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17-18세기 三身三世佛掛佛圖 연구

        김선희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1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ype classification and form features arou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during the reign of Injo⋅ Jeongjo in 17th, 18th century. The times are when Buddhist temples destroyed by fire through social change and stabilization period after war were restored and Buddhist painting style was established in composition⋅ form⋅color⋅pattern etc. by actively creating Buddhist paintings and can be said to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research for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ccording to the fusion of Trikaya⋅Three World Buddhas after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in case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which ‘Seokgamoni Three World Buddhas’ consisting of Seokgamonibul⋅Yaksabul⋅Amitabul and ‘Biroojana Trikaya buddha’ composed of a group of Biroojanabul⋅ Nosanabul⋅Seokgamonibul are mixed is a new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of five Buddhas⋅four Buddhas⋅ three Buddhas. Except the sculpture in the main hall of Sokrisan Beopjusa, most Buddha sculptures are found to be formed with Three Buddhas type (Biroojana⋅Yaksabul⋅Amitabul). This painting was influenced by Hanging Painting of Five Monks Assembly in the 17th century and peaked in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in 18th century. Second,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show various compositions such as placement method of ‘ㅗ’ type and ‘inverted triangle (▽)’ , ‘lateral square(▭)’, ‘trapezoid’ etc. and group image form of 2-stage or 3-stage in one screen. And then 2-stage composition filling the screen has been handed down and shows us the flow of the 18th century. Third, the form shown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 century is quite similar to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6th century and in particular, it shows affinity with <Four Buddhas Gathering Painting>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n the flow of big chunk tendency etc. of Gap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50 led to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 created in 1684, show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same as modeling, Biroojana Buddhist Sculp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18th century Buddhist Banner Painting has more depend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is somewhat rigid and formal but evaluated as the masterpiece of the times in terms of screen configuration and sophisticated physical beauty etc. shown in large works. Fourth, though old, the colo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of the times are clear and delicate, showing the elegant atmosphere of 17th-century Buddhist paintings well. The main colors are red and green and delicacy and gorgeousness of King Myeongjong royal family praying Buddhist Paintings still remain in gold painted Buddha body, gold dust and transformed yellow line, colorful lotus rinceau pattern of halo, use of middle colors etc. The 18th century is the time when they became increasingly turbid and decorative aspect and deep-colored tendency appeared but the new style of painting was inherited allowing us to realize changes in the generation form. In addition, it turned out to be enough to feel their value because these are painting and Buddha sculptures made by several beliefs and doctrines of Joseon through rituals even in exhaustion and impoverishment after war. 이 논문은 17, 18세기 인조.정조기의 <삼신삼세불괘불도>를 중심으로형식 분류와 양식특징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 이 시대는 전란 이후 사회적 변혁과 안정기를 거치며 소실된 불교사원을 복원하고, 활발한 불화조성으로 구도.형태.색채.문양 등에 있어 불화양식이 확립되는 시기로, 조선시대 불화 양식은 물론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三身.三世佛의 융합에 따라 괘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이 한 조를 이루는 ‘비로자나삼신불’과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되는 ‘석가모니삼세불’이 혼합된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의 새로운 도상으로서, 오불.사불.삼불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불상조각은 속리산 법주사 대웅전 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불 형식(비로자나.약사불.아미타불)이 전형을 이루고 있음이 파악된다. 이러한도상은 17세기 오불회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에서정점을 이룬다. 둘째, 17세기 괘불도는 매우 다양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ㅗ’형 그리고 ‘역삼각형(▽)’, ‘횡방형(.)’, ‘사다리꼴’ 등의 배치법과 한 화면에 2단 또는 3단의 群圖形式의 구도법이 보인다. 이후 화면을 꽉 채운 二段 構圖는 그대로傳承되어 18세기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셋째, 17세기 괘불도에 나타나는 형태는 16세기 불화의 양식적 특징에서유사함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四佛會圖>와친연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나타나는 1650년 作 갑사 괘불도의 塊體化경향 등의 흐름은 1684년 作 부석사 괘불도로 이어져 17세기 전반기의 소조비로자나불상과 동일한 양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18세기 괘불도에서는 앞시대에 비해 권속수가 많아지며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된 모습이지만 대형작품에서 보여주는 화면 구성과 세련된 형태미 등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넷째, 이 시기 괘불도의 색채적 특징은 비록 채색은 낡았지만 맑고 은은하여 17세기 불화의 고상한 분위기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계열을주조색으로 하고, 佛身의 金彩, 金泥와 변용한 황색 筆線, 광배의 화려한 연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세기부터는 점차 탁해지고 장식적인 면과 진채적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이지만 새로운 화풍을 계승하여 세대양식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전란 이후 피폐와 곤궁 속에서도 조선의 여러신앙과 교리가 의식을 통해 만들어진 그림과 불상 조각이므로 그 가치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

        三世佛을 통해 본 백제 미륵사지

        이경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hayana Buddhism is that Buddha’s eternality is expressed in the three Buddha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study investigates Buddha’s eternal image in Baekje art, focusing on a recently recovered dossier of Sakya’s sarira (written in the mid-seventh century, AD) from the west pagoda of Mireuksa,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patial arrangement of Mireuksa(consisting of three pagodas and three main halls) may reflect Buddha’s eternal imag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three assemblies under thedragon-flower tree. There are three main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Mireuksa’s three pagodas and three main halls as places for Maitreyas’ three assemblies under the dragon- flower tree (an interprestation based on a myth found in the Samgukyusa). Firstly, the arrangement of the dossier and the three assemblies under the dragon-flower tree is too monotonous. Secondly, the central hall and pagoda are surrounded by corridors and their sizes are much bigger (other than right and left halls). Finally, this construction supported by both sidesis different from the doctrine known as the Descent of Maitreya and then the Becoming a Buddha under the dragon-flower tree, because three spaces occupied by pagodas would not be required as the place of Maitreya’s three true principles. For these reasons, it is important to discover the fundamental idea of the three times in Mahayana Buddhism in order to evaluate the spatial system assigning Maitreya central to the temple, Sakyamuni associated with a dossier of Sakya’s sarira enshrined to the west pagoda and the past Buddha to the opposite side. This construction suggests that each pagoda may not simply represent Sakya’s nirvana and Maitreya’s descent on Earth, but the central hall is symbolic of the double strata as Maitreyas’three assemblies under the dragon-flower tree, and so the right and left pagodas can be understood as the Sakyamuni Buddha of the present and the past Buddha respectively. This study includes that Mireuksa temple represents Buddha’s eternality through the Buddhas of the three times. Moreover, consistent with Backje’s forward looking national ideology, Maitreya’s image as practicing the dharma of the future is the center of Mireuksa. 영원한 붓다상은 역사적인 석가모니를 신성한 존재로 해석하면서 이루어진 대승불교 특유의 개념이다. 그것은 三世佛을 통해 현시되며 인도와 중국을 거쳐 형태적 특징과 변화를 보인다. 이 논문은 연역적 사고를 통하여 백제의 대가람으로서 세 개의 금당과 세 개의 탑을 갖춘 미륵사의 의미를 살폈다. 그동안 미륵사지에 대해서는 미륵이 하생하여 龍華三會의 설법을 하는 三院의 상징적 구조로서 三金堂三塔을 이해하였다. 그러나 미륵사지의 구조는 중앙의 금당과 목탑이 상대적으로 크고 회랑으로 구분되어 중심을 이룬다. 석가사리를 봉안한 서석탑을 비롯하여 사찰의 구조를 고려한다면 그 기초적 조형이 삼세불에 닿아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즉 서석탑에서 석가의 사리가 나왔으므로 서쪽은 석가의 영역이 되며, 미륵사라는 절 이름에 의해서 확신되는 바와 같이 이 절의 중심은 미륵으로 중앙에 귀속된다. 서쪽은 석가, 중앙이 미륵이라면 나머지 하나는 당연히 과거불로 결정된다. 보편적인 기준에 의한다면 동서의 기준에 맞춰 과거-현재-미래가 시각적인 순서이다. 그런데 佛性이라는 동일 속성에 의해 그들을 하나의 원에 놓는다면 미륵을 중앙에 두었을 때 과거는 미래의 동쪽으로 가게 된다. 따라서 미륵사는 현재-미래-과거로 배치되며, 과거의 영역에는 과거불이자 완전한 정토를 지닌 아미타불이 올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미륵사는 미래를 중심에 둔 三世佛로서 영원한 붓다이미지를 지평에 펼쳐 놓은 백제의 대가람이다. 그것은 백제의 평안을 기원하는 것에 연결될 것이다. 미륵사를 발원한 왕후가 서석탑에 발원문을 남긴 것은 현재만이 과거, 미래와 달리 가능한 개인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역사는 늘 현재이다. 따라서 미륵사는 삼세를 통해 불법의 영원성, 백제의 영원성, 개인의 영원성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 [순조(純祖)-순종대(純宗代)] 괘불화(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 Chang Kyu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 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純祖-純宗代) 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운문사의 불사(佛事)와 불화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경상북도 청도에 위치한 운문사는 기나긴 역사를 보여주듯 다양한 불교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운문사의 창건은 삼국시대 혹은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한때는 전국 ‘제 2 의 선찰’로 불리울 만큼 사세가 확장되었지만, 1653 년의 대화재로 인해 석조유물과 일부 금동유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에 따라, 운문사에 현존하는 불화 역시 17 세기 중창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1655 년과 1773 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대웅보전 중창 때 조성된 불화로는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보살ㆍ달마대사도가 대표적으로, 이 벽화는 雲門宗 사찰로 창건되어 꾸준하게 禪脈을 이어 온 운문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대웅보전의 비로자나삼신불도와 삼장보살도는 1755 년에 통도사의 화승 任閑과 그 제자들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비로자나삼신불도는 현존하는 후불화로는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삼신불도의 형식을 보여주며, 삼장보살도는 천장보살과 지지보살,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을 한 폭에 각각 독립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운문사에서는 수륙재 중단탱인 삼장보살도와 함께 일찍이 수륙재관련 서적이 간행되었으며 의식 때 사용하던 佛輦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에서 행해졌던 水陸齋의 모습을 잘 전해준다. 19 세기에는 운악 두안에 의해 萬日念佛會가 개최되면서 염불당 등에 봉안하는 불화들이 주로 제작되었다. 그중 대웅보전의 신중도와 관음전의 관음보살도, 아미타불도는 운문사에서 거행되었던 만일염불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진영의 제작이 성행하여 현재 11 점의 진영이 남아있는데, 원광법사진영과 보양국사진영, 원응학일진영에는 각각 제 1 조, 제 2 조, 제 3 조 등의 명칭이 적혀있어 운문사 문중의 계보를 확립하고자 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본고는 17~18 세기에 이루어진 운문사 대웅보전 중수 및 1861 년 염불회와 관련하여 조성된 불화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운문사의 중창불사와 불화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불화가 단순하게 전각에 봉안하여 예배하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한 사찰의 위상을 보여주고 문중의 결속력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운문사의 불화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ocated in Cheongdo, Geyongsangbuk-do, Unmunsa-temple has a collection of various Buddhist artifacts that show a long history. The Buddhist paintings existing in Unmunsa-temple are mostly after the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mural painting behind the Buddha is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twice in 1655 and in 1773, and this painting shows the appearance of Unmunsa-temple, which was founded as Unmunjong temple and consistently followed Zen lineage. Great Hall's Trikaya Buddha painting and Three Bodhisattva painting were produced in 1755 by monk painter Imhan and his disciples, and Trikaya Buddha painting shows the form of Tirkaya painting which is the oldest with the existing behind Buddha paintings. Three Bodhisattva paintings are notable in that they were painted in an independent scroll with the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of Cheongjang-Bodhisattva, Jiji-Bodhisattva and Ksitigarbha. In the 19th century, Manilyeombulhoe(Assembly of recitation of Buddha's name for Ten-thousand days) was held by priest Unak Duan, and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enshrined to Yeombuldang(Hall f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were mainly produced. Among them, Divine Guardians painting of Great Hall, and Avalokitesvara painting of Hall of Avalokitesvaran, Amitabha painting in 1861 transmits the vividness of Manil yeombulhoe which was performed in Unmunsa-temple. In addition, at this time, production of portraits of a priest was intensified and 11 paintings still remai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of Unmunsa-templ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drawn due to Yeombulhoe in 1861 and the reconstruction and Buddhist paintings of Unmunsa-temple in the late Joseon,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 are mostly composed in the 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the temple, or in the memory of a special Buddhist event or Buddhist memorial service, etc.

      • KCI등재
      • KCI등재

        인도 종교의 초기 삼신(三神) 체계: 베다 종교와 불교의 비교 연구

        유성욱 ( Yu Sung-uk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이 연구는 베다 종교에서 힌두교적 특징이 나타나고 불교와 자이나교 같은 비-베다 전통의 무신론적 종교가 유신론적 변화를 경험한 포스트-마우리야(Post-Maurya) 시대를 중심으로 베다 종교와 불교의 삼신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인도인의 종교와 생활에 투영된 삼신 관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다. 그 결과, 포스트-마우리야 시대에 형성된 베다 종교의 삼위일체 관념은 종파에 따라 근본신을 다르게 설정하더라도 브라흐마(Brahma), 비슈누(Visnu), 쉬바(Siva) 등 다른 신을 근본신의 화현으로 설명하며 그들을 동일체로 간주하지만, 불교에서는 화현의 대상을 붓다(Buddha)에 한정하여 삼세불이나 뜨리까야(trikaya) 교리에 반영하고 있으며 신전에서 삼신을 구성하는 다른 보디삿뜨바(bodhisattva)로 화현하지 않는 차이를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서 불교도들은 붓다와 보디삿뜨바 간에 교리나 신전에서 차별적 지위를 부여하고 힌두교 신전의 주요 신인 비슈누와 쉬바의 신적 권능과 특성을 그대로 보디삿뜨바에 적용함으로써 힌두교 신전의 신적 권능보다 붓다의 권능을 우위에 두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불교 신전의 삼신 구성에 있어서 개별 신의 특성뿐만 아니라 신적 권능에 관한 내용도 힌두교 신전의 삼신 체계보다 시기적으로 늦게 정립되었음이 입증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ree gods that were projected into Indian religion and life, focusing on the Post-Mauryan period. In this perio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nduism appeared in Vedic religion and the atheistic religions such as Buddhism and Jainism in non-Vedic traditions experienced theistic change. It will compare the three gods system in Vedic religion with that of Buddhism.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gods (such as Brahma, Visnu, Siva, etc.) in the Hindu concept of the Trinity, forming in the Post-Mauryan period, are described as the incarnations of the supreme god, set up from a sectarian viewpoint, and as one- which differs from the Buddhist concept of the Trinity. In Buddhism, the object of the incarnation is limited only to the Buddha shown as in the doctrine of three Buddhas and trikaya, and the Buddha never incarnates into a bodhisattva consisting of three gods in the Buddhist pantheon. Through this, it is revealed that the Buddhists intended to give the Buddha a superiority over the divine powers of the Hindu shrine by granting the discriminative status between the Buddha and the bodhisattvas in doctrine, and by applying the divine pow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ods in the Hindu shrine to the bodhisattvas in the Buddhist pantheon. It is also proved that the contents of the three gods system concerning the divine pow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dhisattvas were established in Buddhist pantheon later than the formation of them in the Hindu shrin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17~18세기 三身三世佛掛佛圖 양식 연구

        김선희(Kim, Se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3 No.3

        이 논문은 17, 18세기 인조?정조기의 <삼신삼세불괘불도>를 중심으로 형식 분류와 양식특징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이 시대는 전란 이후 사회적 변혁과 안정기를 거치며 소실된 불교사원을 복원하고, 활발한 불화조성으로 구도?형태?색채?문양 등에 있어 불화양식이 확립되는 시기로, 조선시대 불화 양식은 물론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三身?三世佛의 융합에 따라 괘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이 한 조를 이루는 ‘비로자나삼신불’과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되는 ‘석가모니삼세불’이 혼합된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의 새로운 도상으로서, 오불?사불?삼불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불상조각은 속리산 법주사 대웅전 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불 형식(비로자나?약사불?아미타불)이 전형을 이루고 있음이 파악된다. 이러한 도상은 17세기 오불회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에서 정점을 이룬다. 둘째, 17세기 괘불도는 매우 다양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ㅗ’형 그리고 ‘역삼각형(▽)’, ‘횡방형(?)’, ‘사다리꼴"등의 배치법과 한 화면에 2단 또는 3단 의 群圖形式의 구도법이 보인다. 이후 화면을 꽉 채운 二段構圖는 그대로 傳承되어 18세기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셋째, 17세기 괘불도에 나타나는 형태는 16세기 불화의 양식적 특징에서 유사함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四佛會圖>와 친연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나타나는 1650년 作갑사 괘불도의 괴체화(塊體化)경향 등의 흐름은 1684년 作부석사 괘불도로 이어져 17세기 전반기의 소조비로자나불상과 동일한 양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18세기 괘불도에서는 앞 시대에 비해 권속수가 많아지며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된 모습이지만 대형작품에서 보여주는 화면 구성과 세련된 형태미 등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넷째, 이 시기 괘불도의 색채적 특징은 비록 채색은 낡았지만 맑고 은은하여 17세기 불화의 고상한 분위기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계열을 주조색으로 하고, 佛身의 金彩,金泥와 변용한 황색 筆線, 광배의 화려한 연당초 문양, 중간 계열의 색사용 등은 명종대 왕실발원 불화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세기부터는 점차 탁해지고 장식적인 면과 진채적 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이지만 새로운 화풍을 계승하여 세대양식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전란 이후 피폐와 곤궁 속에서도 조선의 여러 신앙과 교리가 의식을 통해 만들어진 그림과 불상 조각이므로 그 가치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