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의 상호성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토대로 지아장커의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에게 있어서 공간은 인간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남과 관계를 맺어서 형성된 사회적 질서이다. 남과 관계를 맺는 것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공간은 탄생한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인간(몸)의 역할과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이다. 이에 대해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과 사회적인 것을 연결시켜준 것은 바로 인간의 실천(몸짓)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몸은 사지를 지배하는 ‘대량 에너지’와 뇌가 주도하는 ‘미세에너지’를 통해서 사회적인 것과 공간을 연결시키며 생산한다. 영화는 배우(인간)의 행동으로 사건(사회적인 것)과 장소(공간)를 연결시켜줌으로써 사회적 현실을 재현한다. 이처럼 영화의 사회적 현실의 재현방식과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은 어느 정도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지아장커의 영화속 몸과 공간의 관계성을 입증하는 데 있어 르페브르의 공간담론은 매우 적절한 분석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rl반으로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사회적 현실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賈樟柯)의 <세계(世界)>(2004),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무용(無用)>(2007), <24시티(24城記)>(2008)이라는 다섯편의 장편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을 토대로 그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 사이에 내재된 상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Jia Zhang-ke’s films based on Henri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For Lefebvre, space is a social order formed by connecting with others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of humans. Because it is social in itself that meets relationships with others, space and society are naturally combined and social space is born. so I want to reveal through this paper is the role of human beings (body) in producing social space and the reciprocity of body and space. According to Lefebvre, it is human practice (body move) that connects space and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human body connects and produces space with social things through “massive energy” that dominates the limbs and “fine energy” led by the brain. The film reproduces social reality by linking events (social) to places (space) with the actions of actors (human beings). As such, it is somewhat similar to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to the way movies reproduce their social reality. Therefore,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apply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to movie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Chinese sixth-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s < World世界 >(2004), < Dong東 >(2006), < Still Life三峽好人 >(2006), < Useless無用 >(2007) and < 24city24城記 >(2008) approaches to Chinese social reali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1978. Based on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he will be able to analyze in depth the inherent reciprocity between the body and space reproduced in his film.

      • KCI등재

        해방기 공간 상상력의 전이와 ‘태평양’의 문화정치학

        장세진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6 No.-

        With the break up of old empire territory, the migration of people in large scale to Korean peninsula and demarcation of the 38 line by world political situation, a matter of space has come up to the surface in ‘post-colonial’ period. It is worth of note in terms that modern nation state is not completed until it occupies the exclusive national territory. During this period,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 things in spatial discourse produced in south Korea was a rediscovery of the sea or ocean and it went through the cultural political procedure. It was made to give a new significance. In colonial view about Korean history, the being of peninsula is regarded to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by which Korean history has been always depended on other countries. But in this ‘Post-colonial’ period, it has become to be taken geographical benefit by which Korea can make connection with both continent and ocean. But after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government under 38 line, the affinity to ocean has been much emphasiz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inent. And The sea is devided into <the territorial waters> and <the open sea>. The one is the place where the sovereignty of modern nation state has its validity, and the other belongs to all nation state in principle. Within this process, this article has found that the Pacific obtains new meaning in contrast to colonial period. The momentum of new meaning comes from three directions. First, New discourse of the Pacific has broken the old connection of <The great Asia(Japan)- Pacific ocean> in ealry 1940's. And it makes a new connection of <America-Pacific ocean> as the place where the Democracy gains its victory in the end. Second, The Pacific is settled into the narrative of honorable origin as the holly place where the fight for Nation's independence has taken. Simultaneously, the Pacific ocean has correlation with the narrative of suffering during the Pacific war. So it has been located in the middle at the network of meaning that has has been colored by the Nation state discourse. Finally, the most dramatic signification of the Pacific begins with the Cold war which has been accelerated after the communization of China in 1949. The sign of the Pacific -where many poor countries are located- has been changed as the place to be preserved in the competition of USSR in the terms of bloc theory. The Pacific was regarded as <the sea of race> before no more than several years. But it quickly gains new meaning as <the sea of ideology>. In a word, the Pacific was the sign connected directly America as a global power which make the new spatial order of East-Asia after 1945, so called ‘Post-colonial’ world. 구(舊) 제국 권역의 해체와 조선반도를 향한 대규모 인구의 이동, 그리고 국제 정세에 의한 38선 획정 등 탈식민 상황에서 부상하게 된 일련의 공간(성) 문제는 근대 민족/국민국가 일반이 배타적인 공간 점유를 통해 비로소 성립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1945년 8월 15일 직후의 ‘탈식민’ 조선과 1948년 남한 단정 수립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기획의 자장 안에서 생산된 공간 담론의 커다란 특징 중 하나는, 이 과정에서 해양이라는 공간을 재발견하며 이를 새롭게 의미화하기 위해 상당한 문화적 공정을 수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식민주의 사관에서 대륙 세력도 해양 세력도 아닌 조선의 반도성이 한국사의 타율성을 결정하는 요소였다면, 탈식민 시기 ‘반도성’은 대륙과 해양 양 방면으로의 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지리적 유리함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남한 단정 이후 반도의 대륙성보다는 해양성이 보다 현저하게 선호되었으며, 동시에 바다는 철저히 국민국가의 주권이 행사되는 <영해>로서의 바다와 국민국가들이 공유하는 <공해>로서의 바다로 구획되어진다. 이처럼 영해/ 공해라는 국민국가식 영토 개념을 통해 바다를 구획화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의미화된 공간이 바로 ‘태평양’이다. 의미화의 계기는 크게 세 방향인데 첫째, 탈식민 직후 남한에서 생산된 태평양에 관한 언술들은 1940년대 초반의 <대동아(일본)-태평양>의 의미 연관을 해체하며, 민주주의가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 장소로서의 <태평양-아메리카>의 새로운 연관을 구성한다. 둘째, 태평양은 민족 독립 운동의 거점 장소라는 영광의 기원 서사와 관련되는 동시에, 과거 태평양전쟁에의 동원이라는 불행의 수난사 양자 모두와 관련됨으로써 철저하게 국민국가화된 의미망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태평양 기호의 보다 극적인 의미화는 1949년 중국 대륙 공산화 이후 본격화된 냉전과 더불어 시작된다. 진영론의 관점에서 많은 제 3세계 국가들이 위치한 태평양은 소련과의 체제 경쟁에서 지켜내야 할 장소로 표상되면서 불과 수년 전의 <인종의 바다>에서 <이념의 바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었다. 요컨대, 이 시기 태평양은 1945년 이후 동아시아 일대의 공간 질서를 재편하게 만든 전 지구적 권력으로서의 아메리카와 직결된 기호였다.

      • KCI등재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공간재현 방식과 그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일 고찰

        황인성(Insung Whang),남승석(Seungsuk Nam),조혜랑(Hye-rhang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4

        오늘날 한국전쟁과 관련해 한국인들의 기억에서 고착된 의미를 가진 역사적 공간인 공동경비구역은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1953년 휴전하기 까지 2년여 동안 그리고 6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한반도의 전쟁과 분단으로 생성된 공간이다. 본 연구는 영화 〈공동경비구역JSA〉(2000)사례연구를 통해 이러한 한국 전쟁의 역사적 공간이 영화 미학적 장치를 통해서 어떻게 영화적인 공간으로 구성되고 어떠한 상징적 함의를 가지는지 고찰한다. 본 연구는 특히 영화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드러나는 주요 세 공간인 비무장지대와 공동경비구역, 그리고 북한군 초소를 각각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적 공간으로 개념화하고 이들이 제시하는 상징적 의미들이 한국 전쟁과 분단에 관한 우리의 집단 기억과 관련해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사례 분석에 앞서 우선 판옵티콘과 헤테로토피아 등을 중심으로 하는 푸코의 공간 담론 논의와 영화적 공간 구성 관련 논의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인 개념으로는 영화적 장치들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은 영화 〈공동경비구역〉에서 구성된 ‘과거’ 및 ‘현재’적 공간이 전쟁 후 고착화된 남북간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재확인하는 상징적 의미를 드러낸 반면, ‘미래’적 공간은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초월해서 ‘공동경비구역’을 탈이념화하고 탈정치화시켜 우리 사회에 고착된 공적인 기억을 변형시켜 대항기억의 단초를 제시함을 논의하였다. As an ideologically loaded space, JSA(Joint Security Area) within DMZ(De-Militarized Zone), not only symbolizes the suspension of Korean War, but also reminds of us the tragedy caused by the country’s de facto partition for over sixty years. This study analyzes Chan Wook Park’s South Korean division film, Joint Security Area JSA(2000), arguing that the film put it into practice that the context of specific ideological determination is constructed with the cinematic apparatus through spatialization. This article categorizes spatial representations of the historical space in the film into three major symbolic implications; Past(Korean War, DMZ), Present(Suspension of War, JSA), and Future(unification, North Korean Guard Point). Textual analysis and Michel Foucault’s spatial discourse (Panopticon and Heterotopia) are thus implied in the discussion. We suggests that Joint Security Area JSA discerns the spatial discourse to transgres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space; formation of Heterotopia to evoke emerging discourses of new Korean identity,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counter-memory.

      • KCI등재

        광장의 권력과 기억 공동체 - 5·18 담론 공간의 장소성 변형을 중심으로 -

        최혜경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5

        This writing began with an idea of the tool-like value of the square as a place for public discourse. First, autonomous deterritorialization is achieved through a ration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actical need and desire of the space user. On the other hand, re-territorialization by batting average is based on the political merit or a rational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economy. This paper focuses on these two gaps that will emerge when the square as a discourse space of the city changes in terms of material structure and abstract perception. The area of former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located in Gwangju is tangibleevidence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isolation and resistance of Gwangju May 198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y. In addition, it is a space that carries a thesis that can bring the experience of the place to the level of human political dilemma. On the other hand, is also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place of memory struggle in which opposing confrontation of spatial memory is incorporated while being incorporated into political re-territorialization, when the occupation of space is completed and the positionality of the place is changed by the dominant system of political power. Therefore, this article, I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collective identity experiencing the reconfiguration of emotion and consciousness while accepting new abstra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physical space. Considering the restructuring of the area of former Jeonnam provincial office centered on the Asian Culture Center, urban malpractice resulting from the loss of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memory struggle over space power can be said to be the experience of ‘death of transformed space’ or ‘mechanical objectification of cognition’. This shows that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space is not solely caused by requiring or changing the perception of space users. In order for the cultural city space including the ACC to function as a base for the regeneration of the city and cross-social communication, the process of bringing in the daily routines of the space users on the unfamiliar terrain and the objects that have been transplanted into the space should be followed. After all, Gwangju’s 5·18 discourse space must be return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and remembered it. So it will be memorized and memorized again, or in another form, and it will be able to create the value of another exchange with the memory of its solidarity. 이 글은 공적 담론의 공간으로서 광장이 지녀온 도구적 가치에 착안하며 출발하였다. 도시의 광장은 행정적·문화적·경제적 측면에서 실체의 확인과 교류, 의식과 의견의 소통 이 이루어지는 일종의 마당이었다. 이 글은 도시의 담론 공간으로서 광장이 물질적 구조 와 추상적 인식의 측면에서 변화하게 될 때, 공간 이용자의 필요와 욕구에 근거한 자율적 탈영토화와 합리적 이해나 정책적 당위 등에 의해 타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재영토 화 사이의 비판적 경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공간 변형에 있어, 그 공간을 실제 일상 속에서 이용하며 그 곳이 지닌 역사·문화적 장소성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구성해 온 공간 주체의 자발적 동인과 자율적 구상이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의 폐해와 대안점을 논구하고 자 했다. 광주의 구 도청 일원은 1980년 5월 광주의 고립과 저항을 당사자적 관점에 의해 이해할 수 있는 유형(有形) 증거물이다. 또한, 한 장소의 경험을 인간의 정치적 딜레마의 층위까지 끌어올려 상기시킬 수 있는 테제를 담지하며, 그와 관련된 수많은 담론을 역사 적 자산으로 환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공간이다. 동시에, 공간의 점유가 완성되고 국가나 지방의 정치권력 지배체계 혹은 분파적 이해관계 등에 의해 그 장소성이 타율적 으로 변이되는 경우에, 정치적 재영토화에 편입되는 한편 공간기억의 대항대립이 이루어 지는 기억투쟁의 장소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한 구 전남도청 일원의 재구성 사례를 볼 때, 공간 권력을 둘러싼 기억 투쟁의 과정에서 주체성의 상실이 가져오는 도시적 병폐란 ‘변형된 공간의 사화(死化)’ 또는 ‘인식의 기계적 사물화(事物化)’를 경험하는 일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공간의 장소성 변형이 단지 공간 이용자의 인식 변화를 요구하거나 강제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집단 적 정체성이 물적 공간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추상적 정보를 수용하면서 감성과 의식의 재구성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5·18 담론 공간, 즉 구 전남도청 일원의 변화 사례를 통해 살펴보기로 하였다.

      • KCI등재

        네트워크 도시론과 들뢰즈 공간철학의 잠재적 순환에 관한 연구

        임기택(Lim Ki-Taek)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6

        Gill Deleuze is a philosopher who has been influenced on the modeling, cinema, and mental world. High evaluated his philosophy and thinking makes a creative and insightful analysis on postmodern and Post-marxian society with peculiar ontological vision and words and his way of thinking is mostly agreed with many schola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e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network city discourse and Deluezian thinking. Threfore, To analyze The network city discourse and Deleuze's thiking could be core understanding to figure out the right direction of network urban system in the future. The ontology of Deleuze is based on the duration(duree) and could be said as a change and creation by arrangement and placement of relationship from virtuality. This is also very close to the network city discourse. The Network is relatively based on the circulation of the capital system which is the continual actuality from virtuality for stability and expectability. This characteristics can be analysed by comparing with clusterization and governance which can make the difference and divergence. The ontology of Delueze can be summarized as a Post-marxist theory which can be explained with evolutionary element circulating from virtuality to actuality permanently in the concept of duree(duration). This can be confirmed with the network city discourse which can be analyzed with inter-supplimentative relationship together. Network takes process of grafting with escaping elements for change among the capital which can be actualized with the predictable and stable things. In this process, what is important is the divergence as a dynamic for the capital circulation. That is not just the accumulation and arrangement but the creative and divergent relationship which can be converted into dynamics for capital circulation interacting together. That is also similar with that of modeling with virtual circulation.

      • KCI등재

        생태공간의 지리적 상상과 녹색 오리엔탈리즘 -환동해(環東海) 원주민 문화표상을 중심으로-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본 논문은 현대 동(북)아시아(환동해지역) 문화 속에서 생태적 삶의 전형으로 자리한 변방의 원주민 형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동아시아인의 생태공간에 대한 지리적 상상과 그것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Green Orientalism)의 응시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발전 오리엔탈리즘(Development Orientalism)을 환경적으로 전유한 시각이다. 정치적인 발전 오리엔탈리즘은 빈곤하고, 미개하고, 전통중심적인 남(Global South)에 대해 근대화되고 과학적이고 민주화된 북(Global North)으로 공간분할을 위계화하고 이를 정당화한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이러한 이분법을 뒤집어 저개발 지역이 생태적 보전지역이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녹색 오리엔탈리즘 역시 정치적 오리엔탈리즘과 마찬가지로 중심부로부터 밀려난 주변부 지역에 대한 공간 분할을 문제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더욱이 남과 북의 거시적 공간 분할은 각 사회의 미시적인 공간 분할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원주민은 생태학적으로 가치 부여되며 동시에 근대 문명의 바깥으로 주변화 되는 포함과 배제의 이중 과정에 포섭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00년대 대중 미디어가 생산하고 있는 ``원주민`` 문화 표상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의 의미와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대상 지역은 동아시아에서 생태공간으로 부상한 환동해지역, 특히 한반도의 북방, 즉 옛 만주와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이 지역은 원시림과 초원이 발달해 있으며, 대체로 경제적으로 저발전 지역이 많다.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 환경파괴 심화로 인해 이들 지역은 새로운 생태적 보존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 변화는 동아시아 생태담론이라는 사상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본고는 한국, 중국, 러시아 다큐멘터리 작품을 중심으로 원주민 문화 표상을 추출하고, 이러한 문화 표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생태담론의 논쟁적 차원을 면밀히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ereotype of the indigenous people`s images and to explain its sociocultural meaning in East Asia (East Sea Rim). In connecti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most of mass media has mainly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natives have maintained their own ecological culture from the primitive to the present in the border areas. There have been the coherent geographical imagination where the indigenous people live in. In other words, this thought means that they are mostly uncivilized until now. That`s why the nature in the undeveloped borderlands is considered as better-preserved than in the developed core city. Especially the realistic spectacles of the nature produced by the mass media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visible resources to verify it. Needless to say, the mass media contributes to reconstruct the conven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he hierarchy between the urban modernity and the primitivity (civilization and savage). To put it another way, re-discovering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indigenous culture means finding alternatives to recover the ecosystem destroyed by the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ltimately, what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emphasize is rethinking ab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However, ``the subject`` who can estimate and preserve the value of the nature is not the indigenous people but the civilized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representation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orientalism, called ``green orientalism``. Therefore, even though green orientalism fosters awareness of green issues, it is still based on the ``development orientalism`` producing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hierarchical division of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In this view, I would like to show sociocultural meanings of representing the indigenous people in the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 KCI등재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Bo Ae Chun(전보애)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GIS를 활용한 수업이 공간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담화분석방법과 사례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6회에 걸친 GIS활용 수업에서 학생들이 주고 받는 대화를 녹취하여 수집하였다. 개별 학생들의‘발화가 수행하는 행위’(언어학의 화행론상의 행위, 담화분석의 최소단위)를 확인하고, 이를 다시 담화의 내용을 기준으로 공간적 사고 및 지리적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담화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로 저차 공간적 사고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중간 정도의 공간적 사고능력을 보였으며, GIS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공간적 사고를 나타내는 적절한 용어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것이 지리수업이 아니라 환경과 관련한 생물 수업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학생들의 공간적 사고가 GIS를 활용한 수업의 결과임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앞으로 학생들의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도구로서 GIS를 활용한 수업과 지리교육에 함의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using discourse analysis along with a comparative three-case case study method. A series of curricula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n 8th grade classroom for a semester. The data collected consist of the dialogue transcripts of six consecutive GIS-integrated lesson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ves (speech acts) used by each student and to classify discourse content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Based on three individual case studies, a cross-case study was performed to uncov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contexts. The empirical evidence from discours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appropriate terms representative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although students appeared to possess primarily lower-order spatial abilities, followed by a moderate-level of spat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the unit was implemented in a biology class rather than a geography class the result reflected the fact that the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were attributable to the GIS-integrated lessons. Thus, the result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GIS-integrated lessons and geography educa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 KCI우수등재

        현대 건축가의 신체 담론에 나타난 공간성 비교 연구 : 안도 다다오와 스티븐 홀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ories and works of Ando Tadao and Steven Holl

        길성호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4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ity shown in the discourse of Ando Tadao and Steven Holl on body(shintai) through their theories & works.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their spatiality means 'topoi' which is experienced though body(shintai) based on the integration of body and mind. This spatiality appears in various terms such as sentiment-fundamental space, the interstitial zone, and temporal non-continuity in spatial experiences(Ando Tadao), and phenomenal experiences of space, the indeterminate in between, and phenomenal spatial field(Steven Holl). Especially the new features as the interstitial zone and indeterminate are connoted in the discourse of body(shintai)-spatiality which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body(shintai). and they are also specified by means of various design devices such as the spatial displacement by circuitous route, the wall as territorial delineation, and phenomenological of nature and light. And I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of permeation into space(how to saturate architectural space)as the means of new approaches to designing.

      • KCI등재

        On spatial nouns and adpositions in Mandarin

        ( Francesco-alessio Ursini ),( Haiping L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8 언어와 언어학 Vol.0 No.8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discuss data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Mandarin spatial nouns and adpositions. It is shown that spatial nouns can also participate in constructions usually including prepositions, and postpositions or “localisers” (e.g. Basic Locative Construction, discourse ellipsis, locative inversion), mediated via the presence of the possessive marker de. An account of these seldom discussed data is offered, based on Lexical Syntax. The core proposal is that adpositions and spatial nouns can combine to form adpositional phrases. However, spatial nouns have morpho-syntactic properties restricting their distribution in these phrases, which is akin to those displayed by postpositions/localisers. Therefore, spatial nouns and localisers can be better conceived as sub-types of a “place word” nominal category.

      • 희학적 대화의 담화 공간의 성격과 함의

        김현주 ( Hyun Joo Kim ) 시학과 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24 No.-

        The dialogic joke of Korean family novelwhich are performed in daily dialogue of stepmother, aunt, brotherhood and sisterhood, intimate friend etc., are deviated from the linear track of novel`s event and situation. It is lacked of temporal tension, and is formed of a sort of spatiality ironically. This discourse spac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discourse situation of vertical analogy by temporality that contribute to the plot of family novel for the most part. The discourse of vertical analogy by temporality tends to produce confucian ideology, ideal solemnity, historical determinism, confucian dogmatism, and espicially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patriarchal system. But the spatiality formed of the dialogic joke of family novel is a deviation from such temporality. It is a question and doubt about the confucian ideology and patriarchal system. That spatiality breaks with historical determinism and fatalism attached to temporality. It raises a question contingency against inevitability, uncertainty against certainty, circumference against centricity, flexibility against rigidity etc. These are fictional virtues of the spatiality of dialogic joke of Korean family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