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시각발상을 위한 웹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Morton Garchik의 시각발상법을 중심으로 -

        허윤정,임창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4

        The value of creativity is important for the age of knowledge -based industry, and idea and creativity are becoming the resources of intellectual capital. Digital contents are presented by multi-media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image and symbol needs creativity. It means that systemic visual thinking for converting the concept to visual language becomes important.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development of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1) The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is essential for visualization. 2) The existing thinking tools are not specialized for visual thinking. 3) Morton Garchik proposed systematic visual thinking processes but they are focused on intuition and they missed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4)The existing EBS have good points because of their character of media, but they are based on text and they are not proper for visualization. 5) KJ, MDS, checklist should be added to strengthen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and tools should be offerd for visual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The value of creativity is important for the age of knowledge -based industry, and idea and creativity are becoming the resources of intellectual capital. Digital contents are presented by multi-media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image and symbol needs creativity. It means that systemic visual thinking for converting the concept to visual language becomes important.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development of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1) The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is essential for visualization. 2) The existing thinking tools are not specialized for visual thinking. 3) Morton Garchik proposed systematic visual thinking processes but they are focused on intuition and they missed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4)The existing EBS have good points because of their character of media, but they are based on text and they are not proper for visualization. 5) KJ, MDS, checklist should be added to strengthen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and tools should be offerd for visual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 KCI등재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이모영(Lee Mo-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를 활용해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의 인지심리학적 기초를 형성하는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이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주요 특징들이 최근의 뇌신경 과학적 연구에 의해 어떻게 지지되는지, 그리고 창의성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각적 사고는 추상적 개념에 의한 논리적 사고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논리적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알고리즘의 기계적 사용을 피하게 해주어 사고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시각적 사고는 구성요소들을 동시적, 전체적으로 고려하게 함으로써 구조와 맥락의 이해를 촉진하고, 주어진 요소들의 역동적인 전환을 쉽게 해서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사고와 창의성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에 기초하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시각적 이미지 분석하기’, ‘구조적 특징 파악하기’, ‘대상을 직접 경험하기’, ‘심상 활용하기’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xecutive plans to foster creativity through visual thinking training in art education. On a practical scale the majo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that forms the cognitive psychological basis of art were analyzed, and how they can be reinforced by the recent neuroscientific research was then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of visu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also examined. As a result, visual thinking helps avoid the mechanical use of an algorithm deriving from logical thinking based on abstract concepts, therefore facilitating the flexibility of thinking. In addition, visual thinking helps consider its constituents in a simultaneous, wholesome manner so that the given elements can be dynamically converted and the existing problems can be effectively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contemplation as to the relation between visual thinking and creativity, practical schemes expected to foster creativity in art education were suggested. In detail, some of the suggestions include ‘analyzing visual images’, ‘comprehen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experiencing objects in person’ and ‘utilizing mental images’. However, this research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visual thinking is the only way to enhance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s indicated by a number of theories with regard to creativity, a logical investigation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is also a crucial element that leads to creativity. The reason being is that the two cognitive processes must be balanced in a harmonious manner to ensure the optimal results of creative thinking just as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s of the brain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s of neuroscience of the brain. Nevertheless, visual thinking has been emphasized merely because its importance has been neglected. All in all, the activation of visual thinking, whose potential effects have been hidden behind the veil of negligence, to enhance creativity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art education.

      • 비주얼씽킹(visual thinking)을 활용한 고등학교 음악감상영역 교수·학습 방안 연구

        주혜영,함인아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2

        비주얼씽킹(visual thinking)1)은 기업체에서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획안 및 프레젠테이션 작성 기법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 수많은 정보 가 쏟아지는 21세기 사회에서 정보의 처리 능력 및 사고 정리 방법은 매 우 중요하게 되었는데, 특히 시각적 사고와 이미지를 통한 기억 방법은 효 과가 탁월하여 기업체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적용하게 되었다. 현재 고등학교 음악 과목은 생활화, 표현, 감상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비주 얼씽킹을 통한 감상 수업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중 음악적 소통 역량과 음악적 정보 처리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감상영역에서 비주얼씽킹을 활용해 감상곡에 대 한 이해를 높이고 다른 학생들과의 소통 능력과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도 록 교수ᆞ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감상곡은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과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에 나오는 악곡들로 선정하였고, 총 4차시의 교수ᆞ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특히 교수ᆞ학습 방안이 개발된 후 실제 학교 현장 음악수 업에 적용하였으며, 적용 후 교수ᆞ학습 방안의 부족한 점을 수정, 보완하 여 최종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결과물도 함께 첨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music appreciation using visual thinking. Two musicals, The phantom of the opera and Les miserables, were selected for four-time-class plan. Each plan is composed in high school appreciation area based o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activities, especially emphasized on visual thinking. visual thinking is one of memorizing skills using layouts. In the educational fields, visual thinking is used as a tool for students to find the core of learning contents by themselves and to express and communicate using a visual thinking layouts. The teaching plan of the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area was designed and applied to actual teaching class. As a result, students were able to explore musicals, understand their works effectively, and become interested in musicals through visual thinking activities. However, precedent practice is required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visual thinking method and if the number of musical works increases, it will not be done properly within the class time. While visual thinking is considered as a creative thinking method and is widely used in educational fields, the theoretical study of visual thinking and textbook research are insufficient. Further studies needs to be expected.

      • KCI등재

        문화인지로서 시각적 사고 : 시각적 사고의 본질, 역할 및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1

        This paper addresses visual thinking which is one mode of cognition that thinks perceptually, and which has been largely neglected in the academic disciplines. This paper discusses what specifically is visual thinking, how its mechanism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logical thinking, and what ar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In a broad sense, visual thinking can be defined as cognitive process of handl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images. In a narrow sense, visual thinking is a mode of perception that is in contrast to logical thinking, and it is an active, intelligent cognitive process of perception.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are as follows: Perception is foremost in our cognition. Perception is not a passive process, but an intelligent and creative cognitive process that includes thinking. Perception include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at dynamically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in real time. Lastly, perception always has semantic relationships.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visual thinking provides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one mode of human cognition of humans who think nonverbally,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living by expand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 본 논문은 그동안 학문의 영역에서 등한시되었던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인 시각적 사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시각적 사고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 작동의 기제는 기존의 논리적 사고와는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시각적 사고의 주요 특징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일반적인 의미에서 시각적 사고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논리적 사고와 대비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서의 시각적 사고는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즉 지각의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인지적 과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시각적 사고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인지에서는 지각이 우선적이다. 지각은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사고를 포함하는 지능적이고 창의적인 인지과정이다. 지각은 실시간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역동적 정보처리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각은 항상 의미 관련성을 보인다. 시각적 사고 개념에 대한 논의는 비언어적으로 사고하는 우리 인간의 인지의 한 방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문화, 예술 그리고 소소한 일상적 삶의 이야기들을 학문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인지 틀을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고은성,이경화,송상헌 대한수학교육학회 2008 학교수학 Vol.10 No.1

        본 연구는 대수의 일반화 과제를 해결하는 2명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가 보여주는 사고 과정을 조사하고 이미지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학습자가 생성한 이미지는 개별적 사례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 구체적 이미지를 변형한 역동적 이미지와 패턴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문제 해결 과정 동안 이미지의 생성과 변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의 상호 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변형되면서, 정교화되고 구체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에서 분석적 사고로, 분석적 사고에서 시각적 사고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role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imag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inking process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ho solved tasks generalizing patterns and we analyzed how images affected problem solving. We found that the students constructed concrete images of each cases and dynamic images and pattern images from transforming the concrete imag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images were constructed and transformed and what were the roles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he results showed that images were constructed, transformed, and sophisticated through interact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we could identify that images played central roles in moving from visual thinking to analytic thinking and from analytic thinking to visual thinking.

      • KCI등재

        왜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인가? : 문화인지적 관점에서의 고찰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4

        It is suggested that the one-sided emphasis on logical thinking brought about the result to neglect the aspect of cognition related to non-verbal experiences, which restricts the range of ou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as to the world.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why visual thinking is needed, what kind of meaning it has in diverse areas of life, and how visual thinking changes our life. For this purpose, we have discussed aesthetic theory, perceptual phenomenology, embodied-mind theory, neuro-scientific research and visual thinking. From such a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visual thinking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sual thinking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universal cognitive ability experienced non-verbally which was neglected in the past. Second, visual thinking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e and imaginative thinking. Third, visual thinking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ics important in understanding culture & art, an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 art. Fourth, visual thinking will better empathy ability and sensibility, and serve to prevent and cur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Fifth, visual thinking will be able to provide the important theoretical basics in arts therapy newly emerging recently. Sixth, it will prove that non-verbal experienc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mental health problem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 and further it will be able to furnish the important implications to lead a healthy and affluent life. 현대 학문의 논리적 사고에 대한 일방적 강조는 비언적 경험에 관련된 인지의 측면을 등한시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고, 이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경험의 폭을 제한하고 있다는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 시각적 사고가 왜 필요한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시각적 사고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학이론, 지각현상학, 체화된 마음이론, 뇌신경과학적 연구 그리고 시각적 사고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로부터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시각적 사고는 그동안 등한시되었던 비언어적으로 경험하는 보편적인 인지능력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것이다. 둘째로 시각적 사고는 창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사고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셋째로 시각적 사고는 문화 예술이해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으로서 문화예술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로, 시각적 사고는 공감능력과 감수성을 향상시켜 학교폭력의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째, 시각적 사고는 최근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예술치료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심리적 건강 문제에 비언어적 경험이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해 보임으로서,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의 시각적 사고의 역할 - 대학생 대상 디자인씽킹 실습 중심으로 -

        고은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2

        Background The role of Design Think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that the ess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o find and solve human problems, which are areas that cannot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trend, while research on use cases of Design Thinking is actively being conducted, research on the attributes and difficulty of learning acceptance by stage in each process of Design Thinking in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 has not been conducted yet. Methods After reviewing the outline of Design Thinking,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process of Design Think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 of Visual Thinking, an important attribute of Design Thinking, and the role and importance in Design Thinking were grasped. After that, we will conduct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visual thinking derived through the difficulty of learning 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visual thinking of learners at each stage of design thinking. Result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it was developed a summary of Design Thinking,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process and understood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Visual Thinking, which are important attributes of Design Thinking. It was then required to verify the role and importance of Visual Thinking derived through the difficulty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earning acceptance of Visual Thinking by learners at each stage of Design Thinking. Conclusion In learning of the Ideation and Prototype, which are the stages of Visual Thinking, we examined the difficulty of accepting learners and verified the importance and role of Visual Thinking. 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roceed with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Visual Thinking.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인공지능(AI)로 대체되지 못하는 영역인 인간의 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디자인씽킹의 역할은 점차 더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디자인씽킹의 활용 사례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교육적 차원에서 진행함에 있어서의 디자인씽킹 각 프로세스 상 속성 및 단계별 학습 수용 난이도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디자인씽킹의 정의 및 프로세스 등 디자인씽킹의 개요에 대한 정리를 진행한 후 디자인씽킹의 중요 속성인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디자인씽킹에서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후 디자인씽킹 단계별 학습자의 시각적 사고의 학습 수용 난이도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시각적 사고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실증 검증을 진행하도록 한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중 브레인스토밍 단계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시각적 사고는 생각의 시각화 자체 뿐 아니라 팀 구성원 및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 분석 결과, 학습자는 시각적 사고가 요구되는 위의 두 단계의 난이도가 다른 단계에 비해 가장 높다고 평가하면서, 동시에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며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하는데 시각적 사고가 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시각적 사고 단계인 브레인스토밍과 프로토타입을 학습함에 있어서 학습자의 수용 난이도를 살펴보고,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이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적 사고의 방법론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 KCI우수등재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을 적용한 초등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연구

        김은주(Eun Ju K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는 ‘생각의 시각화’를 핵심으로 하는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기법을 적용한 효과적인 초등 음악 감상 수업 방안 모색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비주얼 씽킹의 개념과 수업에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 음악 감상 수업에서 비주얼 씽킹의 의미를 살폈다. 이어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음악 감상 지도 단계를 설정하고 각 학년군별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수업 예시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수행함으로써 적용 가능성을 살폈다. 이를 통해 초등 음악 감상 수업에서 비주얼 씽킹 적용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ek an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music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visual thinking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visualization of thinking”. To this end, this research reviewed the concept of visual thinking and the method for applying it to class. Subsequently,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by establishing the stages for music appreciation teaching using visual thinking, by developing a class sample by applying visual thinking to each class group, and by performing the clas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effects could be sufficiently exercised by the application of visual thinking to elementary music appreciation clas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가족 중심 아동간호교육을 위한 비쥬얼씽킹 기반 학습법의 효과

        조인영,윤지영,박서진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s of visual thinking program in the pediatric nursing curriculum on design thinking, emotional intelligence, epistemic curiosity. This study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 of visual thinking program for family-centered pediatric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fter applying visual thinking program that consisted of pre-thinking stage, sharing stage, post-thinking stage, the effects were measured through design think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llectual curiosity tools. Design thinking (t=2.55, p=.016) and emotional intelligence (t=4.07, p<.001) of nursi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pplying the visual think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family-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rough creative thinking centered on expression and sharing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mpathy, cooperative thinking, and integrative thinking.

      • KCI등재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고전 소설 수업이 중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효과

        이안정(Anjung Lee),윤재웅(Jaewoong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국어(고전) 수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비주얼 싱킹과 연계한 고전 소설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도, 자신감, 태도, 불안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비주얼 싱킹에 대한 학습자들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살펴봄으로써 비주얼 싱킹과 연계한 고전 소설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다. 방법 인천 소재 중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비주얼 싱킹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활동지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전문가(국어과 교수 1인, 교육학박사 1인)의 검토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고전 소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하였고, 개방형 문항과 활동지는 내용분석하였다. 분석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전과 후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기술통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국어 수업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수업에 비해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도, 자신감, 태도, 불안도의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고전적인 수업 양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전 소설 수업에 비주얼 싱킹을 활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 how learners have perceptions of Korean (classical) classes in the school field. Second, we examine the effects of classical fiction classes linked to visual thinking on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attitude, and anxiety through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Third, by examining learners' responses to open questions about visual thinking, we examine the effect of classical novel classes linked to visual thinking on learners. Methods A test was conducted on 165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to measure variables related to visual thinking. We tried to analyze the results by collecting data through activity papers an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by experts (one Korean language professor and one Ph.D. in education) and divided into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students' reactions to classical novel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open questions and activity papers were analyzed in content. Detail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learners' pre- and post-test results. Results Compil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after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it was found that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were generally more satisfactory in the areas of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attitude, and anxiety than conventional text-oriented classes. Conclusions As an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problems of classical teaching patterns,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positive effect by using visual thinking in classical novel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