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米同盟と東北アジアの安全保障 - 日米安保協力の現狀と課題 -

        鄭勛燮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9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Ⅱ,a primary objective of the U.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has been the promotion of peace and stability on this area, that is first and foremost maintained by a credible deterrent against the possible Soviet aggression. The continued basing of the U.S. forces in Japan under the Japan‐U.S. Security Treaty makes this deterrent both possible and credible. Recently, the Japan‐U.S. alliance has been undergoing some changes. The changes stem from the end of the Cold War,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and the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These factors have forced Japan to form the new Japan‐U.S. security relations. Now, under the Global Posture Review (GPR) plan, Bush Administration is seeking to transform its military into a leaner, more mobile force to deal with the shifting post‐Cold War security environment. The Japan and U.S. also have been negotiating for more than a year over the reorganization of the U.S. forces in Japan. The U.S. still sees Japan as the linchpin of its security policy in the Northeast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ainly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issues of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about the correlation of a Japan‐U.S. alliance and the security of the Northeast Asia by considering the influences which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has on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동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박휘락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국가안보와 전략 Vol.15 No.3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 comparison with the U.S. and Japan alliance especially in the wake of the amendment of the defense cooperation guideline between the U.S. and Japan in April 2015. This paper finds that the two alliances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hard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the treaty, the security consultative mechanism and the stationing of the U.S. forces. They have similar level of the soft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common strategic goals, combined command structures and cost sharing practices, except for som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the softwares. South Korea and the U.S. does not have a full agreement regarding the threat preception of China contrary to the united U.S. and Japan. The strength of combined command structures in South Korea-U.S. alliance diminishes due to the South Korean demand for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onal control authority, contrary to the U.S.-Japan Alliance's recent establishment of the Alliance Coordination Mechanism. The gap between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U.S.-Japan alliance can be seen bigger from the U.S. perspective. The U.S. congress may demand the fundamental review of the necessity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cluding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if a very risky situation occurs in the Korean Peninsula. If South Korea cannot select China as its ally instead of the U.S. it should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the U.S. and try to improve its relations with Japan. 본 논문은 2015년 4월 개정된 “미일방위협력지침”을 통하여 미일동맹이 크게 강화된 것을 본 후 한미동맹의 현 주소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에 관한 비교가 적지 않았으나 대부분 변화된 상황에 대한 양 동맹의 대응방향을 비교하는 성격이 많았다. 이러한 동태적 비교는 특정 상황에서는 흥미롭지만, 동맹의 본질적인 차이를 이해하는 데는 미흡함이 있었다. 따라서 고루할 수도 있지만 경성요소와 연성요소로 구분하여 양 동맹의 구조를 본질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조약, 안보협의체제, 미군주둔 등의 경성요소에서는 거의 동등하고, 공통 전략목표, 연합지휘체제, 방위비분담 등 연성요소에 해당되는 요소들도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다만, 연성요소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에 있어서 한미 간에는 중국과 관련하여 전략목표의 차이점이 노출되고 있는 반면에 일본과 미국 간에는 공통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연합지휘체제에 있어서 한국에서는 한미연합사 해체 논란이 장기간 지속되어 왔는데 비하여 일본은 동맹조정 메커니즘을 강조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국이 인식하는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차이보다 미국이 인식하는 그 차이가 더욱 클 수 있다. 한미동맹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나 연합작전수행태세가 점점 혼란스러워질 경우 미 의회 등에서 한미동맹에 관한 전반적 재검토나 주한미군의 감축 또는 철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 한미동맹과 한중관계가 상충되었을 경우 한국이 중국을 선택할 수 없다면,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일본과의 관계도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본의 군사협력관계 구축 전략 - 동맹확대 정책의 배경과 전망

        김두승 한국국방연구원 2009 국방정책연구 Vol.25 No.1

        The U.S.-Japan discussion for the realignment of their alliance that had started in the mid-1990s emerged as a critical diplomatic and defense issue to be resolved for two countries in the wake of the 9/11 terrorist incidents, which highlighted unconventional security threats. And this change with a very strong impact on Japan’s security policy drove Japan into an even more extended alliance policy toward the U.S.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other regional players. This article examines backgrounds for Japan’s strategy to build up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to enhance its own national security. First, the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s for the Japan’s effort to build up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regional power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U.S.-Japan alliance, Japan’s so cold value diplomacy, and the Chinese threat theory. Second, it tries to predict the course of Japan’s future security cooperation policy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Finally, it briefly describes the ROK’s policy toward Japan taking Japan’s shifting security strategy into consideration. 냉전 종결 이후 1990년대 중반에 제기된 미일동맹 재편 논의는 9.11 테러 발생을 계기로 해결해야 할 한층 더 시급한 외교안보 현안으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안보위협 요인의 변화는 일본의 동맹확대 정책의 중요한 추진 배경으로 작용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하 일본이 자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한 안보협력관계 구축 전략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미일동맹과 가치외교의 관점 및 중국 위협론의 관점에서 동 안보협력관계 구축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의 동맹확대 정책의 추진 방향에 대해 전망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본의 전략에 대한 한국의 대일정책 방향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였다.

      • KCI등재

        미일동맹과 한국의 안보

        정성윤(Chung Sung-Yoo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0 전략연구 Vol.- No.50

        미일동맹은 미영동맹과 더불어 역사상 가장 성공한 동맹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민주당 정권의 등장과 오키나와현의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새로운 미일안보공동선언의 합의 연기 등으로, 미일동맹이 약화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평가와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미일동맹의 이완이나 약화가 한반도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다양한 분석도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상의 안보여건의 변화 움직임과 이와 연계된 주장들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첫째. 현재 동북아 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보환경의 변화는 미국의 세계전략의 변화, 중국의 부상, 북한 발 안보위기가 쟁점이다. 특히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중심외교는 부상하는 중국의 견제와 태평양 국가로서 역내 패권의 유지라는 전략적 목표가 중심이며, 북한 핵문제는 실패국가라는 행위자 차원으로 환원하여 다양한 수준과 영역에서 ‘북한문제’로 접근해야만 동북아 안보환경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둘째, 현재의 미일동맹은 일면 단편적인 갈등으로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양국간의 동맹의 중요성은 여전히 유효하며 오히려 핵심이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가치동맹으로 강화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물론 양국간의 비대칭적 동맹관계로 인해, 특히 일본의 입장에서 동맹의 방기와 연루의 위험성과 취약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지만,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견제, 양국간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심화, 아시아외교의 중시, 전지구적 현안에 대한 전략적 이익과 역할의 공유, 북한 문제에 대한 공통의 안보적 이익등을 고려하면, 양국간의 동맹관계는 새로운 차원에 서 발전 및 강화될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 마지막으로 미일동맹의 강화가 궁극적으로는 한반도 안보환경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한국의 국익에도 부합된다. 미일동맹이 약화될 경우 한국이 일본을 대체하여 동북아 세력균형의 복원을 견인하거나 대체할 만한 권력자원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미일동맹의 약화가 자동적으로 한미동맹의 강화로 연결될 개연성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사료된다. The U.S.-Japan alliance is view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lliances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recent transformations in the political dynamic of U.S.-Japanese relations has created speculation of a deteriorating alliance, and its implic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s security. This paper will present three assertions concerning the issue. First, Northeast Asia’s altering security environment is at the core of the U.S.’s changing global strategy, the rise of China, and the North Korean security crisis. The goal of the Obama administration’s Asia centered diplomacy is to control China’s ascension while maintaining the U.S.’s dominant role in the Pacific nations. To view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in its entirety, and develop a realistic strategy to counteract future instability, the U.S. must treat North Korea as more than just a nuclear problem. Second, the U.S.-Japan alliance may appear to be declining due to bilateral episodic conflicts; however, these are merely indications of the transformation into a new and strengthened value alliance. Furthermore, both countries possess the potential to strengthen their alliance in the context of managing China’s rise, deepening their economic interdependency, and sharing the benefits of a strategic security initiative for the North Korea problem. Lastly, the strengthening of a U.S.-Japan alliance coincides with South Korea’s national interests. If the alliance begins to deteriorate, South Korea does not possess the resources to restore the balance of power in Northeast Asia. Therefore, it is neither possible, or advisable to associate a weakened U.S.-Japan alliance with an automatic strengthening of a U.S.-Korean alliance.

      • KCI등재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한미관계 방향과 정책적 과제

        남광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2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8 No.1

        The direction of Yoon Seok-yeol's North Korea policy and foreign relations can be summarized as "first U.S.-South Korea relations, later inter-Korean relations," "first international cooperation after inter-Korean cooperation," and "first denuclearization after peace."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it will be more active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than Moon Jae In government.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the U.S. is aimed at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that expands the international role of the Korea-U.S. alliance by normalizing the Korea-U.S. alliance and restoring cooperation. This is expected to strength the Korea-U.S. economic alliance and technology alliance in the international supply chain.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Korea-U.S. alliance, efforts to cooperate with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by restoring relations with Japan. If North Korea makes a high-intensity provocation, it will resume its strategy to deter the North Korea and will resume the actual joint exercis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Since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foreign relations are likely to flow around the U.S., opposition and checks from China and Russia will be inevitable. In this regard, since a new Cold War atmosphere is likely to form in Northeast Asia, South Korea needs a high level of ability to coordinate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tween the U.S., China, and the U.S. and Russia to prevent them from getting worse. In this regard, the additional THAAD deployment under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will be the right time to proceed if North Korea resumes its nuclear test, and participation in the Quad should be strategically approached according to the timing and conditions.

      • KCI등재후보

        미일 동맹 강화와 동북아 안보 - 9.11 미 테러 이후를 중심으로 -

        연현식 통일연구원 2005 統一 政策 硏究 Vol.14 No.1

        This paper examines recent developments of U.S.-Japanese security relations and their impacts upon the security affairs in the Northeast Asia. A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xpansion of the U.S.-Japanese defense cooperation and Japan's security policy change after 9/11. The U.S. and Japan had decided to level up the alliance and share mutual strategic concerns. Washington and Tokyo have a mutual interest in keeping China from embarking on any regional military adventurism or from becoming a dominant player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e U.S. and Japan are preparing to move their military forces westward to protect Taiwan. The recent strategic realignment demonstrates the evolution of the U.S.-Japanese security alliance to include a more active Japan and Taiwan. Since 9/11, Tokyo has become more aggressive in asserting its own defensive capabilities and priorities.Beijing sees the growing assertiveness of Japan as a challenge, but also as a potential opportunity. Beijing sees room for cooperation with Washington based on a potential mutual threat from Tokyo. China begins to share more common interests with the U.S. in security and economic affairs. China hopes to continue the present stable Sino-U.S. relations in the coming future. Peace and stability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will not be possible without the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China into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vince China that the stengthening of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is not directed at a third country. To mitigate misunderstanding, the U.S. and Japan should initiate trilateral security discussions with China.

      • KCI등재

        야스쿠니 문제와 미일관계의 딜레마

        이기태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20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Yasukuni Shrine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especially the U.S.-Japan relationship. From the U.S. perspective, a dilemma exists between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in terms of security and Japan’s denial of its postwar state in terms of history. Both the countries pursue a stronger alliance in response to China’s rise in East Asia. In the meantime, Japanese Prime Minister Abe Shinzo’s Yasukuni visit, and Abe and his ministers’remarks on historical perceptions seem to deny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regime, which the U.S. has established for the postwar order in East Asia, thereby regarded as rejecting the postwar regime. This brings two challenges in front of the U.S. to resolve, strengthening the alliance while stopping Japan from denying the postwar regime. In 2016, after the mutual visit of the then U.S. President Obama and Japan Prime Minister Abe (Hiroshima, Pearl Harbor in Hawaii), and the appearance of the U.S. President Trump, the alliance became stronger. It seemed that the ‘dilemma in the U.S-Japan relationship’is quite resolved. However, when a situation, such as Yasukuni visit, dwindles East Asia’s international order occur, then the ‘dilemma in the U.S-Japan relationship’ seem to emerge again. 본 연구는 야스쿠니 문제를 한일 양국 간의 문제로 한정시키기 보다는 동아시아 국제질서, 특히 미일관계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1985년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曽根康弘)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2000년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그리고 2013년 아베 신조(安倍晋三)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관한 미국의 인식 및 정책을 미일관계의 딜레마 차원에서 분석한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안보 측면에서의 ‘미일동맹의 강화’와 역사 측면에서의 ‘전후 체제의 부정’이라는 미일관계의 딜레마가 존재한다. 미국과 일본은 동아시아 정세에서 중국의 부상이라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미일동맹의 강화를 추구한다. 한편 아베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같이 아베 수상을 비롯한 내각 각료들의 전후 체제를 부정하는 듯한 역사인식 발언은 미국이 전후 동아시아 질서로서 구축해왔던 52년 샌프란시스코 체제, 즉 전후 체제를 부정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은 ‘미일동맹 강화’와 함께 아베 정부에 의한 ‘전후 체제의 부정’을 저지하려는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 2016년 오바마, 아베의 상호 방문(히로시마, 하와이 진주만)과 트럼프 대통령의 등장 이후 미일동맹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로 ‘미일관계의 딜레마’는 해소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야스쿠니 참배와 같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흔드는 상황이 온다면 미일관계의 딜레마가 언제든 재연될 소지는 남아 있다.

      • KCI등재

        아베 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과 한미일 동맹구도의 변화 전망

        박병철,주인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16 통일전략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베 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에 따른 한·미·일 동맹구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하고자 한다. 2012년 말 아베 정권이 등장한 이후 일본의 안보전략은 ‘적극적 평화주의’를 바탕으로 보통국가화를 지향하고 있다. 아베 정권의 보통국가화는 우경화의 산물로 집단적 자위권을 확보하여 정상적인 군대의 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에는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의 변화가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일동맹을 강화와 일본의 군비확장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 강화에 ‘적극적으로 편승’하여 국제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보통국가화를 추구하고 있다. 아베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은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과 맥을 같이 함으로써 새로운 지역질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재균형전략은 동맹네트워크 강화를 바탕으로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패권추구,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처한다는 것이며, 이는 일본으로 하여금 보통국가화로 나아갈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과 일본의 지역 안보전략의 설정은 한국에 있어 안보전략의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다. 한·미·일 동맹구도에 있어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새로운 도전요인들이 한·미·일 삼국 간에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패권추구에 대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은 한국과 일본의 동맹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일본은 미국의 이러한 전략에 부흥하여 동맹 확대에 적극적으로 순응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현재 미중 간의 관계에서 오는 딜레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최근 북한의 제4차 핵실험으로 인해 미중 간에는 북한제재와 관련하여 첨예한 갈등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북한 핵위협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제기된 한반도의 사드배치 여부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동맹전략은 새로운 시험대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 한·중 경제협력과 중국의 대북제재 지원을 고려하면서도, 동시에 한·미·일 삼각동맹 구도의 변화 속에서 안보전략적 자율성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 한·미·일 삼각동맹의 축이 미·일 중심으로 재편되어 가면서 한국의 전략적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recast which direction the trilateral alliance between Korea, Japan and the U.S. will turn to depending on the Asia security strategy of the Abe administration.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Abe administraion in the end of 2012, the security strategy of Japan has aimed at establishing a common state on the basis of 'positive pacificism.' The normalization policy of the Abe administration is a result of its shift to the right in order to secure collective self-defense and promote a normal military maneuver. In this move, the change of the US's security strategy in Asia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upports the consolidation of US-Japan alliance and expansion of armaments of Japan with a view to keeping China from rising. Japan tries to both reinforce its international influence and pursue a normal nation at the same time by actively 'jumping on the bandwagon' of the US's check on China and US-Japan alliance consolidation. The Asia security strategy of the Abe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American security strategy of Asia predicts a new change in the regional order. The 'Rebalancing' strategy of the Obama government is to cope with China's military reinforcement and pursuit of hegemony as well as with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consolidation of the given alliance network. And this provides a path for Japan to prepare for the normal nation. This regional security strategy set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limits the autonomy of Korea in its own security policy. A change in the framework of Korea, U.S and Japan alliance is detected, too. New challenges appear in the trilateral ties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other words, the US's 'Rebalace to Asia' strategy towards China's military buildup and pursuit of hegemony requires an expansion of Korea-Japan tie. In this trend, Japan positively complies with the alliance consolidation by following American strategy. On the other hand, Korea consistently takes passive actions as it doesn't overcome a dilemma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ecently, because of the fourth nuclear weapons testing of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undergo an acute conflict over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addition, the controversy grows bigger and bigger over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THAAD) missile deploy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s a way to defend against the nuclear threat of North Korea. In this situation, Korean alliance strategy is facing a new test. Korea must conside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d China's support for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le facing the task of establishing an autonomy in the security strategy within the alliance of Korea, US and Japan. Especially, as the axis of the triple alliance of Korea, US and Japan is recently being reshaped into US-Japan centered tie, Korea is deeply in trouble over its strategies.

      • KCI등재

        21세기 미일동맹의 변환과 일본 방위체제 변화

        박영준 세종연구소 2007 국가전략 Vol.13 No.2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d issued joint statements regard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U.S.-Japan alliance discussed over the last two years. This paper has its aim to analyze background, process of bilateral negotiations, aspects of the alliance transformation, and finally its impact on the change in Japanese defense policy. The necessity of the U.S.-Japan alliance transformation was raised by the decision-makers of both countries in the early 21th century. For the U.S. part, so-called Armitage Report group invoked the importance of Japan in terms of strategy and urged the necessity of renewing the alliance relationships with Japan. Coincidently, the opinion leaders of Japan also raised the same issue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of the East Asia in the Post-Cold war era. Through a zig-zaged bilateral negotiation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reached an agreement on the common strategic objectiv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relocating American military bases located in Japan, and strengthening interoperability of the military troops between two countries. In addition, both countries succeeded in erecting the new operational plan concerning the Korean peninsula and widening the military cooperations including the PSI and PKO activities. During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U.S.-Japan military alliance, some changes in Japanese defense policy would be inevitable. For example, principles of arms export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development of MD systems. Widening overseas military cooperations hammered out new legal measures which will enable the SDF to exercise more overseas activities. To sum it up, Japanese defense system is changing in line with the consolidation of the U.S.-Japan military alliance. 미일 양국은 지난 2005년 2월 <미일 양국의 공통전략목표에 관한 공동발표문>을 발표한데 이어 동년 10월에는 <미일동맹:미래를 위한 변혁과 재편>을, 그리고 2006년 5월에는 <재편실시를 위한 미일 로드맵>을 공동으로 발표하여, 21세기형 미일동맹 재편에 관한 합의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미일동맹 재편의 배경, 협상경과, 이같은 과정을 거쳐 변모된 미일동맹의 변화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일동맹 재편은 9.11 이후 미국의 GPR 추진이나 고이즈미 정권의 안보정책 적극화에 의해 추동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배경을 검토해 보면 실은 90년대 중반 이후 미일 양국 내부에서 제기된 동맹재편 요구들, 예컨대 2000년의 아미티지 보고서나 2001년 국방부회 보고서 등 양측 정책결정그룹의 동맹강화론이 중요한 배경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003년 이후 양국의 협상과정을 검토해 보면 일본의 적극적인 안보역할 확대를 기대하는 미국측의 요구에 대해, 평화헌법 및 전수방위 체제를 고려하는 일본측의 입장이 길항관계를 보이며 결국 양측의 입장이 조정되는 과정을 거쳐 협상이 진행되었음을 강조하였다. 이같은 토대 위에 재편된 미일동맹은 동맹의 정체성, 군사협력체제, 안보협력의 제도화 등 세가지 측면에서 전례없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일동맹 재편이 무기수출 3원칙 완화나 자위대 활동영역 확대라는 파급효과를 보이며, 일본의 방위체제 변화를 촉진하는 결과를 낳고 있음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Japan’s Search for a New Security Role after the Persian Gulf War

        Yang, Hee-Yong(양희용)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2

        아베 정권이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기치 하에 보통국가화를 향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와 같은 움직임은 전후 일본 안보정책의 근본적인 전환, 즉 요시다 독트린으로부터의 탈피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주요 정책 결정 과정과 핵심 외교정책결정자들의 발언 및 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91년 걸프전과 2003년 이라크전을 통해 표출되었던 미일간의 갈등과 협력이 그러한 의미심장한 전환의 시초였음을 강조한다. 탈냉전 초기 ’수표 외교(checkbook diplomacy)’의 실패가 초래한 위기의식은 1990년대 초 오자와의 보통국가론과 1994년 히구치 보고서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자국의 안보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였으며, 2003년 이라크전은 미일동맹에 기반한 일본의 역할 증대가 본격적으로 제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냉전 종식 이후 미일동맹은 와해 또는 약화되기 보다는 오히려 강화되었으며, 미일간 포괄적 의미에서의 비용분담 재조정을 통해 변환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보통국가화를 향한 일본의 움직임을, 탈냉전기 동맹정책 재검토에 대한 미국의 요구와 이에 대한 일본의 수용에 따른 동맹변환(alliance transformation)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While Japan seems serious in its bid for a normal state and Prime Minister Abe in the name of Proactive Pacifism has made sustained efforts to revise national security laws, the understanding of Japan’s renewed foreign policy activism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extends beyond party politics or personal traits.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Japan’s foreign policy by locating the issue in a broader historical context centered on the U.S.-Japan alliance and claiming that such policy shift signals on-going disengagement from the traditional strategy of Yoshida Doctrine. By exploring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this paper underscores the role of the Gulf War and the Iraq War in Japan’s redefinition of its security role and argues that the pattern of discord and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two incidents helped shape Japan’s foreign policy and thereby revive the alliance even after its original rationale for alliance formation had evaporated. After all, this paper provides a perspective to view Japan’s policy shift in the light of alliance transformation as an outcome of close interplay between America’s demand for an increased role and Japan’s embra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