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학 안에 인간학적 전환과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

        조정환(Cho Jeong-hw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3

        가톨릭 신학은 최근 40여 년 동안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것은 하느님에 대해서 말하는 학문인 신학(神學) 안에 인간을 중심으로 세우려는 경향, 즉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경향이 큰 흐름처럼 밀려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신학의 각 부분에 흩어져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일된 하나의 학문으로 종합하면서 ‘신학적 인간학’(Antropologia teologica)이라는 명칭을 통해 말하고 있다. 과거 신학의 역사 안에서 인간에 대한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 진것은 사실이지만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다루어 졌다고는 볼 수 없다. 비로소 근대에 와서야 인간을 체계적으로 조명하는 학술서들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을 무엇보다 먼저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상황과의 연관성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 중심에는 근대 서구 유럽의 인간학적인 전환(轉換)혹은 인간 중심적인 전환이 있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전환은 신 중심적이고 혹은 교회중심적인 시대적 상황에 큰 충격을 가져다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과거의 교회가 신앙에 대하여 언급할 때, 하느님의 말씀과 교부들의 견해 그리고 공의회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차원에서 언급하였다면, 인간중심적 혹은 인간학적으로 전환 되어진 새로운 시대 안에서는 인간의 측면을 도외시 하지 않고, 더 나아가서 인간의 현실적인 체험에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거세어지는 극단적인 ‘인간중심주의’(Antropocentrismo)는 교회가 올바른 인간 이해를 위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연구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더불어 제기 되었다. 이런 시대적인 흐름 안에서 신학적 인간학은 태동되었다고 볼 수 있고, 바로 그 자리에는 시대적인 고민이 같이 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인간학 안에서 꼭 언급해야 할 학자는 칼 라너(K. Rahner 1904~1984) 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학 안에 인간 연구는 그리 순탄한 길만은 아니었지만, 그를 통해서 체계적이고 통일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실제로 라너는 그 시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학적 인간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체계적으로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경향의 수용은 어느 일부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회 안에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는 그 수용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사목헌장(Gaudium et spes)은 인간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체험들을 신학적 인간학의 바탕 안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신학적 인간학의 역사 안에서 제 2차 바티칸 공의회는 그 정점에 있기에 꼭 언급해야할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처럼 가톨릭 교회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환된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흐름 안에서 시대의 표징을 읽었고, 거기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과감하게 수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심에는 학문적으로 신학적 인간학이 함께 하고 있었기에 그 역할이 중요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과 더불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이제 현대 가톨릭 사상이 인간을 중심에 두고서 모든 생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시대적인 필요성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ores theology with emphasis on humankind, based on time and ideological changes. In the latest 40 years, the Catholic theology gave birth to Theological Anthropology (Antropologia teologica) which generali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kind on the basis of theology. Theology has studied humankind as a major topic, but the emerge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ells us that a more organized field of study on humankind and more professional studies and researches have become available. The convertsion of theology into a man-centered, anthropological theme was a major change to its God-centered and church-centered foundation. Today, the Church can no longer talk about religion from the hierarchical perspective with the focus on God’s words, Fathers’ opinions, the Councils. It is necessary to deeply explore men and seek out for realistic experiences. With the growing ethnocentrism (Antropocentrismo), the Church found it important to study humankin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ological Anthropology was born in modern Europe’s conversion to ethnocentrism. Karl Rahner(1904~1984) is the one who greatly contributed t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rough him, anthropological studies become more organized and uniform within the realms of theology. Rahner first used the term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established anthropological methodologies on a theological background. The anthropological tendency of theology became official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2nd Vatican Council” was what made it official. The Pastoral Constitution (Gaudium et spes), established by the Councils, explained realistic experiences of men on the basis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Catholic Church made effort to understand the conversion to ethnocentrism and boldly absorb its positive aspects. Such effort accomplished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ological Anthropology allowed the church to absorb ethnocentric trends and address it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reflects the inevitable needs that modern Catholic ideologies have to be man-centered and promote its teachings and studies for men.

      • KCI등재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에 표명된 대화철학적 인간론 다시 보기 :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윤형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 anthropology of dialogue philosophy and theological anthropology by re-reading Martin Buber’s Ich und Du(I and You). Buber divides the dual ways humans treat the world into ‘I-It’ (Ich-Es) and ‘I-You’ (Ich-Du). He warned of the expansion of the world of ‘I-It’, which would lead to the destruction of impersonality by making others instrumental and objectified, and suggested reciprocal personalism of ‘I-You’ as an alternative to mitigate and correct it. Buber’s anthropology has points where it can overlap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it corrects the mechanical and impersonal anthropology of modern times, emphasizes openness and love for others, raises alarms against modern inhuman behaviors that objectify and instrumentalize others, and calls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Nevertheless, Buber’s anthropology has a fundamental limit to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anthropology's thinking and discourse. First, Buber’s theory of God and religion, which emphasize the reality of relig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ristian theology, which presupposes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consequently approaches panentheism. Second, Buber confines human attitude toward God to the dichotomous frame of ‘perception and presence,’ ‘propositional doctrine and personal fellowship.’ Third, unlike Christian anthropology, which accepts the total depravity of man and depends on God's sovereign work, Buber believes that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depends on man’s free choice and ability to transform. Fourth, to Buber, Jesus was only a Jew who lived a prophetic life, not an object of faith who became incarnated as the triune God and accomplished redemption on the cross. This is fundamentally contrary to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ains what humans ar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Christology. In conclusion, despite the relevance of the anthropological critical mind raised by Buber, his dialogue-philosophical anthropology allows contact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only in a limited range due to subtle or stark differences between Jewish and Christian beliefs. 본 연구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 다시 읽기를 통해 대화철학적 인간론과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가능성을 타진한다. 부버는 인간이 세계를 대하는 이중적 방식을‘나-그것’(Ich-Es)과 ‘나-너’(Ich-Du)로 구분한다. 그는 타인을 도구화하고 대상화함으로써 비인격성의 파괴를 초래할 ‘나-그것’의세계의 확장을 경고하면서, 이를 완화하고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나-너’의 상호적 인격주의를 제시하였다. 부버의 인간론은, 근대의 기계적이고 비인격적인 인간론을 교정하고, 타자를 향한 개방과 사랑을 강조하며, 타인을 대상화하고도구화하는 현대의 비인간적 행태에 경종을 울리며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신학적 인간론과 중첩된다. 그럼에도, 부버의 인간론은 기독교 인간론의 사유와 담론에 원용되는 데에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첫째, 종교의 현실성을 강조하는 부버의 신론과 종교론은 하나님의 초월성을 전제하는 기독교 신학과중대한 차이를 보이며 만유재신론에 근접한다. 둘째, 부버는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태도를 인식과 임재, 명제적 교리와 인격적 교제라는 이분법적 틀에 가두고 대립시킨다. 셋째, 인간의 전적 타락을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에 의존하는 기독교 인간론과 달리, 부버는 진정한 인간성의 실현이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전환하는 능력에 달려있다고 믿는다. 넷째, 부버에게 예수는예언자적 삶을 산 유대인일 뿐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성육신하고십자가에서 구속을 이루신 신앙의 대상이 아니다. 이는 기독론의중재를 통해서만 ‘인간이 무엇인지’가 해명되는 신학적 인간론과근본적으로 어긋난다. 결론적으로, 부버가 제기한 인간론적 문제의식의 적실성에도불구하고, 그의 대화철학적 인간론은 유대교적 신념과 기독교적신념 사이의 미묘하거나 혹은 극명한 차이로 인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신학적 인간론과의 접점을 허용한다.

      • KCI등재

        The Universality of Black Theology: Implications for Youngsan Theology

        ( Seong Hun Choi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8 No.-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black theology for Youngsan theology. Black theology is a theology of and for African Americans in America but it has universal feature that consists of universal sources and norms. Black theology understands God as Creator, Judge, and Redeemer. First of all, black theology reveals that the full understanding of human dignity based on the image of God the Creator can break the defeatism among blacks and justify the need for liberation and restoration. The understanding of God as Judge enables us to realize that true justice comes from true love. It is divine love that is universal, and thus is freely given to people who are in a miserable situation. The experience of God as Redeemer enables black people to realize the meaning of salvation from the love of God. Christ, who is a universal messiah, always awaits to hear the cry of the oppressed. Youngsan theology needs to continue to liberate the oppressed with this gospel message since true love corrects the evil doing of people and prevents further misbehaviors. Youngsan theology can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context as long as its normative claim preserves its basis, the teachings of the Bible.

      • KCI등재

        인간이해를 매개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만남

        김기철(Kim, Gi-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목회신학은 ‘다리의 학문’으로서 이론과 실천, 신학과 (다른 사회 과학들을 포함하는) 심리학, 복음과 상황, 그리고 공적인 하나님 개념과 사적인 하나님 표상을 서로 연결해준다. 이러한 다리 잇기의 작업은 신학이 그 모드를 목회신학으로 바꿀 때에 더 활기를 띠고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음이 역동성과 생명력이 있는 영성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주류 신학의 인간이해는 죄인으로서의 인간 본성을 강조해온 반면, 하나님 형상 담지자로서의 인간 본성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겼다. 이와 함께, 교회의 공식적인 신학은 ‘육체라는 감옥에 갇힌 영혼’이라는 이미지를 발전시켰다. 이로 인해, 육체는 신학적인 이원론에 근거하여 열등한 것으로, 죄를 짓게 하는 도구로 격하되어 인식되었다. 하지만, 목회신학은 인간의 육체성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육체가 그안에 성스러움을 간직하고 있고, 복음과 삶을 연결시키는 채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경험하게 하는 통로이자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게 하는 수단으로 경험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목회신학적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의 상실’, 그리고 ‘전인격체인 인간 안에서 일어나는 육체에 대한 격하와 육체의 소외’ 라는 주제들과 관련된 신학적 의미를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를 통해 목회신학은 하나님 형상을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인간이해를 요청한다. 심리학의 인간이해는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목회신학의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는 인간 본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형상이 각자의 개성과 온전하게 만날 때, 신앙인은 하나님 형상을 즐겁게,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목회돌봄과 상담은 돌봄 대상자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삶의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활기차게 하나님 형상을 살아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준다. 이를 위해 목회신학은 필요할 때마다 모드를 전환하여 다리 놓기를 하고, 또한 놓아진 다리 위에서 더 적극적으로 복음의 정체성과 영향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astoral theology is not just a branch of practical theology, but it is a “bridge discipline”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theology and psychology (including other social sciences), and the public God-concept and the private God-image. This work of bridging can be more efficacious when theology changes its mode to pastoral theology. Pastoral theology is “function-centered,” which brings theology and psychology together and results in an amicable dialogue between the two. By doing pastoral theology the gospel can bring a more dynamic and fruitful spiritual life. The mainline theological anthropology has identified human nature with sinner under the original sin, while relatively neglecting human nature as God’s image-bearer. It seems that the official theology of the church has employed the (total) loss of the Image of God in humanity in order to fortify the doctrine of fall of humanity. In addition to that the official theology has confirmed the image of the soul’s imprisonment in the flesh. Then the fles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and degraded as a means for sinning based on the theological dualism. However, pastoral theology, the changed mode of theology, rediscovers the value of the human fleshness. The flesh created by God contains sacred in it and plays its role as a channel between the gospel and life. For Christians, it has been a path toward experiencing God and a means for imaging God. We are not supposed to alienate the flesh from the whole personality. Christian way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rooted in the Image of God which has never been lost or damaged and is supposed to be embodied in our lives to the likeness to God. In this sens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uman fleshness, including emotions, intuitive senses, and physical senses and desires, through which we can image God.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examines theological meanings of the loss of the Image of God and the degradation of the flesh in the whole p

      • KCI등재

        19세기 리하르트 로테(Richard Rothe)의 사변적 신학 윤리 연구

        이정환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2

        The theology of Richard Rothe made it clear that Christian faith and intellect, philosophy and theology are not in an academically exclusive confrontation. His theology was developed through his representative works “theological ethics” under the influence of speculative theology, beginning with Karl Daub. Now Protestant theology is quite negative about the term “speculative.” This prejudice, on the other hand, may be the reason behind the fact that there is no research related to German speculative the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domestic theolog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roots of Hegel’s religious philosophy and its speculative philosophy at the beginning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objectively analyzes the original speculative philosophy and its related speculative theolog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inite reason and religious consciousness actively advocating the theological ethics and speculative theology of Rothe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expressed as a practical moral force.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the essence of theological thought is and how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philosophical speculative through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we will examine how Christian theology can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based on morality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anthropology, creation, sin, and social ethics.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theoretical clues that can solve the current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s well as identify the major contents of the speculative theology that formed the major schools of German Protestant the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what critical issues of speculative philosophy and theology were exposed at the time and what problems were exposed in the theological debat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God’s revelation and the Holy Spirit’s work involved in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by faith will ultimately reveal that it is not only a process of moral mentalization but also a process of ethical transformation of society and state. 리하르트 로테의 신학은 기독교 믿음과 지성, 철학과 신학이 서로 학문적으로 배타적인 대립 관계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제시했다. 그의 신학은 칼 다웁으로부터 시작한 사변적 신학의 영향 아래 자신의 주저인 “신학적 윤리”를 통해 전개되었다. 현재 개신교 신학은 사변적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편견은 한편으로 국내 신학에서 19세기 독일의 사변적 신학에관련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비롯된 이유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19세기 초 헤겔의 종교철학과 그 사변적 철학의 뿌리를 고찰하여 본래적인 사변적철학과 그와 연관된 사변적 신학이 주장했던 내용을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변적 신학과 로테의 신학 윤리에서 적극적으로 주장한 인간의 유한한 사유와종교적 의식이 어떻게 상호 간에 결합되고 실천적인 도덕적 힘으로 표출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사변이란 일반적 의미에서 추상적이고 현실세계와 전혀 관계없는 하나의 이념, 이론적 지식이 아님을 밝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 연구 과제를 통해 19세기 독일 개신교 신학에서 중요한 학파를 형성한 사변적 신학의 주요한 내용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교회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적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당시에 사변적철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논점이 무엇이며, 그 신학적 논쟁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믿음에 의한 칭의와 중생, 성화의 과정에서 개입한 하나님의 계시와 성령의 역사는 신앙인 개인의도덕적 정신화의 과정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의 윤리적 변혁의 과정이라는 사실을 밝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Jonathan Edwards’s Theological Anthropology: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John Calvin

        김도훈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Jonathan Edwards developed his distinctive theological ideas on human being while following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the direct comparison between Calvin and Edwards. Edwards’s original concept of “disposition” is the basis of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Edwards, the human being is a “dispositional” being. The human being created in the image of God receives from God a “holy disposition,” which reflects not only God’s ontological divinity and holiness, but also God’s will and understanding. Corruption, for Edwards, is loss of this holy disposition, whereas regeneration is its recovery. The regenerate who newly receive a holy disposition should live a sanctified life, as a visible sign of regeneration in their life. While Edwards adopts Calvin’s understanding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that is, as a gradual and lifelong process—Edwards also uniquely demonstrates his own ideas on regeneration as an “immediate” phenomenon through which he implicitly emphasizes sanctification more than Calvin does. In this sense, Edwards’s anthropology is more intimately related to ethical values than Calvin’s.

      • KCI등재

        Bible Translation between Anthropology and Theology

        Andrei S. Denitsky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14 성경원문연구 Vol.- No.34

        This paper gives a brief overview of this new trend, based on the author’s twenty years of experience in this field in Russia and neighbouring countries, first as a Bible translator and editor with the Bible society, then as a translation consultant with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in Moscow, Russia. The area of Biblical studies used to be dominated by theology, but theology lost its central importance in the latter 20th century, replaced by linguistics, anthropology and other humanities disciplines. However, theology is slowly regaining its former importance under new circumstances and in a new way. This shift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name of Eugene Nida and his colleagues who developed a profound theoretical foundation and a set of elaborate methodologies for Bible translators. Those changes eventually led to the appearance of some newer approaches, the two most prominent being relevance and functionalist theories. This tendency is yet more visible with the skopos or functionalist theory, initially proposed by K. Reiß and H. Vermeer, later developed and made globally known by C. Nord. New approaches are appearing, some trying to domesticate the text as much as possible, others on the contrary, insisting on radical foreignisation of the Bible. The principle of iconicity that S. Crisp promotes can however give some room for translation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meaning-based’ ones while avoiding the naivity of so-called essential literalness. Anthropology takes an important place in translational studies but theology mostly remains an uncharted area, so creating some sort of an ‘iconic theology’ of translation may help to correct this imbalance. The current problems of Bible translation have some clearly theological components so they should be studied, discussed and dealt with accordingly. To sum up, we are facing a situation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one that was present in the “missionary era”, so theologians and anthropologists should become friends if they want to be successful as Bible translators.

      • KCI등재

        「영산신학저널」에서 바라본 영산신학의 내적 기조

        이신형(Shin Hy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4 No.-

        The Journal of Youngsan Theology is comprised of 151 articles that focus on a single individual’s religious ideologies. That individual is a pastor named Younggi Cho. The Journal has only one purpose to apologize for youngsan’s religious tenets. The interpreters of youngsan’s theology argue that youngsan theology is a God-centered theology, rather than human-centered. The interpreters of youngsan theology have endeavored to relate youngsan’s religious idea to reformatio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heology. To them, youngsan’s religious idea contains the elements that verify the sovereignty of God over the human need to search for him. As a result, they take youngsan’s religious ideas to prominent reformation figures such as Luther, Calvin, and most relevant contemporary thinkers such as Kierkegaard, Tillich, Pannenberg, and even Gardamer. In doing so, they persuade readers to accept youngsan’s theology as the relevant theology in relation to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heology. I agree with them on the grounds that youngsan theology has elements that pertain to God-centered theology. Indeed, Youngsan theology has roots from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is relevant to contemporary religious thinking. However, I disagree with their belief that the root of youngsan theology is mainstream reformation. Also, I do not see the relevance of youngsan theology for the contemporary theological situation lies in the mainline thinkers as they claim. I argue that the reformation roots of youngsan theology does not lie in the mainline reformers, but in Balthasar Hubmeier who initiated the anabaptist movement. It is my belief that the theology of Karl Heim is the source of the relevance of youngsan theology as the comtemporary circumstance. It is well known that Karl Heim applied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dimension concepts to the idea of God much like youngsan, which has unique concepts regarding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the fourth dimension. I will verify the reformation roots of youngsan’s theology and contemporary thinking based on youngsan’s unique ideas, which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 KCI등재

        인공지능과 기독교윤리: 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유경동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Looking on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diverse inquiries are raised on the iss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raditional theological human view, that human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becomes a premise for holistic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based on the Trinity.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from the Augustine or Luther’s interpretation traditions can only be recovered through God’s prevenient grace, and the hope for the kingdom of God that looks forward to the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is the essence of Christianity. The author will maintain such theological structure and examine the theorie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to arrange the following subjects from the Christian ethics’ point of view. The subjects ar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risis of theological humanity, idea of autonomy and ego in relation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tives of the science technology that research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ssue of deification in rel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ssues of moral statu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nclusion, theological tasks rela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proposed through the above topics from the Christian ethics’ point of view. With the engineering science in the lead, many researches can also be found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uch as theology and religions. The author expects that, in the same context, this research will play a role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theology.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하여 신학적 관점에서 제기되는 질문들은 다양하다. 특히 신학의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창조 개념이나 의식, 자율, 그리 고 도덕적 지위에 대한 주제들을 인공지능과 연관하여 흔히 볼 수 있다.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서 지음 받았다는 전통적인 신학적 인간관은 삼위일체에 근거하여 하 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전제한다. 어거스틴이나 루터의 전통에서 해석되는 인간의 전적인 타락은 오로지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을 통하여서만 회복될 수 있으며, 나 아가 부활과 영생을 고대하는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소망은 기독교 신학의 정수라 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을 통하여 제기되는 인공지능과 인간과 의 관계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하여 이제 신학도 대답하여야 할 처지에 놓였다고 본다. 필자는 위와 같은 신학적 틀을 유지하면서 인공지능과 연관하여 제기되는 영어 권 이론들을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정리하 고자 한다. 그 내용은 각각 인공지능과 신학적 인간성의 위기, 인공지능과 연관된 자율과 자아의 개념,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기술의 동기, 인공지능에 관한 신격 화의 문제, 그리고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의 문제 등이다. 결론에서는 위와 같은 논지를 통하여 인공지능과 연관된 신학적 과제들을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제언하고자 한다.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공학을 선두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 문학의 종교와 신학 분야에서도 여러 논문들을 찾아볼 수 있다. 필자의 이 연구는 같은 맥락에서 기독교 신학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분야와 간학문적 소통의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유윤권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2

        This article explores Rahner’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with a special focus on his conception of “spiritual subjectivity.” This exploration proceeds in three phases. The first involves the examination of how Rahner could sublate the modern, particularly Kantian, idea of the transcendental method into hi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second concerns the main argument, that Rahner’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is characterized by his rich notion of “spirituality” of the human subject that includes the three moments of transcendence, freedom, and historicity in their dialectical relations. That is, Rahnerian spiritual subjectivity is a priori transcending, free, and historical movement toward the absolute universality of God as the holy mystery. And the third deals with my brief remarks on the relevance of Rahnerian spiritual subjectivit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globalization, particularly the postmodern context of the death of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