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ducing Suicide of the Elderly and Futures of Aged Society

        Jae Woo Lee,Doo Hwan Kim,Dae Heung Cho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2

        전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17년에 65세 인구가 14%를 넘어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 였으며 2026년에 65세 인구가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OECD 국가와 동북아시아 3개국인 대한 민국, 일본, 중국의 인구변화를 살펴본다. 2014년에 진행된 대한민국의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한민국의 노인들이 처한 상황을 살펴보았다. OECD와 아시아 3개국의 자살현황과 대한민국의 노인자살 현황을 살펴보고 노인자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노인자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노인자살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초고령화 사회에서 더 나은 대안적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동아시아에서 가능한 세가지 미래 고령사회의 대안을 제시한다. 1) 많은 나라들이 노인 연령의 기준을 상향 변경할 것이다. 2) 초고령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민주대동사회(民主大同社會)”를 구현하여 서로 돌보는 돌봄사회를 제안한다. 3) 초고령 사회에 의해서 동아시 아의 국가 판도가 변할 것이며, 동북아시아에서 대한민국, 중국 동북지방, 몽고, 극동 러시아를 포함하는 “Great Korea”의 출현을 예상해 본다.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entering aged society rapidly. The Republic of Korea is expected to enter the aged society in 2017 when the 65-year-old population exceeds 14% of total population. In 2026, Korea is expected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with the 65-year-old population over 20%. We examine the population change of the OECD countries and three northeastern Asia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in 2014 were analyzed and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in Korea was examined. We examined the suicide rate in the OECD and three north eastern Asian countries. We report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suicide by using system dynamics and examined ways to manage suicide effectively. We suggest a better alternative future society in an aged society. We propose three possible solutions of aged future societies in East Asia: 1) Many countries will adjust the standard of the old age. 2) We also propose so called “Democratic Daedong Society(民主大同社會) and Mutual Caring Society”. 3) Finally, we expect a “New Nomad Society and Self-Adjustment of the World”. In this scenario we expect emerging of a new union of countries such as “Great Korea” in North-Eastern Asia initiated by super aged society.

      • KCI등재

        초고령사회에 대응한 지방 도시정책의 연구

        최인호(Choi, In-H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통계청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이상인 고령사회를 이미 2018년에 넘어섰고, 2025년에 초고령사회(고령화율 20%이상)로 진입할 전망이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불과 7년밖에 안 걸린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령사회에 대비하고 준비할 겨를도 없이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고령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 큰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한 지방의 도시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이미 2007년 고령화율 21.5%를 기록하며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의 지방 도시정책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한국에 대비하여 문제점 도출 및 지방 도시정책방향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s demographics, Korea has already surpassed the aged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is more than 14% in 2018, and is expected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the aging rate is over 20%) in 2025. It takes only 7 years to enter super-aged society from an aged society. However, it is a big problem that aging speed is so fast that it is hard to find an analogy in the world without and preparing for this super-aged society. Under this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ovincial urban policy in response to super-aged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t analyzes the provincial urban policies of Japan, which entered the super-aged society, with an aging rate of 21.5% in 2007.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prepared for Korea, and problems are drawn and provincial urban policy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

        최재헌,윤현위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3

        본 논문은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10년까지의 163개 시군구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인구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인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고령인구의 분포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인구성장률 등과 관련하여 고령인구의 분포를 해석하였다. 1980년부터 5년 단위로 고령인구의 비율에 따라서 한국의 163개 지역들을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구분하였다. 지역적 차원에서 시기별로 고령인구의 추이를 고찰하면 1980년부터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1995년에 고령사회, 2000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여 2010년에는 80개의 지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고령인구의 비율은 도시규모와 인구증가율과 깊은 관계를 보인다. 즉, 도시의 규모가 작을수록 고령인구비율이 높았고, 인구증가폭이 낮을수록 고령인구의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010년 기준으로 수도권·대도시와 중소도시의 경우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도시가 대부분인 반면 농어촌지역의 대부분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지역수준에서 합계출산율과 고령인구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spatial patterns and regional variations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based on census data for 163 areas during 1980~2010. It briefly investigat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from previous studies and clarifies spatial patterns of aging process at regional level with reference of population growth rate at different time periods. Citi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several stages including aging society,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according to the percentages of aging population our of total population every five years. At the regional scale, the stage of aging society was revealed from 1980, while the stage of aged society was shown from 1995 and super-aged society was entered from 2000 in Korea. Eighty cities in the analysis were shown ar the stage of super-aged society in 2010. The portions of aging population are highly related to city size and population growth rate. For instance, the cities both in small size and with low population growth rate are revealing high percentage of aging population. As of 2010, most rural areas are staged into super-aged society, while most cities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id-sized cities are kept in the stage of aging society. At regional scale, there a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total fertility rate and aging population.

      • KCI등재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고용의 쟁점과 과제

        최홍기(Choi, Hong-Ki)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50 No.-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의 고령자 고용은 노인을 부양하기 위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면서, 초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중요한 방안이 아닐 수 없다. 즉, 앞으로 다가올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 고용은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정책영역으로서, 고령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반문제를 근본적으로 접근·해결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가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고, 양질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고용환경 및 고용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 고용은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고령자 고용정책의 기본방향은 현재 노동시장 내에 있는 고령자가 계속적인 근로를 통해 가능한 한 오래 머물 수 있는 고용환경의 정비를 위한 차원에서의 ‘고용유지’ 정책과 노동시장에 재진입 하려는 고령자의 진입장벽을 제거하는 ‘고용촉진’ 정책을 통해 구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 고령화의 진전정도와 노동시장 상황 등에 따라 고용유지 정책과 고용촉진 정책 간의 비중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포괄하는 정책이 구상되어야 하며, 이것이 현행 고령자고용법제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의 고용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면, 고령자의 고용유지 및 고용촉진이 기업에게도 유리하게 비춰질 수 있어야 하며, 종래의 고용경직성에 대한 부담을 덜어내야만, 고령자 고용에 대한 의욕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노동법제의 해석 및 운용도 함께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아야 한다. 그밖에도 고령자 고용은 청년고용에 지나친 간섭을 초래해서는 아니 되며, 고령자 고용정책과 청년 고용정책은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일할 의욕과 능력이 있는 고령자가 활약할 수 있는 장을 만든다는 것은 근로자 개인과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 국가 전체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향후 초고령사회의 진전된 논의를 기대해본다. South Korea is entering into the super-aged society at the fastest speed in the world and employment of aged is the important task for reducing the social burden on elderly care and preparing for the super-aged society effectively. For the approaching super-aged society, the employment of aged is the key policy for responding to the rapid aging and it holds potentials in fundamentally approaching and solving overall issues caused by a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employment system which help the aged to be involved in labor continuously and find a good job opening. In the super-aged society, employment of aged requires a policy that comprehensively covers employment promo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The basic direction of aged employment policy needs to be devised under the ‘Employment Stability’ policy in the aspect of arrang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aged in the labor market are able to stay longer by continuous work and under ‘Employment Promotion’ policy which removes the aged’s entry barrier for re-entering the labor market. Of cours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stability policy and employment promotion policy may vary depending on actual progressing of aging and labor market situation. However, the policy basically needs to cover both employment stability and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policy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current aged employment law. Meanwhile, if the issue of employing the aged rises seriously in the super-aged society, employment stability and employment promotion for aged may seem advantageous for companies. Al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toward employment inflexibility to enhance the desire for employing the aged. These matters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of related Labor Act need to be reviewed together. Furthermore, aged employment policy should not cause disturbance on job openings for youth and should be in harmony with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current situation of low birth rate and rapid aging, arranging an opportunity for the aged with desire and ability to work is the important task for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Thus, there should be more advanced discussions on employment of the aged in the future.

      • 초고령사회의 사회운용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연구

        김원재(won jae Kim),유동민(dong min Yoo) 한국공공정책학회 2022 공공정책연구 Vol.28 No.1

        본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전국 시군구의 40%(통계청)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기준은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포함하는 비율이 7%, 14%, 20%일 때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현재의 추세대로 통계청 전망(2020~2070년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자면 2025년에는 우리나라 전체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이렇듯 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현상으로서 사회 운용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요구한다.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같이 100여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면 사회는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맞춰 서서히 적응하고 변모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 1위, 노인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은 OECD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인구고령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지 못해 나타난 필연적 결과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의 2050년 노인 인구 비율이 38%에 가까우며,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전망이므로 앞으로 더 많은 문제가 등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는 어느 집단, 어느 정책, 특정인에 책임을 지울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총체적으로는 개인이나 집단(기업 등), 국가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끊임없이 고민해야 할 화두이다. 현재 초고령사회를 살아가는 일본에서 힌트를 얻고, 선행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내용들을 모아 우선 순위를 매겨 보았다. 결론적으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자가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는 고객의 고령화이듯이 이를 토대로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 인식하고 나아가서는 근본적인 사회시스템의 조정과 변화를 위하여 전 생애를 아우르는 교육시스템 체계의 정비와 1인가구의 증가에 따른 대안적 가족공동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하겠다. As Korea's aging population progressed rapidly, 40% (Statistics Office) of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nationwide already entered a super-aged society. UN standards classify aging society, aging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when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to the total population is 7%, 14%, and 20%.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forecast (2020-2070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the entire country will enter a super-aged society by 2025. As such, aging requires a major shift in the paradigm of social management as a phenomenon that has a great ripple effect on society as a whole. If Korea's population aging progresses slowly over 100 years like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society will gradually adapt and change in line with the changing demographic structure. However, the pace of aging in Korea is unprecedentedly fast. Korea ranks first in the elderly poverty rate and the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falls short of the OECD average. These phenomena are inevitable results of failure to prepare for a new paradigm shift of population aging. Some experts warn that more problems will emerge in the future as Korea's elderly population is close to 38% in 2050 and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oldest country. This is a well-known fact that no group, no policy, or specific person can be held accountable. Overall, it is a topic that individuals, groups (businesses, etc.), and countries should constantly think about. Hints were obtained from Japan, which currently lives in a super-aged society, and the contents that previous researchers commonly pay attention to were collected and prioritized. In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aging problem, the elderly must be the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Just as customers are ag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alternative family community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system system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fundamental social system adjustment and change.

      • KCI등재

        초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희성(Hee-Soung Lee),권순호(Soon-Ho Kwon)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50 No.-

        현대 사회는 고도의 발달된 의약산업과 문명의 혜택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고, 인간의 생명연장의 한계에 까지 도전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후진국들에 비해 선진국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은 또한 부인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7.2%(고령화 사회: Ageing Society), 2018년에는 14.3%(고령사회: Aged Society)에 진입하게 되었고, 2025년에는 노인인구가 20.3%를 차지함에 따라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어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급속한 고령화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빠르게 경제발전과 성장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반면에, 인구의 고령화 또한 가장 빠르게 진전되어 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 노인세대들은 매일 매일의 생활유지에 급급한 정도의 소득으로 궁핍했던 시기를 어렵게 보내 온 사람들이다. 또한 이 시대 노인들의 가치관은 자신들의 부모, 자식, 그리고 자신의 가문 등 대가족을 위한 물질적 희생은 자신들의 노후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러한 세대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노화 현상 또는 정년퇴직으로 인하여 유일한 수입원인 직업을 상실하게 되고, 노년기에는 일반적으로 만성 질병에 따른 의료비의 지출부담이 증가하게 되어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55%가 수입원의 대부분을 자녀에게 의존하는 등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유지하고 있고, 노인의 약 87%가 치매, 중풍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3.5%가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게 되어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에 비해 노인들이 가장 늦게까지 노동시장에 참여 하고 있음에도 질 낮은 일자리로의 전전으로 인하여 노인빈곤율이 제일 높은 수준이라는 불명예스러운 상황과 노인자살율 또한 1위라는 심각한 실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나라의 문제점들을 인식하면서, 향후 도래할 초고령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소득보장체계 구축을 통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높은 노인빈곤률은 낮추면서도 세대 간 상생을 통하여 노인자살률을 낮추기 위하여 노인복지정책도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개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인의 경제와 건강의 특성을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정책의 방향도 노인복지정책의 한계점인 현재의 저소득층 중심의 정책에서 한 걸음 나아가서 노인들의 능력과 환경에 따라 최저생활의 보장, 일자리 마련, 여가활동 및 자원봉사활동 등의 기회 제공, 재가복지서비스의 제공 등 모든 소득계층 노인의 다양한 욕구 및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복지정책의 기본적 우선순위는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요보호 대상 노인 인구의 기초적 욕구의 충족과 예방적, 보편적 차원에서 전체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초적 욕구 충족에 두어야 마땅하다. 그리고 노후준비 지원사업을 통해 노후준비에 대한 상담과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후준비 정보시스템 구축 등 주요 사업을 국가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고령자와 노인의 정의를 명확히 구별하여 포괄적인 고령자보다는 퇴직한 고령자를 포함한 노인복지 정책을 위하여 선진국의 고령자와 노인복지제도를 고찰하여 중요한 제도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verage life spa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advanced medical industry and civilization in the modern society. Moreover, it may be fairly said that we are challenging against the limit in prolonging human life. It can’t be denied that such phenomenon are more definitely observed in advanced countries tha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accounted for 7.2% of total population in Korea in 2000(aging society) and reached 14.3%(aged society) in 2018. As the elderly is estimated to be 20.3% of total population in 2025, Korea will enter into the super-aged society. As such, Korea is rapidly changed to the aging society that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While Korea has been making the fastest economic development and advancement in all OECD members, aging of the population is showing the fastest growth. Most of the elderly in Korea at present passed through the hardship with petty income only enough to maintain everyday life. Moreover, the value of the elderly at that time didn’t give them any opportunity to prepare for their later years due to material sacrifice for the extended family including their parents, children and family clans. As that generation got older, they lost jobs, the only source of their income, due to physical aging or regular retirement. Moreover, they generally face the serious economic difficulty as medical expenses increase due to chronic diseases. Accordingly, 55% of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in 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including dependence on their children for most of income source. About 87% of the elderly has chronic diseases including dementia and stroke. 3.5% of the elderly can’t independently maintain a daily life. Although the elderly of Korea worked in the labor market to the oldest age among other member countries of OECD, most of the elderly work at poor labor market. Accordingly, Korea faces the dishonorable situation, the highest poverty ratio of the elderly and the highest suicide ratio of the elderly. Thus, the welfare policy of the elderly shall be gradually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economy and health of the elderly to satisfy a variety of desires of each elderly as the member of society, reduce the suicide ratio of the elderly by win-win effort among generations as well as the high poverty ratio of the elderly we face now by implementing the sustainable policy enabling to secure income in the super-aged society coming close to us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n the current issues in Korea. The policy for the elderly shall be established to solve a variety of desires and problems of the elderly in all income classes, including securing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depending on the ability and conditions of the elderly, providing jobs,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have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and providing the community-based welfare services out of the policies focusing on low-income bracket at present, the limit i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Furthermore, the priority in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shall be to satisfy the basic and minimum desires required for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by the preventive and general perspectives and for the frail elderly suffering from social and economic hardship. It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the continuing state-level interest and plans for major projects including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elderly to prepare for their later years to provide relevant counseling and education service through later years preparation proje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important institu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by definitely classifying the definitions on the elderly and the extremely elderly and examining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 extremely elderly in the advanced countries for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including the retired elderly rather than the general eld

      • KCI등재

        초고령사회의 고령임차인 주거문제와 일본의 주택세이프티넷제도에 관한 연구

        박혁서(Park, Hyeok Se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1

        This research offers an analysis of the housing issues for Japanese aged lessees in the era of a super-aged socie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housing safety net system that was put in place to deal with such issues.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have profound implications on the housing policy for the aged lessees in Korea that will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 era of the super-aged society that will come about by 2026.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housing issue for the aged in the era of a super-aged society is grea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aged society preceding the super-aged one. As most of the rental housing is occupied by the aged lessees, they been unwelcomed in the rental housing market. The main reasons for this include such problems as solitary death, failure to pay the rent and the debt-guarantee fee for the rent, all of which are linked to issues likely to occur in relation to the aged. Secondly,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issues requires more than the efforts of a local government that is usually faced with tight financial constraints. This is where a subsidy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needed, and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offer a guideline on the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lessees and help local governments to make appropriate policy deci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ntal housing market in a particular area. Thirdly, the lessors, as well as the lessees, should be supported to establish a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promote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private organizations such as housing support councils and a corporate body for housing support. Fourthly, the analysi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flexible housing safety net for the aged that is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shor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housing safety net issue in terms of a local rental housing market. Finally, it is thus crucial to set up online information systems which will help the aged to search for proper rental housing and enable them to make an application for moving in, as they find it physically challenging to move around in search of suitable accommodation.

      • 고령화 과정에서의 자살위기 진단과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이론적 접근 -대인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조대흥 ( Jo Dae He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2

        전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17년에 65세 인구가 14%를 넘어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 65세 인구가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OECD 국가와 동북아시아 3개국인 대한민국, 일본, 중국의 인구변화를 살펴본다. 2014년에 진행된 대한민국의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한민국의 노인들이 처한 상황을 살펴보았다. OECD와 아시아 3개국의 자살현황과 대한민국의 노인자살 현황을 살펴보고 노인자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노인자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노인자살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초고령화 사회에서 더 나은 대안적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동아시아에서 가능한 세가지 미래 고령사회의 대안을 제시한다. 1) 많은 나라들이 노인 연령의 기준을 상향 변경할 것이다. 2)초고령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민주대동사회”를 구현하여 서로 돌보는 돌봄 사회를 제안한다. 3) 초고령 사회에 의해서 동아시아에 국가 판도가 변할 것이며, 동북아시아에서 대한민국, 중국 동북지방, 몽고, 극동러시아를 포함하는 “Great Korea”의 출현을 예상해 본다.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ntering a rapidly aging society. The nation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aged society) with a population of 65 years old exceeding 14 percent in 2017 and a super-aged society (super-aged society) with a population of 65 years old exceeding 20 percent in 2026. We will look at the population changes of the OECD countries and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elderly in Korea conducted in 2014 and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in Korea. We examined the suicide status of the OECD and three Asian countries and the status of suicide of the elderly in Korea and examined ways to reduce suicide of the elderly. We have used system dynamic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uicide among the elderly, suggesting a better alternative future for the aging society. In East Asia, we offer three possible alternatives to the aging society. 1) Many countries will raise the standard for the elderly. 2)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aging society, we propose a "democracy-Daedong society" and a caring society that cares for each other. 3) The country will change in East Asia by the super-aged society, and we expect the emergence of "Great Korea" in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Northeast, Mongolia and Far East Russia.

      • KCI등재

        A Study on the Need for Untact Communities for the Depressed Elderly in a Post-Aged Society

        박영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2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expects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or older to increase rapidly to 16.5% in 2021, 20.3% in 2025, and 43.9% in 2060. The life expectancy of domestic survivors is 1.8 years higher for women and 0.8 years for men than the average 65-year-old survivor of the OECD, so the relatively fast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entails various problems. As we enter a super-aged society,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s increasing due to complex problems such as economic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the absence of care provi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orm the practical situation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and the need for a depression-free community for the elderly, whose depression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sudden COVID-19.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elderly people who are alienated due to overlapping COVID-19 situations in a super-aged society and are depresse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or social activities, and elderly people who are unable to go out or engage in external community activities due to COVID-19. First, after examining the aging and aging depress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n examine how the global paradigm has changed due to COVID-19. Second, a current status survey is conducted on Seongnam-si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ird, it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untact communities and derives and analyzes the reasons and limitations of cases that need to be switched from face-to-face.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for the depressed elderly in the rapidly aging society is as follows. First, as the face-to-face community, which was possible due to social distancing due to Corona 19, became impossible, the elderly were only able to sit on the street. Through this, analysis can check various types of types. Second, various untact communities are provided to the depressed elderly due to social disconnection, but there seems to be an urgent need for untact human interaction rather than unilateral use and exper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face-to-face community for the better life of the elderly in need due to physical problems and COVID-19, it is hoped that support such as digital device distribution and education will be activated nationwide in the future, and many studie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연령통합(Age-integrated)의 교회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2

        With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on the verg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tim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resolve the problem of generational rifts, and find measures to coexist and integrate generations. The government declared its vision of an “age-integrated society” throug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n 2020 as a social innovation that responds to demographic change and generational conflict.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also seeking ways to achieve age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a super-aged society, church needs to find ways to be age integrated.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realize an age-integrated church in preparation for a super-aged society. First, based on the concepts of flexible age criteria and age heterogeneity, church should eliminate the structural barriers so that any generation can enjoy the opportunity of equal choice in ministry, service, and education opportun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worship, education, service, etc. in which generations of various ages can exchange and interact so that empathy and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Second, as the Bible perceives the elderly as people of wisdom and calling, the church should establish a right perception of the elderly as people who can contribute productively to the church, ministry and service opportunities must be actively provided. Finally, church should educate people that an age-integrated church is not just for the elderly, all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regardless of their age, enjoy mutual-benefit and blessing.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현시점에서 인구구조 변동에 대응하고, 세대 균열 해소와 세대가 공존하고 통합할 수 있는 대책을 찾는 것은 중요한 시대 과제이다. 정부는 2020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인구구조 변화와 세대갈등 문제에 대응하는 사회 혁신으로 ‘연령통합적 사회’ 비전을 처음 제시하면서 세대갈등 완화와 전 세대공존을 위한 정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였다. 사회 각 분야에서도 연령통합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교회도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노인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어떻게 연령통합 교회의 형태를 구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연령통합의 교회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령기준유연성’과 ‘연령다양성’ 개념에 기초하여 사역, 봉사, 교육의 기회에서 그 어느 세대도 제한, 배제, 분리 없이 동등하고 자유롭게 선택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구조적 장벽을 없애거나 낮추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연령의 세대가 교류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예배와 교제, 교육, 봉사 등을 마련함으로써 세대 간 공감과 이해가 높아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성서가 가르치는 바와 같이 공동체에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주체로서 노인에 대한 관점을 바로 세우고, 노인들이 소명감과 영적 충만을 느낄 수 있도록 사역과 봉사의 기회와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셋째, 연령통합 교회를 세우는 것이 노인세대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전 연령의 지체 모두에게 주어지는 유익과 축복이라는 점을 일깨워 그리스도의 몸을 위해 온전히 하나된 공동체로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