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아(Han, J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가 어떠한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 동에 대한 평정은 어머니 보고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적 합치도,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각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이며 어머니의 일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긍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애정적, 일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거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arenting behavior of preschooler s mother with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114 mothers of preschoolers from four day care center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t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arenting behavior, self-esteem,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2)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mother s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warmth. Maternal negative expressiveness,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 s low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rejection.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overprotection. Maternal expressiven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consistency.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도윤,양난미 한국심리유형학회 2020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1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ther'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 mothers'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In order to analys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 mediation model, moderated model, and moderated mediation model were examined sequentially.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urvey on 288 mothers with 3 to 5 year young childrens in Gyeongsangnam-do.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arenting stress was fully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of mothers'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Secondly, father's involvement moderated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Finally, father's involvement also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on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rough parenting stress.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proposal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한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스트레스 표현 행동 중재의 일반화에 관한 사례 연구 -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이재욱,이재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0 발달장애연구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하지 못해 어머니와의 관계에 어려움이 생긴 아스퍼거 장애 아동에게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하여 집에서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습득시키고 나서, 이 스트레스 표현행동이 학교생활에 일반화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 아동은 13세로 일반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었고,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하여 집에서 월, 수, 금요일 18시 30분부터 40분간 하루 2회기씩 3주에 거쳐 용암법을 적용한 지도를 받아서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습득하였다. 스트레스 표현 행동 습득 전후의 학교생활 변화를 스트레스 감소, 발화 길이의 신장, 그리고 다양한 주제의 사용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학교생활의 변화는 특수학급 교사와 학급 동료와의 면담과 연구 대상 아동 어머니의 기록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 전략을 이용한 스트레스 표현 행동 습득은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였고, 발화 길이 신장과 다양한 주제 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ization of stress expression behavior in school life using Power Card Strategy to a child with Asperger Disord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thirteen-year child with Asperger Disorder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has been trained with Power Card Strategy for three weeks for acquiring stress behavior expression. Data was taken and analyzed from the interviews with his classmate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daily recording report written by his mother. As the result, we found that Power Card strategy was effective on generalization of stress expression behavior in school life. Also, Power Card strateg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ngth of utterance and the usage of various theme in school life.

      •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지혜,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utiliza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a diagnostic category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urrent alcohol use disorder situation of inpatients in closed wards and provided group art therapie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y reflecting the inpati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nger control and perceived stress. For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ger and stress act as mediums that lead to drinking. Since it is known that a cognitive factor is contributing to this proces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e stud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empower the ability to emit and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relax the body and mind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tor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recall ability, thereby positively reducing perceived stress affect. Third, i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are used together with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believe they can control alcohol themselves, they can realize that their thoughts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currently seeing through images that can be viewed as objective perspectives. It is not easy to find studie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which help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often show irrational ways of thinking, to reorganize themselves cognitively and to explore themselves with visual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anger ex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also provides the im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알코올 폐쇄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알코올 사용 장애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심리적인 특성 중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관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제시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분노와 스트레스는 음주로 연결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인지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집단미술치료에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산하고 조절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에 도움이 된다. 둘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고, 개인의 회상 능력에 따른 왜곡의 정도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주어 지각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집단미술치료를 함께 활용하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현재 보여 지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비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인지적인 재정립을 시키고 시각적인 언어로 탐색해보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적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살펴보고,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분노 표현방법이 부정적 욕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종명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On the other hand, if you do not achieve your desired desires, you become stressed, and when you are exposed to this stress, it causes anger, a negative emotion, rather than a positive emotion, which is an emotional emotion. When these feelings of anger accumulate, they cause unwanted negative desires and behaviors due to obsessive thoughts that keep bringing up thoughts or emotions that one does not want to come up. In this study, as a way of expressing anger, a negative emotion caused by stress, negative desire behaviors that can occur in stages of irritation, frustration, anger, and giving up, such as e-commerce search volume, e-commerce sales volume, binge eating, alcohol, and compulsive behavior, were used to express anger, which is a negative emotion caused by stress. We wanted to study how behavior increases through emotional anger expression (irritation, frustration, anger, and giving up). As a result of this paper's research, among the ways to express anger, the influence of e-commerce search volume is in the order of irritation, frustration, and frustration, and the influence of e-commerce sales volume is in the order of irritation, anger,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alcohol increased in the order of frustration and anger, and the influence of obsess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anger and frustration, we attempted to provide strategic insight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장행동에 대한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의 영향

        이은주(Eun-Ju LEE),백규리(Gyu-Li BAEK)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2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nger expression on assertive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7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tress, anger expression and assertive behavior from July 8, 2021 to August 28, 2021 in Daegu·Gyeongbuk in South Korea.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 21.0 program. The influencing factors of assertive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were anger-in of anger expression and external regulators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lso, these factors explained 22% of the variance in assertive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hat develop educational strategies to decreas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ntrol anger in enhancing assertive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사의 분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대한 대인돌봄행위의 융합적 연구

        한진아,김미진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분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대인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4개 도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와 분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반복적 분노반추가 대인돌봄행위를 줄어들게 하며,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이 대인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높은 직무요구 스트레스에서도 대인돌봄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간호환경과 물질적 지지, 교육기간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행위인 대인돌봄행위 증진과 이에 필요한 요소를 규명하고, 간호사의 정서관리 중재로서 분노에 대한 융합적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rised descriptive research into nurses’ ange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the impact thereof o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ger and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f nurses. From December 1st to 31st 2014, the data of 174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four cities were collec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ger and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f nurses. Repeated anger rumination reduced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The influence of anger-in and anger-control o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was confirmed. Although the stress score of job demand was too high, an autonomous nursing environment, material support and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period are required to enhance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necessary for nursing care and suggests the necessity on convergence study of addressing feelings of anger as an emotion management interven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정서표현성, 아동의 내면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송하나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daily stresses, degre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ne hundred and fourteen preschool children (56 boys and 58 girls) between the age of four to six yea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and children visited a laboratory, and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expressiveness directly affecte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particular,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onversely,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ad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 degrees of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expressiveness experienced by mothers. These results carry with them certain implications: namely, that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can be risk factors in relation to the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입원환자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지혜,김선희 한국심리치료학회 202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on anger control, perceived stress,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in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The participants were inpatients at a private 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S city, and of these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 14 were randomly sample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7 in experimental groups and 7 in control groups. Utilized research criteria were a Korean version of a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Perceived Stress Scale, and a drawing test named 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In addi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treatment and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after the treatment. As a result, first, the sub-category of anger expression in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control it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Second, the perceived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ird, among the 14 items of FEATS of the PPAT test, the logic, problem solving, and line quality sections reveal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is effective for anger control improvement, perceived decrease in stress, and changing problem-solving skills for in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the PPAT tes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본 연구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입원환자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S시 사립정신병원의 입원환자 중,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을 받은 14명을 편의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7명씩 나누어 배정하였다.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그리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 검사(PPAT)를 사용하였고,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치료 실시 전 사전 검사, 실시 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에서 분노 표현 하위 요인 중, 분노 통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PPAT 형식적 척도의 14개 항목 중, 논리성, 문제해결력, 그리고 선의 질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통제력 증가,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문제해결력 변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PPAT 그림 검사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