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제품 개발에서 아이디어 창출기법인 유추와 체계적 발명사고가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비교

        이상진,정문선,김근배 한국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연구 Vol.35 No.4

        Previous studies on creativity have failed to provide a practical methodology to help promote creativity at the level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objectively verify this. In this study, we first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thinking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in the search for ideas in associative memory (SIAM) model consists of analogical thinking and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SIT). The representative idea creation method of thinking out of the box is analogical thinking. The representative idea creation method of thinking in the box is SIT. In this experiment, we directly compared and verified the two types of thinking methods in the product area (household desk) and service area (coffee shop). Experiment I showed that the group that learned analogical thinking and SIT had a higher quality of the ideas than the group that did not learn 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periment II,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ho learned SIT in both the product area (household desk) and the service area (coffee shop) as in Experiment I. It had a higher quality of ideas created than the group that learned analogical thinking. The reason for the higher quality of ideas created by SIT than analogical thinking is that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was set to create ideas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In future research, the quality of ideas generated using the two methods i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should be compared when the product category is not fixed. This study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directly comparing analogical thinking and SIT. 본 연구는 S.I.A.M 모델에서 아이디어 생성과정에서 인간의 의지력에 의한 사고방법은 유추법과 S.I.T임을 확인한 후, 틀 밖에서 생각하기(thinking out of the box)의 대표적인 아이디어 창출법인 유추법과 틀 안에서 생각하기(thinking inside the box)의 대표적인 아이디어 창출법인 S.I.T 2가지의 아이디어 창출방법을 직접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틀’은 기존 사고의 틀(Framing)를 의미한다. 본 실험에는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전문점)에서 유추법과 S.I.T의 창출된 아이디어 질 수준을 직접 비교하였다. 실험 Ⅰ의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유추법과 S.I.T를 각각 학습한 집단이 비학습집단(통제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실험 Ⅱ도 실험 Ⅰ과 마찬가지로,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S.I.T를 학습한 집단이 유추법을 학습한 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S.I.T 학습집단의 결과물이 유추법 학습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 질에서 더 높은 수준의 결과물이 나온 것은 실험과제가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품 범주가 정해져 있지 않는 신제품 개발 과제를 사용하여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창의성 선행 연구들은 신제품 개발부서 실무자와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시도가 적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유추법과 S.I.T를 직접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이론적이고 실무적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증명된 思學의 四端之情과 不思不學의 七者之情

        성동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문화 Vol.- No.94

        On the basis of Toegye’s presentation address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method of sage learning is ‘thinking(思)’ and ‘learning(學).’ Thinking is the clear and distinct understand on the necessity of nature itself, i.e Li(理). Learning is the execution of the necessity of nature itself conceived by thinking. Since Toegye had summarized the method for the sage learning 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representing Toegye’s sage learning, matched this method. To this end, this paper established 10 definitions and 1 axiom based on Toegye’s writings, and deduced 10 theorems deduced from them as the necessity of geometric order.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the four feelings defined as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is coherent with the method of sage learning. ‘Lival(理發)’ is the clear thinking and learning of Li. However,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four feelings, the seven feelings defined as ‘Kival-i-Lisengji(氣發而理乘之)’ proved to be contrary to the method of sage learning. ‘Kival(氣發)’ is not the clear thinking and learning of Li.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four feelings in Toegye’s sage learning is thinking and learning but the seven feelings is not thinking and learning. Based on these geometric conclusions, this paper understands the theory for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epitomized by Toegye’s sage learning as the feelings epistemology. That is why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epitomized by Toegye’s sage learning cannot be explained by feelings(四端) that are morally good and feelings(七情) that are not morally determined. Furthermor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ideal(四端) and realistic(七情) feeling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all feelings exist in the necessity of Li-Ki(理-氣) causality. In this necessity of Li-Ki(理-氣) causality, all feelings(情氣) exist with their own Li(情理) as the necessity of their own nature, and exist only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at nature. This way of understanding on feelings based on thinking and learning was encapsulated into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by Toegye. In so far as we think and learn all feelings with this method all feelings are perfect and good in itself. Therefore it is the four feelings that thinks and learns all feelings by the method for the sage learning, but it is the seven feelings that does not think and learn all feelings in that manner. As thinking and learning about feelings, the core of the four feelings is, above all, clearly and distinct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feelings in the Li-Ki (理-氣) causality. All feelings(情氣) inherently have the necessity of one's own nature(情理), which exists only according to this nature. Based on the Li(理)-Ki(氣) necessity of feelings, this article defines Toegye’s four feelings(四端) as the science of feelings, i.e 情理學. Therefore, the truth of feelings, from eternity to eternity, is originally the four feelings explained by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

      • KCI등재

        디자인 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나건,전수정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Creativity is the essential keyword of innovation in 21st century. It is the ability of generating new ideas and combining them. Innovation is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idea with success. Design thinking is the driving force to make them possible.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that have tried to develop the creative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fit the domestic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der a emerged and diffuse background of design thinking and check a correlation from the creativity development to the innovation. It is also to discov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eative process cases based on design thinking to better understanding. 4 creative process cases looking into as follows. 3I process guide that IDEO modified newly for the United States, Design thinking process used in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Stanford University for the U.S. and Potsdam University for Germany, Double diamond model for the United Kingdom, and W.I.P.R. process for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ome similarities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multi-disciplinary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has a structure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Thirdly, it undergoes prototyping for the visualization. Finally, there are insightful results through empathy with customers or users. An research, which creative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the various challenge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at leads to innovation, remains as a matter for future study. These fundamental research results c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design workshop model or guideline for team constitution of participatory design. 창의성(creativity)은 21세기 혁신(innovation)의 주요 키워드(keyword)로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이자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능력이며, 여기에서의혁신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이다. 이것에 대한 역사적인 맥락 연구와 국내 현황에 맞게 자체 개발된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개발 사례 연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사고가 등장하여 확산하게 된 배경과 창의성 개발에서 혁신으로 적용되는 상관관계를 정리해보고, 좀 더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를 대표적인 국내·외 사례로 분류해 알아보았다. 미국의 사례로, 널리 알려진 IDEO에서 새롭게 보강한 3I 프로세스 가이드와 d.school로 알려진 HPI of Design, Stanford와 독일의 Potsdam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사고 프로세스를 영국의 사례로 Double Diamond Model을, 한국의 사례로 W.I.P.R. 프로세스를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질 수 있다. 첫째,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이며 인간중심적(human-centered) 접근방법이다. 둘째, 전반적으로 디자인사고 접근법으로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셋째,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시각화(visualization)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공감(empathy)을 통해 통찰력(insight)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 후 다양한 목적과 도전을 수행할 수 있는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혁신을 이끌어내는 창의적 자신감 기반의 창의성 개발에 대해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초 연구가 프로젝트 진행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 워크숍 실험모형 개발이나 참여적 디자인 팀 구성 가이드라인에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우수등재

        『해심밀경소』티벳어역의 사료적 가치

        장규언(Jang, Gyu-eon)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문헌학적 측면과 원측(圓測, 613-696)의 불교 사상 이해 두 측 면에서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의 티뱃어역(Ḥphags pa dgori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이하 SNST로 약칭 )이 지난 사료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예증하였다. 먼저 문헌학적 자료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예로 SNST을 통해 『해심밀경소』 한문본을 교정하고 또 보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첫째로 SNST를 통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텍스트 오류인 오자(誤字), 탈자(脫字), 연자(衍字) , 도치(倒置) 교정의 실례를 보여주었다. 둘째로 텍스트 복원의 실례로서「서품(序品)」교체론(敎體論)의 법수(法數)에 대한 경량부(經量部)의 논의 부분 중의 결락을 SNST를 통해 실험적으로 복원해 보았다. 셋째로 현존 대장경 텍스트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SNST를 통해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 의 『불성론(佛性論)』 인용 부분을 검증한 뒤 그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나아가 SNST에 의거한 현존 대장경본 『불성론』 자체의 교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진제(眞諦) 일문(逸文)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해심밀경소』에 보존되어 있는 진제 『구식장(九識章)』 인용문을 SNST를 통해 교정하고 보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원측의 불교사상 이해에 있어 SNST가 지닌 자료 가치를 예증하기 위해 SNST에만보존된 「서품」 교체론 속 자료들 속에서 『반야심경찬(般若心經贊)』 과 『인왕경소(仁王經疏)』의 일부 주제들에 대한 원측의 생각을 보다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보충 자료를 소개하고 해석하였다. 첫째 『반야심경찬』 에서 청변(淸辦)과 호법(讀法)의 논쟁에 대해 언급하면서 등장하는 ‘執我勝論甚違聖教佛自許為解脫菩薩’이라는 구절은 그 의미가 모호한데 뜻밖에도 SNST 속 공유 논쟁을 다루는 부분에서 이와 유사한 구절을 발견할 수 있어 비교적 설득력 있는 해석 가능성을 제시할수 있었다. 둘째, SNST에만 보존된 자료들 속에서 호법의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을 통해 소개되는 공유(公有)논쟁 부분이 공유 논쟁의 문제의식, 구체적 대론(對論) 과정, 결론 등에 있어 동일한 텍스트를 다루고 있는 『인왕경소』와 유사하면서도 미묘하게 다른 해석을 포함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고 양 텍스트의 비교를 통해 공유 논쟁에 대한 원측 이해의 전모를 보여줄 수 있었다. 맺음말에서 필자는 이상의 예 증을 통해 SNST는 원측의 불교 사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반드시 참고되어야 할 귀중한 자료라고 결론 내렸다. In this paper, I illuminate the value of Ḥphags pa dgori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Skt. Ārys-gambhīra-sṃdhinrmocana-sūtra- ṭikā; henceforth SNSn, the Tibetan version of the Hsesimmilgyeong so (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 shu, Commentary on Ss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圓測) 613-696; Ch, Yuance), in both the phil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First, I attest to its philological value, which shows that some extant texts in Haesimmilgyeong so can be revised and complemented by collation with SNST. I present some instances showing that basic textual problems, including erroneous, omitted, superfluous, reversed characters or phrases, can be revised by collation with SNST. Second, I have reconstruted missing passages in the Sautrāntikas' discourse on the number of dharmas found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 the Essence of Buddha’s Teaching (敎體論) of "Seo pum" (序品; Ch. Xu Pin, Introductory Chapter) based on SNST. Third, as a typical example of testing the authenticity of the extant Tripiṭaks texts, I critically examine quotations from the Foxing fun (佛性論) in "Mujaseongsang pum" (無自性相品, Ch. Wuzixingxiang pin, Chapter on the Character of Non-Substance), point out both its textual and contextual errors, and finally propose the possibility of revising the extant Tripiṭaka text of the Foxing fun that basically accords with quotations in Haesimmilgyeong so based on SNST. Fourth, as an example of examining and revising texts in the lost works of Paramārtha (眞諦, 499-569) preserved in Haesimmilgyeong so, I present and revise a quotation from his Jiushi zhang (九識章, Treatise on the Nine (Vi)jñāna) based on SNST. Next, for illuminating the value of SNST as a complementary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Woncheuk, I present and interpret sources only found in SNST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 Essence of Buddha’s Teaching mentioned above, which more clearly and thoroughly expounds his interpretation on some topics found in his other commentaries, i.e., Banyasimgyeong chan (般若心經贊, Ch. Boruoxinjing zan, Commentary on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e) and lnwanggyeong so (仁王經疏, Ch. Renwangjing shu, Commentary on Kāruṇikarāja-rāṣṭrapāla-prajñāpāramitā-sūtra). I propose a plausible interpretation of the unfamiliar phrase ”執我勝論甚違聖教佛自許為解脫菩蕯” in Banyasimgyeong chan, based on similar references in SNST. This phrase, never found in the extant Tripitakas, appears in the Non-Being (sūnya) and Being (bhāva) controversy between Bhāvaviveka and Dharmapāla. I then elucidate the complexity of Woncheuks interpretation of this controversy, using quotes from Dharmapāla’s Dechengguangbailunshi lun (大乘廣百論釋論, Commentary on Āryadeva's Catuḥśataka) in SNST, in comparison with texts in the Inwanggyeong so which presents and interprets the same quotations in a slightly different context. In conclusion, I demonstrate that SNST is an essential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Woncheuk.

      • KCI등재

        요구분석을 적용한 디자인 문제해결 개념모델 연구

        한아름(Han, A Reum),곽대영(Kwak, Da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의 역할은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디자인의 대상과 영역이 산업의 가시적인 물적 하드웨어에 머무는 것이 아닌 보이지 않는 인간의 행위와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인식됨에 따라 디자이너가 해결해야 할 문제의 범주 또한 시각적 · 물리적인 것에서 점차 비시각적 · 상황적 문제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뿐만 아니라 그와 연관된 물리적 · 사회적 상호 관계에 관한 총체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상황에 대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디자인 개념 모델을 제안하고,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자인 사고, 창의적 디자인 문제해결 방법과 i* 프레임워크의 특징, 원리와 구성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및 연계성을 고찰하였으며, i*프레임워크를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디자인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모델을 설계하였다. 한 번에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기 쉬운 최소의 단위로 분할하고, SD · SR 모델을 통해 상호 관계성을 모델링 하고, 다시 관계 다이어그램, 역할 다이어그램, 행위 분석 다이어그램, 가치 분석 다이어그램 등 새로운 분석 모델로 연결 · 종합하였다. 이러한 실험 과정을 통해 디자인 문제를 보다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한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실의 문제를 개념모델을 통해 해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개념모델의 효용성을 평가 할 수 있었다. Roles of designs have many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As the objects and realm of design are perceived as a social system encompassing intangible human behaviors, services, and systems, not being confined to tangible physical hardware of industry. The categories of problems to be resolved by designers are also transforming gradually into non-visual and circumstantial nature away from visual and physical nature. To resolve such design issues, overall consideration needs not only products users but also physical and social interactions related to such products and user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design concept model applying i* framework which provides to take creative approach to problems involved to being resolved by analyzing problems of complex situation to various standpoints and deriving ideas. Moreover, we validated its potential capabilities that could be tapped into importantly in the design process of experiment analys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examined overall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thinking, creative design problem-solving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principles, structure of i* framework and considered their interrelationship. The concept model for resolution of design issues was designed by applying i* framework of the design process. This model was to promote logical and interpretative to approach for understanding essence of problems and bringing solutions to these processes. Dividing complex situations and problems into minimal units for easy to understand and modeling interrelationship based on SD · SR model. Then linking and putting together such complex situations based on new analytical models such as relational diagram, role diagram, behavioral analysis diagram, value analytical diagram for in-depth comprehension. These experimental procedures can be to make access possible way of a different perspectives of design to solve problems more effectively and creatively. This concept model demonstrated usefulness for resolving realistic problems and creating new ideas, which therefore allowed its efficiency to be assessed.

      • 이것도 저것도 아닌 것에 대한 인도인의 사유

        심재관(Shim Jae-Kwa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동서사상 Vol.13 No.-

        ‘이것이나 저것’ 또는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것과 같은 모순적이고 애매한 표현들이 다른 모든 종교나 철학전통 속에서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특히, 신비주의적 전통 속에서), 인도 고전의 모든 장르 속에서 볼 수 있을 만큼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애매성이나 모순의 표현들은 다양한 맥락 속에서 등장하는데, 때로는 논리학 속에서, 또는 우파니샤드와 같은 신비주의적 종교문헌 속에서, 또는 뿌라나의 신화 속에서 이야기의 갈등을 해소하는 서사장치로서 빈번히 등장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도, 모순적인 표현, 또는 더 적당히 경계성(문지방성 liminality: 안과 밖, 포함과 배제의 경계라는 점에서)의 소질은 인도인의 사유방식의 하나로 제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중관학의 四句(부정)(특별히, 제3구나 제4구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또는 자이나교의 스야드바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기서 우리는 배중률의 침해, 모순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논리학뿐만 아니라, 뿌라나와 같은 보다 대중적인 문학 속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뿌라나의 히라냐까쉬뿌와 나라싱하의 전투 장면이나 인드라와 나무찌의 대결 장면 속에서 ‘거품’, ‘문지방’, ‘어스름’, ‘해변’ 등과 같은 단어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매우 중요한 단어들이다. 이러한 단어들도 역시 모순, 애매함, 중간성 등을 보여준다. (어스름은 낮도 아니고 밤도 아니며, 문지방은 안도 아니고 밖도 아니다.) 하지만, 인도 고전들 속에서 이러한 ‘중간성’ 또는 ‘경계성’ 등에 대한 무수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고, 이러한 경향들을 인도인의 사유방식의 하나라고 규정한다 하더라도, ‘중간성’이나 ‘모순성’을 보여주는 논리적 표현들과 종교적인 표현들은 서로 구분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것들은 아마도 서로 다른 배경 속에서 등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중간성’에 대한 논리적 표현들을 예로 들자면, 이러한 인도의 논리적 표현은 우리가 v?da라 부르는 논쟁술 전통, 또는 pram??a라 부르는 인식(수단)론의 전통을 다시 되돌아보게끔 한다. 인도의 논리학은 매우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논쟁술이나 인식론의 배경 속에서 성립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도의 논리적 사고나 인식론적 특징을 고려할 때, 우리는 그리스에서 기원한 형식주의적 논리와는 완전히 다른, 자신의 체험에 기반한, 또는 사례중심의 논리적 사고를 만나게 될 것이다. As though the contradictory or ambiguous expression like ‘both this and that (non this)’ or ‘neither this nor that’ is to be not unfamiliar in all othe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specially, in its mystic tradition), the expression is, however, very common in the all different genre of Hindu classics. Sometimes this ambiguity or contradiction show up itself clearly as a logical formular, sometimes as a sign of intuitive experience by the mystics (like in Upani?ads), or simetimes as the strategic apparatus that enable to solve the conflicts in pur??ic narratives. For this reason, I propose that the aptitude for the contradictory or ambiguous expression, or, more roughly, the expression of liminality(that admits both inclusion and exclusion) should be one type of Hindu way of thinking. In the Madhyamika Catu?ko?i (especially, the third and the fourth member of catu?ko?i) or the Jaina theory of syadv?da, we can find an example of the violation of non-contradiction or the excluded middle. And the key words like ‘foam’, ‘liminal’, ‘dusk’, and ‘shore’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Pur??ic battle story between Hira?yaka?ip and Narasinha and the battle between Indra and Namuci clearly demonstrate the great aptitude of the Hindu for the liminality or middle-ness. However, even though we can find the numerous example of the pondness of the middle-ness or liminality from the Hindu classics and can also brand it as their aptitude or as an Hindu way of thinking, it would be necessity to distinguish the the logical expression of the middle-ness from the religious one, which seem to had been developed from the very different backgrounds. As for the logical expression of the middle-ness (or the violation of the excluded middle as presenred in catu?ko?i), for example, it rather leads us to the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Indian logic that had been developed oUt of slightly ditinct traditions called as v?da(debate) and pram??a(means of knowledge). Thus, when it comes to the Indian tradition of debate and epistemological character we will meet the very different way of logical thinking that comes out of the one’s own experience-oriented and example-pointed thinking, which quite different from the Greek logical thinking which lay weight on the formality itself.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 과학 I’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활동 분석

        박은혜,정은영 한국생물교육학회 2018 생물교육 Vol.46 No.4

        Science writing activities are emphasized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unit and publishing company in 7 kinds of ‘Life Science I’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type of science writing requir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presented sites, presented forms and topic. A total of 122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7 kinds of ‘Life Science I’ textbooks.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requiring deductive thinking ability were presented 51 times, and those requir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16 times. As a result of analyzing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activities was a maximum of 28 times and a minimum of 10 times, and the rest of the textbooks were similar to 16 times, and the types of scientific writing activities varied depending on publishing company.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the most presented in the site of ‘Inquiry activities’, followed by the ‘Unit summary’ and the least presented in the site of ‘Formative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ation forms, ‘presented text+decorative illustration+question’ was the most, followed by ‘data+question’, and ‘data+explanation of data+question’ was not pres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science writing requir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opic and publishing company, the topics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variously presented according to each unit. The various science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in ‘Life Science I’ textbooks.

      • KCI우수등재

        <해심밀경소> 티벳어역의 사료적 가치 : 최신 발견 자료의 소개를 겸해

        장규언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5 No.-

        In this paper, I illuminate the value of Ḥphags pa dgoṅs pa zab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Skt. Ārya-gambhīra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 ; henceforth SNST), the Tibetan version of theHaesimmilgyeong so (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 shu , Commentaryon Saṃdhinirmocana-sūtra ), written by Woncheuk (圓測 613-696; Ch.Yuance), in both the phil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First, I attest to its philological value, which shows thatsome extant texts in Haesimmilgyeong so can be revised andcomplemented by collation with SNST.I present some instances showing that basic textual problems,including erroneous, omitted, superfluous, reversed characters orphrases, can be revised by collation with SNST. Second, I havereconstruted missing passages in the Sautrāntikas' discourse onthe number of dharmas found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 theEssence of Buddha's Teaching (敎體論) of “Seo pum” (序品; Ch.Xu pin , Introductory Chapter) based on SNST. Third, as a typicalexample of testing the authenticity of the extant Tripiṭaka texts,I critically examine quotations from the Foxing lun (佛性論) in“Mujaseongsang pum ” (無自性相品, Ch. Wuzixingxiang pin , Chapteron the Character of Non-Substance), point out both its textual andcontextual errors, and finally propose the possibility of revisingthe extant Tripiṭaka text of the Foxing lun that basically accordswith quotations in Haesimmilgyeong so based on SNST. Fourth,as an example of examining and revising texts in the lost works ofParamārtha (眞諦, 499- 569) preserved in Haesimmilgyeong so , Ipresent and revise a quotation from his Jiushi zhang (九識章, Treatiseon the Nine (Vi)jñāna) based on SNST.Next, for illuminating the value of SNST as a complementary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Woncheuk, I present andinterpret sources only found in SNST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Essence of Buddha's Teaching mentioned above, which more clearlyand thoroughly expounds his interpretation on some topics found inhis other commentaries, i.e., Banyasimgyeong chan (般若心經贊, Ch.Boruoxinjing zan , Commentary on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and Inwanggyeong so (仁王經疏, Ch. Renwangjing shu , Commentaryon Kāruṇikarāja-rāṣṭrapāla-prajñāpāramitā-sūtra ). 본 논문에서 필자는 문헌학적 측면과 원측(圓測, 613-696)의 불교 사상 이해 두 측면에서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의 티벳어역(Ḥphags pa dgoṅ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이하 SNST로 약칭)이 지닌 사료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예증하였다.먼저 문헌학적 자료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예로 SNST을 통해 ��해심밀경소�� 한문본을 교정하고 또 보충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첫째로 SNST를 통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텍스트 오류인 오자(誤字), 탈자(脫字), 연자(衍字), 도치(倒置) 교정의 실례를 보여주었다. 둘째로 텍스트 복원의 실례로서 「서품(序品)」 교체론(敎體論)의법수(法數)에 대한 경량부(經量部)의 논의 부분 중의 결락을 SNST를 통해 실험적으로 복원해 보았다. 셋째로 현존 대장경 텍스트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SNST를 통해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의 ��불성론(佛性論)�� 인용 부분을 검증한 뒤 그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나아가 SNST에 의거한 현존 대장경본 ��불성론�� 자체의 교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진제(眞諦) 일문(逸文)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해심밀경소��에 보존되어 있는 진제 ��구식장(九識章)�� 인용문을 SNST를 통해 교정하고 보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다음으로 원측의 불교사상 이해에 있어 SNST가 지닌 자료 가치를예증하기 위해 SNST에만 보존된 「서품」 교체론 속 자료들 속에서 ��반야심경찬(般若心經贊)��과 ��인왕경소(仁王經疏)��의 일부 주제들에 대한 원측의 생각을 보다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보충 자료를 소개하고 해석하였다.첫째, ��반야심경찬��에서 청변(淸辨)과 호법(護法)의 논쟁에 대해 언급하면서 등장하는 ‘執我勝論甚違聖教佛自許為解脫菩薩’이라는 구절은 그 의미가 모호한데 뜻밖에도 SNST 속 공유 논쟁을 다루는 부분에서 이와 유사한 구절을 발견할 수 있어 비교적 설득력 있는 해석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SNST에만 보존된 자료들 속에서 호법의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을 통해 소개되는 공유(空有) 논쟁 부분이 공유 논쟁의 문제의식, 구체적 대론(對論) 과정, 결론 등에 있어 동일한 텍스트를 다루고 있는 ��인왕경소��와 유사하면서도 미묘하게 다른 해석을 포함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고 양 텍스트의 비교를통해 공유 논쟁에 대한 원측 이해의 전모를 보여줄 수 있었다.맺음말에서 필자는 이상의 예증을 통해 SNST는 원측의 불교 사상을이해하는데 있어 반드시 참고 되어야 할 귀중한 자료라고 결론 내렸다.

      • KCI등재

        율곡 이이의 경험적 사유에 근거한 일용적 학문관 고찰

        문미희 ( Mi Hee Moon ),안경식 ( Gyeong Sik A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이 논문은 율곡의 사유방식을 통해 그의 학문관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율곡은 경험에 의해 형성된 사유를 통해 인간의 지식구조가 완성된다고 보았다. 그에게 있어 사유란 반성적 사고이며, 처한 상황에 대해 올바르게 처리해내는 능력이며, 표현이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사유는 인간이 지닌 특별한 능력이자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능력으로 파악했다. 율곡은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그것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사유를 계발하기 때문에 경험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고 여겼다. 그는 이렇게 사유와 경험을 연결지음으로써 이 관점을 일상의 문제와 학문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그에게 있어 학문은 일상의 모든 일에 마땅함을 취하는 것이었다. 그런 까닭에 그의 학문은 일상생활의 사소한 행동규범까지도 상세히 설명하고 그에 따르기를 권고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결국 율곡의 사유구조는 경험과 사유의 조화, 일상과 학문의 조화로 귀결되며, 이러한 관점은 그로 하여금 인간이 학문을 해야 하는 필연성과 더불어 인간 개개인의 존엄성을 인정하여 학습자의 자발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Yulgok`s view of learning based on his way of thinking. Yulgok viewed that humans` knowledge structure is completed through thinking and experience. To him, thinking was a sort of reflective meditation and ability to handle given situations rightly. In this point of view, he concluded that thinking is a special ability that only humans possess and that this ability makes humans more humanlike. Yulgok regarded experience as important since humans would develop their ways of thinking while experiencing in the surrounding world. By connecting thinking with experience, he expanded this perspective to the scope of everyday and learning. Since he considered learning befitting to everyday activities, his teaching was to explain behavior rules including minor ones in daily life and admonish people to follow those rules. Yulgok`s way of thinking sought the harmony between experience and thinking and between everyday and learning. This perspective led him to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humans to pursue learning as well as dignity of individual humans with learners` spontaneity considered vital,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in modern days as well.

      • KCI등재후보

        천태의 사상과 원효의 사상의 공통점 연구

        이병욱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In this paper, I will emphasize to transcend the sectarian view of understanding buddhism, by means of suggesting the common points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The common points are said by three points. First, T'ien-t'ai's i-hsin sankuan(一心三觀) that means k'ung(空), chia(假), chung(中), is discovered in Wonhyo'sthought. Wonhyo says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 Geumgangsammaigyeonglon(金剛三昧經論). Here wu-li(無理) indicates k'ung(空) and chih-li(至理) means chia(假), and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dicates chung(中). Second, Wonhyo's hwajaing(和諍) thought is discovered in T'ien-t'ai's thought. T'ien-t'ai Chih-i(天台智顗) suggests chen-hsing chieh-t'o(眞性解脫), chen-hui chieh-t'o(實慧解脫), fang-pien chieh-t'o(方便解脫) as the standard of hui-t'ung(會通). He harmonizes ten san-fa(三法) by means of three chieh-t'o(解脫). Third, the common point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is to apply catvāri-siddhānta(四悉檀). This common poi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 common points. Catvāri-siddhānta(四悉檀) in T'ien-t'ai's thought is the important base of chiaop'anlun(敎判論) whereas Catvāri-siddhānta(四悉檀) in Wonhyo's thought does not have the important base of the theory. 이 논문에서는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여 불교를이해할 때 종파적 견해를 넘어서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 공통점은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천태의 일심삼관(一心三觀)은 공(空)·가(假)·중(中)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 공·가·중의 맥락이 원효사상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원효의『금강삼매경론』의 대의(大意)부분에서 ‘이치 없음의 지극한 이치’를 말하고 있는데 이치가 없다[無理]는 것은 부정의 표현으로서 공(空)의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극한 이치[至理]는 이치가 없다는 부정을 통한 긍정이므로 이는 가(假)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치가 없음의 지극한 이치’라는 표현은 공(空)과 가(假)를 합해서 중도의 이치를 드러낸 것이다. 둘째, 원효의 화쟁(和諍)사상은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천태사상에서도 화쟁사상과 비슷한 회통(會通)사상이 있다는 것이다. 천태는 진리의 입장에 서면 경전에서 말한 것이 다른 내용이 아님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회통의 기준으로서 진성해탈(眞性解脫), 실혜해탈(實慧解脫), 방편해탈(方便解脫)을 제시한다. 이 3가지 해탈을 기준점으로 해서 10가지의 3법을 회통한다. 그에 비해 원효는 포괄적으로불교이론을 화쟁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처럼 세부적 내용에서 조금 차이점은 있지만 큰 틀에서 화쟁사상과 회통사상을 말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셋째, 4실단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 이 공통점은 앞의 제시한 2가지 공통점과 의미비중이 다르다. 천태사상의 4실단은 교판론을 제시할 때 주요한 근거가 되는 것인데, 원효사상의 4실단은 주변에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4실단의 제일의실단을 해석할 때 원효사상에서는 화쟁사상의 맥락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점은 천태사상의 4실단의 이해에서는 찾아볼 수없는 것이다. 따라서 4실단은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면서 동시에 사상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이상의 내용에서 살펴보았듯이,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에서는 일심삼관과 회통사상이라는 주요한 공통점이 있고, 4실단은 공통점이긴 하지만 이것이 동시에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요소도 된다. 따라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은 종파적인 관점에서 보면 서로 다른 듯이 보여도 사상 속에서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