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정적 사건 발생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Lee, Hee Jung),강명수(Kang, Myung S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기업이나 브랜드에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부정적 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장기적 관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상대적으로 단기적 관점의 브랜드 태도가 부정적 사건의 발생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손실 유형과 브랜드 성격에 따라 부정적 사건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부정적 사건 이후에 기업이나 브랜드 차원의 회복 노력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 손실 유형과 회복 노력 유형의 일치 여부에 따른 회복 정도를 살펴보았다. 부정적 사건으로 인한 소비자의 손실 유형은 경제적 유형의 손실과 사회적 유형의 손실로 구분하였으며 브랜드 성격에 따른 영향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성실한 브랜드와 흥미진진한 브랜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 부정적 사건에 대한 연구는 포괄적 부정적 사건에 대해 다루거나 기업 입장의 부정적 사건 발생 원인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 소비자 입장에서 부정적 사건으로 인해 어떤 손실을 입게 되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부정적 사건으로 인해 받는 손실의 유형에 따른 영향력에 대해 알아본 데 의미가 있겠다. 본 연구는 총 8가지 종류의 실험 상황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두 가지 성격의 브랜드에 대한 평소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를 알아본 후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주는 두 유형의 부정적 사건을 제시하고 2가지 종속변수를 재측정하였다. 이후 부정적 사건에 대한 회복 노력의 두 가지 유형을 제시하여 2가지 종속변수를 측정하여 회복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사건은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성실한 브랜드가 흥미진진한 브랜드보다 부정적 사건에 더 민감하였다. 다음으로 부정적 사건 이후 회복 노력을 기울였을 때 긍정적 영향이 발생했으며 특히 경제적 유형의 손실을 주는 부정적 사건의 경우 회복 노력의 긍정적 영향이 더 높았고 부정적 사건의 손실 유형과 회복 노력의 유형이 일치할 때 소비자에게 더 긍정적 영향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reports strategies of coping with the inevitable crisis of brands or products. We research the effects of crisis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Specifically, we study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onsumer loss type and brand personality. Also we consider the effects of recovery action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s of the accordance of consumer loss type and recovery action type. The consumer loss types are economic loss and social loss. In prior research, consumers were more sensitive about economic risks. Thus, we suggest that a crisis resulting in consumers' economic loss affects more negatively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The brand personalities are sincere and exciting. This study examines hypotheses with 8 kinds of experimental situations (2 brand personality x 2 consumer loss type x 2 recovery action). After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crisis and recovery action, they evaluated the loss types caused by crisis and types of recovery action. We checked that the participants proper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loss types and recovery action types. As a result, a crisis affects negatively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effect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attitude by loss type of crisis. Also, as was hypothesized, a sincere brand is more sensitive to a crisis than an exciting brand.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recovery actions for consumer loss due to crisi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of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Concretely speaking, when an economic loss crisis occurs compared to when a social loss crisis does, the degree of recovery of the dependent variables is higher.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differentiated influences of consumer loss type of crisis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Also, we identified different influences of brand personality and the effect of the accordance of recovery action with loss type caused by a crisis. Thus, we insist that this research has merits in that it could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ss type of crisis, brand personality and recovery action type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itude.

      • KCI등재

        한국 대기업의 업종별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유종숙(Jong Sook Y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본 연구는 1997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IMF 외환위기에 놓여 있던 3년 간 한국대기업의 업종별 위기관리에 관해 연구한 종숙(2001)의 연구에 이어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의 한국대기업의 업종별 위기관리 실태를 10년 전과 비교한 실증연구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대기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위기유형은 모든 업종에서 정보관련 위기로 나타났는데, IMF 경제 위기 시에는 모든 업종 공히 경제적 위기를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었다. 정보관련 위기 유형의 경우 제조업은 정보유출과 이미지 손상, 유통·서비스업과 금융·보험업은 악성 유언비어의 발생과 이미지 손상을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위기 유형의 경우는 10년 전과 같은 형태를 보였는데 제조업과 유통·서비스업은 경영자금 부족 및 자금순환의 어려움을, 금융·보험업은 직원의 직무관련 부당이득 취득과 임직원의 사기저하로 인한 전반적인 수익 저하를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및 판매과정 위기 유형의 경우 제조업은 회사에서 발생한 화재 등 대형사고를, 유통·서비스업은 회사운영체계상의 안전관리 문제발생과 회사에서 발생한 화재 등 대형 사고를, 금융·보험업의 경우는 회사직원의 운영상의 미숙이나 운영상의 실수 발생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병리학적 위기유형의 경우 제조업에서는 회사의 생산현장에서 발생한 노동쟁의와 생산방해를, 유통·서비스업은 생산현장 밖에서 발생한 노동쟁의나 생산방해를, 금융·보험업은 회사 내의 성희롱 사건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종별 위기유형에 따른 위기대비 정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10년 전에 비해 위기대비 정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10년 전에는 금융·보험업이 전반적으로 위기대비를 가장 잘하고 있는 업종으로 나타났는데 비해 이번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위기대비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년 전 연구에서 모든 업종 공히 정보관련 위기에 대한 대비가 가장 낮게 나타났었는데 10년이 지난 이번 연구에서 업종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이 경험한 위기가 정보관련 위기 유형이었음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셋째, 업종별 위기관리단계별 위기대비 우선순위는 모든 업종 공히 위기에 대한 준비와 예방단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2007-2010) are compared to those of Yoo(2001), in which the survey had been done for 1997-2000. In this study, the manufacturing, the finance and insurance, and the distribution and service industries are defined as three types of business; and the economic, the production and sales, the information related, and psychopathology crises are used as four crisis typ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risis types companies have experienced (2)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3)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each crisis phase according to the types of bus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is the most frequent crisis in all types of business. In case of the information related crises,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suffered the information drain and the image damage frequently; the finance-insurance industries and the distribution-service industries suffered the vicious rumor and the image damage frequently. 2. In case of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the overall level of crisis preparedness in all types of business is higher than Yoo(2001). The level of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s the highest; in Yoo(2001) the finance-insurance industries was the highest. The preparedness level for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was lower than the level of other crisis types in all types of business in Yoo(2001). This is full of suggestions in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has been ranked as the most frequent crisis in all types of business in this study. 3. In the priorities of crisis preparedness by types of business, the preparedness and preventative phase was the highest regardless of the type of business.

      • 효과적인 기업위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이진국(Lee, Jin Kook),강지원(Kang, Ji Won),박종철(Park, Jong Chul)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위기유형과 위기 심각성이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대응유형전략과 대응시점의 조절역할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기업태도에 대한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의 이원상호작용(2-way interaction)효과와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 간의 삼원상호작용(3-way interaction)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기가 심각한 경우 위기유형과 관계없이 사과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기가 심각한 경우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크게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도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삼원상호작용 결과에 의하면,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위기유형(능력위기 vs. 정직성 위기)에 상관없이 모두 사과전략(vs. 부인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사건의 경우에는 능력위기에는 사과전략(vs. 부인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으나, 정직성 위기의 경우에는 사과전략과 부인전략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 대응시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효과를 기대했지만, 대응시점과 관련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들에게 기업위기 시 사건의 심각성과 위기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porate crisis advocate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crisis system. In other word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how (cop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What event (type of crisis)" can effectively restore the reputation of the corporation. But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how an effective response to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When (corresponding time)," " ‘how (coping strateg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e corresponding strategic crisis response system. Therefore, corporate need to determine how effective these corresponding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how (coping strategy)". Thu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2 (type of crisis: competence violation vs. integrity violation) x 2(coping strategy: apology vs. denial) x 2(corresponding time: immediate response vs. delayed response) x 2(crisis severity: high severity vs. low severity) between-subjects design, with control condition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ependent variable is corporate attitudes with controlled product involvement.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like our reasoning, hypothesis 1 was rejected. It is because integrity crisis appeared to be more negative towards corporate attitudes than competence crisis. Secondly, hypothesis 2 was also rejected because of the crisis severity appeared to show no affect to the corporate attitudes. Thirdly,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ccurred in coping type strategies for integrity crisis, the hypothesis 3 was partially supported. For a competence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Also, for an integrity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Further, the hypothesis 4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Although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risis type,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significant. In particularly, when crisis severity is high, the corporate is more effective in its corporate attitudes and corporate image recovery unconditionally by sincere apology,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mpetence crisis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denial strategy. Further,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with integrity crisis it shows that apology strategy and denial strategy both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Hence, the following is the effect of the corresponding time. The predicted interaction effect between crisis type(H5) and crisis severity(H6)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These results regardless of the corresponding time, the type of crisis and crisis severity showed that people give priority to the apology or compensation. This study contributes new insights along with three dimensions: First, we identify the mix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a sincere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in the efficacy of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 of crisis (Support Sung et al.(2013) result.). Second, because apology strategy 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corporate attitudes,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and corresponding time, companies are encouraged toward sincere apology. Finally, if the corporate crisis is with high severity, it is recommended to address with sincere apology aggressively because it has a responsibility to consider the case as involving more than just corporate responsibility information. On the other side, if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rporate can simply convey the objective explanation for the incident.

      • KCI등재

        군(軍) 위기 시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효과 연구 - 메시지 형태와 위기 유형 및 전략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김진수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5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were confirmed for each dependent variable between the type of military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form. The communication effect was confirmed with a 2×2×2 factorial design between groups. The factorial design is the crisis type (incident/incident),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osition (crisis admission/crisis denial), and message type (text/message including digital image in text).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risis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only on the authenticity variable. In addition, crisis response strategy and message typ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in all six variables.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crisis type and crisis response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variable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crisis type, crisis strategy, and message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reliability and persuasiveness. This shows that messages including digital images are effective when used in crisis response strategies that match the types of crises. Therefore, for the effectiveness of messages including digital images,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select strategies for each type of crisis.

      • KCI등재

        CEO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대비정도에 관한 연구 : 1997년∼2000년 국내 100대 기업을 중심으로

        유종숙 한국PR학회 2007 홍보학연구 Vol.10 No.3

        급격히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은 위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최고 경영자(CEO)의 리더십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한국 기업의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과거에 위기관리와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별개로 진행되어 왔고, 외국에서는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전무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경험했던 위기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CEO의 리더십 스타일과 기업의 위기관리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첫 번째 실증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100대 기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100대 기업이 경험한 위기의 유형을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유형’과 ‘정보관련 위기유형’이 ‘생산 및 판매 과정의 위기유형’과 ‘정신병리학적 위기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를 분류 항목 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의 경우에는 ‘경영 자금 부족 및 자금 순환의 어려움’이, 정보관련 위기의 경우에는 ‘기업의 이미지 손상이나 악성 루머’가, 제품 생산 및 판매 과정상의 위기의 경우에는 ‘운영 미숙’이 그리고 정신 병리학적 위기 유형의 경우에는 ‘노동 쟁의로 인한 위기’가 가장 많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각 위기 유형별 위기 대비 정도는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대비가 잘 되어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생산 및 판매 과정’에 대한 위기 대비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전체적으로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잘 되어 있으며, 다음으로는 항목별로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과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의 순으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In today’s world, it is no longer a question of whether a major crisis will strike any organization. It’s only a matter of when, which type and how. Therefore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s role related to crisis management becomes more important.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of companies are few in Korea and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done separately in the past. The studies of the correlation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partially done in the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crisis preparednes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tudy objectives are (1)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risis types experienced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2)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3)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each crisis phas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urvey had been done on the Korean major compan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economical crisis type’ and ‘informational crisis type’ are higher than ‘production/sales crisis type’ and ‘psychopathic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shortage of money and money flow’ is high in case of ‘economic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disgrace of company image and bad rumor’ is high in case of ‘information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unskilled operation’ is high in case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labour dispute’ is high in case of ‘psychopathic crisis type.’ 2.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s higher than the other leadership styles.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charismatic are almost same. Meanwhile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is higher than of any other crises. 3.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o the crisis management phases is higher than other leadership styles. The prepared level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is slightly higher than the transformational.

      • KCI등재

        CEO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대비정도에 관한 연구: 1997년~2000년 국내 100대 기업을 중심으로

        유종숙 ( Jong Sook Yoo ) 한국PR학회 2007 PR연구 Vol.11 No.3

        In today`s world, it is no longer a question of whether a major crisis will strike any organization. It`s only a matter of when, which type and how. Therefore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s role related to crisis management becomes more important.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of companies are few in Korea and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done separately in the past. The studies of the correlation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partially done in the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crisis preparednes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tudy objectives are (1)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risis types experienced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2)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3)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each crisis phas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urvey had been done on the Korean major compan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economical crisis type`` and ``informational crisis type`` are higher than ``production/sales crisis type`` and ``psychopathic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shortage of money and money flow`` is high in case of ``economic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disgrace of company image and bad rumor`` is high in case of ``information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unskilled operation`` is high in case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labour dispute`` is high in case of ``psychopathic crisis type.`` 2.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s higher than the other leadership styles.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charismatic are almost same. Meanwhile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is higher than of any other crises. 3.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o the crisis management phases is higher than other leadership styles. The prepared level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is slightly higher than the transformational.

      • KCI등재

        효과적인 기업위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이진국,박종철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6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porate crisis advocate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crisis system. In other word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how (cop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What event (type of crisis)' can effectively restore the reputation of the corporation. But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how an effective response to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When (corresponding time),' ' ‘how (coping strateg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e corresponding strategic crisis respons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like our reasoning, hypothesis 1 was rejected. It is because integrity crisis appeared to be more negative towards corporate attitudes competence crisis. Secondly, hypothesis 2 was also rejected because of the crisis severity appeared to show no affect to the corporate attitudes. Thirdly,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ccurred in coping type strategies for integrity crisis, the hypothesis 3 was partially supported. For a competence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Also, for an integrity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Further, the hypothesis 4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Although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risis type,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significant. In particularly, when crisis severity is high, the corporate is more effective in its corporate attitudes recovery unconditionally by sincere apology,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mpetence crisis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denial strategy. Further,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with integrity crisis it shows that apology strategy and denial strategy both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과거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의 관계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변수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전략적 대안은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를 재 고찰하는 동시에 위기 유형, 대응시점전략,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효과적인 위기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위기 유형은 기업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능력위기보다 정직성 위기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과 대응유형전략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위기 유형에 관계없이 무조건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능력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정직성 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과 부인전략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대응유형전략의 경우에는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기업태도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위기와 대응유형전략 간의 상호작용효과와 관련해서는 기업의 위기가 능력과 관련된 경우에는 기업태도 회복전략으로 진심어린 사과, 사건에 대한 보상 및 향후 개선을 포함한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업위기가 기업의 윤리·도덕적 측면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부인전략보다 사과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과 대응유형전략 간의 삼원상호작용 결과에 의하면,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기업은 위기유형과 관계없이 무조건 진심어린 사과를 하는 것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능력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이지만, 정직성 위기의 경우에는 기업태도에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년층의 경력 유형 연구: 외환위기 당시 및 이후 코호트의 비교

        최지원,정진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reer types of Korean youth during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are addressed in this study: 1. What are Korean youth’s career types during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2. Can career types of Korean youth be described by demographic and entry-process-outcome phase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career types of Korean youth were identified as stable-office-workers type, deferment type, NEET (i.e.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type, service & production-workers- mixture type, stable-technicians type, and stable- professions type. Second, women and university graduates suffered unstable and mismatched career during the financial crisis. Third, the youth had different preparation periods for their first job according to the career types, and experienced wage freeze during the financial crisis. Fourth, changing jobs was not related to financial circumstances. Fifth, depending on the career typ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and years of continual services. For those who entered the labor market during the financial crisis, there were not wide wage gaps between the career types even in 10 years. 이 연구는 외환위기 당시 및 이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청년층의 10년 경력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하여 비교․분석하고, 각 경력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진입, 과정, 결과 특성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층의 경력을 직업경력과 고용경력 으로 구분하여 다채널시퀀스분석을 실시하였고, 경력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진입, 과정, 결과에 대해 각 코호트 내 경력 유형별 차이 검정과 경력 유형별 코호트 간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외환위기 당시 및 이후 청년층의 경력은 안정적 사무직형, 진입유예형, 니트형, 서비스직 및 생산직 혼재형, 안정적 준전문(기술)직형, 안정적 전문직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환위기 당시 여성의 경력개발 상황 및 여건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졸자는 하향취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환위기 당시 첫 일자리 취업 소요 기간의 편차가 청년층의 경력 유형 간 큰 것으로 나타났고, 첫 일자리의 임금은 저임금으로 동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층의 이직은 경제상황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년층의 경력 유형에 따라 취업여부 및 근속년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환위기 당시 입직자의 경우 10년 경과 시점에서도 경력 유형 간 임금 차이가 크지 않았다.

      •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Crisis Management implementing Big Data

        Seol A Kown,Jee Eun Kim,Jae Eu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학술대회 Vol.2016 No.08

        With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ig data' has been one of the major topics for innovation, competitiveness, and enhancement of productivity, and utilizing big data in the field of crisis management has been a key issue. Big data can be considered a new paradigm not only in developing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but also in the area of comprehensive crisis management. To keep in step with this trend,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ways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a crisis management system by crisis typ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as follows: First, big data in the field of crisis management has been used on analyzing disaster area, that should be expanded to the non-utilization field. Second,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infrastructure utilizing big data is of vital importance now. Third,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should be used to their maximum potential as utilizing big data. For example, using the frequency occurrence of large-scale disasters is still very low in relation to its utilization of big data. Therefore, it will be analyzed synthetically and scientifically if big data-utilized data processes such as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by making use of large-scale and complex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 KCI등재

        기업 위기 유형에 따른 TV광고 메시지에 관한 연구

        김한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This study is in regard to the TV commercial messages of company crisis types. Company crisis may give blows to the company in various dimensions. So the company under the crisis situation executes various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Among the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s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here are a variety of ways applicable for the risk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distribution of press releases, press conference, and opinion expression by participating in the interviews or the debate programs. The ‘Company Advertisement’, as marketing means along with a role of company PR, is used as communication means to manage the risk and improve company image and restore the confidence. Therefore, in many cases, the advertisements as communication means to manage the risk, generally delivers the direct message such as ‘Apology Ads’, furthermore, the recent TV advertisements are more likely to use the message strategy to manage the company crisis. It demonstrates that the companies use TV advertisements as a company strategy to manage the crisis by approaching to the consumers with the message types effectively selected for each company crisis. However, there has been no proven study on the TV advertisement media used as a risk management strategy so far. Based on this issue, this thesis has analyzed crisis types and message types of four major companies, such as Samsung, Hyundai, LG, and SK for the period of 67 months from January 1, 2004 to July 31, 2009. So by analyzing the message strategies of TV advertisements that have been showed at crisis, it represented two kinds of company crisis types accidents and corruptions, there were four message types ‘Achievement, Challenge·Hope, Appreciation, Patriotism’ in advertisement. 본 논문은 기업의 위기유형에 따른 TV광고 메시지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기업에 위기가 발생하면 기업은 여러 차원에서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위기 상황에서 기업은 위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이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와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위기관리 전략은 언론에 보도 자료를 배포하거나, 기자회견을 실시하고, 인터뷰나 방송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의견을 표명하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한다. 이 중에서도 기업PR의 도구로서의 역할과 함께 마케팅 수단이 되는 ‘기업광고’ 역시 위기 상화에서 해당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거나, 신뢰를 회복하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TV 기업광고에서도 기업의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 전략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기업이 원하는 메시지 유형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감으로써 기업 TV광고가 기업의 위기관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동안 위기관리 전략으로서 사용되는 TV광고 매체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위기유형과 사용된 메시지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 31일까지 최근 5년 7개원 동안의 우리나라 주요 4대 기업인 삼성, 현대, LG, SK의 위기를 대상으로 하여 위기 유형과 메시지 유형을 함께 분석하여 기업이 위기관리 전략으로 사용하는 TV광고 메시지의 유형을 분석하여 기업이 위기관리 전략으로 사용하는 메시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국내 시업에 발생하는 위기 유형은 두 가지 유형 사고와 비리에 사용된 메시지 유형은 ‘성취’, ‘도전·희망’, ‘감사’, ‘애국’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