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빈신학 다시 읽기-"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상 관점으로

        최성렬 ( Choi Sung Rual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5 No.-

        본 연구 논문의 출발점은 개혁신학 일부 내(內)에 존재하고 있는 칼빈의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 cum Christo)" 사상의 하나의``신학적 원리``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론적 부재``라는 하나의 신학적 한계로부터이다. 이러한 그 사상의 매우 중대한 신학적 역할에대한 인식의 결여는 아직까지도 개혁 신학 일부 내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 상태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재언(再言) 하면, "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상의 그 진정한 가치가 마치 예수님의 한 비유인 "밭에감추인 보화"(마 13:44)처럼, 지금까지도 여전히 개혁 신학 일부 내에서 매우 깊숙이 숨겨져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 사상은 칼빈의 신학 안에서뿐만 아니라 신약성서 내에서도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칼빈의 신학 안에서그 사상은 구원론과 성례론에 종속된 단순한 하나의 교리가 아닌, 오히려 대부분의 기독교 주요 교리들과 그리고 매우 다양한 수많은성서 본문들과도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서 다루어지고 있다. 한마디로 그 사상이 칼빈신학의 한 ``핵심 사상``처럼 광범위하고도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칼빈의 신학 안에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그리스도와의 연합"(또는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연합") 사상의 그 본래적인 위치, 범위, 형태, 내용, 신학적 역할, 다양한 비유적 표현들, 다른 신학적 주제들과의 관계, 수많은 성서 본문들과의관계, 다양한 신학적 의미들 그리고 그것의 중요성을 재해석하고 재평가하는 본(本) 신학적 작업이 절실히 필요했다. 왜냐하면 칼빈의신학이 여전히 우리 개혁 신학 내에서 중요한 핵심적 위치에 있기때문이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sertation is the theological limitation of the ``epistemological absence`` of the importance of Calvin`s "union with Christ(unio cum Christo)" thought. Up to now the epistemological deficiency of this thought`s very important theological role has not been resolved in Reformed Theology. In other words, the true value of the "union with the Triune God" thought (or "union with Christ" thought) has remained concealed in Reformed Theology, as in a parable of Jesus in the Gospel, "treasure hidden in a field" (Mt. 13:44). The thought has been extensively dealt with in Calvin`s theology and the New Testament, however. In particular, in Calvin`s theology, it is not treated merely as a doctrine subordinated to soteriology and the doctrine of the Sacrament; rather, it has also been treated as having an inter-relationship with various other important doctrines and numerous biblical texts, to the extent that it functions as a core thought of Calvin`s theology. If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ological work, which re-interprets and re-evaluates the original location, scope, form, content, theological role, various metaphorical expressions, relationship with other theological themes,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union with Christ" thought (or "union with the Triune God" thought), which has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in Calvin`s theology, was urgently required. Calvin`s theology still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our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신학의 원리인 삼위일체 하나님: 부카누스와 바르트를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본 논문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서 탐구하되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아 신학의 체계를 구성한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자 윌리엄 부카누스(William Bucanus, -1603) 및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를 비교한다. 신학의 원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16세기의 일이었다. 대부분의 신학자는 성경을 신학의 원리로 간주한다. 그러나 하나님을, 특별히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간주하는 신학자도 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부카누스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은 대표적인 인물이다. 부카누스 신학을 잘 알고 있고 20세기 초반의 신학자인 바르트도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아 신학의 체계를 구성한 현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두 신학자는 모두 삼위일체 하나님이 존재에 있어서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과 사역에 있어서도 삼위일체 하나님은 분리됨이 없다는 사실에 있어서는 일치하나 부카누스 경우에는 하나님의 일체성을 논의한 이후에 삼위성을 논하지만 바르트의 경우에는 삼위성이 일체성에 앞선다는 입장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상이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Triune God as a theological principium, focusing the views of William Bucanus and Karl Barth on the topic. It was the late sixteenth century when the theological interest in the concept of principium is seriously kindled. Most theologians of the century regarded Scripture as the principium of theology, but others, accepting Scripture as a theological principium, took the Triune God as the primary principium of theology, among whom Bucanus is a representative orthodox theologian. In the twentieth century, Barth is a representative theologian who introduced the devel-oped concept of the Triune God as the principium yielding and govern-ing all other doctrines of theology. My research finding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both Bucanus and Barth agree that the Triune God is not divided in both His being and His doing, and that, whereas Bucanus places the oneness of the Triune God prior to His threeness in his theological system, Barth discusses His threeness and then His oneness.

      • Praying in the Spirit and the Reformed Life Theology

        ( Jin Sup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Life and Word Vol.3 No.-

        In the Introduction entitled, "Why this topic?", the paper raises a necessity for studying the theme, "Praying in the Spirit and ``Reformed Life Theology`` (hereafter, RLT)" as a linkage between "a Movement of Prayer" and "a Movement of the Spirit", which are the 5th section and 6th section of the RLT Declaration, respectively. The Main Body ("The Right Praying is the Believing Fellowship with the Triune God") peruses and confirms the following facts: (1) The right way of praying is having a believing communion with the triune God, based upon the truth stated in Ephesians 2:18, "For through him [=Christ Jesus] we both [the Jews and the Gentiles] have access in one Spirit to the Father" [my emphasis], although every human being is destined to pray. (2) The starting point to pray in the right way is exclusively confined for an unbelieving "natural man" (yuciko,j, 1Cor 2:14) to first of all to be born again of the Spirit. (3) Praying right demands for a "carnal man" (sa,rkinoj, 1Cor 3:1-3), who is born again of the Spirit and still in the progressive stages of "help-tell-show-follow me" under the guidance of the Spirit, to fight the good fight of the faith in the spiritual battlefield between the desires of the Spirit and the desires of the flesh so that he can mature as a "spiritual man" (pneu,matikoj, 1Cor 2:15-16) who prays in the Spirit. (4) The training of praying right in the Spirit requires to clear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triple admonition-"praying at all times in the Spirit, with all prayer and supplication" (Eph 6:18-20), "do not grieve the Holy Spirit of God" (Eph 4:40), and "do not quench the Spirit" (1Thes 4:3), which means the confessional life to obey the statements that not only "our sanctification is the will of God" (1Thes 4:3) but also "we are sanctified by the word of God and player" (1Tim 4:5). (5) Above all, as Romans 8:26-28 implies, we ought to experience the truth that the Holy Spirit is the "precious and faithful Partner" in our every prayers and supplications. He helps and leads us by putting words in our hearts and mouths, in order to pray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Father and taking together our yoke of prayer, especially under the condition of helplessness of inexpressible groanings. (6) Praying right should make one accord when praying in the Spirit (Eph 4:1-6), expanding the concentric circles from "the engaged church-like home with a home-like church" to the country and world, as to enjoy and share the miracles of "anything they ask will be done for them by our heavenly Father" (Mt 18:18-20). (7) The movement of "Praying in the Spirit" should be maintained among the faith communities of the perpetual three generations altogether, such as home, church and workplace. The Conclusion ends with several questions and implications that should be practiced after consenting to the findings of the Main Body.

      • KCI등재

        어거스틴(St. Augustine)의 H삼위일체론(De Trinitate)H에서 Substantia에서 Essentia로 변화에 대한 연구: 보편교회 신앙의 틀 안에서

        김용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4 No.-

        St. Augustinus had settled New Trinitarian formula by using essentia instead of substantia which was used in Latin Theology traditionally. However, several misunderstandings about Augustin’s settlement occurs. On the basis of it, some indicate a negative inclination about Augustin’s usage of essentia and substantia. However, Augustine’s purpose of using of essentia does not establish his own theological programm, but settle the uninversal and biblical faith in latin[western] church. Firstly, in regarding substantia and essentia, the western Church tends to use better substantia than essentia. not only because are there several con- fusion in the greek term ‘ousia’ in usage of Philosophy, but also Bible uses greek ward hypostasis directl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a pref- erence of using hypostasis in the eastern church avoids a danger of Aristotelian usage of two ‘ousiai’. Secondly, Augustine’s usage of both sub- stantia and essentia meets with two problems. First of all, Augustinus is not good at eastern church fathers’ theology and Greek language. Therefore(second), He does not understand Latin terms ‘essentia’ and ‘substantia.’ However, it is not reasonable[acceptable]. This derives just the misconception about Augustine. Thirdly, Augustine’s use of latin term ‘essentia’ shows a shift to the formula of the universal Church. He argued that the substantia used in Latin theology should be replaced with essentia from the greek word ‘ousia’ established by Eastern theology. According to the Council’s decision, the Western Church should also use the ‘essentia,’ which has been from ‘ousia’. He does not deny that essentia and substantia mean the same thing, but rather that confusion of terms should be avoide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universal Church.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essetntia used by Augustine is not an attempt to establish a new theology, but an attempt to harmonize Western and Eastern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decisions of the universal Church. Therefore, Augustine’s doctrine of the Trinity was a work for the unity of Eastern and Western Theology. 어거스틴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용어인 substantia 대신에 essentia를 사용함 으로써 라틴 신학의 삼위일체 신학의 새로운 공식을 정립하였다. 그러나 이 러한 어거스틴의 이해에는 몇가지 오해가 발생했고, 이 오해로 인해서 어거 스틴의 essentia 사용에 부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어거스틴은 자신 의 신학적 정립이 아니라, 공교회의 보편적 신앙과 성경적 신앙으로 확립과 교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substantia와 essentia라는 용어에 있어서 서방 교회는 철학적인 문제로 인해 essentia보다는 substantia를 선호하였다. 이는 우시아가 가지고 있었던 철학적 혼돈 때문이었을 뿐만 아니라, 성경이 ‘휘포스타시스’라는 용어를 직 접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동방교회에서 ‘휘포스타시스’사용에 대한 선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한 ‘두 우시아’들에 대한 위험에 기초한 다. 둘째, 어거스틴에게 나타나는 substantia와 essentia의 사용은 두 가지 문제 에 직면한다. 우선적으로 어거스틴이 동방 교부들과 헬라어에 익숙하지 못 했다는 것이며, 따라서(두번째) essentia와 substantia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거스틴에 대한 오해로부터 기인한 것일 뿐이다. 셋째, 어거스틴의 essentia의 사용은 공교회의 공식으로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라틴 신학이 사용하는 substantia는 동방 신학이 정립한 ‘우시아’에서 온 essentia로 대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의회의 결정을 따라, 서방교회도 ‘우 시아’로부터 온 essentia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essentia와 substantia 가 동일한 의미라는 것에 대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교회의 결정에 따라 용어들의 혼동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어거스틴이 사용한 essetntia의 의미는 새로운 신학을 세우려는 시도가 아니라, 공교회의 결정으로부터 동방과 서방 신학의 일치를 위한 시 도이다. 그러므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은 동방과 서방 신학의 일치를 위 한 작업이었다.

      • KCI등재

        성령님 안에서의 기도와 개혁주의생명신학

        김진섭 ( Jin Sup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3 No.-

        서론("왜 이 주제인가?")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선언문"이 강조하는 ``성령운동``과 ``기도운동``의 연결고리로서 "성령님 안에서의 기도"라는 주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후, 본론("올바른 기도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믿음으로 교제하는 것이다")에서 다음의 사실들을 살펴본 후, 결론에서 몇 가지 실제적 적용의 질문으로 끝맺는다. (1) 모든 인생은 기도하는 존재이나, 올바른 기도란 에베소서2:18("예수님을 통하여, 성령님 안에서, 아버지를 향하여")이 명시하는 대로, 반드시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음으로 교제하는 것이다; (2) 올바른 기도의 출발점은 불신자인 ``혼적 인간``(프수키코스, 2:14)이 먼저 성령님으로 거듭나는 것에 배타적으로 국한 된다; (3) 올바른 기도는 영적으로 거듭났으나, 아직도 성령님의 소원과 육체의 소욕이 대적하는 신령한 전투 장에 있는 ``육적 인간``(사르키노스, 고전 3:1-3)이 성령님 안에서 기도하는 ``성령님적 인간``(프뉴마티코스, 고전 2:15-16)이 되도록 성령님의 인도 속에서 성장하는 단계를 가진다; (4) 올바른 기도 훈련에는 "성령님 안에서 기도하기 위하여 깨어 간구하라"(엡 6:18-20), ````성령님을 근심하게 하지 말라"(엡 4:30), "성령님의 불을 끄지 말라"(살전 5:16-22)는 3대 명령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천함이 요구된다. 이것은 곧 "하나님의 뜻은 우리의 거룩함"이요(살전 4:3),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짐"을 절감하는 삶을 의미 한다; (5) 무엇보다도 성령님은 우리의 모든 기도와 간구에 ``소중하고 신실한 동역자``(롬 8:26-28)로서, 우리의 기도에 같이 멍에를 메시고 우리를 도우시며,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맞게 기도하도록 마음과 입에 말씀을 넣어주심을, 특별히 ``말할 수 없는 탄식``의 무력감(helplessness) 중에서 더욱 체득해야 할 것이다; (6) 올바른 기도는 ``우리 둘이`` 성령님 안에서 기도할 때 반드시 하나가 되며(엡 4:1-6), 그 합심기도는 동심원을 그리며 ``교회 같은 가정``과 ``가정 같은 교회``의 맞물림 속에서, 더 나아가 국가와 세계를 위해 ``하늘에 계신 하나님 아버지께서 무엇을 구하든지 이루게 하시는"(마 18:18-20) 기적을 누리며 나누게 한다. (7) ``성령님 안에서의 기도`` 운동은 가정, 교회, 직장 등의 신앙공동체에서 3대(代)가 대대로 영속할 수 있도록 함께 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Introduction entitled, "Why this topic?", the paper raises a necessity for studying the theme, "Praying in the Spirit and ``Reformed Life Theology`` (hereafter, RLT)" as a linkage between "a Movement of Prayer" and "a Movement of the Spirit", which are the 5th section and 6th section of the RLT Declaration, respectively. The Main Body ("The Right Praying is the Believing Fellowship with the Triune God") peruses and confirms the following facts: (1) The right way of praying is having a believing fellowship with the triune God, based upon the truth stated in Ephesians 2:18, "For through him [=Christ Jesus] we both [the Jews and the Gentiles] have access in one Spirit to the Father" [my emphasis], although every human being is destined to pray. (2) The starting point to pray in the right way is exclusively confined for an unbelieving "natural man" (pseuchikos, 1 Cor. 2:14) to first of all to be born again of the Spirit. (3) Praying right demands for a "carnal man" (sarkinos, 1 Cor. 3:1-3), who is born again of the Spirit and still in the progressive stages of "help-tell-show-follow me" under the guidance of the Spirit, to fight the good fight of the faith in the spiritual battlefield between the desires of the Spirit and the desires of the flesh so that he can mature as a "spiritual man" (pneumatikos, 1Cor. 2:15-16) who prays in the Spirit. (4) The training of praying right in the Spirit requires to clear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triple admonition-"praying at all times in the Spirit, with all prayer and supplication" (Eph. 6:18-20), "do not grieve the Holy Spirit of God" (Eph. 4:40), and "do not quench the Spirit" (1Thes. 4:3), which means the confessional life to obey the statements that not only "our sanctification is the will of God" (1Thes. 4:3) but also "we are sanctified by the word of God and prayer" (1Tim. 4:5). (5) Above all, as Romans 8:26-28 implies, we ought to experience the truth that the Holy Spirit is the "precious and faithful Partner" in our every prayers and supplications. He helps and leads us by putting words in our hearts and mouths, in order to pray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Father and taking together our yoke of prayer, especially under the condition of helplessness of inexpressible groanings. (6) Praying right should make one accord when praying in the Spirit (Eph. 4:1-6), expanding the concentric circles from "the engaged church-like home with a home-like church" to the country and world, as to enjoy and share the miracles of "anything they ask will be done for them by our heavenly Father" (Mat. 18:18-20). (7) The movement of "Praying in the Spirit" should be maintained among the faith communities of the perpetual three generations altogether, such as home, church and workplace. The Conclusion ends with several questions and implications that should be practiced after consenting to the findings of the Main Body.

      • KCI등재

        삼위일체적 예배의 신학적 특성과 실제

        Choi, Seungkeun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9 No.-

        본 논문은 삼위일체적 예배의 신학적 특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그 특성들을 드러내는 예배를 위한 몇 가지 실제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그리스도인의 예배는 삼위일체적이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한분이신 삼위 하나님, 삼위이신 한분 하나님을 믿기 때문이다. Todd Johnson의 “일치의 신학”이 주창하듯이, 예배와 신학은 일치해야 한다. 삼위일체적 예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삼위일체적 예배는 예배 속에서 삼위 하나님께서 일하신다는 것을 인식하고, 삼위 하나님의 이름을 언급하고, 공동체적이고, 역동적이고, 성례전적인 예배이다. 예배에서 하나님과의 상호작용이 주로 일어나는 곳은 설교와 성찬과 음악이다. 따라서 설교와 성찬과 음악은 무엇보다도 삼위일체적 예배의 특성을 잘 드러내야 한다. 교회가 삼위일체적 예배를 이해하고 실천할 때, 교회는 보다 건강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가 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several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nitarian worship and presen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Chrisian worship to demonstrate trinitarian characteristics. Christian worship should be trinitarian because Christians believe in one God in Trinity and Trinity in Unity. As Todd Johnson’s “Theology of Congruence” insists, worship and theology must be congruent. Thus it is necessarily for Christian worship to be trinitarian. Then what is Trinitarian worship? In terms of theological characteristics, Trinitarian worship acknowledges the triune God who works in worship, addresses names of the triune God, has communal traits, and is dynamic and sacramental. In Christian worship, Christians interacts with God mainly through preaching, eucharist, music. Therefore, sermons, eucharist, and music should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rinitarian worship. When the church understands and practices Trinitarian worship, the church will be the healthier community of God’s people.

      • KCI등재

        Eco-Justice Mission and the Unity of the Church

        Kinurung Maleh Made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This study discusses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commitment on eco-justice mi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echo all churches and Christians the fact that justice and love to all creation is already at the heart of Mission. The WCC, based on biblical theological consideration, confesses that eco-justice mission is Triune God’s mission. Thus, the WCC has persistently called the churches in unity to promote and exercise the eco-justice mission to and with all cre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revisit and reflect on various commitments of WCC from the official conciliar statements, assembly reports, conference meetings, website accounts, and others. Four areas need to be revisited in order to get wide-ranging reflection of WCC commitments on eco-justice mission: the historical review, cultural context of changing ecological landscape,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riune God, and eco-mission in practice. Historically, the organized and global commitment of WCC on mission to all creation has been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ologically, the biblical foundation has been intensively constructed. Missionally, the global and various enterprises have been well programmed. So the vision and mission for the justice of the earth is not something new. However, the question is: why is the eco-injustice persistently haunting us? The poverty and oppression are still present directly related to the unjust natural resource distribution, economic international system, and consumerist lifestyle. In fact, within 20 years the changing ‘earth’ landscape is worse; the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uffering both to bill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situation asks the WCC and her members again and again of his missional role as the agent and instrument of God’s mission. By revisiting and reflecting the WCC commitment on eco-mission, this paper is significant to maintain the unity of all churches in promoting and exercising consistently the eco-justice to all creation.

      • KCI등재

        Eco-Justice Mission and the Unity of the Church: A Reflection on the Ecumenical Conciliar Commitment of WCC

        이현모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This study discusses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commitment on eco-justice mi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echo all churches and Christians the fact that justice and love to all creation is already at the heart of Mission. The WCC, based on biblical theological consideration, confesses that eco-justice mission is Triune God’s mission. Thus, the WCC has persistently called the churches in unity to promote and exercise the eco-justice mission to and with all cre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revisit and reflect on various commitments of WCC from the official conciliar statements, assembly reports,conference meetings, website accounts, and others. Four areas need to be revisited in order to get wide-ranging reflection of WCC commitments on eco-justice mission: the historical review, cultural context of changing ecological landscape,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riune God, and eco-mission in practice. Historically, the organized and global commitment of WCC on mission to all creation has been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ologically, the biblical foundation has been intensively constructed. Missionally, the global and various enterprises have been well programmed. So the vision and mission for the justice of the earth is not something new. However, the question is: why is the eco-injustice persistently haunting us?A Reflection on the Ecumenical Conciliar Commitment of WCC The poverty and oppression are still present directly related to the unjust natural resource distribution, economic international system, and consumerist lifestyle. In fact, within 20 years the changing ‘earth’ landscape is worse; the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uffering both to bill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situation asks the WCC and her members again and again of his missional role as the agent and instrument of God’s mission. By revisiting and reflecting the WCC commitment on eco-mission, this paper is significant to maintain the unity of all churches in promoting and exercising consistently the eco-justice to all creation.

      • KCI등재

        삼위일체적 예배의 신학적 특성과 실제

        최승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9 No.-

        본 논문은 삼위일체적 예배의 신학적 특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 고 그 특성들을 드러내는 예배를 위한 몇 가지 실제적인 제안을 제시한 다. 그리스도인의 예배는 삼위일체적이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한 분이신 삼위 하나님, 삼위이신 한분 하나님을 믿기 때문이다. Todd Johnson의“일치의 신학”이 주창하듯이, 예배와 신학은 일치해야 한다. 삼위일체적 예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삼위일체적 예배는 예배 속에서 삼위 하나님께서 일하신다는 것을 인식하고, 삼위 하나님의 이 름을 언급하고, 공동체적이고, 역동적이고, 성례전적인 예배이다. 예배 에서 하나님과의 상호작용이 주로 일어나는 곳은 설교와 성찬과 음악 이다. 따라서 설교와 성찬과 음악은 무엇보다도 삼위일체적 예배의 특 성을 잘 드러내야 한다. 교회가 삼위일체적 예배를 이해하고 실천할 때, 교회는 보다 건강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가 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several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nitarian worship and presen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Chrisian worship to demonstrate trinitarian characteristics. Christian worship should be trinitarian because Christians believe in one God in Trinity and Trinity in Unity. As Todd Johnson’s “Theology of Congruence” insists, worship and theology must be congruent. Thus it is necessarily for Christian worship to be trinitarian. Then what is Trinitarian worship? In terms of theological characteristics, Trinitarian worship acknowledges the triune God who works in worship, addresses names of the triune God, has communal traits, and is dynamic and sacramental. In Christian worship, Christians interacts with God mainly through preaching, eucharist, music. Therefore, sermons, eucharist, and music should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rinitarian worship. When the church understands and practices Trinitarian worship, the church will be the healthier community of God’s people.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선교적 교회의 모색을 위한 신학적 성찰

        이병옥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이 논문은 교회의 본질 회복과 공공성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교회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신학적 성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성찰이 필요한 이유는 지금 한국 교회가 당면한 상황은 어떤 방법이나 조직을 새롭게 하는 차원만으로는 극복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교적 교회는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을 회복해서 시대와 상황에 시의적절하게 변화해 가는 것을 지향한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본질적으로 선교적이시기에 교회도 본질적 으로 선교적이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육신하신 것처럼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도 구체적인 현장으로 성육신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하나님의 선교의 장도 세상이고, 하나님의 나라가 구현되는 현장도 세상이기에, 교회는 세상과 분리된 자신들만을 위한 사적 모임이나 공간이 아닌 세상 안에 있는 교회로서 세상의 빛과 소금으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면서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하기 위해 헌신 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교회의 본질과 공공성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선교적 교회의 논의 안에 있는 교회의 본질 및 공공성과 관련된 신학적 강조점들로 ‘선교적 회심’, ‘모이는 교회와 흩어지는 교회의 균형’,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교회의 본질’, ‘하나님 나라의 복음’, ‘성육신적 공동체—구체적인 상황(context) 가운데 있는 교회’, ‘세상에서의 평신도의 선교적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