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 분석: 부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황미영,박종운,이광빈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bout Specialized High Schools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stable and continuous recrui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n era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650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Busan. The sampling was conducted at 8 middle schools in 4 districts in Busan, 2 schools each. The semantic discrimination method suggested by Osgood et al.(1957)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and 11 adjective groups were selected among them, and Cronbach’s ɑ value was found to be 0.82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ferred adjective group according to gender, and male students had a stronger negative image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high school desired. Third, students who usually understand the high-quality polici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a stronger positive image. In particular, the group of adjectives that show a larg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in common in the high school type of high school desired and the high quality policies of the three Specialized High Schools is ‘unbelievable-reliable’. One of the images that greatly influences middle school students' choice to enter Specialized High Schools is trust.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해 중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령기 인구감소와 학생모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선발에 도움을 주고 아울러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정책설계에 보탬이 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부산시 중학교 3학년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은 부산지역의 4개 구에서 2개 학교씩 총 8개 중학교에서 진행하였다. 조사 도구는 Osgood 외(1957)가 제안한 의미분별법 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으며 Cronbach’s ɑ 값은 .82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형용사군의 차이를 보이는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다. 둘째, 진학 희망 고교 유형에 따라서는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에서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평소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을 잘 이해하는 학생일수록 긍정의 이미지가 강했다. 특히, 진학 희망 고교 유형과 3가지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형용사군은 ‘믿을 수 없는-믿을 수 있는’이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이미지 중 하나는 신뢰의 부분이며, 이러한 신뢰의 형성 요인은 평소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을 얼마나 이해하는지에 달려있고 자주 바뀌는 특성화고둥학교 정책에 대해 중학생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을 위한 계획 연구 -여주특성화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훈,김혜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Observations of increased developm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 that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started at a number of 1 in 1998 and have increased to 154 in 2008 and after 2012, all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tegrated as specialized high schools. By establishment type, with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80 were public schools, making up approximately 60% of all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with alternative schools, 21 were private schools, accounting for an overwhelmingly high number. Along with such chang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terest in sports is also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a preference of golf is continuously increasing within national interest. This study observes the current statuses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presents programs applicable to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ttempts to observe possibilities from planning aspects for the establishment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In particular, it observed commercialization methods and planned significance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Yeoju, and approaches are needed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facility plans that take external users into consideration, facility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within schools, and future expandability of additional facilities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design study. 특성화고등학교의 증가추이를 보았을 때 전문계 특성화고는 1998년 1개 학교로 출발하여 2008년 154개로 증가하였으며, 2012년 이후 모든 전문계고가 특성화고로 통합되었다. 설립유형별로는 전문계 특성화고의 경우 국공립이 80여개로 전문계 특성화고의 약 60%를 차지하였고 대안계 특성화고는 사립이 21개 교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 특성과 함께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골프 등에 대한 관심은 국민적 관심속에서 지속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골프특성화고등학교의 현황을 살펴보고, 골프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여주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과정을 통해 사업화 방안의 절차와 계획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외부이용자들까지 고려하는 시설계획과, 학교 내에서의 시설 접근성, 이용성, 그리고 향후 추가적인 시설의 확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설계형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김영훈,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right concept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identify recogni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analyz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in Korea. Using random sampling technique, 50 classes of 61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used Semantic Differential(SD) suggested by Osgood(1957). SD consisted of a number of adjective pairs, finally, this study used 11 adjective pairs to have validity. 1,198 out of 1,441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 return rate of 83.14%),among which 93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Wi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igher average is female students’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an male students’ tha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only 20% that receive career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3. They have positive images who hope for going on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education than the others. 4.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becaus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y have the more possitiv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more know it, to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혁,지순덕 대한공업교육학회 200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on the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and conducted a survey of chief teachers of Practical Art Subject and heads of each subjects in 32 specialized high schools in district about the system reform of vocational high school, promotion of characterization for each subject, modification of curriculum, reinforcement of direction guide, of which results were analyzed. Also, another survey of small and middle business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for industrial businesses in Chungcheongbuk-do and specialized abilities required by companies. Through the study, the reform of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more focus on educating application of a computer and the basic abilities in foreign language at the request of industry. Second, If more than 80%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go to junior colleges or universities,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reform their operation like general high schools. Third,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expand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 for neighboring industry to raise employment rate. Fourth,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hould reform their courses which can provide students with fundamental knowledge to work in industry related to BT and IT, as Osong medical complex and Ochang IT industrial complex are expanding gradually. Fifth, Employees in companies should be applied as guest teachers, and the principal should have a right to autonomy to operate their own curriculum. Sixth, 5 years rotation system for public schools should be revised to more than 10 years rotation system for special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fore, teachers will have ownership of the school by the revised system.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내 기업체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내 32개 전문계 고등학교 실과부장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과 특성화 추진, 교사 교육, 교육과정 개편, 진로 지도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내 산업체의 인력 수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 능력 조사를 위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를 통하여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은 외국어 기초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더욱 치중하여 교육해야 한다.둘째, 인근 산업체와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더욱 확대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 켜야한다.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 중 80% 이상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진학할 경우 전문계 고등학교를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네째, 오송 의료 단지와 오창 IT 공업 단지의 확장에 대비하여 BT, IT 관련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학과로 개편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산업체 직원을 초빙 교사로 활용하고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을 주어야 한다.여섯째, 공립학교 5년제 교사 순환 근무제를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학과에서는 10년 이상 근무로 바꾸어 그 학교의 주인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 조사 분석

        김민웅,김태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sonality level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study objective for this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per background variable and personality level of students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per background variable and personality level of students of industrial-field Meister high schools.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personality level above normal in all 10 virtues, but this value fell short of the average for high school students suggested in Hyeon et al(2014). Second, students of industrial-field Meister high schools showed personality level above normal in all 10 virtues, and compared to the average for high school students suggested in Hyeon et al.(2014), categories of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manners, honesty/courage, and justice showed values below average. Third, students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showed differences in personality level according to nurturing style of parents, respect for teachers, stres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and additionally, students of Meister high schools showed differences in personality level according to career plans. That is, when the student perceived his/her parents to put higher value on his/her happiness rather than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 student respected the teacher, and when the student was more satisfied with te school life, the student showed higher personality level, and in case of students of Meister high schools, the student with detailed plan for his/her career showed high personality level than the student who has not yet decided on his/her career.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성교육과 추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목표는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 및 배경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체 학생인 162,075명이며,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각각 500명, 총 1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는 현주 외(2014)가 개발한 설문 도구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이에 요인분석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설문 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은 10개 덕목 모두에서 보통 이상의 인성 수준을 나타냈지만 이는 현주 외(2014)에서 제시한 고등학생 평균치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다. 둘째, 공업계열 마이스터고 학생은 10개 덕목 모두에서 보통 이상의 인성 수준을 나타냈고, 이는 현주 외(2014)에서 제시한 고등학생 평균과 비교했을 때 배려·소통, 예의, 정직·용기, 정의 영역에서 평균치 이하의 수치가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은 부모의 가치관, 교사 존경 여부, 성적 스트레스, 학교 만족에 따라 인성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마이스터고 학생은 진로계획에 따라 인성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가 자신의 성적보다는 행복을 더 중시한다고 생각했을 때, 교사를 존경하는 학생이,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학생이 더 높은 인성 수준을 보였고, 마이스터고 학생의 경우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에 비해 구체적인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있는 학생이 더 높은 인성 수준을 나타냈다.

      • KCI등재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한영희(Younghee Han),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The level of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science motivation was investigated and some of them were interviewed to get their specific thoughts about science and its class in this study . It is also conducted with the aim of looking for ways on how to support them in the learning of the aforementioned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test for the nature of science, SUSSI, and the test for the science motivation, SMQⅡ, were conducted to the second year students of th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They are 171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235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the two schools in regards to all the nature of science. However, in the subfields: the observations and the inferences and the changes of scientific theories, the opinions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ere noticeably higher than those of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shown to be more likely to be viewed as experts in the subfields of scientific theories and law. Whereas, in the aspect of the science motivation,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a meaningfully lower level than tho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Qualitativ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for 20 focused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howed that their low science motivation was caused by their refusal to learn difficult scientific term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cience, and awareness of the relevance between the major and the cont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Thus, to improve their motivation and nature of science itself, the basic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he major is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cience text books used in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본 연구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의 과학 학습 지원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 동기 수준을 조사하고, 과학과 과학 수업에서 갖는 구체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지방에 위치한 C농업계 특성화고 2학년 171명, D일반계고 2학년 235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 검사(SUSSI)와 과학 동기 검사(SMQⅡ)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의 본성 전체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과 일반계고 학생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영역인 관찰과 추론, 과학적 이론 변화는 일반계고 학생의 전문가 견해가 높았으며, 과학적 이론과 법칙은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 전문가 견해가 높았다. 과학 동기에서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이 일반계고 학생 보다 낮은 과학 동기 수준을 보였다. 농업계 특성화고에 재학중인 20명의 초점 학생들을 선별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질적 분석한 결과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은 어려운 과학용어, 부족한 개념 이해 수준, 전공과 과학 교과 내용 사이의 관련성을 인지 하지 못하는 점 등으로 인해 낮은 과학 동기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낮은 과학의 본성 영역을 함양시키고 과학 동기를 높이기 위해 전공과 관련한 기초 과학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농업계 특성화고에서 사용하는 과학 교과서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야구 특성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광호,김주일,김수래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4

        본 논문은 한국에서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에 관한 연구로, 야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야구특성 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 결과 한국에서 야구학 교 설립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한국에서 야구발전을 위하여 야구장 시설 및 인프라 확충이 요구되 며, 향후 야구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TFT를 구성하여 국공립 또는 사립의 형태로 야구 특성화고등 학교와 야구대학교를 설립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야구학교는 기존 학교 부지를 활용하여 국립이나 사립의 형태로 야구특성화고등학교와 야구대학교를 한 캠퍼스에서 양립 하는 형태로 설립하면 한층 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야구특성화고 등학교는 야구선수를 양성하는 기본적 과정뿐만 아니라, 야구와 관련된 다양한 자격증, 외국어 교육 과정, 야구와 관련된 제4차 산업과 연계된 교육과정을 함께 개설하여 운영하게 되면 명실상부한 야 구특성화고등학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에서 야구를 좋아하고 야구경기를 직접 관람하는 사람일수록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에 진학해야 하는 중학생들은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선행연 구와 실증분석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에서 야구특성화고등학교 설립이 필요하고, 제4차 산업 과 연계해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면, 다양한 야구학습자들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in Korea.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baseball,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was suggested, and the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necessity of it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In light of the prior research, the followings ar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in Korea and its establishment plan. Firstly, the synergy effect is expected when a baseball school is compatible on one campus in a national or private form using the existing school site. Currently, there is no university with a baseball department, and Hoseo University is the only one that has a baseball department in th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There is no high school with a baseball department, but it tends to have more departments related to golf, dance, baduk, and tourism. it is suggested that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s operate in 3 to 5 classes per grade, and colleges run for the second year. Secondly,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s provide not only the basic course of cultivating baseball players, but also the course of cultivating physical education leaders such as baseball coaches and trainers. As the schools even have a curriculum related to qualification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ourth industry related to baseball, they will be regarded as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s. Finall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it was found that those who like baseball and watch baseball games in Korea show a positive position in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ve played as a member of society baseball team or have participated in baseball supporters did not show a strong position in establishing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eball specialized high school in Korea, and if a curriculum is opened and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th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of baseball learners can be satisfied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 분석

        김민웅,조한진,위선복,김태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goals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follows. Firstly,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s to be analyzed. Secondly,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Meister high school is to be analyzed. Thirdly,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Meister high school are to b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entity theory propensity for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d an incremental theory propensity for creativity and exercis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depending on the career planning, sex, and the grades in school. Secondly, the students in the Meister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incremental theory propensity in every area.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depending on the career planning, sex, and the grades in school, like the above mentioned case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school. Thirdl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howed a significant results in all the areas of creativity, intelligence, exercise, and personality and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entity theory propensity compared to the ones in the Meister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을 분석한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을 분석한다. 셋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선행 연구 고찰 및 내용 타당도 검증, 요인 분석, 신뢰도 검사를 이용하여 설문 도구 제작을 실시하였다. 이후 완성된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각각 500명의 학생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 및 미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뒤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402부, 마이스터고 38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경우 지능과 성격에 대해서는 고정 이론 성향을 갖고 있으며, 창의성과 운동에 대해서는 증진 이론 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의 배경 변인별 암묵적 이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 계획 유무, 성별, 성적에 따라 암묵적 이론 성향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증진 이론 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과 마찬가지로 배경 변인별 암묵적 이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 계획 유무, 성적에 따라 암묵적 이론 성향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창의성, 지능, 운동, 성격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마이스터고 학생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이 고정 이론 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SWOT 기법을 활용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사례 연구

        장민수,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strategy using SWOT technique in order to meet change industrial need. At the time of this study,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 Specialized High School has not met the demand of the manpower needed by the industry. To let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ind its identify as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engineering and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in the long term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 Specialized High School. Secondly, we conducted a survey and an interview about the school employees and the parents on the restructuring of ◌◌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and the renaming of the course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deduced the utilization strategy based on SWO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o be more beneficial for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ocus on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courses’ specialty and awareness by renaming the courses rather than to completely restructure the current curriculum. In conclusion,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small school, it is desirable to be transformed into a characteristic ◌◌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provides the specialized curriculum of industrial departments to education demander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as an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the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between departm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지역의 산업수요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SWOT 기법을 활용한 전략을 바탕으로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진행 시점에서 ◌◌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존의 교육과정은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 특성화 고등학교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찾고 장기적 으로 학교의 발전을 기대하기 위해서 첫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 실태 와 현황을 분석했고, 둘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과 학과명 변 경에 대해 교직원들과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를 SWOT 기법에 의한 활용 전략으로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 특성화고등 학교는 현행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기보다는 학과명을 변경하여 학과의 전문성과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소규모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요자들이 바라는 공업계열 의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학과 간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해 ◌◌ 특성화 고등학교가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