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훼손 수목 이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문윤정 ( Yoonjung Moon ),박홍준 ( Hongjun Park ),차재규 ( Jaegyu Cha ),나진주 ( Jinjoo Na ),이선미 ( Seonmi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6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으로 훼손되는 수목의 약 10%를 이식 또는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식 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20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협의기관, 검토기관, 사업자·대행자 그룹별 각각 36명, 44명, 83명(총 163명)이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개발사업으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므로 개발 부담금이 증가하더라도 훼손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문제점은 고사율이었다. 고사 시 대체 방안으로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수종과 수량을 식재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고사율을 줄이기 위해 이식 수목은 크기가 작은 것을 이식하고, 이식 수종은 식재종과 조경 수종을 포함하여 확대시키고, 이식 수목량은 자생 수목량 대비 이식 비율을 산정하자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훼손 수목의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About 10% of trees damaged by the development projects are to be transplanted when conduc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owever,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during transplantation. In this study, we confirm the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that occur during transplant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25, 2020. Among the stakeholder groups, 36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consulting institute group, 44 from the review institute group, and 83 from the developer·agency group (total of 163). All three groups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transplant some of the damaged trees even if the development charge increased because the damage caused by the development project was seriou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high mortality’. The response rate was high that all three groups should plant the same species with the same quantity as an alternative method in case of withering. In order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small-sized trees were transplanted and transplanted trees were expanded to include planted species and landscape trees. In addition, the number of transplanted trees was high in response to calculating the transplant ratio to the number of native tree damage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allocate a separate manager was also high.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problems that occur during transplantation of damaged trees.

      • KCI등재

        이식수목의 현황 평가를 위한 위성영상 기반 원격탐사 식생지수 적용 연구

        최미나,이도훈,장문정,김동주,이선미,문윤정,권용성 한국환경생물학회 202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1 No.1

        Forest destruction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development process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ver 10% of the destroyed trees need to be recycled and transplanted to minimize the impact of forest destruction. However, the rate of successful transplantation is low, leading to a high rate of tree death. This is attributable to a lack of consideration for environmental factors when choosing a temporary site for transplantation and inadequate management. To monitor transplanted trees, a field survey is essential; however, the spatio-temporal aspect is limited.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remote sensing for the effective monitoring of transplanted trees. Vegetation indices based on satellite remote sensing were derived to detect time-series changes in the status of the transplanted trees at three temporary transplantation sites. The mortality rate and vitality of transplanted trees before and after the transplant have a similar tendency to the changes in the vegetation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vegetation indices increased after transplantation of trees and decreased as the death rate increased and vitality decreased over tim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assessing newly transplanted trees using satellite images. The approach of utilizing satellite photos and the vegetation index is expected to detect changes in trees that have been transplanted across the country and help to manage tree transplantation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우리나라는 산림이 64%에 이르기 때문에 개발사업에 의한 산림훼손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환경영향평가 제도에서는 훼손되는 수목량의 10%를 재활용 및 이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적 요건이 고려되지 않아 이식성공률이 저조하고 가이식장 운영이 잘 되지 않아 수목이 고사하는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가 필수적이나 시간 및 공간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반의 식생지수를 적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식수목 현황의 시계열적 변화를 탐지하고 원격탐사의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을 분석하여 가이식장 면적을 구축하고 이식 전, 후 식생지수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여 식생 상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현장조사를 통한 이식수목의 고사율 및 활력도와 위성영상 기반으로 한 가이식 전 후의 식생지수 변화 분석의 결과가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가이식장에 수목 이식 후에는 가이식장 범위의 녹색 식물의 상대적 분포량과 활동성이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목 고사 및 활력도 감소로 인해 낮아지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성영상에 기반한 이식수목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량적인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법인 위성영상과 식생지수를 활용하여 보다 전국에 분포한 이식수목의 변화를 탐지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시행되는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수목 이식이 제대로 수행되고 산림 파괴에 효과적인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에서 정식방법이 파프리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초희,이창희,권오열,안철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3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planting methods on the growth and yield ofpaprika (Capsicumannuum L. ‘Veyron’ and ‘Coletti’) in coir culture during two seasons. The summer type sowed inlate winter and harvested from summer and the winter type sowed in summer and harvested from early winter. Controlplants grown on the 10cm rockwool block were transplanted on coir slab when the 8 leaves of seedlings were emerged,while plants of the young seedling transplanting(YST) grown on the 7cm rockwool block was put on the slab at time of2-3 leaves developed. Plants of the temporary transplanting(TT) on the 10cm rockwool block were moved on the slabafter 2-3 weeks underpinning cultivation, while plants of the blockless transplanting(BT) were directly transplanted inthe slab when the seedlings have 2-3 leaves emerged. The plant height of the control and BT treatment were longerwhile that of TT showed the shortest among treatments. The bigger leaf size was observed in the YST and BT treatment. Leaf number of the BT treatment was increased, while that of TT was the low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fruit size, locules and thickness among treatments. The lower fruit weight was observed in the TT of the winter cultureand fruits in the control and YST of the summer culture showed higher fruit weight. The percentage of marketable fruitappeared to be slightly higher in the winter culture than in the summer cultur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ketablefruit rate among the treatments of the winter culture but, among the summer culture, the highest marketable fruit ratewas observed in the BT with 93%. The yield of the YST and BT was higher and that of the TT was the lowest. 파프리카 정식방법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늦은 겨울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는 여름재배와 여름에 파종하여 초겨울부터 수확하는 겨울재배의두 재배작형을 시험하였다. 대조구는 10cm 암면블록에서본엽이 8매정도 전개되었을 때 정식하였고, 어린묘 정식은7cm 블록에서 본엽 2-3매에 정식하였다. 가정식 후 정식처리는 10cm 암면블록에 이식한 묘를 재배용 배지 위의받침대 위에 올려 본엽이 8매가 전개되도록 2-3주 동안육묘한 뒤 정식하였고,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는 본엽 2-3매 묘를 재배용 배지에 구멍을 내고 U자로 구부려정식하였다. 초장은 대조구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길었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짧았다. 잎 크기는 여름과 겨울재배 모두에서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정식 처리에서 컸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작았다. 엽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적었다. 과실크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지만, 평균과중은 겨울재배에서는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고,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낮았다. 상품과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가장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적었다. 상품률은 겨울재배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 정식처리가 높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무블록 배지 직접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 활착이 빨라 생육이 왕성하였고, 이로 인해 1그룹 수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암면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배지에직접 정식함으로써 암면 블록 비용 절감과 육묘에 드는노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 KCI등재

        훼손 수목의 이식을 위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과 개선 방안

        김혜수,김정호,문윤정,이선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2 환경영향평가 Vol.31 No.6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및 검토 매뉴얼에 따라 훼손되는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고 있다. 수목이 원래서식하고 있는 산림에서 가이식장과 최종 이식장으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고사하거나 생육이 불량한 등의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이식장과 최종 이식장의 토양 특성을 파악하여기존에 서식하던 산림 토양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식한 수목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선하는 방안을제시하는 것이다. 10개의 환경영향평가 사업을 대상으로, 원래의 서식지인 주변의 산림지역, 훼손수목의일부를 임시로 이식하고 있는 가이식장, 공사가 완료된 후 최종 이식을 하게 되는 공사장을 대표하는 지점에서 각각 2개씩, 총 60개의 토양을 샘플링하여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리적 특성 중에서 투수계수, 유효수분율, 경도, 화학적 특성 중에서 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에서 집단 간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장의 토양은 공사 장비로 인한 답압으로 주변의 산림보다 경도가 높고, 모래 함량이 많아 투수계수는 높으며 유효수분율은 낮아 식물이 필요한 토양 내 수분을 보유하지못하고 배수되는 양이 많다. 경도가 높은 토양의 공극량을 증가시키고 물리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운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함께 개선하기 위하여 토양 내 부숙된 유기물을첨가한 후 우드칩이나 낙엽으로 표면을 덮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원발 군날개절제술 후 영구양막이식술과 일시양막이식술의 비교

        김희준,이상범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9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recurrence rates, and recurrence-related risk factors of permanent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PAMT, group 1) and temporary amniotic membrane patch (TAMP, group 2) after excision of primary pterygium. Methods: Recurrence grades were evaluated for 66 eyes (T1, T2, and T3; 0, 32, and 34 eyes, respectively) in group 1 and 73 eyes (T1, T2, and T3; 2, 42, and 29 eyes, respectively) in group 2. Surgical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surgical success (G0 or G1), conjunctival recurrence (G2), and corneal recurrence (G3). Recurrence rates were analyzed based on gender, age, Tan’s preoperative grading system,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preoperative pterygium, the corneal involvement size of the preoperative pterygium, and epithelial healing time. Results: In the postoperative grading, 3 eyes (4.5%) and 1 eye (1.5%) in group 1, and 4 eyes (5.5%) and 2 eyes (2.7%) in group 2 were graded as clinically recurrence-occurred G2 and G3,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urrence-occurred G2 and G3 cas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62). No risk factors of clinically significant G2 and G3 recurrence were identified in either group by Cox proportional hazards survival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MT tends to lower the recurrence rate compared to TAMP because the PAMT group had more T3 eyes than the TAMP group, although the two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ly significant recurrence after pterygium exc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9):1236-124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