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랜스 히스토리(Trans History) - 새로운 역사 분석 범주로서의 트랜스젠더 -

        이춘입 ( Lee Choonib ) 한국여성사학회 2021 여성과 역사 Vol.- No.34

        이 글은 최근 미국 역사학계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새로운 역사 연구 분야 ‘트랜스 히스토리’(Trans History)에 대한 것이다. ‘트랜스 히스토리’란 기본적으로는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줄인 말이지만, ‘트랜스젠더’(transgender)에 한정된 역사 분야이거나 ‘트랜스젠더에 대한 역사’에 국한된 개념도 아니다. 트랜스 히스토리는 성소수자의 역사를 확장하는 차원을 넘어서며, 기존의 여성사, 젠더사, 퀴어사에서 강조되는 정체성의 범위도 초월한다. 왜냐하면 ‘트랜스’(trans)는 그 자체로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등의 정체성 범위를 넘어서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는 하나의 젠더 정체성을 초월해서 경계를 가로지르는 운동과 실천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제 트랜스젠더는 그 자체로 새로운 역사 분석의 범주가 된다. 더 나아가 역사상 트랜스젠더는 섹스·젠더·섹슈얼리티뿐만 아니라 계급·인종과 같은 다양한 역사적 분석 범주를 가로지르는 교차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트랜스 히스토리는 새로운 역사 분석 범주로서 트랜스젠더를 통해 역사학에서 교차성을 실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 히스토리는 기존에 여성·젠더사나 퀴어사에서 이론적으로 벗어나고자 했으나 실제로는 벗어나지 못했던 섹스의 본질주의를 벗어난다. 이러한 트랜스 히스토리는 주로 이성애 규범성 토대 위에 형성되었던 미국 역사를 새로이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is about a new field of the study called “trans history,” which has recently been discussed in American history. Trans history is basically short for transgender history, but it is not limited to a “transgender” nor the concept limited to “the history of a transgender.” Trans history goes beyond expanding the history of sexual minorities and transcends the scope of identities emphasized in existing women’s, gender and queer history. This is because “trans” itself is a concept that goes beyond the identities of race, gender, sex, etc. Since a transgender means a movement and practice that transcends a gender identity and crosses boundaries, a transgender is now itself a new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Furthermore, in history, a transgender shows intersectional aspects across various historical analysis categories, such as class and race, as well as sex, gender, and sexuality. In other words, trans history realizes intersectionality in history through a transgender as a new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In addition, trans history is beyond the essentialism of sex, which has previously sought to theoretically escape from women's, gender, or queer history, but has not actually escaped. This trans history also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on of American history, which was formed primarily on the basis of heterosexual normativity.

      • KCI등재

        트랜스젠더와 차별금지

        이승택(Lee, Seung-Taek) 한양법학회 2020 漢陽法學 Vol.31 No.4

        This study, which seeks to develop a constitutional discussion on the issue of discrimination in transgender based on constitutionally guaranteed equality rights and anti-discrimination orders, deals with the issue of discrimination in the legal recognition of gender identity by dividing it into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First of all, discrimination in the legal recognition of gender identity is not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itself, but discrimination against a certain group of people who want sex change, which is specific through the exercise requirements of the right to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gender identity. Typically, it is discrimination based on age, nationality and marital status required for legal approval of gender identity. And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mainly means the case of giving disadvantageous treatment without reasonable grounds in employment, education,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the formation of family relationships, based on social prejudice against transgender.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with a focus on comparative legal discussion. As a result, discrimination based on additional requirements such as age, nationality, marital status, or child status is highly likely to result in infringement of equal rights if applied uniformly without detailed regulations. Therefore, requir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legal recognition of gender identity should be minimized to prevent the production of overlapping minorities.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is required to ban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people. In the case of Korea, we could confirm the lack of legal grounds for banning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people. This study saw that supplementation could be made through legislation of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s, and attempted a brief analysis of current progress. The problem of transgender discrimination is mainly a matter of minorities. The main structure of minority discrimination is to exclude minorities with small voices from public debate. Therefore, the resolution of transgender discrimination should start from the conversation with transgender. Human sexual typ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sex chromosomes, sexual identity, hormone types, genital forms and sexual orientation. We are finding that attitudes that have recognized human beings with dozens of sexual types are no longer a complete way of human perception. The starting point for realizing human dignity and value under the Constitution is to let individuals decide their own ways of life and attitudes, not the state, and legal regulations and protection concerning transgender people will have to start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ecision of what their sexuality is is the most basic area of personal life.

      • ‘트랜스젠더 정체성’의 비병리화 담론의 전개와 인권적 의의: 국제질병분류 제11판의 개정을 앞두고

        박한희 한국인권학회 2018 인권연구 Vol.1 No.1

        동성애가 공식적으로 질병목록에서 제외된 지 30여년이 지나는 동안 트랜스젠더 정체성은 여전히 정신장애로 남아 있었다. 1900년대트랜스젠더에 대한 의학적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1980년미국정신의학회는 정신장애 목록에 ‘성전환증’을 포함하였고, 1990년세계보건기구 역시 국제질병분류 제10판에 ‘성주체성장애’, ‘성전환증’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트랜스젠더 정체성의 병리화는 트랜스젠더의 포괄적 인권실현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트랜스젠더 인권운동의 성장과 더불어 트랜스젠더 정체성의 비병리화 담론이 전개됨에 따라 2013년 미국정신의학회는 ‘성주체성장애’를 ‘성별위화감’으로 개정하였다. 그리고 세계보건기구는 2018년 6월국제질병분류 제11판에서 ‘성주체성장애’를 삭제하여 트랜스젠더 정체성을 정신장애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트랜스젠더 정체성의 비병리화는 의학적 견해의 변화를 넘어 트랜스젠더를 어떠한 존재로 바라볼 것인가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한 면에서 비병리화 담론의 전개는 트랜스젠더를 억압하는 성별규범과 사회구조 전체의 변화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In 1990, homosexuality was officially excluded from the diseaselist, However, transgender identities still remains as a mentaldisorder. Since 1900s, medical discussions on transgender havebegun. In 1980,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dd‘Transsexualism’ and ‘Gender Identity Disorder’ in DSM-III. The pathologization of transgender identities has brought socialstigma and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people. Therefore, asthe transgender human rights movement has grown up in 1990's,discussion of de-pathologization has developed. In addition, healthmodel of transgender has been shifted from pathology model toself-declaration model. In 2013, the American PsychiatricAssociation revised ‘gender identity disorder’ as ‘gender dysphoria’,which is less pathological terminology. In addition, at 2018. 6. 18.,World Health Organization release ICD-11, which removed ‘genderidentity disorder’, ‘transsexualism’. This revision means thattransgender identity is no longer classified as a mental disorder. De-pathologization of transgender identities is not only related to medical context, also associated with how transgender is treated andrespected in social context. In this respect, discussion ofde-pathologiz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changes in genderbinarynorms and structures which suppress transgenders.

      • KCI등재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

        윤진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대학교 法學 Vol.61 No.3

        The plenary decis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 on September 2, 2011 declared that a transgender who has a minor child cannot request the change of his/her sex designation on the family register. This paper deals with this decision critically. This decision reasoned that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of the transgender parent would cause the minor child mental chaos and shock. Furthermore, when the submission of th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is necessary, the child should submit the certificate which has the appearance of same-sex marriage.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in Korea is divided. There is no jurisdiction which requires the absence of the minor child for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of transgender parent except Japan. However, against the Japanese law there is strong criticism. In my opinion, not allowing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to prevent the mental shock of the minor child is unpersuasive, as the mental shock, if any, would result from the physical change of the transgender parent, not from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on the family register. So it does not fulfill the suitability of means, which is a subprinciple of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required to limit the human right. The real motive of the decision may be the concern that the child will suffer by the disclosure of the fact that her parent is transgender to other people. However, this argument is problematic, as it presupposes 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ransgenders. Lastly, the disadvantage to the transgender parent brought by the denial of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is far greater than the disadvantage to the minor child by the change of sex designation of his/her parent. So the presence of the minor child should not be regarded as a huddle to change of sex designation. 대법원ᅠ2011. 9. 2.ᅠ자ᅠ2009스117ᅠ전원합의체 결정은, 성전환자에게 미성년자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성별정정을 허가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 결정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를 살펴본다. 위 결정은 그 이유로 성전환자에게 미성년자인 자녀가 있음에도 성별정정을 허용한다면 미성년자인 자녀는 정신적 혼란과 충격에 노출될 수 있고, 성별정정을 허용하게 되면 가족관계증명서상 동성혼의 외관이 현출될 수밖에 없으며, 미성년자인 자녀는 가족관계증명서가 요구될 때마다 동성혼의 외관이 현출된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들었다. 국내의 문헌상으로는 이 문제가 많이 논의되고 있지는 않으나, 이 결정에 찬성하는 견해와 반대하는 견해가 발표된 바 있다.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함에 있어서 미성년 자녀가 존재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나라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거의 찾기 어렵다. 일본의 판례는 자녀가 존재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 위헌이 아니라고 보았으나, 이에 대하여는 비판이 많다. 생각건대 자녀들이 충격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이는 성별정정 허가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고, 그 전의 부 또는 모의 변화에 의한 것이므로, 자녀의 심리적 충격을 막기 위하여 성별정정을 불허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는 기본권 제한에 관한 비례의 원칙 가운데 방법의 적정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상결정의 진의는 가족관계증명서의 기재에 의하여 부나 모가 성전환을 하였다는 사실이 다른 사람에게 알려짐으로써 자녀가 고통을 받을 것임을 우려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이는 성전환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기정사실로 하여, 미성년 자녀가 이에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으로서, 문제가 있는 논증이다. 그리고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불허하는 것이 성전환자에게 주는 불이익이 성별정정 허가에 의하여 미성년 자녀가 입는 불이익보다 훨씬 크므로,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것만으로 성별정정을 불허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트랜스젠더 의료접근성에 대한 시론

        이호림 ( Yi Horim ),이혜민 ( Lee Hyemin ),윤정원 ( Yoon Jung Won ),박주영 ( Park Jooyoung ),김승섭 ( Kim Seung-sup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한국에서 트랜스젠더의 의료접근성에 대한 논의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한국 트랜스젠더의 의료접근성을 제도적 측면과 의료공급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외국의 현황과 그동안 진행된 논의를 소개하고자 한다. 트랜스젠더는 성별위화감 진단, 호르몬요법, 성전환수술 등의 성별 트랜지션(gender transition) 관련 의료적 조치와 더불어 성별정체성을 고려한 생애주기별 일반 건강관리 등과 같은 고유한 의료적 필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는 트랜지션과 관련하여 의료적 조치에 대한 의료보장의 부재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의료진의 편견 및 숙련된 의료진의 부족으로 인해 트랜스젠더의 의료접근성은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다. 외국 연구들은 트랜지션 관련 의료보장의 부재는 호르몬 자가처방이나 자가거세 등을 증가시켜 건강을 해치며, 삶의 만족도를 떨어트린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전 세계 118개국중 43개국에서는 호르몬요법 또는 성전환수술을 의료보장에 포함하고 있으며 트랜스젠더 친화적인 숙련된 의료진을 양성하기 위해 의학교육과 의료진 수련 과정에서 다양한 시도가 모색되고 있다. 트랜스젠더에게 의료접근성은 신체적·정신적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삶의 조건이다. 한국 트랜스 젠더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논의와 정책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research examined current barriers that prevent transgender people from accessing health care in Korea and reviewed what has been discussed and what efforts have been made in some other countries to improve health care access of transgender people. Transgender-specific medical necessities include not only medical transition but also general health care throughout life course. However, Korean transgender people`s access to health care is significantly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health care coverage on medical transition, cultur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medical personnels, and shortage of well-trained surgeons. Previous literatures reported that lack of health care coverage on medical transition may increase self-prescribed hormone use and self-castration, which can severly damage their health. Currently, 43 out of 118 nations cover transition-related car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or public health system. Studies also address that transgender-specific cultural competency educations and training programs are necessary for medical personnel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transgender people`s access to health care in Korea.

      • KCI등재

        여성에서 남성으로의 성전환증에서 음낭성형술의 필요성과 방법

        김석권,문인선,권용석,이근철 대한성형외과학회 2009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6 No.4

        Purpose: Transgender is a disorder of gender identity, who have appropriate chromosomal, hormon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ir sexual phenotype but feel strongly with respect to their sexual identity, that they belong to the opposite sex. There is a persistence discomfort and sense of inappropriateness about one’s assigned sex in a person who has reached puberty. Transgender is a psychiatric problem, but surgical method provides more satisfactory adjustment for patients. In gender reassignment surgery for female to male transgender, mastectomy, nipple reduction, hysterectomy, oophorectomy and phalloplasty are included. And as the final operation, recommended for scrotoplasty and artificial testes insertion. So we investigated the necessity and method of scrotoplasty in the final operation of female to male transgender. Methods: The authors have long term follow-up of 75 cases female to male transgender from January 1991 to February 2008. Among them, 13 cas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During phalloplasty, the labium major skin preserved. And this labium majoral skin flap was made for the neoscrotum. At least six months later, artificial testes were inserted in neoscrotum with local anesthesia. Middle sized(3cm diameter) artificial testes(silicon gel or carving soft silicone implant) were us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neoscrotum. We evaluat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bout the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 configuration of reconstructed scrotum, and the necessity of operation, the postoperative psychosocioeconomic improvement and limitation of body exposure activities such as swimming, public bathing. Results: Based on this study, satisfaction of reconstructed scrotum after scrotoplasty was improved(92%). The necessity of scrotoplasty was in 92.3% and the postoperative psychosocioeconomic well-being improvement was 77% in answers. Less limitation of activities requiring body exposure was 54% in answers.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surgical operation despite of som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the scrotoplasty in female to male transgender is not only a conversion of external genitalia but also an improvement of psychosocial state. As most of the patients sincerely hope to take this operation, we improve our surgical method for more good results.

      • KCI등재

        영한 신문 기사의 ‘트랜스젠더’ 지칭어 번역 양상 연구

        김동미,탁진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ransgender’s Anaphoric Expressions Translation ofEnglish-Korean Newspaper ArticlesDongmie Kim & Jinyoung Tak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what kind of translation patterns are expressed when seven professional translators refer to “transgender” in English newspaper articles into Korean. For this analysis,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in Korea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text. In addi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Korea Times searched for “transgender” and selected an article related to Harisoo, a famous celebrity, and the other was elicited by named Rachel Levin. Looking at the results translated by seven professional translators, first, there was a tendency to use a lot of pronoun dropping strategies in the target text, although “she” and “her” of the source text were translated into proper nouns. Second, in the case of translation in which the frequency of third-person female singular pronoun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source text, the frequency of use of proper nou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re was a translator who intentionally avoided the use of third-person female pronouns in the target tex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ranslators had a high tendency of recognizing the gender identity problem of transgender in advance and reflecting in translation. Second, it was come to know that the linguistic influence of Korean, an pronoun-dropping language, was greater than sensitivity to the special subject of transgender. Key Words: Newspaper Article, Transgender, Pronoun, Gender, Translation 영한 신문 기사의 ‘트랜스젠더’ 지칭어 번역 양상 연구김 동 미*ㆍ탁 진 영** 요약: 본 논문은 영어 신문 기사의 ‘트랜스젠더’를 7명의 전문번역가들이 한국어로 지칭하여 번역할 때 어떠한 번역 양상이 표출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목표 텍스트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대명사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방법으로는 The Korea Times에서 ‘transgender’를 검색하여 한 편은 유명 연예인인 하리수 관련 기사를 선정하였고, 다른 한 편의 기사는 레이첼 레빈이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일반인을 다룬 기사를 발췌하였다. 7명의 전문번역가가 번역한 결과물을 살펴보면, 첫째, 원천텍스트의 ‘she’, ‘her’를 고유명사로 전환하기도 하지만 목표 텍스트에 대명사 생략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3인칭 여성 단수 대명사의 빈도수가 원천텍스트보다 현저하게 적은 번역의 경우 고유명사의 사용 빈도수가 현격히 증가하였다. 셋째, 의도적으로 목표 텍스트에서 3인칭 여성대명사 사용을 기피하는 번역가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트랜스젠더의 성 정체성 문제를 사전에 인지하고 이를 번역에 반영하려는 의도가 조사되었다. 둘째, 트랜스젠더라는 특별한 주제에 대한 민감성보다는 대명사 생략 언어인 한국어의 언어학적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핵심어: 신문 기사, 트랜스젠더, 대명사, 성, 번역 □ 접수일: 2022년 3월 30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우송대학교 초빙교수(First Author, Professor, Woosong Univ., Email: dongmiekim@wsu.ac.kr)** 교신저자, 세종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jong Univ., Email: jytak@sejong.ac.kr)

      • KCI우수등재

        트랜스젠더의 스포츠 접근권에 관한 윤리적 고찰

        박성주 ( Park Sungjoo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이 논문의 목적은 트랜스젠더 여성의 스포츠 참가에 관한 윤리적 쟁점을 분석하고 트랜스젠더 여성이 젠더 정체성에 따라 경쟁하도록 허용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트랜스젠더 선수에 관한 논쟁은 성별에 의한 스포츠 분리 논쟁과 맞물려 있기에 남녀 스포츠 분리를 주장하는 입장과 통합을 주장하는 입장을 각각 살펴보고, 이 두 입장의 바탕이 되는 가치이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선수와 관련된 이슈와 쟁점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트랜스젠더 여성이 여성스포츠 부문에서 경쟁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살펴보고, 그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는 스포츠 본질에 대한 개념, 즉 스포츠의 기술원칙과 공정성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시키는 이유로서 타당성과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트랜스젠더 여성 선수들을 배제시키는 근거는 스포츠 본질에 대한 그릇된 생각에서 나오며, 이 생각은 스포츠를 동등한 경쟁자들의 비교 테스트로만 보는 편협한 관점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협한 관점으로 인해 스포츠는 특정개인에게 부당한 특권을 주거나 다른 이를 아예 배제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thical issues of transgender female athletes competing in the women’s sport sector, and then to present the justification that transgender women should be allowed to compete according to their gender identi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since the debate on transgender athletes is intertwined with the debate on segregation of sport by gender, the position that argues for gender segregation and integration, as well as the value theory underlying these positions, will be examined. Next, I will explain the issues related to transgender athletes and why they cause controversy. Finally, by examining the arguments against the competition of transgender women in the women’s sport, and by critiquing the nature of sport presented as the basis for such arguments, that is, the skill thesis and the theory of fairness,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se arguments lack validity and consistency as a reason for excluding transgender female athletes. My argument is that the basis for excluding transgender female athletes comes from a misconception about the nature of the sport, which views sport only as a comparative test of equal competitors. Because of this idea, I would argue, when deciding whether an athlete can participate or not, or determining the manners of participation, sport becomes a means of giving unfair privileges to certain individuals and penalizing or excluding others.

      • KCI등재

        애니메이션 미술치료에 담긴 트랜스젠더의 이상과 현실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유미,박소정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활동을 통해 트랜스젠더 여성의 삶을 탐구 하고 애니메이션 작업이 지니는 치유적 의미를 질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 해 일상 속 경험에 담긴 이야기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기에 적절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 였다. 만 35세의 트랜스젠더 여성 ‘나나’(가명)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미술치료는 평균 주 2회 씩 120분간 총 1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애니메이션을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심층적으로 재구성한 참여자의 삶에 대한 경험은 ‘여자 줄에 서면 안돼?’, ‘너구나, 이상한 목소리가….’, ‘맞 지 않는 옷’, ‘이중생활의 시작’, ‘남자로 살려고 노력은 해보자’, ‘사랑의 페르소나’, ‘음지에서 양 지로’의 7가지 이야기로 생성되었으며, 이는 ‘트랜스젠더와 성별불쾌감’, ‘트랜스젠더와 그들의 목소리’, ‘트랜스젠더의 익숙한 외로움’, ‘트랜스젠더의 수치심’, ‘트랜스젠더의 소망’의 5개의 주 제로 다시 이야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성소수자로서 트랜스젠더의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할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미술치료에서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징적인 매체가 가진 치유적인 측면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a transgender woman through animation-making activity as a part of art therapy and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animation as a tool. A narrative inquiry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tory in everyday experiences was applied for this study. A 35-years-old transgender woman named Nana (alia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rt therapy was proceeded with two 120 minutes sessions a week over total of 16 sessions. The participant reconstructed her life in-depth,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seven different short stories: <Why Can’t I be in the Women’s Line?>, <Oh, You’re the One with Weird Voice>, <Clothes that Don’t Fit>, <Start of a Dual Life>, <Attempt at a Life of a Man>, <Love Persona> and <From the Shade into the Light>. During th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reproduced these stories into animations titled <Gender Dysphoria in Transgender>, <Transgender and their Voices>, <The familiar loneliness of the Transgender>, <Shame felt by Transgender>, and <Dream of a Transgender’s Future> with 5 separate topics. The resear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 life of a transgender woman, who is living as a sexual minority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builds a scaffolding for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therapeutic aspects of animation as a tool in art therapy.

      • KCI등재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 취재관행 및 프레임 분석

        장수아,남재일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gender representation method in Korean newspapers, focusing on ‘reporting practices’ and ‘frames’. The total articles analyzed were 695 and all transgender-related in the three newspapers, Kookmin Ilbo,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for 20 years from 2001 to 2020. To analyze these articles, ‘the number of reporting’, ‘article length’, ‘article type’, ‘edited page’, and ‘sourcing’ were used to examine ‘reporting practices’ and for the ‘frame’ analysis, nine types were used - disease frame, religious sin frame, social confusion frame, sexual objectification frame, minority protection frame, social recognition frame, emphasis for public rights frame, social achievement frame, and victim fra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okmin Ilbo and the Hankyoreh Newspaper have shown the high interests in the terms of the number of reports, but the Chosun Ilbo has shown very little interest in transgender issues. As for the sourcing, while the Hankyoreh Newspaper used a lot of LGBTQ people and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the Kookmin Ilbo ha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anti-minority and religious groups. The tendency of sourcing in Chosun Ilbo was closer to the Hankyoreh Newspaper than the Kookmin Ilbo. The frame analysis result shows a similar pattern to the reporting practice analysis result. The Hankyoreh Newspaper has put high weight on opposing discourses such as minority protection frame, social recognition frame, emphasis for public rights frame, social achievement frame, and victim frame, while the Kookmin Ilbo has produced more predominant discourses such as disease frame, religious sin frame, social confusion frame, and sexual objectification frame. The Chosun Ilbo’s frame analysis results were ambiguous and had a lot of room for interpretation.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most prominent problem with the representation of transgender in Korean newspapers was still underrepresentation such as non-reporting. 이 연구는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 방식을 취재관행과 프레임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대상 기사는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 세 신문의 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 간 트랜스젠더 관련 기사 695건이다. 취재관행 분석유목은 보도량, 기사길이, 기사유형, 게재면, 취재원 등 5개이고, 프레임 유형은 질병 프레임, 종교적 죄악 프레임, 사회 질서 혼란 프레임, 성적 대상화 프레임, 소수자 보호 프레임, 사회적 인정 프레임, 공적 권리 강조 프레임, 사회적 성취 프레임, 피해자 프레임 등 9개다. 분석 결과, <국민일보>와 <한겨레>는 보도량에서 관심도가 높았지만, <조선일보>는 보도량이 매우 적어 트랜스젠더 사안에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원의 경우, <한겨레>가 성소수자 당사자와 관련 인권단체를 많이 이용하는 반면 <국민일보>는 반성소수자 단체와 종교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선일보>의 취재원 이용 경향은 <국민일보>보다 <한겨레>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 분석결과는 취재관행 분석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겨레>에서 소수자 보호 프레임, 사회적 인정 프레임, 공적 권리 강조 프레임, 사회적 성취 프레임, 피해자 프레임 등 대항담론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국민일보>는 질병프레임, 종교적 죄악 프레임, 사회 질서 혼란 프레임, 성적 대상화 프레임 등 지배담론이 더 많았다. <조선일보>는 프레임 분석결과가 모호하고 해석의 여지가 많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의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무보도 등 과소재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