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도교적 생태자연학과 생활산림서류 문헌의 전개

        김일권(KIM Ilgw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8 No.-

        이 글은 도교적 삶의 한 방식으로서 생태자연학 관점이 조선시대 생활산림서류 문헌에 어떻게 수용되고 정착되어 갔는지를 살펴보고자 준비되었다. 우선 도교의 이상향이자 이상인간형인 선(仙)은 속세를 떠난 초월을 추구하지만, 그곳이 멀리 있지 않고 산림과 더불은 친자연적 삶 자체를 지향하고 있음을 피력하였다. 선(仙)이 산과 함께 사는 사람이라면, 속(俗)은 그 산들 사이의 골(골짝, 고을)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란 뜻을 갖는 것처럼, 속세(俗世)와 선세(仙世)의 선속불이(仙俗不二) 융합 관점이 도교적 생태자연학의 조망(perspective) 속에 강하게 배태되어 있다. 『도덕경』 6장에서 “곡신(谷神)은 불사(不死)한다”면서 골의 신이야말로 모든 천지의 뿌리로서 영원히 존속한다라는 도교적 친속관(親俗觀)은 산악지형이 2/3를 넘는 한반도의 생태지형에 더욱 착근된 세계관이다. 이러한 한반도적 생태자연관의 지식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한 저작물로 조선 중기 실학자 홍만선(1643-1715)의 『산림경제(山林經濟)』(4권 4책, 1715)를 단연 꼽을 수가 있고, 본 논문에서는 이 책이 자연의 산림에 거처하면서 사람의 일용생활에 관계되는 제반 생활지식을 수급할 목적으로 편찬된 것임을 드러내면서, 그 실용성과 체계성으로 인하여 조선후기 가장 넓게 읽힌 의식주 생활지식서로 주목된 저작물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그 저작 배경에는 조선중기 단학도교적 세계관이 짙게 깔려있고, 예컨대 제2편 「섭생문」의 항목 구성은 모두가 도교적 수양법과 심신수련법 관련 내용들이어서, 성리학 중심의 조선 유교 일변도 사회에서 건강한 삶의 구현은 도교적 실천에 있음을 피력한 것이라 더욱 주목되었다. 이 섭생의 실천을 통해 보양(保養), 각병(却病), 연년(延年), 일락(逸樂), 청복(淸福)의 무병장수가 실현될 것이라는 생활철학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교적 삶의 지향성을 담은 『산림경제』가 실상은 명나라 초기 도가양생 산림서 성격의 저작물인 주권(朱權, 1378-1448)의 『구선신은서(臞仙神隱書)』(2권 1책)를 가장 많은 인용빈도로 성립된 것임을 고찰하였고, 그러한 명나라 도교 산림서와의 지적 교류 면모가 어떠한 것인지를 『구선신은서』가 지닌 편목 분석과 『산림경제』에서의 인용상황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지적 교류는 도교 기반의 생태자연학 지식 그리고 일상생활과 은일(隱逸)이 분리되지 않는 산림(山林) 한정(閑情)의 신은(神隱) 세계관이 조선 중후기 사회에 널리 확산됨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allim (daily life) texts received and accepted the idea of eco-naturology as a form of Taoist liv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deals with seon (仙), Taoist utopia or ideal human, which usually pursues the realm of transcendence far beyond this world, also finds its place in sallim, the daily life in Nature. The Chinese letter 仙 is composed of human (人) and mountain (山) meaning the person who lives in the mountain. The letter sok (俗) is composed of human (人) and valley (谷) meaning the person who lives in the valley. In this respect the synthetic word seon-sok (Taoist utopia-valley) meaning the Taoist and the valley lifes to be one unity becomes central in Taoist perspective of eco-naturology. The Book of Tao says, “The valley god is immortal.” This god is the root of all the existence of heaven and earth. The valley-friendly view of Taoism became the basis of Korean world view derived from the eco-geographical condition of the peninsula of which two thirds is composed of mountains. In particular, Sallim geongje (Domestic Economy 1715) compiled by Hong Manseon (1643-1715) is the publication that signifies the establishment of the knowledge system of eco-naturology base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purpose of Hong’s compilation is to supply all the useful information for daily life in Nature. It emphasizes that this book of domestic economy, due to its practicality and organization, became the most broadly read book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rong influence of Danhak worldview of Taoism which spread during the mid Joseon period is also evident in Sallim geongje. The second chapter “Healthy Living” is entirely devoted to the articles of Taoist practice. Such attention to Taoist health methodology is noteworthy especially considering the society under Neo-Confucian domination. People aspired to the philosophy of healthy long life achieved by overcoming disease and obtaining vitality, longevity, relaxation, and enjoyment. Additionally Taoist-oriented Sallim geongje is largely formulated by the quotes from Guseon sineunseo (Book of Mystic Quietude by Guseon) written by the Taoist master Zhu Quan (1378-1448) of early Ming China. This paper thus explores the intellectual exchanges between the two sallim books by examining the quotes in Sallim geongje and the list of contents of Guseon sineunseo.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during the mid and late Joseon period such intellectual exchanges contributed to the propagation of Taoist based knowledge of eco-naturology. In doing that people developed the mystic world view of peace in Nature, in which daily life and meditative quietude are not separate.

      • KCI등재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김영심(Kim Young-Shim)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본고에서는 문헌을 통해 백제의 도교 성립 문제를 간단히 언급한 후, 물질자료를 중심으로 백제의 도교문화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도교와 관련되는 새로운 자료인 苑池유적, 醫藥, 목간자료 등을 분석하고, 무령왕릉, 금동대향로에 대해서도 새롭게 해석을 해보았다. 백제의 宮苑은 연못을 만들고, 三山의 형상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중국의 도교적 정원과 맥락이 닿는다. 궁궐의 원지유적 이외에 귀족의 苑池유적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백제에서는 도교의 치병?양생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本草學이 발달하였고, 단약의 제조도 이루어졌다. 일부 귀족 사이에서 ‘五石’이 복용될 가능성은 있으나 광범위한 현상은 아니었다. 부여 능산리나 나주 복암리 출토 목간 중에는 도교의례나 음양오행과 관련된 것도 보인다. 買地券, 鎭墓獸, 銅鏡을 중심으로 한 무령왕릉 출토 유물은 ?邪만이 아니라 昇仙을 위한 장치였다. 금동대향로도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이룬 세계, 자연과 하나된 신선의 세계에 대한 지향이 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백제 도교의 성립 문제가 더욱 분명해지게 되었으며, 백제 도교문화의 특징까지 일별할 수 있게 되었다. 苑池유적이나 本草學 등은 한성 시기부터 나타나지만, 한성시기에는 도교적 요소가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웅진?사비시기를 거치면서 무령왕릉이나 금동대향로에서 보듯이 도교적 세계관이 명확히 드러나게 되었다. This paper briefly over-viewed the establishment of the Taoism in Baekje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ture, and examined the Taoist culture in Baekje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physical materials. This paper reviewed the new evidences for the Taoism of Baekje such as the relics associated with the palace gardens and ponds, herbal medicines, and wooden tablets. This paper also tried a new interpretation on the evidences for the existence of Taoist culture in Baekje such as the tomb of King Muryeong, the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In the palace of Baekje were artificially constructed gardens. The palace garden was decorated with strange rocks and bizarre stones, strange birds and flowers were raised. Even the Taoist’s three mountains were realized in this garden. These facts showed us that the palace gardens and ponds of the Baekje were connected with China’s Taoist garden. On the other hand, in Baekje, a pharmacology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Taoist treatment of diseases and lengthening of life was advanced, and the elixir of life was manufactured. Some aristocrats may have used the elixir of life, and it was not a widespread phenomenon. On the ruins of Neungsan-ri temple in Buyeo and Bokam-ri in Naju, a few of wooden tablet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Taoist ritual and Yin-Yang Five Elements were discovered. Artifacts such as land purchase record, guarding animal in tomb, bronze mirror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Muryeong were the devices for avoiding the bad things as well as the devices to become a Taoist hermit. The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was made to express the aim for the world harmonized with the order of the universe. Judging from the above evidences, this paper can clarified the ques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aoism more clearly, and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Taoist culture in Baekje.

      • KCI등재

        당오대(唐五代) 문인사(文人詞)에 나타난 여관(女冠)의 이미지 -≪화간집(花間集)≫을 중심으로

        김영미 ( Young Mi Kim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본고에서는 도교의 여도사인 女冠이 文人詞에서 어떤 이미지로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 최초의 文人詞集인 ≪花間集≫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女冠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그 대강을 파악해보고자 했다. ≪花間集≫은 晩唐五代18명의 詞人의 작품 500수를 수록하고 있으며, 晩唐五代詞의 艶情적인 풍격을 그대로 드러내주고 있는 작품집이다. 따라서 도교라고 하는 종교의 신비한 색채를 띠고 있는 인물인 女冠이 艶情적인 풍격을 갖고 있는 ≪花間集≫에 어떤 이미지로 그려졌는지 고찰함으로써 문학적인 측면과 종교적인 측면에서의 女冠의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했다. ≪花間集≫에 보이는 女冠의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는데, 하나는 득도하여 신선이 되려는 수도자로서의 이미지이고, 또 다른 하나는 속세의 사랑을 잊지 못하고 님을 기다리는 여성으로 그 화려한 모습 등은 기녀와 비슷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수도자로서의 신비로운 모습과 함께 한 남성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평범한 여성의 모습을 갖고 있던 女冠은 문인들 창작의 주요 제재가 되었다. 문인들은 득도하여 신선이 되기 위해 수도자로서 본분에 충실한 女冠의 모습을 그대로 묘사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하늘의 선녀로 여관을 지칭하면서 劉晨이 나 阮肇가 天台山의 선녀를 만나 혼인을 한 고사를 빗대어 이들의 사랑이야기를 표현하기도 했다. 도교에 입문했으나 세속적인 감정을 떨쳐버리지 못했던 女冠과 종교를 통해 마음의 안위를 찾고자 했던 문인은 자연스럽게 서로 교류하게 되었고, 문인은 女冠의 삶과 사랑을 작품에 그려 넣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락의 도구였던 詞라고 하는 장르에 종교라는 신비로운 색채를 가진 女冠의 모습이 어떻게 표현되었는가에 주목하면서 나아가 종교를 세속화시킨 장본인이지만 문화의 교량이 되기도 했던 女冠의 이미지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the female Taoist image about Tang and Five Dynasties Literati lyrics, focus on Hua Jian Ji. Five hundred Ci of eighteen poets were included in a Hua Jian Ji that was called erotic style. A image of the female Taoist has two, one is the enlightenment as Gods, one is waiting for her lover like prostitutes. Tang poetry and the Taoism relationship have studied a lot of time, while the lyrics and the Taoism relationship have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Tang dynasty,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existed together, but the fact Taoism more developed. Preferential policies for Taoism, many women became the female Taoist. A lot of female Taoist advanced into the society, in the development of Taoism of Tang dynasty became a notable phenomenon. The female Taoist in free of social status associated with the literati naturally. The female Taoist became a unique subject matter of the Literati lyrics, appeared for different image in the Lyrics of the literati. In addition, the romantic sentiments of Taoism created the beautiful colors and style in the works of the lyrics of the Tang and Five dynasties.

      • KCI등재

        论道家和道教的公益慈善伦理思想

        彭柏林(Peng, Bo-Lin),??洙(Jang, Yun-Su)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중국사상사에서 볼 때 도가와 도교는 구분할만한 충분한 특징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公益慈善의 윤리관에서는 양자를 혼용해도 무방할 만큼 유사한 면을 지닌다. 우선 도가는 道를 존중하고 德을 귀히 여기는 데서 출발한다. 도가에서는 남는 것을 덜어내고 부족한 것을 메워주라고 하며, 자선활동을 體道와 入道의 중요한 길로 간주한다. 그리고 도교의 공익자선 윤리사상도 도가의 기본 이념과 유사하다. 도교에서는 천하의 재물이 곧 모든 사람들에게 속한 것이라고 본다. 그래서 가난한 자들을 돕고 급한 사정에 처한 자를 구제하는 데에 재물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도교에서는 선한 일을 하면 선한 報應을 받고, 악한 일을 하면 악한 보응을 받게 된다는 신념이 있으며, 선을 쌓고 덕을 행하는 것이 행실을 닦고 신선이 되는 중요한 길이이라고 보았다. 이것들은 모두 태평사회의 이상이다. 중국 역사상에 있어서 도가와 도교의 공익자선 윤리사상은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선을 행하고 덕을 쌓으라고 하는 도가와 도교의 이념을 비판적으로 잘 계승하고 발전시켜나간다면 오늘날에도 충분한 현실적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Taoist schools insist “(So Heaven) diminishes where there is superabundance, and supplements where is deficiency”(?有余而?不足), and calls for ‘Gongfu’ of understanding Dao to “decrease daily for the pursuit of Dao”(?道日?), regarding the charity activities as the important approach to understanding Dao and became a Taoist. The beliefs regarding public charity ethics of Taoist schools and Taoism broadly include: that property in the world belongs to everyone, so it should be used to support the poor and help others in case of emergency; that if we do well, we will be well; that if we do evil, we will become evil; that performing goodness is an important approach to Taoist practices and immortality; that the social ideal is peace making. Because the beliefs of the public charity ethics of Taoist schools and Taoism possess very important real meaning, which critically carries forward the ideal of performing goodness of Taoist school and Taoism, it has deep influences in history.

      • KCI등재

        고대(古代) 일본(日本)의 도교문화(道敎文化)와 백제(百濟)

        김영심 ( Kim Youngsh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7

        본 논고에서는 일본에 道敎를 전해준 것으로 알려진 백제와 비교하면서 고대 일본의 도교문화를 검토해보고자 했다. 백제와 고대 일본에서 道敎가 종교로서 기능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유물·유적 속에 남아 있는 道敎文化와 道敎的 信仰 및 儀禮, 習俗 등은 종교로서의 도교를 상정하지 않고서는 이해가 곤란하다. 본고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 도교가 전해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백제로부터의 전래가 전적이지는 않았을지라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했다. 백제로부터 醫博士·採藥師, 易博士, 呪禁師 등이 들어오기 시작한 6세기 중 후반부터 8세기 전반까지는 도교적 요소가 일본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天武天皇의 행적은 단지 神祇제도나 불교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長屋王의 變이후 율령국가체제에서 도교를 배척하는 정책이 취해지면서 점차 위축되어갔지만, 8세기대까지도 左道 내지 小道로서 영향력이 남아 있었다. 일본의 도교문화 또한 백제와 유사한 범주의 도교적 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나, 그 특징 내지 드러난 양상은 사뭇 달랐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呪術文化로서 오하라에[大?]와 같은 의례가 국가적 차원에서 행해졌다는 것과 天文과 결합한 주술문화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陰陽道가 탄생한 점 등이다. 呪術木簡이나 人形이 많이 발견된 점도 특징적인데, 향후 백제지역의 발굴에서도 유사한 자료가 나올지 주목해볼 문제이다. 도교문화는 神祇信仰또는 가미신앙과도, 또 불교와도 공존하면서 고대 일본인의 사유체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불교가 융성해짐에 따라 도교적 요소는 密敎나 修驗道, 陰陽道, 神道 등에 흡수되거나, 민간습속의 형태로 남게 되었지만, 변용된 모습으로나마 그 명맥은 계속 이어졌다. 특히 도교의 呪術文化는 여러 사상체계나 종교에 흡수되어 들어가면서 오늘날까지도 일본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Taoist culture of ancient Japa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at of Baekje. Though the Taoism in Baekje and ancient Japan may not be categorized as religion, the evidences such as ruins and relics which showed Taoist culture and faith, rituals, and folkway made us to guess the existence of Taoism as a religion. This study showed that Baekje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aoist Culture in Japan through the review of acquaintance with Taoism. From the middle and late part of 6th century to earlypart of 8th century, in which Taoism started to flow into Japan from Baekje in the shape of medical expert(醫博士) expert in taking herbal medicine(採藥師), specialist in the science of divination(易博士), incantation magician(呪禁師), Taoism might made a conspicuous effects on the Japanese society. A lot of events Tenmu Tenno(天武天皇) initiated, however not being understood under the tradition of Jingi(神祇) system or Buddhism, can be regarded as evidences for supporting the prevalence of Taois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revolt of King Nagaya(長屋), as the Japan adopted the statue system for governing state, Taoism started to reduce its degree of influences, we can find the still remaining influences on Japanese society until 8th century as wrong way(左道) or byway(小道). Though the Taoism in Japan has common features with Baekje, there were their own characteristics or appearances. The most conspicuous features of Japanese Taoism was the incantation culture. Representative cases might include rituals such as Oharai[大?] sponsored by state, and also the establishment of Onmyoudo(陰陽道) which set the high value on the incantation combined with astronomy. Another feature of Japanese Taoism can be found in the excavation of many wooden tablets for incantation and puppet. If some similar artifacts in the area of Baekje can be excavated, those can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oism in Japan and Baekje. Taoist culture in Japan coexisted with belief in gods(神祇信仰) and Buddhism, and exerted great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s the Buddhism became prevalent in Japan, Taoism was absorbed by Esoteric Buddhism(密敎), Onmyoudo(陰陽道), Shugendo(修驗道), and Shinto(神道) with the remnants in the people's convention. However, Taoism's thread of existence continued in the culture of Japan. Up to now, Taoist's incantation culture has sustained their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nd religions, and has conveyed great implication on everyday lives of Japanese people.

      • KCI등재

        도가철학의 배려, 관용의 윤리

        김현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s of Taoist philosophy through the virtue of care and tolerance. Gilligan's ethics of care values femininity as a care orientation represented by interconnectedness, interdependence, no harm, and harmonious relationships. Lao-tzu also values femininity and careful love, which is to unite the world and his own body. Noddings regards ‘care’ as the ultimate reality of life and values its natural response as "natural care." According to her, care works with Heidegger's ‘sorge’ and its core meaning. Taoist philosophy also emphasizes wholeness and interconnectedness, this is because they pursued a way of life that kept everyone intact. Fromm argues that academic Taoist or religious Taoism has reached tolerance for others who differ in thought and opinion. Tolerance is a generous embrace and a virtue of not excluding or arguing, and the virtue of tolerance in Taoist philosophy i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virtue of not arguing and also associated with humility. Taoist's tolerance is not only a virtue of not arguing, but also an extremely generous embrace that does not rule out, which means supreme and infinite embrace. 본 논문의 목적은 도가철학의 윤리를 배려, 관용의 덕을 통해 탐구하는 데 있다. 길리건의 배려윤리는 상호연결성, 상호의존성, 해롭게 하지 않음, 조화로운 관계로 대표되는 배려 지향성으로서 여성성을 중시한다. 노자 또한 여성성을 중시하며 천하를 자신의 몸으로 삼는 ‘아낌[愛]’을 중시한다. 나딩스는 하이데거의 ‘sorge’와 핵심적 의미가 서로 통하는 ‘배려[care]’를 궁극적 삶의 실재로 여기며 그 자연스러운 반응을 ‘자연적 배려’로서 중시한다. 도가철학 또한 전체성, 상호연결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자신과 타인을 온존시키고 살게 만드는 길에 다가서고자 했기 때문이다. 프롬은 사상·의견을 달리 하는 다른 사람에 대해 학파적 도가 혹은 종교적 도교가 그들과 다투지 않는 관용의 태도에 이르렀음을 주장한다. ‘관용’은 관대한 포용이자 배제하거나 다투지 않는 덕으로, 도가철학에서 관용의 덕은 특히 다투지 않는 덕과 연관되고 겸하와도 연관된다. 도가의 관용은 다투지 않는 덕일 뿐만 아니라, 배제하지 않는 관대한 포용으로 최고의 포용이자 무한한 포용을 의미한다.

      • KCI등재

        『장자』「양생주」의 양생사상 고찰 -"포정해우"에 대한 도교적 해석을 중심으로-

        정병현 ( Byeong Hyun J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2 No.-

        본 연구는 『장자』의 「양생주」가 함의하고 있는 양생사상을 고찰 하고 도교 ‘호흡법’을 통하여 ‘포정해우’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양생주」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가 ‘포정해우’ 부분의 함의를 이전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이며, 세 번째가 ‘지궁어위신’이 함의 하고 있는 ‘장자의 장생사상’에 대하여 그간에 연구들이 밝히고 있는 쟁점들을 분석하여 「양생주」 결론에 부합하는 해석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장자철학사상인 도, 자연ㆍ무용ㆍ무위가 「양생주」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양생주의 각 장이 서로 어떤 연계성을 띠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 논문은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장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과 도교와 장자를 중심으로 고대 중국의 장생사상과 양생법을 개괄하고, 본론인 Ⅱ장에서는 ‘포정해우’ 전체 문장을 8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을 도교의 ‘호흡법’으로 해석하여 다소 불합리한 것같이 보이는 표현부분들이 합리적 표현임을 밝힌다. 그리고 ‘지궁어위신(指窮於爲薪)’의 함의를 「양생주」결론에 적합하게 해석한다. 마지막 Ⅲ장은 결론으로 장자 양생사상과 철학 그리고 도교의 ‘호흡법’을 통한 포정해우의 해석은 전 「양생주」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종합하여 정리한다. This study is what interprets newly the meaning of ``The Chef Chung``s Cow Butchery 포丁解牛``through ``Taoist Breathing道敎呼吸``, which is included in ``Nourishing the Lord of Life 養生主`` of inner chapter of ZhuangZi and has investigated ``Nourishing Thought`` together. The goals of the study include three key points. The first point is what suggests some new opinions on ``Nourishing the Lord of Life``. The second point is what interprets newly the contents of which include on "The Chef Chung``s Cow Butchery". And The third point is what offers the interpretation conforming conclusion of ``Nourishing the Lord of Life 養生主``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for ``Although Teaching was ended with The Firewood 指窮於爲薪``. Also has investigated the state that the ZhuangZi`` philosophy such as Dao道, Nature自然, Doing Nothing無爲, Usefulness of Uselessness無用之用is reflected in ``Nourishing the Lord of life``. In addition, studies whether ``Nourishing the Lord of Life`` has any connection with each chapter .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chapters. At the Chapter Ⅰ introduction, outlines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thought of ``longevity of Taoist長生`` and ``nourishing of Life`` focused on the ancient Chinese Taoist and ZhuangZi. At chapter 2, which is Main discourse, ``The Chef Chung``s Cow Butchery`` is divided into 8 paragraph. And analyzes each paragraph by ``Taoist Breathing``, so shows that the somewhat irrational parts make sense. And has analyzed the``Although Teaching was ended with The Firewood 指窮於爲薪`` as the conclusion of the ``Nourishing the Lord of Life 養生主``. At final chapterⅢ, as conclusion, summarizes clearly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interpretation of ``The Chef Chung``s Cow Butchery`` through the ``Taoist Breathing`` and ``Nourishing the Lord of Life`` and his philosophy.

      • KCI등재

        도가 인성론(人性論)의 본질과 교육적 함의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이 글은 도가의 인성론이 지닌 본질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노자는 선진시대 사상가들의 입장과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인간 본성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지닌 성(性)에 대해 선(善)하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악(惡)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노자가 보기에 여기서 말하는 선과 악은 상대적인 개념에 불과하며, 도덕 윤리적 측면에서 내려진 정의들이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지닌 본연의 성(性)은 이러한 시각으로는 온전히 규명될 수 없으며, 선과 악을 초월한 도(道)의 경지에서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그는 영아(嬰兒)에 견주어 인성의 참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자의 사상을 계승한 장자 역시 도로부터 비롯된 인간 본연의 성은 순박하고 자연스러운 속성을 지니며 그것을 통해 외물에 구애됨이 없는 삶을 영위해 나갈 것을 강조하였다. 도가의 인성론에 대한 관점을 토대로 그것에 내재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두 번째 목표이다. 도가의 인성론에 대한 입장은 수양론에도 여실히 반영되었으며, 기존 사상가들이 강조한 것과는 사뭇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도가는 인성론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인간이 추구하는 것들이 진정한 가치를 지닌 것인지를 되돌아보게 하였다. 이러한 노장의 인성론은 맹목적인 삶, 감각적 쾌락을 일삼는 청소년들에게도 깊은 성찰을 불러오는 계기를 시사하고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is primarily aimed at examin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Taoist’s Theory of Human Nature. Laozi wanted to define the human nature problem from an angle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inkers in the Advanced era. In general, it is often claimed that Human Nature is good or evil. In the view of Laozi, good and evil are merely relative concepts and moral ethical definitions. According to him, human nature cannot be fully identified by these perspectives, but is recognizable only in terms of the degree that transcending good and evil. In particular, he wanted to present the true nature of humanity as compared to the infant. Zhuangzi, who succeeded the ideology of the Laozi, also believed that the human nature which derived from the Heaven’ will was considered to have a simple and natural instinct. The second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teaching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Taoist’s Theory of Human Nature. Taoist's position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has been reflected in training and education,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s emphasized by existing thinkers. Through the theory of personality, Taoist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a human being to live as a human being, he must regain his original form and reflect on whether the values sought by man are truly valuable. It is believed that the Human Nature Theory of Laozi and Zhuangzi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deeply on the blind life of today as well.

      •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상징과 생명사상

        김정은(Kim, Jung Eun)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본 연구는 조선시대 〈십장생도〉에 내재된 생명사상에 관한 고찰이다. 〈십장생도〉는 고려 말 궁중회화 가운데 세화로 그려졌던 그림으로 장수를 축원하는 길상적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도교의 생명사상을 수용한 불로장생의 염원을 추구하는 상징이 깊게 깔려 있다. 〈십장생도〉는 고대부터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구현하기 위한 불로장생의 복을 추구하는 사상과 결합하여 다양한 상징물 문양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문양은 조선시대 회화뿐만 아니라 궁중 복식 및 자수, 도자기 등에 이르기까지 상징적 이미지로 반영되었다. 한국적 특성을 다분히 지닌 조선시대 〈십장생도〉는 궁화와 민간 세화, 민화 방면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 화목이다. 〈일월오봉도〉, 〈요지연도〉등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궁화이기도 한 〈십장생도〉의 구성요소인 장생물은 한국인의 토속적인 자연숭배 사상과 신선사상을 대표로 하는 중국 도교의 생명사상과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있다. 근래 민화연구가들의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는 민화는 분류와 범주 개념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중심에 있는 〈십장생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연구는 민화의 유행에 따른 표면적 관심을 넘어 이면에 숨겨진 사상적 배경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십장생도〉의 배경을 이루는 장생물이나 신선도 계열의 사상적 연원과 십장생에 내재된 생명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욕망이 투영된 예술작품의 진정한 의미와 생명의 경외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십장생도〉에 내재된 불로장생의 소망은 현대에 와서도 방법은 다르지만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민족정신이 깊이 스민 〈십장생도〉의 내면에 담긴 불로장생의 신선사상으로 대표되는 도교적 생명사상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의 생명사상과 직결된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의 문제도 함께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about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十長生圖)〉 inherent in the thought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Dynasty,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as a painting of the palace of drawing periodic paintings. It was believed to signify the praying for longevity and it was based on the symbol of an eternal youth and longevity with the thought for life of Taoist. As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as combined with the thought of an eternal youth and longevity, it implied the primitive desire of human being from ancient days and it is the painting of good fortune which composed of several symbols that reflected its symbolic image of Paintings, Royal court dress, Embroidery and Pottery of Chosun Dynasty.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Chosun Dynasty has Korean characteristics and can b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type of paintings through several directions like the painting of the palace, civil periodic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Also,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an be represented by the Painting of the palace with 〈Sun, Moon and Five Peaks Painting(日月五峰圖)〉 and 〈Painting of Taoist immortals(神仙圖)〉 and one of the components. Longevity is naturally combined with Totemism of Korean and Thought for life of Chinese of representative of The immortality. Recently, most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folk paintings and its discussions symbolizes a concept of classification, category and so on. However, Study from a new perspective for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ccording to folk paintings in fashion exposes the ideological background beyond superficial concerns and provides a good platform of opportunity for the arousal of interest. Therefore, considering the longevity, background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ideological origin of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series and the thought for life of the longevity, we can understand the realistic meaning of human beings desire, projected works of art and awe for life clearly and on the whole. Nevertheless, due to the different methodologies between present and ancient and hope of eternal youth and longevity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painting can progressively move on. Considering the thought for life of Taoist with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representative of the immortalit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human being and natures coexistence can be thought about harmoniously.

      • 헤르만 헤세와 도가(道家)사상

        이인웅 한국헤세학회 2002 헤세연구 Vol.7 No.-

        Im Aufsatz Lieblingslektu¨re erinnert sich Hermann Hesse an seine unerwartete Begegnung mit "dem chinesisch-taoistischen Ideal des Weisen und Guten", ohne das er gar nicht mehr zu leben wusste. Fu¨r den Dichter sind das Weisheitsbuch Tao te king von Laotse und die taoistischen Gleichnisse von Dschuang Dsi in der zwiten Ha¨lfte seines Lebens von u¨berragender Bedeutung geworden. Er nimmt daher des o¨fteren die Elemente des Taoismus in seinem philosophischen und religio¨sen Sinne in sein Werk auf. Das chinesische Wortzeichen "Tao" bedeutet urspru¨nglich "einen Wegbahnen" oder "gehen"; dann: die Bahn der Sterne, die der Jahreszeiten, der Tag-Nacht-Wechsel usw. Bei Konfuzianern bezeichnete es das richtige und seiner Bestimmung gema¨βe Verhalten des Menschen im moralischen Sinne. Bei Taoisten, von denen Hesse seinen Tao-Begriff u¨bernimmt, symbolisiert es aber das ewige Gesetz, das Urwesen, den sich in Natur- und Menschenleben a¨uβernden Weltgrund oder das absoulute Prinzip des Weltalls. Man hat versucht, das Zeichen mit "Logos", "Weg", "Wort", "Sinn", "Wahrheit", "Gott" u.a. zu u¨bersetzen, aber heute verwendet man gewo¨hnlich den Begriff in seiner chinesischen Lautwiedergabe: "Tao". Wie die Taoisten predigt Hesse ebenfalls den "Weg nach Innen", um das Wesen des Tao zu schauen und mit dem Tao, dem unfassbaren Urprinzip allen Seins, eins zu werden. Wer stets den Weg in sein eigenes Inneres geht, kann das Ich und das All als eine gtoβe Einheit erleben, alles als Tao erkennen und schlieβlich in seinem Leben das erfahrene Tao verwirklichen. Ein Mensch, der durch Erleuchtung und Intuition des eigenen Inneren mit dem Tao vereinigt und im dauernden Bestiz des Tao ist, gilt im Taoismus als vollkommen und weise. Im absoluten Einklang mit dem Tao, dem Welturgrund, findet der Vollendete eine groβe Einheit. In dieser ho¨chsten Einheit ist er nicht mehr an die Naturgesetze gebunden, sondern er bekommt die Gestze des Naturlaufs souvera¨n in die Hand und kann daher Wunder verrichten. Hermann Hesse las und besprach mit Lust und Liebe taoistische Bu¨cher und bescha¨ftigte sich eifrig mit dem religio¨sen und philosophischen Ideal des Taoismus. Dadurch wurde er mit den magischen Vorstellungen der alten vollendeten Weisen Ostasiens wohl vertraut und gestaltete sie weiterhin in seiner Dichtung. Der verirrte Bundesbruder H.H. in der Morgenlandfahrt sehnt sich nach Ru¨ckkehr zum taoistisch geheimnisvollen Bund und sucht nach jedem mo¨glichen Weg, der u¨berall und nirgends, immer und nimmer existiert. Endlich wird er von Leo, dem untersten idealen Diener und Obersten der Oberen des Bundes, zum geheimen Bund zuru¨ckgefu¨hrt. Man denkt bei Leo an die Eigenschaften des Tao. Im magischen Theater wandert Harry Haller im Steppenwolf wie ein vollendeter Taoist durch Raum und Zeit, durch Jenseits und Diesseits, trifft Mozart und Goethe, macht Jagd auf Automobile, schla¨ft mit seiner Freundin aus der Vergangenheit und einer still la¨chelnden Chinesin, spricht mit den Unsterblichen und will das ewige geheimnisvolle Lachen der Unsterblichen lernen. Im Kurzgefaβten Lebnslauf entzieht sich der Verfasser der welt des Ko¨rperlichen wie ein magisch-allfa¨higer Taoist, indem er in eine von ihm selbst an die Wand gemalte Eisenbahn einsteigt und, nach der Anweisung der chinesischen Magie, ins Gebirge, in die ewige Einheit, hineinfa¨hrt. Im Ma¨rchen Eine Traumfolge beschreibt Hesse das taoistische Erlebnis der All-Einheit, des vollkommen magischen Einsseins des Ich mit Gott und Welt. Auβerdem ha¨lt Hesse den ganz alten Goethe fu¨r einen taoistisch Vollendeten. In Goethe und Bettina stellt er an Goethe den taoistischen Vorgang des geheimnisvollen Entwerdens, der Selbstaufhebung und der wahren Selbsterkenntnis fest. In Dank an Goethe erscheint Goehte als ein vollendeter Meister der Harmonie und Synthese. Gerade im Diene, der vo¨lligen Hingabe an die u¨bernatu¨rliche Geistigkeit bringt er sich selbst zur Vollendung. In U¨ber Goethes Gedichte erwa¨hant Hesse wiederum, dass der taoistisch vollendete Mensche mit dem All, der Innen- und Auβenwelt in U¨bermenschlicher U¨bereinstimmung verkehrt. Im Werk H. Hesses kommen noch viele andere Fifuren vor, die in ihrem Charakter stark taoistisch gefa¨rbt sind. Schon der alte Neander im Haus der Tra¨ume tra¨gt wesentlich chinesiche Zu¨ge in sich. In seinem Alter haust er von der Welt weit entfernt, allein und einsam, friedlich-zufrieden wie ein einsiedlerischer Taoist. Vasudeva, der Lehrmeister am Fluss, und sein Schu¨ler Siddhartha in Siddhartha sind auch von ihrer Anlage her so ostasiatische Gestalten, dass wir sie als einen Zen-Meister und dessen Ju¨nger oder sogar als Taoisten charakterisieren. Im Glasperlenspiel erscheint die Haptgestalt Josef Knecht auch als demu¨tig Dieneder in seinem Wesen und zugleich als ho¨chster Repra¨sentant des kastalischen Ordens. Er will vollkommen werden. Er strebt nach der vollen Harmonie von Natur und Geist, vom Irdischen und U¨berirdischen, von Yin und Yang, ja nach einem Tao. Der Lehrer Knechts, der a¨ltere Bruder, ist ein innerlich wie a¨uβerlich zum Chinesen gewordener Mensch. In seiner Eremitage lebt er, "bald als Kaiz bela¨chelt, bald als eine Art Heiliger verehrt, mit sich und der Welt im Frienden, seine Tage mit Meditation [...] hinbringend". Er ist die Verko¨rperung eines taoistischen Weisen. Der alte Musikmeister ist ebenso eine erheblich orientalisierte Heiligengestalt. U¨ber seinem Leven steht beherrschend die vita contemplativa, und dadurch erlangt er die Erleuchtung, die Vollendugn. Kurz vor dem Tode lebt er als ein vollendeter Taoist ganz einig mit allem Seienden, ganz in der All-Einhe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