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택동(毛澤東)의 민족주의와 대외정책

        한주희(Ju-Hee Han)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1

        본 논문은 모택동(毛澤東)의 민족주의를 통한 대외정책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로 모택동(毛澤東)의 민족주의가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그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모택동(毛澤東) 시기 동안 그의 민족주의와 대외정책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대체로 한 나라의 대외정책은 여러 가지 결정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중국은 사회주의체제의 특징을 유지하기 때문에 공산당 일당의 권력이 중앙에 집중이 되는 독재형태를 가진 국가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최고 정책결정자는 당 지도자가 되어 그 의지가 대외정책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모택동(毛澤東)은 신중국 건설의 아버지로서 중화사상(中華思想)을 회복하여 조국의 부국강병을 도모하고자 하였고, 특히 제국주의와 봉건주의로부터 인민들을 해방시켜준 지도자라는 인식으로 말미암아 어느 시기의 최고 지도자들보다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택동(毛澤東)의 개인적 판단이 대외정책 전략에 그대로 표출되었고, 그가 구사한 외교전략의 핵심은 경제적 실리를 추구하기보다 당시 국제환경에 따른 이념을 중시한 대외정책을 전개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외교 전략의 중심에는 그의 민족주의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것은 취사선택이 아니라 당시 중국이 겪고 있던 역사적 산물로서 자연스럽게 등장하였다. 원래 민족주의는 대내적으로는 국민적 통합을 목적으로 하지만 대외적으로는 타국의 침략이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타민족에 대한 저항적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모택동(毛澤東)은 청조 말기의 사람으로서 서구 열강의 동점(東漸)현상으로 말미암아 중국이 겪고 있던 시대적 난제(難題)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워 제국주의에 대항하였다. 이것은 곧 오랫동안 지켜오던 중화사상(中華思想)이 근대적 민족주의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모택동(毛澤東)은 당시 중국을 구원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인 공산주의를 이 바탕위에 수용하여 용해시켰다. 이러한 창조적 과정은 모택동(毛澤東)이 중국의 실정에 맞도록 구성하였고, 중국의 근ㆍ현대사를 이끈 원동력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모택동(毛澤東)의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대외정책의 특성은 우선 민족우월성을 강조하고, 반외세성, 반패권성을 지향하면서 중화인민민주주의공화국(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이 성립된 1949년부터 1959년대까지 항미ㆍ친소평화공존기, 1960년부터 1969년까지는 반소ㆍ반미시기, 1970년부터 1978년까지는 반패권시기의 과정을 통해 그의 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대외정책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progressing of the foreign policy trough Nationalism which had done by Mao Tse-Tung. To analysis characteristic of the stage nationalism and study the relation nationalism and foreign policy in his period are main themes in this paper. Generally, a nation’s foreign policy can be affected by many decision factors. Specially, China’s policy direction is dictatorship which the power concentrates to the communist party because of maintenance of Communism. Thus, a highest decision-maker in china, his averment can be variable factors to change the direction of foreign policy. Based on this, Mao Tse-Tung was a father of new, from China, from his role, he rebuilt China’s centrism then leaded a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Furthermore, he released the people from imperialism and feudalism, from this effect he could have the huge power in China. That is why, his individual judgment revealed to the strategy of foreign policy and the strategy that he did, it was more about foreign policy as following international’s environment than economical profit. The main thesis of this strategy, his nationalism always have positioned center of foreign policy and this was not the adoption, born naturallyas a result from China’s historical issue. Originally, nationalism’s purpose is the unity of the people but externally, more focus on resistant factor to overcome other countries’aggression and interference. By this foundation, Mao Tse-Tung emulated to the imperialism that revealed nationalism from the Western Power attacked to China in 19th century. This was the strong motivation to take over Sinocentrism to modern nationalism and Mao Tse-Tung acted to solute with a new ideology thought; Communism. This creative progressing was fitted by China’s situation at that time, this also leaded modern and present generation of China. Therefore, Mao Tse-Tung’s foreign policy that focused on his thought of nationalism, it emphasized on ethnocentrism, anti-foergin power and anti-hegemony. From this policie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ve progressed the political directions; 1. 1949~1959: China had kept in with Soviet Union 2. 1960~1969: Anti-Soviet Union and America 3. 1970~1978: Anti-Hegemony

      • KCI등재

        武后 新字의 創製의 興廢 및 文字의 正俗 問題에 관한 논의

        王三慶(Wang San-ching),李美京(번역자)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중국역사에서 武后는 여성의 신분으로 천하를 군림함으로써 어느 누구와도 비할 바 없는 정치적인 재능을 펼쳐보였다. 前後의 군왕과 함께 盛唐의 웅장한 기풍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그녀가 황제에 등극한 이후,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연호를 바꾸고 새로운 형태의 문자를 만들어 기존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던 것을 대신하게 되었는데, 이 글자가 이른바 「武后新字」17文이다. 이 17개의 글자의 창조과정은 다섯 가지 서로 다른 단계를 거쳤는데 이는 각각 정치적인 목적과 문화체계의 내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람이 세상을 떠나고 정치력이 약해짐에 따라 이 문자도 시대적 의미를 잃고 점점 사라져서 본래의 글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문자들의 창제와 사용과정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여러 학지들이 자세히 밝히지 않고 있어서 관련된 문지부호의 실질적인 의미에 관해서도 심도 있는 연구나 해석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전의 논문 〈敦煌寫卷 중 武后新字에 관한 조사 연구〉(《漢學硏究》제4권 2기, p.437-464. 中央圖書館漢學硏究中心 주최 國際 敦煌學 세미나 논문집)를 기초로 이 武后新字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흥패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문자의 흥망과 書寫적 습관에 관한 상호작용에 대해서 논하고, 정치적인 교섭문제, 나아가 중국 역대 字書 辭書에서의 複體와 正俗字문제도 논의하겠다. In Chinese history, the sovereign of Wu Tse-t'ien descended the world, which exhibited her unequaled political talents and developed a thriving period of Tang Dynasty, together with the former and the succeeding emperors. After her ascending the throne, for coming of a new epoch, a bundle of new words were made to replacethose having been accepted through common practice, as called 'the seventeen new words made by Wu Tse-t'ien'(武后新字 十七字). The process to create these seventeen words underwent five different stages, each containing its political purpose and cultural meaning. Following her past, her sovereignty declining, these words were obsolete gradually from degrading of theirepochal meanings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ones. Regarding the course of creating and using these words, for hundreds of years, little were mentioned by scholars, and scarcely were studied or explained on real meanings of their alphabets. For this reason, author is planning to do deeper discussions about these words on basis of the previous paper (see Research and Studies of Queen Wu's New Words in Tun-huang Manuscripts' Chinese Studies Vol. 4 No.2, pp. 437~464,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un-huang Studies held by Center for Chinese Studies in National Taiwan Library). Starting fromestablishment and abolishment of new words, such issues as interaction between writing habits, rise and fall of written languages, and negotiations of politics were discoursed and expanded into discussions related to multiple versions(複體) of words, including the official and the folk, in dictionaries of each Chinese generatio.

      • KCI등재

        기업의 소유구조와 정보비대칭 : 동경증권거래소의 경우 the Case of the Tokyo Stock Exchange

        安熙俊 한국금융연구원 2002 금융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동경증권거래소(TSE)의 거래 및 호가자료를 이용, 기업의 소유구조와 정보비대칭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특히, TSE를 대표하는 178개 기업의 최근 자료를 토대로 내부지분을 제외한 10대주주(top 10 block shareholders)의 지분이 시장 내 정보의 불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Madhavan, Richardson, & Roomans(1997)의 모델을 이용하여 스프레드 내 정보의 비대칭요소, 즉 역선택 비용을 추정하여 분석한 결과, 정보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주주의 지분은 역선택비용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주주들의 보유지분이 클수록 거래가 정보를 담고 있을 확률이 크며, 대주주들이 기업의 내재적 가치에 관한 사적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대주주들이 기업경영진의 감시자역할을 보면서 기업의 사적정보에 접할 수 있다는 Morck, Shleifer, & Vishny(1988)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examiners the relation between firms' block owenership and information asymmetry with a sample of 178 representative Tokyo Stock Exchange (TSE) stocks. Using the model developed by Madhavan, Richardson, and Roomans (1997), we estimate the degree of information asymmetry perceived by liquidity providers, the adverse selection cost estimates indicates that three is a strong positive relation between block ownership and the degree of information asymmetry. This result implies that block shareholders have access to their firm's private information and that they use the information in their trading.

      • KCI등재후보

        Legacy of the Principles of People’s War in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전광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3 한국군사학논집 Vol.69 No.3

        Mao Tse-tung led the Chinese people and established Communist China in 1949. He served as nation’s top leader until he died on September 9, 1976. Mao was credited with commanding the Long March and leading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victory against the Kuomintang in the Chinese Civil War; defeating an assortment of powerful regional warlords; and helping to deter the Japanese invasion. Mao's military thoughts, his strategic and tactical principles of war, notably the “People's War” theory is one of most important guiding principles for the Red Army commanders. This paper is about his“People’s War”theory and how it has been accepted and led military modernization in the People’s Liberation Army (PLA). Mao believed that war is the continuation of politics, dominated by one's interests. He emphasized the role of the Army and the People as the foundation of victory. At the operational level, Mao advocated “seizing the initiative”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even in a defensive posture, based on an approach that “you fight in your way and we fight in ours”. China's current military modernization is also based on Mao's military thoughts, but pays more attention to the effect of modern technology. Being able to integrate Mao's traditional ideas and the contemporary realities of new concepts and modern technologies will be the critical challenge to China's military commanders today.

      • KCI등재

        한국전쟁 중 중국군 참전에 대한 북·중·소 지도자의 협력과 갈등

        최윤철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1

        This thesis was written based on the information or communist countri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It has dealt with a historic fact from a perspective that although countries have strong alliance through a shared ideological value when promoting a National policy, they prioritizes establishing one-man leadership system and pursued after national interest. On the one hand, cooperations and conflicts among countries were formed as they plan on sharing an ideological values thereafter. It also examined the historic facts based on the assumptions and standpoints that at the core of such cooperations and conflicts lies historical views from each national leaders, and the experiences they acquired as they nature as political leaders. Leaders of communist countries such as Kim Il Sung, Mao Tse-tung, and Stalin shared a common ideological value, a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cooperated as mutual comrade relationship during and before the Korean War. However, as the communist leaders decide upon their strategies and objectives based on maintaining one-man leadership system and national interests under hierarchial rank system, they were faced with quite a few disputes in their relationships. Also, the cooperation and conflicts they shared were not simply based on the judgment of situation at that time, but rather on a projected result of their historical view, logic behind international politics they perceived as they mature as political leaders, and the experiences of establishing one-man leadership they earned through devotion. As a conclusion, when political leaders of North Korea, China, and Soviet Union decide on foreign policy during the Korean War, they focused more on the solidity of their domestic political power, and the relative national interests, than the shared ideological value, a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Moreover, behind the cooperations and conflicts lied the historical viewpoint the leaders perceived in their growth, perception towards international politics, and experiences achieved during their fight to gain political power. 본고는 한국전쟁기 공산권 국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념적 가치의 공유로 강한 동맹을 맺은 국가들이라 할지라도, 국가정책을 추진할 때는 일인지도체제 기반 구축을 우선시 했으며,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한편 이후 이념적 가치의 공유를 도모함으로써 국가 간의 협력과 갈등이 조성되었다는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들을 다루었다. 더불어 그러한 협력과 갈등의 근원에는 각국의 정치지도자들의 역사관과 정치지도자로서 성장하면서 겪은 경험들이 자리 잡고 있다는 가정과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들을 고찰하였다. 김일성과 마오쩌뚱(毛澤東), 스탈린 등 공산진영 각국의 지도자는 한국전쟁 전과 기간 중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라는 이념적 공통분모를 공유하고 상호 동지적 관계에서 협력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계서적인 서열관계 하에서 단일지도체제 유지와 국가이익에 기초하여 전략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에서 갈등관계에 있었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과 갈등은 단순히 당시 시점의 상황판단에 기초했다기 보다는 그 이전에 그들이 각국의 정치지도자로 성장하면서 인식하게 된 역사관과 국제정치 논리, 그리고 권력투쟁 과정을 통해 획득한 단일지도체제 구축의 경험요소들이 투영된 결과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전쟁 기간 중 북?중?소 정치지도자들은 대외 정책을 결정할 때,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라는 이념적 가치보다 정치지도자의 국내 정치권력의 견고성의 정도와 상대적 국가이익에 더 무게를 두었다. 그리고 갈등과 협력의 배경에는 각 정치지도자들이 성장과정에서 인식한 역사관과 국제정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정권 획득 과정에서 경험한 요소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전협상 초기 논의’ 과정에서 김일성의 대응에 대한 연구

        최윤철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Kim Il-seong agreed to the armistice negotiation in the quickening and in the process of its discuss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to study the background of his agreement or disagreement. Kim Il-seong has maintained firmly offensive war execution and inclined to the theory of perfect conquest on Korean peninsula even after having realized that Chinese forces practically failed the fifth campaign. That is largely related to the aspect of Kim Il-seong's maintenance of political power. Deadlock in the frontline similar to the 38 degree line and the aspect of armistice negotiation are is considered a leader's responsibility. In addition, S. Korea's Lee Seung-man had firmly insisted unification by expanding northward, and there were uncertainties in being certain that the situation of armistice negotiation would proceed just as the Communists intented. Particularly, there was a strong possibility of 'Yonan' faction's role expanding under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which Chinese Forces' participated in the negotiation, and Moscow also had limited capability in protecting Kim Il-seong's political power because Beijing led the armistice negotiation. In Kim Il-seong's perspective, the situation ultimately meant facing political crisis. Therefore, in the beginning period of communistical bloc's armistice negotiation, Kim Il-seong had no choice but to show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negotiation, if not, to oppose it. However, as Stalin agreed with Mao Tse-tung to proceed the armistice negotiation, Moscow proposed armistice negotiation to Washington and Kim Il-seong unwillingly participated in the negotiation. Nevertheless, after the establishment of N. Korea-Chinese Combined Command in December 1950, Kim Il-seong established General Politic Bureau inside N. Korea Fores, purged Mr. Heo gai', a Soviet faction's critical figure, and excluded 'Yonan' faction figures from political positions that grant strong political power. Taking such actions to consolidate his internal political power became the basis of accepting the discussion of the armistice. In Conclusion, it seems that Kim Il-seong had accepted the discussion of the armistice negotiation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at least, his self-sovereignty over N. Korea could be guaranteed and that he could use the influence of the Soviet's military advisory group in armistice negotiation and exploit its power to maintain his political s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 기 공산권의 정전협상 논의 태동과 협상과정에서 김일성의 ‘동의 여부’와 그 배경을 연구하는 데 있다. 김일성은 중공군의 5차전역이 실질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인식한 이후에도 줄곧 공세적 전쟁 수행과 완정론(完征論)을 견지했다. 이는 다분히 김일성의 정치권력 유지와 연계된 측면이 크다. 38도선과 유사한 전선에서의 전선 교착과 정전협상 국면은 지도자의 책임론과 맞물려 있다. 더구나 남한의 이승만은 북진통일론을 견지하고 있었고, 정전협상의 전개가 공산권 측 의도대로 움직일 것이라고 확신하기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했다. 특히 중공군이 참여한 상황에서 연안계의 역할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았고, 뻬이징(北京)이 협상 전면에 나선 상황에서 모스크바도 김일성의 정치권력 보호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김일성의 입장에서 볼 때, 그의 정치권력이 절대적으로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공산권의 정전협상 논의 초기, 김일성은 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더 나아가 반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스탈린이 마오쩌둥의 정전협상 추진에 동의함으로써 모스크바는 워싱턴에 정전협상 추진을 제의하게 되었고, 김일성은 마지못해 정전협상에 임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 12월 중조연합사령부가 설치된 이후 김일성은 북한군 내부에 총정치국을 설치했고, 소련파의 핵심인 허가이를 숙청하였으며, 정치적 영향력이 큰 직책에 연안계를 배제시키는 등 내부 정치권력 확립을 견고히 추진해 나가고 있었던 점은 정전협상 논의를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되어다. 전후 관계를 볼 때, 김일성은 최소한의 자율권이 보장되고 또한 소련군사고문단의 영향력을 정전협상과 내부 권력유지에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전협상 논의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장정(大長征) 시기 중공당 내의 노선투쟁에 관한 연구:쭌이회의(遵義會議)를 중심으로

        오수열,구자현,최상욱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1

        It was because of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Long March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on in the struggle for the Chinese mainland against the National Party of China although the former was inferior in every way. At the time, the Long March, which was considered as mysterious in the world, was a path to refuge full of hardship fo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it was a period when the plan for a new hope was created. The start was Zun yi hui yi. With the Zun yi hui yi as an opportunity, the Communist Party was able to establish a governing system led by Mao Tse-tung, and was prepared for an independent revolutionary war out of the intervention and influence of the Comintern. This study speculates on political conflicts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entering on Zun yi hui yi during the Long March period, and what effects it had on subsequent Chinese politics. 중국 대륙을 두고 전개된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과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 간의 대결에서 모든 면에 걸쳐 열세에 있던 중국공산당이 승리한 데에는 대장정(大長征)의 성공적 수행이 있다. 당시 세계에서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대장정은 중국공산당에게는 고난의 피난길이기도 하였지만, 동시에 새로운 희망의 구도를 만들어 냈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 계기가 다름 아닌 쭌이회의(遵義會議)였다. 쭌이회의를 계기로 하여 중국공산당은 마오쩌뚱 중심의 지도체제를 확립할 수 있었고, 코민테른의 간섭과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 혁명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의지를 지니게 되었다. 이 논문은 대장정 시기에 있었던 중국공산당 내의 노선갈등을 쭌이회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그 후 중국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종전(終戰) 후 국·공간 내전과 승패 요인에 관한 연구

        오수열,김광수,정순동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1

        With the Japanese surrender in 1945, even when the Pacific War ended, the political situation on the Chinese mainland was still confusing. Although the people had hoped that a democratic government would be establishe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d by Mao Tse-tung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democratic government, but as it striv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government, civil war resumed. To effectively demilitarize after the defeat of the Japanese army and deal with Russian trends of expansion, the U.S. expected that a unified government would be established through negot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and asked that the civil war be stopped. However, the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continued even though the Chongqing Negotiations ended and the 10.10 Negotiations were concluded. The Nationalists which were superior militarily early in the civil war were defeated by the People's Liberation Army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change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nd mistakes in strategic judgement and leadership, and the Nationalists fled to Taiwan. This study speculated on reasons for changes in the post-war Chinese situation and especially on the causes of Nationalist defeat and Communist victory focusing o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태평양전쟁이 끝난 후에도 중국대륙의 정세는 혼돈의 연속이었다. 민중(民衆)들의 통일된 민주정부 수립 여망과는 달리 장제스(蔣介石)의 국민정부와 마오쩌둥(毛澤東)의 중공당이 구호로는 ‘통일민주정부’ 수립을 내세우면서도 내면으로는 독자적 정부수립에 매진하면서 내전(內戰)이 재개되었기 때문이다. 항복한 일본군에 대한 효과적 무장해제와 종전(終戰)과 함께 대두된 소련의 팽창 움직임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공간의 타협과 협력을 통한 통일정부 수립을 기대했던 미국(美國)의 조정과 민중들의 내전중지 요구 속에서 이른바 중경담판(重慶談判)이 이루어지고 쌍십협정(雙十協定)이 체결되었음에도 양측의 군사적 충돌은 멈추지 않았다. 내전 초기 군사적 우세를 보였던 국민정부는 국내외적 상황변화와 전략적 판단착오 및 지도자의 리더십 등 여러 가지 요인 속에서 인민해방군에 패배함으로써 마침내 대륙을 떠나 타이완(台灣)으로 쫓겨 가는 신세가 되었다. 이 논문은 종전 후 중국대륙에서 발생한 이러한 상황변화의 원인과 특히 국공간 승패의 원인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에 대해 협상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