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이서현(Lee, Seo-hyu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9 No.-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분황사 석탑과 함께 시원기 석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시에 모전석탑의 한 계열로 신라석탑의 양식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계단형의 옥개석을 제외하면 모전석탑으로 분류되는 특징보다는 이후 발생하는 전형기 석탑의 선행적 요소를 보다 많이 보이고 있어 양식적 특징과 이를 바탕으로 건립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기단부는 신라 최초의 석조 가구식기단으로 사천왕사 금당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후 전형기 석탑인 감은사지 석탑의 가구식기단으로 발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탑신부에 반영된 목조건축적 요소들도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전탑의 영향보다는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 석탑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화와 새로운 시도를 적용한 결과로 파악하였다. 또한 고대 의성의 지역적 특성과 경주의 불탑 문화가 목탑이 주류였던 당시 건탑 문화가 복합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여 백제석탑 장인의 직・간접적 기술 영향 아래 신라 최초의 가구식기단 석탑 건립이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탑리리 오층석탑과 백제의 마지막 석탑으로 알려진 정림사지 오층석탑과의 양식비교를 통해 건립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탑리리 오층석탑이 정림사지 오층석탑보다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이며 미륵사지 석탑의 목조건축 의장과 보다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두 석탑 모두 미륵사지 석탑 이후에 건립되었지만, 탑리리 오층석탑이 먼저 건립되었고,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이보다 늦은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is known as the Origin of Silla stone pagodas from along with the Stone Pagoda of Bunhwang Buddhist Temple. It is also in the family of stone brick pagodas and hold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 styles. Except for its step-like roof stone, however, it shows more antecedent elements of stone pagodas in the following turning point era than features of stone brick pagoda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its style characteristics and review its construction period. Its stylobate is the first ston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in Silla. It came before the Geumdang of Sacheonwang Buddhist Temple and developed into that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Gameun Buddhist Temple during the turning point era. Its body contains elements of wooden architecture, which are the results of changes and new attempts to solve the weakness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that was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brick pagodas that were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In the complex backgrounds of ancient Uiseong"s local features, Gyeongju"s Buddhist pagoda culture, and the culture of pagoda construction in which wooden pagodas were the mainstream, they must have built Silla"s first stone pagoda with th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Baekje"s master artisans of stone pagodas. Finally, the study estimat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by comparing its style with that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known as the last stone pagoda of Baekje. As a result, the former showed more transitional features than the latter and was closer to the wooden construction design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oth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after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ut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was constructed earlier than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와 제문제

        김지현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1

        This study has reviewed with the focus on issues conspicuously noted from the cases of the stone pagodas restor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rough this effort, it presents the conclusion to state for points to pay attention in future restoration endeavors,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restoration of stone pagodas, the most frequently confirmed error was the displacement of the pagoda materials, and the typical display could be shown i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of Galhang-saji (site of Galhang Temple), in Gimcheo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in Cheongun-dong, Gyeongju, and others. This issue was a concrete and factual matter that could be improved with an appropriate procedure and paying attention. Second is the change in structure or composition of the stone pagoda, that there are 3-story stone pagoda in Bulguk-sa, Gyeongju, 5-story stone pagoda in Muryang-sa, Buyeo and others. This issue was undertaken while the clear concept and philosophy on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nd style was still not complete that, in recent days, it has been refrained, but such trend is still shown in those recently restored stone pagodas. If the original shape of the stone pagodas to be restored at the present time is unable to prove, it would be a way to preserve the current status until the firm basis could be secured. Third, in the event that a stone pagoda is restored by using significantly more new materials than the original materials, it could be a re-construction, not the restoration, and there is a typical case of East-Pagoda of Mireuk-saji in Iksan. In the event that any pagoda that has been destroyed, such as the 3-story stone pagoda in Beongseo-ri, Mungyeong, is to be reconstructed with the new materials, it would be constructed by referencing to the similar size and proportion of stone pagoda that it cannot be stated as an accurate restoration. In this relation, it is possible to study the design method of the stone pagoda to utilize it in the restoration, but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is that it would be a task to be processed for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data continuously in the future. Lastly, there are insufficiency of base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long with the error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foregoing would be most fundamental and innate approach for the restoration that any error thereto could be an important issue to result in damaging the original shape and form in its consequence. Namely, it is a key that penetrates entir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at it requires the methodology on ‘sufficient’ collection of base data steadily, and it requires the need to unyieldingly contemplate what should be done for preven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In the public issue making process on restoration and investigation on base data, there is a need of sufficient time throughout entire process. Furthermore, in order not to encounter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re is a need to make close compilation of reports, white books and other data when disassembling and restoring the stone pagoda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 중에서 눈에 띄게 확인되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복원시 주의해야 할 점과 개선 방향 등을 기술하는 것으로 맺음말을 대신하였다. 석탑의 복원에 있어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는 오류는 탑재의 變位였으며, 대표적으로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으로, 제대로 된 절차와 주의만 기울여도 개선되는 문제였다. 둘째, 석탑의 구조나 구성의 변화로,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복원의 원형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철학이 미진한 상태에서 행해진 것으로 최근에는 지양되는 분위기이지만, 근래 복원된 석탑들에서도 공공연히 볼 수 있다. 현시점에서 복원하고자 하는 석탑의 원형을 증명할 수 없다면 확실한 근거가 확보될 때까지 현상 보존을 하는 것도 방법 중하나라 할 수 있다. 셋째, 원부재보다 新部材를 많이 사용하여 석탑을 복원할 경우, 복원이 아닌 再建이 되기도 하였는데, 익산 미륵사지 동탑이 대표적이다. 문경 봉서리 삼층석탑과 같이 멸실된 탑재를 신부재로제작할 경우, 대개 유사한 크기와 비례의 석탑을 참조하여 조성하므로 정확한 복원이라 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석탑의 설계방식을 연구하여 복원에 이용하는 방법론이 있겠으나, 현재 연구가 미진한 상태로 향후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마지막은 기초자료의 수집 및 조사의 불충분과 그에 따른 해석과 판단의 오류이다. 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오류는 결과적으로 원형을 훼손하는 결과까지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였다. 즉, 이는 복원의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으로, 기초자료의 ‘충분한’ 수집에 대한 방법론을 꾸준히 계발해야 하며, 해석과 판단의 오류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복원에 관한 공론화 과정과 기초자료 조사에서 복원의 전과정에 걸쳐 충분한 시간이 요구되며, 더불어 향후 이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 현재 석탑을해체, 복원할 때 보고서, 백서 및 기타 자료를 면밀히 남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彌勒寺址 출토 백제 문자자료

        임혜경(Lim, Hye-kyung) 한국목간학회 2014 목간과 문자 Vol.13 No.-

        이 글은 전라북도 익산 彌勒寺址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문자자료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위하여 자료의 현황과 기존의 연구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銘文의 역주를 시도한 것이다. 백제시대의 유물임이 분명한 墨書銘文瓦와 2009년 석탑 해체 과정에서 발견된 舍利莊嚴具 중 명문이 있는 金製舍利奉安記, 金製小形板, 靑銅盒(1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백제기와의 특징이라고 알려진 印刻瓦는 별도의 글에서 소개되었으므로 본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미륵사지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는 일제시기에 시작되었으나, 전면적인 발굴조사의 필요성은 1960년대에 들어 국내 학자들에 의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74년부터 2010년까지 37년에 걸쳐 동탑지, 미륵사지 全域, 서탑의 해체·보수 등의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미륵사지가 三院竝列式의 독특한 가람배치 형식을 지니고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백제시기부터 조선시기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수습됨으로써 미륵사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다. 특히 서탑에서는 舍利莊嚴具 일체가 고스란히 발견되어 미륵사의 창건주체와 목적, 석탑의 건립연대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재차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의 검토대상이 된 자료 중 墨書銘文瓦는 印刻瓦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백제시대의 것이 확실하다고 보고된 銘文瓦이다. 암키와의 안쪽 면에 먹을 이용하여 붓으로 ‘∨道’이라고 쓰여 있는데, 글자가 선명할 뿐만 아니라 능숙하고 반듯하게 쓴 솜씨가 눈길을 끈다. 어떤 내용을 확인하거나 명시할 필요에서 쓴 것임은 분명하겠지만, 이 자료를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가 없어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2009년에 발견된 金製舍利奉安記에는 앞면에 99자, 뒷면에 94자로 전체 193자에 달하는 선명한 명문이 새겨져 있어 학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즉, 문체와 서체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沙?王后가 伽藍을 세우고 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 서술이 주목을 받아 미륵사의 창건 주체와 그 배경이 된 사상 등 다양한 역사학적 쟁점들이 부각되었다. 금제사리봉안기 외에 3점의 금제소형판과 청동합 1점에서도 명문이 발견되었는데, 그 내용은 시주자의 이름과 시주물품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금제소형판의 경우 고가의 교환 화폐의 용도로 제작되어 귀족층에 의해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주목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epen understandings of inscriptions on the relics of Baekje Kingdom excavated from Mireuk-sa(彌勒寺) Temple site and it examines the current tendency of the relevant studies about the topic. The Golden Letter of Sarira Enshrinement (金製舍利奉安記), three small golden bars (金製小形板), and one bronze box (靑銅盒), among the Sarira reliquaries (舍利莊嚴具) found from the inside of the relic chamber of the Mireuk-sa Stone Pagoda in 2009, and a roof tile with Chinese ink inscriptions (墨書銘文瓦) are the examination objects of this paper since they are certainly believed to be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Roof tiles with stamped inscriptions (印刻瓦), which are said to be a unique feature of Baekje roof tiles, have already been minutely examined in other studies, thus this paper does not concern with them. Archaeological studies of Mireuk-sa Temple were initi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the necessity for a full-scale excavation on the site was suggested by Korean scholars in 1960’s. Long term investigations and excavations of the whole territory of the temple, including the West Stone Pagoda (西塔) and the East Stone Pagoda site (東塔址) were conducted from 1974 to 2010. The 37 years of research on the temple site was ended with significant consequenc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elucidated that the parallel building layout of three main buildings and three pagodas, a unique and unexampled form of building layout, was used to build the temple. And various unearthed historic relics from the area shed light on Mireuk-sa Temple as well. The roof tile with Chinese ink inscriptions, one of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paper, is a concave tile. There is one Chinese character ‘道’ with ‘∨’ mark on the inside of the tile, written by a skilled hand. It seems to be a sign for checking something, but there is not enough evidences to support this assumption. The Golden Letter of Sarira Enshrinement received immediate attention from academia as soon as it was discovered in 2009, since it has 193 Chinese characters on the face and back. Those inscriptions indicate that the Queen Sataek built the temple and enshrined the Sarira after admiring Buddha’s divine power. There are various studies concerning with the letter’s calligraphic and literary style, along with ones dealing with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Three small golden bars and one bronze box discovered with the golden letter, also have simple inscriptions showing the names of donors and amounts of donations. The golden bars are regarded as currency used among the aristocratic class of Beakje Kingdom and this particularly has an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

        미륵사지 석탑의 축조형식에 따른 구조성능 평가

        김호수,박찬홍,이하나,Kim, Ho-Soo,Park, Chan-Hong,Lee, Ha-Na 한국공간구조학회 2014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4 No.2

        The stone pagoda of Mireuk temple site is currently restoring through the repairing process. This stone pagoda has the various construction types in the inner and outer space. Therefore, the stress concentration and structural behavior need to be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construction patterns.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s the structural modelling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discre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to solve the discontinuum behavior between the stone elements. Also, this study performs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e various design variables for the safety of stone pagoda.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can find out the small stress concentration in the several members. But, because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s are relatively small, we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whol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