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그린 어촌 표준모델 수립 및 적용 방안 연구

        조성수,백효진,안영웅,김희영,임윤택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mart and green service for the standard model focused on fishing villages and to suggest an application plan. The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pread and disseminated to fishing villages New Deal areas. This model was designed to enable sustainable management as well as integrating the service model and operating model. The service model was composed of a general service for solving general problems in fishing villages and a customized (specialized) service for solving problems in targeting site. The operational standard model was designed as a circulatory structure for discovering new services and improving standard model services through feedback as well as operation/management of the entire data lifecycle such as collection, stor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data derived from the service standard model. The application plan of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was prepared through the standard mod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roadmap according to phase such as project preparation phase (short-term), implementation phase (medium-term), and plan spread phase (long-term).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smart region to revitalize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plan which is to utilize the smart infra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e.g. eup, myun, si, gun and gu) to provide and manage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에 적합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은 전국 어촌뉴딜 지역에 확산 및보급 가능하며, 서비스모델과 운영모델을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서비스의 제공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운영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서비스 모델은 어촌 일반문제 해결을 위한일반서비스와 대상지 문제 해결형 맞춤(특화)서비스로 구성하였다. 운영 표준모델은 서비스 표준모델에서 도출된 서비스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가공, 활용 등 데이터 전주기 운영/관리와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발굴 및 표준모델 서비스 개선의 선순환 구조로 설계하였다. 스마트그린 어촌 적용 방안은 사업준비단계(단기), 실행단계(중기), 확산단계(장기)에 따라 표준모델정립과 확산 로드맵을 통해 마련되었다. 특히, 스마트그린 어촌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위해 읍ㆍ 면(또는 시ㆍ군ㆍ구)의 중심의 인프라 거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지역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민간표준기관의 비즈니스 모델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정책시사점의 모색

        성태경(Sung, Tae Kyu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20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0 No.2

        표준제도에 있어서 표준화기관들의 지속 가능한(sustainable) 경영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표준이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일반기업들과는 달리 민간표준기관들은 대부분 비영리법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민간표준기관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민간표준기관의 비즈니스 모델을 표준개발 및 판매모델, 표준외부조달 및 판매모델, 시험인증평가서비스모델, 표준이행지원서비스모델, 회원관리서비스모델, 위키피디아모델, 공공자금의존모델 등 7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대한 국내외의 사례를 찾아서 분석하였다. 주요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정부는 민간표준기관들이 수익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 둘째, 민간표준기관들은 기관 고유의 표준화 영역 및 능력을 바탕으로 7가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적절한 조합(appropriatemix)을 찾아서 수행해야 하고, 셋째, 민간표준기관들은 수익원천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고 투명하게 공개하여 향후 비즈니스 모델 발전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e standardization system,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ask. This is because, unlike companies that seek to maximize profits, standards has public good property, and most privat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re non-profit agencies.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business models of domestic and foreign major privat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e business model of privat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is categorized 7 types, including ⅰ) standards developments & sales model, ⅱ) standards outsourcing & sales model, ⅲ) test & accreditation service model, ⅳ) standards implementation service model, ⅴ) membership management service model, ⅵ) Wikipedia model, and ⅶ) public fund dependent model. We analyze the cases appropriate to each business model. Based on this, major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n institutional basis for privat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to diversify their profit structure. Second, privat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must find and carry out an appropriate mix of seven business models based on their own standardization areas and capabilities. Third, the accounting information on the source of revenue should be disclosed in detail and transparently to lay the foundation for business model development.

      • KCI등재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위한 2.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분석 - 5W1H와 태스크 모델의 관점에서

        백재은,스기모토 시게오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2

        메타데이터 표준규격(이하 메타데이터 표준으로 기재)은 디지털 자원(Digital resource)의 장기보존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해 필요한 기본 요소 중 하나로, 이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요소로 잘 알려져 있다. 자원(Resource)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장기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은 다양하며, AGRkMS, AGRkMs(Australian Government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는 기록(records)과 기록물이 가지고 있고, 사용하고 있는 문맥들(contexts)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오스트레일리아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이 권장하는 이 정보는 기록을 작성하고 수집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비지니스 기능 안에서 파일 화 된다. 또한 이 표준은 기록(records)을 위한 메타데이터(ISO 23081)와 기록 관리(ISO 15489)안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표준에 준수한다. EAD, EAD(Encoded Archival Description)는 기록검색도구에서 넓은 범위 내에 상호관계가 있는 기술 정보를 발견한다. 또한 EAD는 기술의 레벨 사이에서 존재하는 계층에 따른 관계를 나타내고, 계층 정보의 구조 내에서의 이동과 요소의 특정한 색인 작성과 검색을 지지하며 ISAD(G)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ISAD(G), ISAD(G)(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는 ICA(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가 승인한 보존 기록 자료(Archival records)의 목록 기술의 국제표준이다. 이 표준은 보존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s)의 준비를 위한 일반적인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는 국가 표준의 개발을 위한 기초로서, 기존의 국가 표준과 함께 사용된다. OAIS,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는CCSD(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에 의해 책정된 것으로, OAIS의 참조 모델은 장기간에 걸쳐서 디지털 정보에의 접근(access)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데 전념하는 기록보존 시스템을 위한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이다. 참조 모델은 디지털 오브젝트를 아카이브 하기 위해 적절한 개념의 이해와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Brian Lavoie, 2000). PREMIS PREMIS(Preservation Metadata: Implementation Strategies)는 OCLC(OCLC and RLG)와 RLG(Research Libraries Group)에 의해 설립된 PREMIS Working group에서 작성된 것으로, 데이터 사전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사전은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 항목 혹은 의미를 등록, 정의한 사전이다. 데이터사전은 OAIS 참조모델(ISO 14721)을 기초로 하고 있고, 보존 메타데이터(preservation metadata)를, 디지털 보존과정을 지지하기 위해 저장소가 사용하는 정보로 정의되고 있다. 등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는 아카이브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표준을 디자인하기 위해 목적에 따른 메타데이터 표준을 선택하고 맞춤화(Customization)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으로, 다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스키마와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은 메타데이터 실행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이다. 상호운용성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시스템 혹은 구성 요소로부터 각각의 시스템의 특별한 기능 없이 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기능이다(CC:DA, 2000). 에 대한 고찰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기록 생애 주기(Records lifecycle)라는 관점으로부터 메타데이터 표준의 특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각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가 해당하는 기록 생애 주기의 처음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아카이브 혹은 보존을 위해서는 하나의 메타데이터 표준만으로 기록 생애 주... Metadata is well recognized as one of the foundational factors in archiving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sources. There are several metadata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archives and preservation, e.g. ISAD(G), EAD, AGRkMs, PREMIS, and OAIS. Consideration is important in selecting appropriate metadata standards in order to design metadata schema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a particular archival system. Interoperability of metadata with other systems should be considered in schema design. In our previous research, we have presented a feature analysis of metadata standards by identifying the primary resource lifecycle stages where each standard is applied. We have clarified that any single metadata standard cannot cover the whole records lifecycle for archiving and preservation. Through this feature analysis, we analyzed the features of metadata in the whole records lifecycle, and we clar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tadata standards and the stages of the lifecycle. In the previous study, more detailed analysis was left for future study. This paper proposes to analyze the metadata schemas from the viewpoint of tasks performed in the lifecycle. Metadata schemas are primarily defined to describe properties of a re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s of description, e.g. finding aids, records management, preservation and so forth. In other words, the metadata standards are resource- and purpose-centric, and the resource lifecycle is not explicitly reflected in the standards. There are no systematic methods for mapping between different metadata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lifecycl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mapping between metadata standards based on the tasks contained in the resource lifecycle. We first propose a Task Model to clarify tasks applied to resources in each stage of the lifecycle. This model is created as a task-centric model to identify features of metadata standards and to create mappings among elements of those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categorize the elements in order to limit the semantic scope of mapping among elements and decrease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elements for mapping. This paper proposes to use 5W1H (Who, What, Why, When, Where, How) model to categorize the elements. 5W1H categories are generally used for describing events, e.g. news articles. As performing a task on a resource causes an event and metadata elements are used in the event, we consider that the 5W1H categories are adequate to categorize the elements. By using these categories, we determine the features of every element of metadata standards which are AGLS, AGRkMS, PREMIS, EAD, OAIS and an attribute set extracted from DPC decision flow. Then, we perform the element mapping between the standards, and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ndards. In this study, we defined a set of terms for each of 5W1H categories, which typically appear in the definition of an element, and used those terms to categorize the elements. For example, if the definition of an element includes the terms such as person and organization that mean a subject which contribute to create, modify a resource the element is categorized into the Who category. A single element can be categorized into one or more 5W1H categories. Thus, we categorized every element of the metadata standards using the 5W1H model, and then, we carried out mapping among the elements in each category. We conclude that the Task Model provides a new viewpoint for metadata schemas and is useful to help us understand the features of metadata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The 5W1H model, which is defined based on the Task Model, provides us a core set of categories to semantically classify metadata elements from the viewpoint of an event caused by a task.

      • KCI등재

        국제표준 기반 토지등록 표준 모형 설계 방향

        이보미(Lee, Bo Mi),김택진(Kim, Taik Jin) 한국지적학회 2013 한국지적학회지 Vol.29 No.1

        네덜란드 주도로 그간 진행되던 ISO19152 국제표준이 2012년 말 국제표준으로 확정되어 공표되었다. 국제표준의 공표가 단순한 다큐먼트의 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네덜란드는 국제표준기반 기술의 주도권을 가지고 사회보유권모델(STDM) 등 국제표준기반 시스템을 개발하여 개발도상국 대상 해외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국제표준 기반의 표준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선택적인 사항이 아닌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뉴질랜드, 스위스, 네덜란드의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현재까지 제시된 지적 분야 모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Product 관점과 Process 관점의 표준화 대상을 모두 포용하는 통합적인 형태의 미래지향적인 토지등록 표준모형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특정 모델만을 대상으로 문헌적인 연구를 위주로 수행하여 실제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실제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Technical Model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ISO19152 international standard, led by the Netherlands in the meantime, has been publish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at the end of 2012.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a simple document published. The Netherlands having the initiative in international standards-based technology is actively promoting overseas busines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developing a system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STDM. Developing a standard model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for Korea environment is no longer an op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ases of Australia, New Zealand, Switzerland, and Netherlands. Then we analyzed the proposed model in the field of cadastre up to now in Korea. We presented the future-oriented model of land registration which embraced both kind of stardardized target for “Product” and “Process” perspective. This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presented specific model. Therefore it is needed further development for technical model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의 표준운영모형에 의한 비교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강원도 원주시 비교 -

        조주복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4

        10 years have passed after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as introduced in oder to ensur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tatus are required, but the situation is not even a standard operating model. Moreover, the confusion of trying to amend such regulations even superi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political composition of governments have been foreseen. This study presents a standard operating model based on the operational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operating status of Gwangju Buk-gu and Gangwon Wonju. Operating performance in Gwangju Buk-gu standard model became the fate of the regulations enacted in 100 municipalities nationwide model, it has been the subject of an ongoing benchmarking. In the case of Wonju, Gangwon,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this meeting due to lack of interest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n the form of operating problems may appear poorl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participation mechanisms, such as 'Regional meetings',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organizing debates and such as "public-private councils'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and executives to join together to review and confirm people's opinions in order to reflect the residents' opinions converge to the budget, will ne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by mandatory through Provincial Finance Act amendment. Second, responsible officials to attend suc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on the opinion residents proposed have to explain the focus direction and budgetary requirement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committee and participant officials. Third, we will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incentives to municipalities governments excellently operated through an assessment of the operation of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rough the substantiality and Settl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budgeting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ocal finances. 지방정부의 재정운영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운영실태의 평가가 요구되고 있지만 표준운영모델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자치단체의 정치구도에 따라 우수한 운영조례 조차 주민들의 참여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운영조례 개정을 시도하는 등의 혼란이 예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운영모델을 토대로 표준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 북구와 강원 원주의 운영 실태를 비교하였다. 표준 운명모델에 가까운 광주 북구의 운영성과는 전국 100 여개 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의 모델이 되었고, 지속적인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14년 9월 안전행정부가 전국 244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실시한 지방재정 균형집행 중간평가에서 69개 자치구중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강원 원주시의 경우 형식적인 운영으로 참여위원들의 관심부족으로 전체 참여예산위원회 위원 70명 중 전체회의에 참석인원은 1차 36명, 2차 33명, 3차 29명으로 참여율이 5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토론회 등을 주관할 수있는 ‘지역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의 참여기구와 집행부의 대표와 주민의 대표가 참여하여 수렴된 주민들의 의견을 예산으로 반영하기 위해 심의.의결하는 ‘민관협의회’와 같은 참여기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지방재정법에 명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예산제도로서 참여자인 공무원들의 관심과 시민참여위원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제안한 의견들에 대한 토론회나 설명회 등에는 반드시 담당공무원들이 참석하여 예산방향과 중점사항을 설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내실화와 정착화를 통해 지방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행정자치부에서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하게 운영한 자치단체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의미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 참조 모델

        정동원(Dong-Won Je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8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많은 표준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표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해당 표준화 기구에서는 의미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표준화 항목 및 참조 모델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표준화 문제점을 정의하고, 의미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표준화 항목 및 참조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전반적인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데이터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을 제공을 위한 표준 개발 현황을 기술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표준개발에 이용된 데이터 교환 및 관리 분야의 표준 개념을 기반으로 잠재적인 표준화 항목을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표준화 항목 간의관계성과 전체적인 의미 상호운용성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참조 모델을 기술한다. 이 논문은 표준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클라우드 컴퓨팅의 표준화를 촉진할 수 있다. Much research has been recently accomplished for standardization in cloud computing. However, little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data sharing and exchanging has been studied. Most of all, the corresponding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suggests no specific standardization items and reference model. This paper defines the current standardization problems and proposes a set of specific standardization items and a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the overall standardization trend in cloud computing is first analyzed. Especi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status of standard development for addressing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data. This paper also defines the potential standardization items based on the concepts of standards in the data exchanging and management field, which are used for developing standards in various fields. Finally, the reference model is describe to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items and overall semantic interoperability process. This paper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also can facilitate standardization of cloud computing.

      •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시 장기유출 모형의 적용 방안

        김경섭,이기영 경기연구원 2010 위탁연구 Vol.2010 No.4

        우리나라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의 경우 목표수질 설정, 오염부하량 산정에 부하량할당(WLA : Waste Load Allocation) 모델인 QUAL2E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이 모델은 어느 지점에서 일정한 유량을 가정하는 정상 부등류(steady non-uniform flow) 수질모의 모델로 기준유량, 유달율 및 비점오염원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에서 정적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유역모델의 적용성을 파악해 보며 경기도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에서 유역의 환경용량을 파악하고 소 배수구역별로 부하량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확보된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모형의 재현성은 자연현상을 모형에 최대한 구현하여야 하며 임의성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WLA 모형은 원단위 및 유달율을 사용하는 한계가 있고 장기유출 모형은 하도추적의 한계가 존재하며 각 모형의 단점은 다른 모형의 장점과 연결된다. 유역에서 배출부하량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장기유출 모형을 적용하고, 하도내 오염물추적을 위하여 WLA 모형을 적용하면 수계의 오염원 관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오염총량관리제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MDL in Korea generally uses QUAL2E, which is one of the Waste Load Allocation(WLA) models, to set up target concentration and allocation of waste load. The QUAL2E assuming steady non-uniform flow has an application limit in the field of standard flow, reaching rate and non-point sources.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watershed model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teady state model in TMDL and response of Gyeonggi-Do for utilizing watershed model was reviewed.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apply robust model in TMDL to estimate environmental capacity of watershed and load allocation of each sub basin. Robust model has to reveal real natural phenomena and low subjectivity. WLA model has limits in source unit and reaching rate and watershed model also has a limit in river routing. Advantages of one model are related to disadvantages of the other model. Application of long term watershed model for managing discharge loading rate and non-point sources and WLA model for routing pollutant of river guarantee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of TMDL.

      • KCI등재

        도메인 정보 모델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모델 레지스트리 활용방안

        최원욱,홍상기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3 No.2

        이 연구는 도시 도메인 정보 모델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델 레지스트리 활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시 정보와 데이터 공유, 관련된표준 및 표준화 활동을 검토하고, 공간 데이터 인프라(SDI)에서의 레지스트리 사례를 분석하여 도시 도메인 정보 모델 간의 정보 공유와 교환을위한 모델 레지스트리 개념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끊김 없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을 전제로 모델 레지스트리를 활용하여도시 도메인 정보 모델을 연계하는 유스케이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적 요구사항을 논의하고 프로토타입 개발을 통한 기술 구현과실증을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he utilization of a model registry to secure interoperability among urban domain information models. It reviewsurban information and data sharing along with related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By analyzing registry use cases in thecontext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 it presents the concept of a model registry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haring and exchangeamong urban domain information models. An use case linking urban domain information models using the model registry is developedwith a prerequisite of seamless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services. The paper discusses technical requirements and outlines technology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through prototype development, highlighting them as future research task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 개발연구

        이향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s a key factor in evaluating a company. Therefore, the value of differentiated service design that plans and manages touch points with customersbecomes significant, and it is gradually watching the arrival of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Servicedesign has become an element of innovation that can create value by providing users with newexperiences. In the past, the evaluation of services has mainly been performed in economics or industrialengineering. If we can extend the service to the emotional area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nd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service quality in depth, it can be used as the productcompetitive advantage test in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There are models and methodologiesthat only evaluate service quality, but there are few types of research on service design - specificevaluation models that reflects the purpose and process of service design which ‘emotional approach’and ‘various position’ are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whichindexes the value of service design.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existing service evaluation modelsand derive essential elements for service evaluation. In order to posit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of service design, the 5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are set as the guideline of qualitative evaluationfeatures of 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and Evidencing. The service lifecycle wasdivided into three stages so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design could bedistinguished, and the verification factors of each stakeholder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ere derivedthrough cross - analysis with each stakeholder group. In the case of qualitative evaluation, 5 categoriesof evaluation items are selected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The service designspecialization evaluation model, which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re reflected in basic research and planning to develop an evaluationmodel that is specialized in service design. Second, a new method to measure emotions is proposed. Thirdly, service design specific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s designed based onpracticality with consideration for practical use. In the future, I will conduct a quantitative survey anda qualitative survey of the structure designed for users who are in contact with products/servicesprovided by actual companies, and revised to the items of measurement, Service design specializedevaluation model.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is undergoing to completedevelopment of service design-specific quantitative/qualitative evaluation model. 소비자들이 기업을 평가하는 요소로 제품은 물론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층위에서 고객과의 접점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디자인의 가치가 중대해지며 서비스경영의 시대로진입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혹은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신규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혁신의 요소가 되었다. 과거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주로 경제학이나 산업공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디자인적사고(Design Thinking)에 입각해 서비스를 감성적인 영역으로 확대하여 소비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이는 서비스경영의 시대에 제품의 경쟁우위 검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단순히 서비스 품질만을 평가하는 모델과 방법론은 존재하나 ‘감성적 접근’ 과 ‘다양한 입장’이 중요한 서비스디자인의취지와 프로세스를 수용하고 반영하는 서비스디자인 평가 모델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서비스디자인 본연의가치를 지표화한 평가 모델 개발로 서비스디자인 연구의 폭을 넓히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해 본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기존의 서비스 평가모델들을 분석하여 서비스평가에 필요한 필수요소를 도출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의 5원칙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Evidencing의 단계별 특징을 인지하고 정성평가의 주요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에 입각해 평가모델의 전체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구별 지을 수 있도록 서비스 라이프사이클을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이해관계자 그룹과의교차분석을 통해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이해관계자별 검증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인 서비스디자인 특화평가모델은 첫째 디자인의 전문영역으로서의 서비스디자인에 특화된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기초연구와 기획에 서비스디자인의 특징이 반영되었고, 둘째 감성어휘에 제한되어 있던 정성평가에 고객감성을 척도화 하는 새로운 방법을제시했으며, 셋째 기업에서 실제로 활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실용성을 기준으로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이 설계되었다. 추후 실제 기업에서 제공되는 제품/서비스를 접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된 구조의 정량조사와정성조사를 실시하여 측정항목 및 측정내용에 대한 수정사항을 보완하고, 보다 정확하고 의미 있는 조사결과를 얻을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의 개발완성을위해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진행 중이다.

      • KCI등재

        이력모델에 따른 표준학교건물의 비탄성거동 연구

        제정현(Je, Jeong-Hyun),김진상(Kim, Jin-Sang),윤태호(Yoon, Tae-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논문은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비탄성해석의 신뢰도와 정확도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력모델의 특성과 구조물의 내진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표준학교건물로서 외국의 지진 가속도와 우리나라 규준에 맞는 인공지진 가속도 3가지를 건물의 장·단변방향 평면골조에 가한 후, 다양한 이력 모델을 적용하여 2차원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고 비탄성응답을 구하고 충전단력, 층간변위비, 층변위를 비교하고 힌지의 발생 상태를 분석해 이력모델이 건물의 비탄성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변방향에서는 충전 단력과 층간변위비 모두 최대값은 수정다케다모델에서, 최소값은 외국지진에 대해서는 클라프모델, 국내지진에 대해서는 강성저감 삼선형모델과 수정다케다모델에서 각각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장변방향에서 외국지진은 강성저감 삼선형모델이, 국내지진은 수정 다케다모델이 최대 충전단력을 보였고 층간변위비는 최대값은 수정다케다모델에서, 최소값은 외국지진의 경우 클라프모델에서, 국내지진의 경우 다케다모델에서 나타났다. 장변방향에서 외국 지진은 층전단력와 층간변위가 클라프모델에서 안전율을 낮게 보는 반면 국내지진에서는 수정다케다모델이 안전율을 낮게 평가하는 상이한 결과가 발생했다. The inelast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school buildings depending on selection of hysteresis models are reviewed. Three earthquake records of EI-centro, Sanla-Monica, Taft and three artificial earthquake records in accordance with Korea standard are used and the inelastic response characteristics such as story shear force, story drift ratio, story displacement, hinge distribution state are reviewed with various hysteresis models. As results, story shear force is increased by maximum 60% according to hysteresis model. And Story drift ratio is increased by maximum 42% according to hysteresis model. And The result with clough model shows the maximum hinge distribution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