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陶渊明<咏贫士>中“守道”与“乐道”研究 — 以人物为中心

        汪翠 중국어문연구회 2023 中國語文論叢 Vol.- No.113

        Tao Yuanming’s Songs on the Poor embody his spirit of “peace and poverty” after his retirement. However, two different evaluations of “Stick to Tao” and “glad to Tao” appeared in the evaluation of Songs on the Poor. “Tao” in Songs on the Poor refers to Tao Yuanming’s life principles, then it is very important to clarify Tao Yuanming’s attitude to this criterion in the study of Tao Yuanming’s thoughts in Songs on the Poor. In Tao Yuanming’s poetry, the characters are a great feature, so the characters in Songs on the Poor are also the focu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words used to modify the characters in Songs on the Poor are als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atural” and “flat” styles of pottery poetry. However, the words used in Songs on the Poor are different from before.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characters spirit and the use of words in this group of poems, to explore the accuracy of “Stick to Tao” and “glad to Tao”. And he is committed to further clarifying the attribution of Tao Yuanming’s thoughts in Songs on the Poor.

      • KCI등재

        장자철학에서 ‘도’의 존재론적 지위

        윤천근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3

        The Tao is an important concept throughout the entire Chinese history of philosophy as well as in Taoism, the same can be said for for Confucianism. Chinese thought is not equipped with a structure of perfectly logical explanation, it is made up of words and actions with various arguments that are difficult to see as one in order to make conceptual consistency for the legitimate candidates that are important to put the at the center. This also goes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ao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 think that the meaning of Tao in Taoism and Confucianism have different centers of their concepts. The Tao of Taoism is more ontological, while in the case of Confucianism it has more features as a theory of action. In Confucianism, th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theory of mind will be based toward the act of the ‘great human’ following the Tao. In that point, Confucianism couldn't get from the human and the great man that which significantly expanded the human sense of self. The Tao of Taoism is concentrated on the ontology. Taoism split the world into two understandings: One is a world where the Tao is implemented as a whole, the other is a world where the Tao is non-implemented as a whole. In other words, which one person acts with intent, and the one person acts without any intent; these are the two contrasting views of the world in Taoism. The latter is the natural world. The former is the artificial world. The great man of Confucianism is placed in the artificial world. A great man of Taoism, named ‘DE_JONG_SA’大宗師, was a person trying to get the wisdom of the greatest limitlessly, he was only in the artificial world, absolutely not in the natural world. In the artificial world, the Tao can a guiding role through which people can realize the vanity of that knowledge of Tao. Throwing the Tao in the artificial world away he will cast away all artificial constraint, and will be led into the natural world, which everything is already implemented in Tao. Through a reversion to an ontological realm like this, although there is no knowledge, hope, or desire of the Tao he already exists in Tao. Already open to all areas that exist, but doesn’t feel anything of it, that’s the view of Tao in Taoism. ‘도’는 도가 뿐만 아니라 중국사상 전반에 걸쳐서 중요한 개념이다. 도가사상이나 유가사상의 경우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중국사상은 완벽하게 논리적 설명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모아지기 어려운 다양한 주장과 언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념적 정합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중심을 어디에 가져다 놓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개념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나는 유가와 도가가 전제하고 있는 도 개념의 중심영역은 서로 다르다고 생각한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인데 반하여 유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행위론적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나의 입장이다. 지식론, 심성론의 과정을 거쳐 성인의 행위의 도를 이루려는 것이 유가의 목표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유가는 인간, 대아로서의 위대한 인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이다. 도가는 세계를 둘로 나누어 이해한다. 도가 구현되는 세상, 도가 구현되지 않는 세상, 무위의 세상, 유위의 세상으로 나누는 것이다. 유위의 세상은 인간의 세상이다. 무위의 세상은 자연의 세상이다. 유위의 세상은 도를 소망하는 자, 도를 숭상하는 자, 도를 배우려는 자, 도를 지식하는 자, 도를 구현하려는 자 등이 놓이는 영역이다. 이런 영역 속에 유가의 성인도 놓여진다. 장자의 대종사가 만약 스스로의 큰 도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자이고, 스스로의 큰 도를 자랑삼는 자라면, 그런 대종사도 이 영역의 시민일 따름이라 하겠다. 유위의 영역에서 도를 알고, 선망하고, 추구하는 것이 갖는 의미는 결국 자신이 도의 세상 속에 놓여있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게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충분하다. 유위의 세상 속에서 그가 선망하는 도의 한계와 본질을 절절하게 자각한 존재는 그의 모든 지식과 의욕을 버리고, 자연존재 속으로 걸어 들어가게 된다. 그는 유위의 도를 가지고 이러한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니라 유위의 도를 버리고 무위의 도의 세상 속으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유위의 세계 속에는 도가 없다. 도에 대한 지식, 소망, 의욕이 있을 뿐이다. 유위의 존재가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무위의 존재로 환원되었을 때, 무위의 세계 속에도 도는 없다. ‘기-음양-만물’이 한 덩어리의 총체적 ‘존재의 망’ 속에 놓이는 무위의 자연 존재의 세계에서는 ‘똥 속에도 도가 있는’ 경지가 펼쳐지게 되므로, 특별히 도에 주목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朝鮮末 嶺南 知識人의 文에 대한 認識 -晩醒 朴致馥과 俛宇 郭鍾錫의 文學論爭을 중심으로-

        신승훈 한국한문학회 200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4

        The Dispute between ‘Gwan-Tao[貫道;Thread the Tao on a literature]’ and ‘Jae-Tao[載道;Load a literature with the Tao]’ happened by Gwak, Jong-Seok(郭鍾錫) between Park, Chi-Bok(朴致馥).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On the contrary, Park, Chi-Bok insisted on the theory of ‘Jae-Tao’. The superficial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viewpoint of literature. But the inside reason of this dispute is caused by their difference of thought that they had at the viewpoint of learning and practice. Park, Chi-Bok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Jae-Tao’. On the contrary, Gwak, Jong-Seok insisted on the theory of ‘Gwan-Tao’, that he had interpreted newly. Park, Chi-Bok compromised the ‘Tao-hak(道學)’ of Young-Nam(嶺南) between the ‘Shil-Hak(實學)’ of Geun-Gi(近畿). Gwak, Jong-Seok was thorough to the ‘Ju-Lee-Ron-Geok Lee-Hak(主理論的 理學)’. Park, Chi-Bok regarded Tao as the practice of Sung-Lee-Hak-Geok proposition(性理學的 命題). And he insisted that the literature should be the vehicle of Tao. Gwak, Jong-Seok regarded the literature(文) as the process of the pursuit of Tao. So he thought that the substance of Tao formed a perfect whole into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and the practical use of Tao responded to the whole things(萬事萬物). Therefore, the literature is the object for the pursuit of Tao(道) that passes through Illie[一理;the only one principle] with a perfect form in a whole. So this dispute is on the prolongation line of learning dispute. 곽종석과 박치복 사이의 貫道載道論爭은 논쟁을 촉발한 쪽이 곽종석이었고 거기에 대응했던 쪽이 박치복이었다. 그러므로 논쟁은 곽종석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논쟁은 문면의 이면에 흐르는 두 사람의 학문적 기반과 토대의 상이함에서 오는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박치복은 주희의 道本文末의 재도론에 입각하여, 道는 主敬의 涵養을 바탕으로 하여 格物·致知·誠意·正心의 절목을 실천하고, 그 속에서 優柔厭飫한 意思를 실제로 체험함이라 전제하고, 이러한 경지에 이른 이후에야 作文의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박치복에게 文은 道를 싣는 器일 뿐이며, 道는 性理에 밝음이며, 性理에 밝음은 主敬의 함양공부에 格致誠正의 조목의 실천과 優柔厭飫한 意思의 체험이 더해져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에게 文이란 성리학적 명제와 실천적 체험공부로써 재해석된 道를 싣는 器였다. 반면 곽종석은 文의 효용과 가치에 대해 긍정하며, 문학의 본질에 대해 문학작품이 단순히 한이 가의 내면세계를 알게 해 줄 뿐 아니라, 그 시대 정치의 治亂得失과 사회의 문화나 분위기를 알게 해주는 治윖 실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즉 조人論世와 移風易俗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야 진정한 문학이라고 본 것이다. 그리고 存養省察과 學問講究와 常行以謹과 凡事以理가 축적되어 부득이하여 말에 드러나고 자연스럽게 읊조릴 때 平澹하고 淳樸한 美感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文을 진정한 學問으로서의 道를 실천함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는 또 다른 求道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즉 곽종석의 貫道論은 성리학적 명제와 방법론으로 전일하게 재해석한 것이었다. 논쟁의 본질적인 의미는 곽종석이 박치복에게 ‘渾然한 一理’로써 萬事에 ‘泛應曲當’하라는 강력한 권유에서 찾을 수 있다. 비록 박치복이 재도론으로써 도와 문의 관계양상을 파악하여 道文一致를 말할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道와 文을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분되는 二物로 보는 것이니, 道의 본체인 ‘一理’로써 文을 꿴다고 하여야 박치복의 입론도 정합성을 가질 뿐 아니라 理學의 본연적 학문자세에도 부합된다는 자신의 주장을 권유한 것이다. 이는 主理論的 理學에 더욱 깊이 침잠했던 곽종석의 입장에서 영남의 理學과 근기의 實學을 절충하여 兼全하려는 박치복의 입장이 순수하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논쟁을 촉발하였음을 의미한다. 표면적으로는 문학에 관한 관점의 차이로 보이지만, 이면에는 자신들의 學問的 所從來에 기반을 둔 학문 방법론의 논쟁이었다. 또한 당대의 巨擘으로서 耳順에 가까운 나이까지 科業을 포기하지 않았던 박치복이 功令文에 능통했던 것에 대해 곽종석은 불만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조선 전기 화도시(和陶詩)의 전변(轉變)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This study reviewed how the poetry of Tao Yuanming were inherited in early Joseon,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sion, variation and reinterpretation. Among the He Tao shi, poems written to match Tao``s, written in early Joseon, we can find the influence of Jianzhu Tao Yuanming Ji(箋注陶淵明集 Works of Tao Yuanming with Annotation), Dongpo Xiansheng He Tao Shi(東坡先生和陶詩 Master Dongpo``s He Tao Shi) and The JIngkan Buzhu Dongpo Hetao Shihua(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 Elaborate Edition of Dongpo``s He Tao Shi with Supplementary Annotations). This means poets in early Joseon received Tao Yuanming mainly through Tang Han(湯漢)``s annotations and Su Shi(蘇軾)``s He Tao shi Despite the influence of Su Shi, He Tao shi in early Joseon have some unique aspects distinctive not only from the works before but also from the East Asian tradition of He Tao shi. Kim Shi-seup strongly expressed discontent at the society. Nam Hyoon and Kim Jong-jik inherited Tao``s poetry which Su didn``t match. Nam created variations upon Tao Yuanming``s Pseudo Elegy Triology(擬挽歌辭三首). Kim Jong-jik rewrote Depicting Wine(述酒). They utilized the canon as a tool to express their circumstances. Though the poets in early Joseon received Tao through Su, their attitudes were quite different. Three Joseon poets wrote He Tao shi around the same time. Kim Jong-jik wrote them during 1474-5, Kim Shi-seup during 1473-83, and Nam in 1486. Their mutual relationship brought about very unique recognitions and variations of the canon. And this is a very distinguishing phenomenon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and East Asia as well.

      • KCI등재

        노자 「도덕경」의 교육학적 함의

        이미종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爲學, wei hsüeh) and 'Doing-Tao'(爲道, wei tao) in Lao-tzu's Tao-te-ching. The nature of education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in accordance with two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 and Doing-Tao. The one is that Doing-Learning and Doing-Tao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other is they are different aspects of same activity. But first interpretation entails a serious problem. If Doing-Learning and Doing-Tao we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state of 'Non-Knowledge'(無知, wu chih), which is synonymous in Tao-te-ching to Tao, supposedly attained by Doing-Tao, would be opposed to the state of 'knowledge'(知, chih) attained by Doing-Learning. In this case, the state of Non-knowledge indicates mere ignorance or lack of knowledge, and Doing-Tao is nothing but pursuing the ignorance. To avoid this absurdity, we must interpret Tao as the 'logical cause' of Things. Tao constitutes the logical presupposition of Things, and is not manifested in itself but through Things. However, Things as manifestations of Tao can stand in relation to man only by being designated in words and formulated in knowledge. Thus learning knowledge is the only legitimate way to Tao. In other words, 'Doing-Learning' is nothing other than 'Doing-Tao'.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경」 48장 “위학일익 위도일손”(爲學日益 爲道日損)에 나오는 위학과 위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인간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위학과 위도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다. 하나는 양자를 별개의 활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양자를 동일한 활동의 상이한 측면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양자를 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존재라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파악된다. 양자를 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로 표현된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비록 성공하기 쉽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심성을 함양하는 데 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된다.

      • 나철 대종사의 고유의 도의 계승과 도학

        최윤수 국학연구소 2016 국학연구 Vol.20 No.-

        나철 정신의 핵심인 도(道)는 특정 용어가 아닌 일반적인 명사다. 그 리고 이러한 도의 가치는 『삼일신고』에 이미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나 철은 그의 저술 『신리대전』을 통해 『삼일신고』 삼신상종(三神三宗)의 도를 도학적(道學的) 입장에서 분명하게 설명해 주었다. 나철의 도는 단군 시대로부터 내려오는 것으로, 그는 그것을 근대에 들어 가장 옹 글게 상속받은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는 ‘국가가 망하게 된 시기에 도 를 지키면 재생할 것[國亡道存]’이라는 믿음으로 대종교를 다시 일으켰 다. 나철은 이러한 도, 즉 대종교의 가르침이 신성하게 보존 될 것이 라고 확신했다. 그가 내세운 도는 지고지선의 가치인 동시에, 그 가르 침 속에는 이미 세계의 모든 종교의 교리가 녹아있기 때문이었다. 나 철은 이러한 도의 깨달음을 통해, 순교할 때까지 수많은 종교적 영험 함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러한 정신은 일제강점기 흩어진 민심의 구심 점이 되는 동시에, 일제에 대한 총체적 저항의 동력으로도 작용했다. 나아가 나철이 드러낸 이와 같은 도의 가치가, 향후 또 다른 도학적 가치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더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Nahcheol inherited the legitimate line of descent of the Tao inherited from the Dangun period. In the age when the country is ruined, Nahcheol rebuilded Daejonggyo to preserve the province with the belief that one day it would survive if it kept its original Tao. He was convinced that Daejonggyo would be preserved under divine protection because its Tao is the first in the world and its doctrine contains those of all the religions of the world. He had spiritually exercised Tao until his martyrdom and succeeded it to his successors. He received many revelations in the performance of Tao and prayed to God to do miracles and to heal the sick. His martyrdom was also a practice of Tao, and his maintenance “Make my funeral very frugal” is worth being a religious. The martyrdom became the greatest means of resisting the severe religious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At the funeral and memorial service there were memorials from many patriotic governors, which played a role in unifying them. Tao philosophy is a study to study Tao. It is a general noun which is not a specific terminology. Its formal elements are religious order, scripture, doctrine, and norms and content elements are God (heaven for atheists), land, haman being, character and so on. As we reviewed,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Samilsingo. The highest preacher Nahcheol led the order according to the Tao of Samilsingo and on the other h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ao philosophy. After the Daejonggyo was lightened, the ceremony including the robbery was decided as the ordinance, which made it possible to do the doctrinal teaching. His ordinances show a great Tao which embraces other religions. In addition, he himself wrote SinliDaejeon, which explicitly explained the three pillars of the Samilsingo and the three Gods in one. By studying his ways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his life while living true and righteous lives, and think about what his meaning is in our day. It would also be meaningful to compare his Tao with the Taos that were explained through a variety of lectures served by concurrent people. The doctrines of new religions bulit in the end peoriod of Joseon dynasty were founded on Korean traditional religion because their founders established religion by continuing to cultivate the doctrine in the tradition of inheritance in the absence of the religions. I hope that the dialogue between religions will be more active because it is possible that all new religions have the possibility of going back to one Tao again.

      • KCI등재

        장자 수양론의 구조적 특성 연구 - 노자의 복귀(復歸)사상과 관련하여 -

        김기 ( Kim K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본 논문은 장자의 수양론이 가진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장자의 수양론은 노자철학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장자가 수양의 궁극점을 도(道)로 삼음은 물론, 현실세계에서 도의 세계로 점차적으로 나아간다는 이론전개 구도 역시 노자철학에서 가져왔다. 노자는 도의 분화작용을 통하여 만물이 생성된다는 형식의 존재이론을 제시했다. 그리고 만물은 궁극적으로 존재의 근원인 도의 세계로 복귀한다고 보았다. 장자의 수양론은 바로 노자의 복귀사상을 기초로 하여 전개된 것이다. 노자의 복귀사상은 인간의 의식이 상대적 관점을 떠나 최상의 정신경지로의 복귀를 추구해야 한다는 장자 수양론의 원형이 된다. 이는 장자의 수양론에서의 도는 존재론에서의 도 개념을 모사(模寫)했음을 의미한다. 존재론에서의 도는 만물의 본원으로서 상대를 초월한 절대적 성질의 개념인데, 수양의 궁극적 경지로서의 도에는 존재론에서의 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자 수양론에서의 득도는 `최상의 정신 경지`에 나아감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내면적으로는 `인식의 최고 경지`로서의 도의 의미도 함재되어 있다. 인식론적 각성을 얻지 못하면 존재의 실상을 바로 볼 수 없다. 이로써 최상의 정신경지를 확보할 수 없어 참된 수양을 이룰 수 없고, 또한 참된 삶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수양론에서의 도에는 인식의 최고경지로서의 도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장자는 득도의 과정을 9단계 또는 7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다. 양자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점은 자기초월을 통하여 점차 도의 경지로 나아간다는 이론체계를 가진다는 것이다.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에서 점차적으로 도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구조의 수양이론은 바로 노자의 복귀사상을 기초로 하여 전개된 것이다. 장자 수양론이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것은 바로 노장철학이 인간의 삶의 문제를 존재론적 검토를 통해 해결하려한 데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clarifying the philosophical characters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Zhuangzi`s thought on the Tao (道) as the extreme point of the cultivation, and his opinion on the process from the real world to the world of Tao, are originated from Laozi`s philosophy. Laozi thought that the Tao changed and all things were created. And at the end all things returned to the world of Tao as the origin of all creatures. This idea about `the return` is the original form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according to which man`s consciousness must overcome relative viewpoints to return to the supreme spiritual stage. The awakening of Tao in Zhuangzi also means the unity of the `ontological` Tao and the Tao as understood in the theory of cultivation. That is because that the Tao in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is the imitation of the ontological concept of Tao. The ontological `Tao` as the origin of all things is the absolute concept that transcends the relativity, hence the Tao as the supreme spiritual stage of cultivation has already involved the meaning of the `ontological Tao`. The extreme point in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must be understood as the unity of the Tao as `the supreme spiritual stage` and one as `the supreme stage of consciousness`. If the epistemological awakening does not be achieved, then the real state of the existence cannot be seen. It means the true cultivation cannot be fulfilled, neither can the true life. Therefore in the Tao as the concept of the theory of cultivation, the meaning of Tao as the supreme state of the cognition has been already included. Zhuangzi divides the process of awakening of the Tao (得道) into 9 or 7 stages. The common point of those two ways of division is that both of them have the direction to the realm of Tao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cultivation according to which man develops gradually from the imperfect appearance to the world of Tao is obviously established based on Laozi`s thought on `the return`. It can be seen that this character of Zhuangzi`s theory of cultivation is formed from the attempt of Taoism (Laozi and Zhuangzi`s philosophy) to solve the problems of man`s life by means of the ontological consideration.

      • KCI등재

        공자(孔子)의 문도(聞道)와 행도(行道) 의지(意志) - 반신(叛臣)들의 초대와 음녀(淫女)와의 만남 -

        郭信煥 ( Kwak Shin-hwan )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道, 夕死可矣]’는 생각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도는 글자 그대로 최고의 가치, 궁극적 관심의 소재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결코 다른 어떤 것으로 대체될 수 있는 재화가 아니다. 그런데 이 도에 대한 해석에는 존재론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 크게 두 갈래가 있다. 존재론적 측면에서의 해석에서는 聞을 깨달음으로, 실천적 측면에서는 聞을 들음으로 풀이한다. 어쨌든 도가 들어있지 않은 삶과 공동체 또는 국가는 그들에게 의미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도를 시행해보고자 혼신의 노력을 다하는 것은 인정에 당연하다. 공자는 행도를 위해서 노력했다. 반신들의 초대에 응하려 했고 음녀와의 만남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를 불쾌하게 또는 마땅치 않게 여긴 제자 자로에게 공자는 변명을 하곤 했다. 동주실현의 꿈, 갈아도 닳지 않는 견고한 돌, 포과, 그리고 하늘에 대한 맹세를 통하여 자신의 동기의 순수함을 입증하려는 태도 등을 보였다. 이런 공자의 태도는 훗날 유가 지식인들 사이에 출처진퇴의 의리를 논하는 주요 논쟁점이 되곤 하였다. 行道의 열정, 權道, 군자의 小人 다루기 등의 맥락에서 이것이 이해되곤 하였다. 한말의 유학자들 가운데에는 국가는 망할 수 있어도 도는 망해서는 안 되며, 국가의 존망은 우선 왕에게 책무가 있지만 유학자에게는 도의 존망에 대한 책무가 있다는 의식이었다. 이처럼 도는 유자들에게 있어서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가치였다. 그래서 행도의 기회는 그만큼 소중한 것이었다. 그러나 공자의 처신을 성인에게서만 허용되는 권도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행도에의 적극성이 가져올 현실세계에서의 부작용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Tao is the most valuable thing and the ultimate concern to whom conceive the Confucian proverb that if I could hear the tao in the morning, it is possible to die in the evening. Tao is not the good that could be substituted by any other thing. There are two kind of interpretations of that Confucian Tao, one is ontological, the other is practical. By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the Chinese character '聞' ought to mean to be understanding, and in term of practical interpretation, it could be meaning of just hearing. Anyway, the lives, communities and states which don't stand on the Tao have no any other meanings to them who believe in that Confucian proverb. Therefore, it is natural to be exaggerate to practice and to realize the tao. Confucius tried to practice tao. He accepted the invitations from the rebeller, Yangho, Kongsanbulyou, Pilhil, and he didn't reject to meet the peeress named Namja who was a wife of ruler Ling of Wei. He several times defended him against his student Jaro who dissatisfied with his teacher's attitude and behaviors. By saying dreams of realization of Jou dynasty's sovereignty in eastern area, Shandong, hard stone which could not be destroyed and banished, the metaphor of a gourd and doing pledge to heaven, confucius try to explain his motiv's sincere and innocent. Confucius attitudes like these caused many debates in latter days among scholars. They argued these as an enthusiasm of practice tao, a higher moral principle to meet the demand of situation, and the skill of treating the lower and vulgar people. Some scholars who lived in 19th century Chos'on Dynasty, have the consciousness that country could be perished but Tao never be got away, King is responsible for the dynasty, but Confucian scholars are responsible for the tao. Like these, tao is the most valuable thing to the Confucian scholar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the chance of practice of tao means great to them. But they are incline to interpretation of Confucius behavior as a higher principle meeting the demand of that special situation which could be allowed for Sage king, because of the positive taking the chance to practice tao has many harmfu side effects in real society.

      • 홍도 서사의 현대적 변환양상 - 『홍도의 일생』 『홍도의 반생』 중심으로

        저여나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0 한남어문학 Vol.41 No.-

        본고는 조선후기 1621년 유몽인의 단편소설이며 「어우야담」에 수록된 작품 「홍도전」 중에 나온 홍도서사가 1920년대 들어오면서 어떤 변환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주로 유몽인의 작품 「홍도전」, 현병주의 작품 『홍도의 일생』 그리고 윤백남의 작품 『홍도의 반생』 총 3편의 작품이 있다. 「홍도전」은 1621년 조선후기의 작품이고 『홍도의 일생』과 『홍도의 반생』은 1920년대 후반에 창작된 작품이다. 「홍도전」은 임진왜란 직후에 창 작되었고 『홍도의 일생』과 『홍도의 반생』은 일제강점기 상황에 창작하였 다. 그래서 본고는 17세기에 홍도서사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서사적으로 어떤 변환이 있는지 살펴봤다. 먼저 『홍도의 일생』과 『홍도의 반생』 두 작품은 「홍도전」과 비교하면서 홍도서사가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르게 변 환했는지 살펴봤다. 그 다음에 『홍도의 일생』『홍도의 반생』 두 작품에 비교를 통해서 현대적인 홍도서사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홍도 서사의 현대적 변환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서론 부분에서 세 작품에 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며 작품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와 작품의 창작 시기의 특수성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세 작품의 서 사 단락, 등장인물을 비교함으로서 『홍도의 일생』, 『홍도의 반생』 「홍도전 」 세 작품 대략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3장에서 『홍도의 일생』, 『홍도의 반생』 두 작품을 인물변환양상, 서사변환양상, 서사 구성양상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4장에서 고선소설 현대적 전환의 의의를 밝히고 홍도서사의 변천 과정에 나타나는 한국의 현대화 국제화 과정이 작품을 통해 반영되는 것에 의미 두었다. 마지막 결론에서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삼아 가족의 이합을 다룬 「홍도전」이 일제강점기라는 냉혹한 현실에 살고 있는 작가들에 의해 『홍도의 일생』과 『홍도의 반생』이란 작품으로 변환해 왔다는 의미를 밝혔다. This Literature Review(paper) focuses on one of the short story ≪ Hong Tao Story≫of Liu Meng Yan Short Stories Collection “On the Wild Tan” on the later stages of North Korea in 1621. The research novels are Liu Meng Yan’s ≪Hong Tao Story≫; Xuan Bing Zhou’s ≪The Life of Hong Tao≫; also, Yi Bai Nan’s ≪ The half-life of Hong Tao≫. ≪Hong Tao Story≫is a novel created in the late period of North Korea in 1621.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is a novel that was created in late 19-20 century. ≪Hong Tao story≫ was created after Imjin War, but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was created while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time period.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what changes occurred from the 17th century Hong Tao story into the 20th century. First, we will compare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to ≪Hong Tao Story≫, discovering the Similarities as well as disparities. Then by comparing the two novels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to see the similarities and disparities in modern novels. Lastly, expor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nity changes of the navel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ntroduction analysis, it is a great researching by viewing the research of the navels and the navels time period. In Chapter 2, Through the navels passages compared ≪Hong Tao Story≫, ≪The Life of Hong Tao≫ and ≪ The Half-life of Hong Tao≫ similarities and disparities. In Chapter 3, Through character changes in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and changes in the navels structure a finer comparison was made. In Chapter 4, point out how classical novels turn to modern novels and the evolution of Korea's modern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Conclusion, indicated comparison between ≪Hong Tao Story≫ by using Imjin War as writing background with ≪The life of Hong Tao≫ and ≪The Half-life of Hong Tao≫ which written i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 『동의보감』양생관의 생태철학적 의의

        김미림(Kim, Mi-L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8 No.-

        Nowadays we live at the time of ecological crisis. The very fact of the breakdown of the environment points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orms of life and man's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e ecological crisis leads us to found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causes us to pay attention to health-care.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modern medical and health-care researchers becam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he atomistic approach. As part of nature, man has to cultivate the internal link in him between himself and nature(the Tao) for his own growth and well-being.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get the answer through the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 Donguibogam(『東醫寶鑑』). I compared the View of Nursing Life (養生觀)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with the western environmental theory-‘deep Ecology’. The normative characters of deep Ecology are‘Self-realization’ and ‘bio-egalitarianism.’ In Self-realization , the individual identifies with nature on a wider and wider scale, until the whole nature is encompassed in this identification. Essentially the whole nature becomes one with the widened Self, a concept that is comparable to the unity of tao. Deep ecology seeks to close the chasm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returning humanity to balanced coexistence with the natural world. Authors such as Sylvan, Bennett, and Nases propose that Taoist concepts such tao and ch'i help bridge the gap with an attitude of spiritual relatedness.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investigate the View of Nursing Life (養生觀) in the Donguibogam (『東醫寶鑑』). The View of Nursing Life (養生觀) in the Donguibogam (『東醫寶鑑』) is that man has to naturalize man, treating nature as same as himself and as a member within the family of the Tao. The Tao is totality as well as parts of the totality pervading everything beyond our perception, so that we should not ignore what is hidden in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The essence of the Tao is in "doing-something-on-its-own-acord (自然) or natural spontaneity. The Donguibogam(『東醫寶鑑』) says that man has to follow the Tao for his own growth and well-being. The goal of a nursing life (養生) in the the Donguibogam(『東醫寶鑑』) is to be ‘a true man (眞人)’. The environment is generally conceived as something not static but dynamic, something not simply visible but invisible. In this sense, we can speak of the Tao as the true environment of man. As man is part of the Tao, it is only when he loses the sense of the Tao and respect for the Tao in his life that he becomes alienated from the Tao and his activities become a means of self- alienation that will inevitably result in the loss of the true identity by way of self-distruction. In this case the Donguibogam(『東醫寶鑑』) explains to us that it causes diseases and the best way for our growth and nursing life is to attain the integrated life of human beings with nature (the Tao). In this aspect, we need to have another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the Tao as the Ch'i . That is to say, the Tao focuses on reality as a passage of dynamic processes, whereas the Ch'i focuses on reality as a presence of material stuff that leads to actualization of things and the concretization of events. Only on this basis of understanding we are capable of for mulating an ethic of environment. The goal of an ethic of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how human beings should relate environment to a tru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View of Nursing Life (養生觀)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can be translated as an Environmental Ethic of the Tao and the Ch'i. And also it can be translated as a metaphysics of deep ecology as well as a proposal for the method of 'Self-realization' through abdominal breathing and cultivation of one's mind. 본 논문은 도가·도교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동의보감』의 양생관에 관한 고찰을 통해 우리들이 당면한 생태위기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부언하자면 환경에 관한 우리의 인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동의보감』은 우리에게 도에 바탕을 두어야 마음이 올바르게 다스려지며 마음을 잘 다스림으로써 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양생의 요체는 도와 하나가 된 진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 내단 수련을 통한 심신의 수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논자는 우리의 환경이 도와 기로 되어있다는 인식을 통해서 자연화경을 파괴하는 것이 곧 도와 기로 구성되어 있는 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되고 이것은 또한 도와 기로 구성되어 있는 우리의 몸을 파괴하는 것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도와 하나가 되고자 하는 『동의보감』의 양생관이 곧 도와 기의 환경윤리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를 서양의 환경윤리인 근본 생태론과의 비교를 통해 근본 생태론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제시해주는 생태철학으로 재조명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근본 생태론에서 표방하고 있는 것은‘큰 자아실현’인데, 이것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데 비해 『동의보감』에서는 이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