitation of the overall view of the entire journey', ‘lack of storytelling of the journey’, ‘Difficulty in record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vari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proposes ways to improve user experience by considering User Experience such as UI (User Interface) and Interaction for UX designers who want to derive insights by analyzing user journey data. Analysis results of user journey analysis tools and expert evalua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nfirmed the behavioral patterns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practical UX designers during data analys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the usefulness of the existing user journey analysis tool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design improvement plan, an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and used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user journey analysis tool that provides not only viewable analytics but also funnel analysis. 연구배경 : 최근 빅데이터 관련 기술의 성장과 데이터 분석 솔루션의 고도화로 인해 데이터 기반 UX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고객의 니즈와 행동 패턴의 정교한 분석이 점점 더 중요해지며, 다양한 분석 방식이 개발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를 구체화한 분석 도구의 개발과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 데이터 탐색 및 분석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상용화되어 있는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 중 국내 서비스인 뷰저블 애널리틱스(Beusable Analytics)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사용자 여정 지도와 퍼널 분석에 대해 파악하고, 국내외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의 데이터 시각화 유형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터랙션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하여 뷰저블 애널리틱스의 사용성을 진단하고, 평가 내용 분석과 우선순위를 측정하여 주요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 결과적으로 ‘여정 전체 조망의 한계’, ‘여정의 스토리텔링 전달 부족’, ‘데이터 기록 및 해석의 어려움’, ‘변동성 파악에 대한 어려움’ 총 4가지 주요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 사항의 와이어프레임(Wireframe)과 핵심 경로 시나리오(Key path scenario)를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웹 페이지 내 사용자 여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는 IT 실무자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및 인터랙션(Interaction) 등의 사용자 경험적 측면을 고려하여 경험 향상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문가 평가 분석 자료와 상용화 되어 있는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의 시각화 방식 및 인터랙션 측면의 분석 결과는 데이터 분석 시의 실무 UX 디자이너와 기획자의 행동 패턴과 기능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동료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자인 개선안을 통해 기존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의 유용성을 높였으며, 이는 뷰저블 애널리틱스뿐만 아니라 퍼널 분석 등을 제공하는 사용자 여정 분석 도구의 발전방향 수립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불교학

        김바로(Kim, Ba-R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6

        본 논문은 디지털인문학의 관점에서 불교학과 디지털의 융합 연구 방법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우선 데이터의 영역에서 현재 불교 데이터가 안고 있는 데이터 품질의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기계가독형데이터와 시맨틱웹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지금까지의 인간가독형데이터의 개념에서 벗어나서 컴퓨터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 하는 기계가독형데이터 중에서도 인문학의 다양한 의미 관계를 서술할 수 있는 시맨틱웹 개념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불교 지식 체계로의 응용모델인 불교 인공지능 윤리모델을 제안하고, 불교 데이터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고도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 분석과 해석의 영역에서는 언어 분석, 사회네트워크 분석, 공간 분석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언어 분석에서는 CBETA 디지털 연구 플랫폼과 유서대응검색시스템[類書對應查詢系統]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기어(Co-occurrence)를 통한 불경의 개념어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에서는 고승전 사회네트워크 시각화와 편지 공화국의 지도 제작을 소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불교학 연구를 위한 한국 불교 인물 네트워크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공간 분석에서는 불교전기문학지리정보시스템과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연구를 소개하고, 공간 분석을 활용한 불교 사찰과 풍수 간의 공간 관계성 분석이나 시대별 승려 출신지의 변화 양상 등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화의 영역에서 CBETA 온라인 열독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스토리텔링 자원 개발을 소개하고 불교학 데이터와 연구의 시각화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연구자를 위한 문헌 시각화는 원문 정보와 연구 정보의 상호 연계를 통한 연구 효율의 최대화이다. 그리고 일반 불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시각화는 종이 매체에서 벗어나 디지털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기술(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을 활용하여, 일반 불자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물리적인 접근이 힘든 대상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fusion study method of Buddhism and digital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humanities. First of all, the problem of the quality of the data currently held by Buddhist data centers in the area of data and the solutions were discussed, centering on the concept of machine-readable data and the semantic web. I emphasized the Semantic Web concept, which is able to describe various semantic relations of humanities among machine readable data, which is important to inform computer more information from the concept of human readable data. Based on this, the Buddhist AI ethical model, which is an application model for a digital Buddhist knowledge system, was proposed and a method for upgrading Buddhist data was specifically put forward. Then, in the area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 discussed the present situation with and possibilities of language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Regarding linguistic analysis, the “CBETA digital research platform” and “Leishu Corresponding Inquiry System” (類書對應查詢系統) were introduced, and the possibility of Buddhist research using the language analysis method was suggested. In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s, I introduced the “visualization of the Memoirs of Eminent Monks (高僧傳) social network” and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projec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Buddhism using network analysis. In the spatial analysis, I introduced the “Gaoseng Zhuan GIS system” (佛教傳記文學地理資訊系統) and “the drift node visual network in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Buddhism using spatial analysis. Finally, in the visualization part, I introduced the “CBETA online reading” (線上閱讀) and “digital storytelling resource development of Korean documentary heritage,” described the visualization of Buddhist data. Visualization for researchers is the maximization of research efficiency through linkage of original inform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Multimedia visualization for general Buddhism uses a new technology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that can be used in digital by moving away from the paper medium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ubjects in which general Buddhist tex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or difficult to access can do.

      • KCI등재

        남해 다랭이마을 해안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와 물리적 시각량의 상관성 분석

        권대곤,이정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8 島嶼文化 Vol.0 No.51

        This study, focusing on the coastal landscape at Darangyi-village in Namhae,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identification of preference facto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s image through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physical visual quantity.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questionnaire data by means of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regarding the coastal landscape at Darangyi-village were pos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beautiful’, ‘bright’, ‘soft’, and ‘friendly’,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lain’, ‘normal’, ‘disorderly’, ‘simple’, and ‘closed’. The positive preference factors ‘natural’, ‘beautiful’, and ‘bright’ are in harmony with the physical visual factors of the area: green, sea, and sky. The negative preference factors such as ‘normal’ and ‘disorderly’ are considered to reflect differences in preferences regarding the coastal landscape of Namhae. The physical visual factors that influence respondents’ overall satisfaction were aspects that refer to artificial (manmade) features, the sea, and the sky. Among these factors, the artificiality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satisfaction about the coastal landscape at Darangyi-village. As image factors affecting the coastal landscape, the analysis identified ‘familiarity’, ‘orderliness’, ‘physicality’ and ‘complexity’, of which familiarity had the greatest impact.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village’s coastal landscape and meet preferences, familiarity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planning.

      • KCI등재

        북한의 발해 연구사 서술을 위한 새로운 접근 ― 북한 학술지 목록화 사업 결과물을 활용한 내용분석

        고일홍 ( Ko Ilh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4

        Previous attempts to trace North Korean research trends have relied heavily on qualitative analysis, resulting in subjective narratives, and limited attempts at quantitative analysis have been one-dimensional in nature. In order to address this need for the diversification of methods for the study of North Korean Balhae research, ‘digital data analysis’ methods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were adopted.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undertaken on the titles of articles on Balhae published in six North Korean research journal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as was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ormer revealed diachronic insights on the publication of Balhae articles,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n different journals. The latter involved the use of NetMiner 4.0 software to produce a sematic network, to create ‘content clouds’, and to undertake degree centra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 taking of North Korean Balhae research trends, presented a way of utilizing data on North Korean research journals accumulated through DB construction projects, and provided an example of applying digital data analysis techniques to humanities research.

      • KCI등재

        표지를 대상으로 시각화한 설문카드를 이용하는 컨조인트 분석

        홍수정,오흥운 한국도로학회 201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1 No.4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perform a visual-based conjoint analysis of signs, specifically for those in subway systems. METHODS: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with signs, we conducted installation case studies on subway signs and developed visualized materials for survey. The visualized survey cards were used to record the subjects’preferences in the conjoint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urrent problems of sign, we developed the profile cards and used the visualized survey cards to conduct the survey for conjoint analysis. From the conjoint analysis using the visualized survey cards, it was found that the values of Pearson’s R and Kendall’s tau are close to 1. This suggests that our model is a very fitted model for conjoint analysis.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a conjoint analysis of subway signs could be reliably performed by using visualized survey c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