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김석완 ( Suk Wan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지금까지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메논』까지를 초기대화편으로 설정하고 이 대화편들을 관통하는 일정한 패턴을 탐구함으로써 사람들에 대한 캐물음과 검사를 통해 혼을 염려하고 사람들을 도덕적 삶으로 이끄는 소크라테스 방법론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초기대화편이 허구적 성격을 띤 문학적 창작의 산물이며 따라서 역사적 소크라테스를 회상하고 그의 실제 모습을 객관적 기록으로 남기기보다 플라톤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비교적 사실적인 기록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유일하며 나머지 작품들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그 상속인을 자처하는 플라톤의 사유가 혼재되어 그 경계를 확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자는 초기대화편이 문학적 허구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초기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유와 철학 방법론을 구분할 수 있고 또 마땅히 구분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역사적 소크라테스와 등장인물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을 구분하지 않고 무원칙하게 혼재시키는 오류를 비판하고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실존적 방법`으로,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을 `전문가적 방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ocrates` elenchos. The research into elenchos up to the present has been based on the unverified hypothesis that Plato`s dialogue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historical documents about Socrates. It would have been thought that one can find out the substance of the Socratic method, if one investigated a regular pattern through the earlier works. But Charles Kahn puts forward the claim that Plato`s earlier writings are a fictional form in which there is no reason to look for the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Socrates are a literary fiction, and in which Plato intended to develop his own philosophy instead.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only one document about the historical Socrates is just Apology. I`ll try to reconstruct elencho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the historical Socrates, criticizing the misinterpretation to mix Socrates` with Plato`s method imprudently. In Apology Socrates insists that he has no wisdom about good life and the unexamined life, however, is not worth living. He obviously has a few of standards to which he appeals in making his examinations of others: his interlocuters must say only what they believe; the discussants must agree on the moral proposition of Socrates-one must not in any circumstances do wrong; eventually he examines their lives. Socrates is interested, not merely in the truth or falsehood of what people say or believe, but rather in the ways in which they live. This examining method of life is called elenchos, the practical method which aims at perfection of the Self through anxiety about soul and care for the Self. Elenchos is not a systematic but a very individual method which is appli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history and character differently. I will call it `existential method`. Plato identified oneself as the heir of Socratic philosophy, but had to solve its dilemma at the same time. He needed to bridge the discrepancy between his ignorance of wisdom and his moral belief and practice on the one hand, to develop the personal and unsystematic method of Socrates on the other hand. Plato proposed craftsman`s method as an alternative of his individual method, succeeding the Socratic life to search for wisdom. As trainer and doctor care for bodily health by m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so Plato`s method needs a specialist to care for health of soul with his moral knowledge. This method had already been conceptive for the dialogues of definition which announce the idea of the good as nature and essence of virtue.

      • KCI등재

        소크라테스 재판의 재구성 -예비적 연구 1 -재판관련문헌의 역사성-

        박정관 ( Jeung Gwan Bag ) 안암법학회 2011 안암 법학 Vol.0 No.34

        Socrates was tried and executed by an Athenian Court in B.C. 399. Ever since, the trial of Socrates was an continuously inspiring thema for most intellectuals including philosophers and historians. Why was he convicted? Was he actually guilty or innocent(in legal or philosophical sense)? Socrates was found guilty, but his hubris defense caused the jurors to sentence him to death: judicial suicide rather than judicial killing. The aim of my study is to reconstruct the trial of Socrates in legal and historical contexts. There is the changing ideological explanation of the contexts of Socrates` trial. First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historicity of the Socratic sources. As well known, Socrates wrote nothing, but we have many Socratic dialogues delivered by his disciples. As for the trial of Socrates we have three reliable sources of documents. The value of Plato`s and Xenophon`s writings about Socrates has been disputed since 19th century as a historical source for the philosophy of Socrates. Many believes that Plato`s Apology provides a accurate historical Socrates than his other dialogues. Xenophon`s philosophical inability provides rather than prevents a solid evidence for the attempt at reconstructing of trial of Socrates. Aristophanes` Clouds offers also a reliable historical source, because it was published during Socrates` life-time. But he describes Socrates as a natural philosopher and sophist. The plausible interpretation is, Clouds provides authentic portrait of the historical Socrates in his mid-life.

      • KCI등재

        소크라테스, 삶이 되는 윤리와 예술이 되는 삶

        조수경(Jo, Su-Gyo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본 논문은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관통하며 플라톤의 색을 탈피한 소크라테스 즉 “소크라테스의 소크라테스”를 탐색한다. 연구자들은 플라톤 초기의 저작들 특히 그 중에서도 “소크라테스의 재판”이 가장 소크라테스적인 모습이 담긴 텍스트라고 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존적이고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와 함께 그의 논의를 뫼비우스의 띠처럼 엮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 자신이 단 한권의 저작도 남기지 않았고, 플라톤의 텍스트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언표는 플라톤 자신의 사상을 침윤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논의의 과정에서 니체가 소크라테스를 향해 가한 비판의 내용에 관해서도 의견을 개진한다. 즉 니체의 비판은 우리가 말하고 있는 “소크라테스의 소크라테스”가 아니라, 박제화된 소크라테스 즉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를 겨냥한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자신은 삶과 유리된 윤리를 주장한 적이 없다. 그가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한 그것을 위해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한 문답의 과정을 거치는 것은 이성자체, 개념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다. 그의 관심사는 “삶” 즉 어떻게 살 것인가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가 설파한 삶의 윤리를 세 가지 방향에서 살펴본다. 진실함,실천성 그리고 개인이 주체로 서는 정립의 과정이 그것이다. 그런 지점에서 보면, 소크라테스는 니체가 주창하는 예술적인 삶에서도 유리되지 않는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문답이라는 진실된 과정은 상대를 기만하는 기술인 수사학과 차별성을 갖는다. 소크라테스 문답의 겨냥점은 답에 있지 않다. 그것은 오직 물음을 물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대화의 대상이 스스로 주체로 서기를 바란다. 둘째, 탈출의 가능성 앞에서도 죽음을 택한 소크라테스의 행보를 푸코는 ‘파르헤지아’라고 칭한다. 즉 소크라테스의 말과 행동 사이에는 일점의 간극도 없다. 다시 말해 그의 말이 곧 행동인 것이다. 셋째, 알려진 바와 달리, 소크라테스의 방점은 공동체에 있지 않다. 그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개인이 먼저 자신의 현상태를 깨닫는 노력을 하는 것을 윤리의 출발점에 둔다 “너 자신을 알라”, “음미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철학자는 기꺼이 죽으려 한다” 등 그가 남긴 경구는 그것을 예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오늘날 우리의 관점에서도 여전히 열린 텍스트이며, 길어야 할 지혜의 샘물인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란 무엇인가?” 라는 윤리적이고 실존적인 물음이 계속되는 한 그는 우리 곁에 머문다. This study starts from asking little questions, why there are so many interpretations concerning Socrates who was the first ethicist and why those interpretations are so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For example, Platon, Xenophon, Diogenes Laertios, Hegel and Kierkegaard all depicted that Socrates was the first ethicist and great philosopher. According to them, Socrates is the first scholar who speculated on man and human life. In other words, those philosophers found that it was not before Socrates when a question, “how should we live?” was raised and efforts to answer that question began. In contrast, Nietzsche and Aristoteles saw Socrates as negative. Going through these different argume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Socrates’ Socrates”, a figure beyond the color of Plato. Researchers say that Platon’s early writings, especially “Socrates Against Athens” are texts showing who was most Socratic. Socrates’ behaviors in the legal action were nearly same as what he was an existential being. Much of them truly represented his apologies for himself. Thus, this study can’t avoid tieing existential, historical Socrates with his arguments like the Mobius strip. This is because Socrates didn’t leave any of his writings and his statements found in Platon’s texts are what were penetrated into by Platon’s thoughts.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Nietzsche criticized Socrates. Seemingly, that criticism focused on “Plato’s Socrates” who was dogmatized and stuffed, not on “Socrates’ Socrates” Socrates did never make any argument about ethics isolated from life. He thought of logos as important, and proposed the Catechetic Method to clearly determine its concept. But this has nothing to do with logos or that concept itself. The focus of his concerns was “life”, that is, “how should we live?” This study discusses Socrates’ ethics of life in three directions, that is, sincerity, practicality and individuals’ establishment of themselves as the subject. In this sense, Socrates was not isolated from artistic life as suggested by Nietzsche. First, the Catechetic Method of Socrates, a process towards truth is discriminated from rhetoric as the skills of deception. That method didn’t aim to get answers. Instead, it only wanted peop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the subjective being by asking questions to them over and over again. Second, Socrates chose to die despite he was possible to escape. Foucault called that choice as ‘Parresia’. In other words, Socrates didn’t show any gap between what he said and what he did. His words were always equal to his actions. Third, as already known, Socrates didn’t put focus on community itself Like Nietzsche, Socrates suggested the starting point of ethics lies in individuals’ awareness of their present state. This is supported by his epigrams like “Know yourself”, “The unexamined life is not worth living” and “The philosopher is willing to die.” Thus, Socrates is still an open text and fountain of wisdom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As long as an ethical, existential question “what is ~ ?” lasts in our life, Socrates is always with us.

      • KCI등재

        플라톤의『향연』에서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조흥만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함(atopia)으로 인해 그의 정체성이나 위상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테제’를 입증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소크라테스의 아토포스한 진면목을 좀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려는 이 규명 작업은 알키비아데스의 연설뿐 아니라 『향연』의 틀 이야기 첫 장면과 본 이야기에서 아가톤의 집으로 가는 길 그리고 최고 비의에서 ‘사랑의 사다리’ 각각을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검토된다. 복잡한 서사 구조가 특징을 이루고 있는 아폴로도로스 틀 이야기의 첫 장면을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테제에 비춰볼 때, 이 복잡한 이야기 구조 속에서도 소크라테스는 여전히 파악이 가능하지 않고 상당히 모호하고 불분명한 대화자로 남는다는 것이 일관되게 드러나고 있다. 아폴로도로스를 뒤쫓은 글라우콘이 그와 함께 시내로 같이 올라가며 이야기하듯이, 우리는 팔로워와 리더가 함께 나아가며 리더가 팔로워에게 과거 사건에 대해 이야기를 제공하는 형태를 보게 된다. 또한 아가톤의 집으로 가는 도상에서 소크라테스는 아가톤의 허락도 없이 불청객으로 아리스토데모스를 초대하고 자신의 범상치 않은(atopos) 습관으로 인해 그와 했던 변명 약속도 지키지 않는다. 자기 자신의 의지에 충실하고 자신의 비관습적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야 모임에 참석하는 그의 결행을 통해 우리는 소크라테스의 아토포스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인하게 된다. 최고 비의에 나타난 ‘사랑의 사다리’ 논의를 우리는 모두 8단계로 세분하여 구조 분석을 단행한다. 단계별 상승 논의는 한 몸에 속한 아름다움에서 시작해서 모든 아름다운 몸들, 아름다운 영혼들, 행실들과 법들의 아름다움, 앎들, 단일한 앎, 아름다움의 큰 바다, 신적인 아름다움 자체에서 마무리된다. 각 단계마다 소크라테스에 관한 상충되고 모순적인 특징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정도로 우리는 사다리 여기저기서 자연스럽게 아토포스한 소크라테스와 조우하게 된다. 끝으로 ‘열린 개념’(open concept) 논증과 ‘가족 유사성’(family resemblance) 방법의 도움으로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사랑의 사다리 각 단계를 오르내리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현존과 부재를 넘나드는 그가 모든 곳에 있고 그래서 어디에도 없는 본성적으로 아토포스한 존재로 밝혀지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clearly demonstrate ‘atopos Socrates thesis’ that because of the atopia(strangeness) of Socrates it is impossible for us to comprehend his personal identity and his position in each step of the ladder. The present thorough investigations about the true aspects concerning an atopos Socrates, however, are related to the frame dialogue, his journey towards Agathon’s house, and the ladder of love in the highest mystery in Symposium. When it comes to Apollodorus’ opening journey in the structure of complex narratives, Socrates is an unbeknownst person as well as a very ambiguous one to us. Bes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Glaukon and Apollodorus is notably revealed as the leader-follower hierarchy: who is in front, who behind, who is interested in philosophy and above all who is “in love” with Socrates. Similarly, it is introduced to us that Socrates’s journey to the house of Agathon in the company of Aristodemus is without Agathon’s permission. Socrates, left behind, violates his collaborative proposal to Aristodemus on account of his atopos habit, meditation. Socrates’ strangeness that he ha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or follow only on his own unconventional terms is not only his autonomy in both choosing and proceeding but also his independence from social conventions. It seems that Plato encourages us to identify Socrates with all the roles connected with the ladder, which in turn echo the relationship sketched in Apollodorus’ opening journey and Socrates’s journey to the house of Agathon. I will analyze 8 steps of the ladder as outlined by Diotima: the beauty of one body(Step 1), the beauty of all bodies(Step 2), the beauty in souls(Step 3), the beauty in activities and laws(Step 4), beauty of kinds of knowledge(Step 5), beauty of a single knowledge(Step 6), the great sea of beauty(Step 7), beauty itself(Step 8). It is known that with the help of ‘open concept’ argument and ‘family resemblance’ method, in each and every step Socrates is someone who repeatedly ascends and descends like the daimōn Eros. I have tried to argue that Socrates can be viewed more or less plausibly as occupying all of the steps on the “ladder of love.” Socrates is everywhere, and therefore nowhere. He is atopos, ‘placeless.’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수법에 나타난 교육 개혁 -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와 증여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한 교수법(敎授法)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무지 고백 및 교사 부인과 관련된 직접적이고 명백한 진술들 간의 상충 관계를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플라톤의 교육 개혁을 천착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둘러싼 오랜 편견과 오해를 불식시키는 선행적 분석 작업이 긴 호흡으로 논의될 것이다. 이에 덧붙여서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최고의 실천가이자 유일한 참된 교사라는 플라톤의 선언에는 `선물 경제`에 토대를 둔 새로운 “철학”의 발명에 교육 개혁 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러니의 어원적 뿌리인 그리스어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대한 전통적인 표준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eironeia의 몇 가지 독특한 형태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에 똬리를 틀고 있는 선행하는 중대한 오해를 제거한다. 먼저 관련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고대 그리스에서 eironeia의 표준적 형태에 `의도적 기만`이나 `부정직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eironeia의 화신으로 평가받는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그렇게 해석할 경우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후속 분석 작업을 통해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는 의도적 기만이 전혀 없는 `조롱 아이러니`와 `복합 아이러니` 로 세분하여 논증된다. 다음에서 이러한 예비적 고찰에서 얻은 `복합 아이러니`를 통해 소크라테스의 지혜 및 교사 부인 문제가 구체적으로 검토된다. 우선 그의 무지 고백이 다른 사람의 지식에 대한 인정이나 자신의 지식에 대한 간헐적인 승인 주장 그리고 그가 지혜로운 자라는 진술들과 어떻게 양립이 가능한지가 논의된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소크라테스의 교사 부인 논변에도 불구하고 그가 훌륭한 스승이라고 칭송받는 이유가 탐구된다. 플라톤의 새로운 “철학” 관념의 발명과 이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통해 실천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교육비를 거절하여 철학함의 자유를 향유하면서 스스로를 `신의 선물`로 주장하는 데에 착안하여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과 시장 경제에 기초한 소피스테스의 교육의 상업화가 대비되어 논의된다. 소크라테스의 철학함의 자유정신은 “철학”을 선물로 간주했던 지적 태도의 산물인데,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적 교육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는 자본으로 환원되지 않은 교육 영역의 확보와 자본의 논리에 포섭된 교육 문제를 풀기 위한 플라톤의 원리적인 교육 개혁의 해법으로 각각 설명된다. In this paper, I set out not only to explain away apparent contradictions between direct statements related to hi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by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 of Socrates but also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formation of Plato to change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will be discussed an analytic work to correct the old misconception rooted in `Socratic irony`. Moreover,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in Plato` statement that Socrates practising “Socratic method” of achieving moral improvement of interlocutors besides never taking pay is an authentic teacher, Plato`s invention of a new “philosophy” based on a gift economy includes the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When we go back to the Greeks, we discover that the intention to deceive, so alien to our word for `irony`, is normal in its Greek eironeia. Bu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use of eironeia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n intentional deceit and is used at times by Socrates in Plato. Besides, I will show that Subsidiary in the use of the parent word in classical Greece, eironeia as a mockery without the least intention of deceit now becomes the standard use. As a result, it will be argued that Socrates played the critical role in the mutation of eironeia into irony as a speech used to express a meaning that runs contrary to what is said. It is explored that unlike `simple irony` such as `eironeia with an intentional deceit` and `mocking eironeia`, Socrates`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is intelligible only as a `complex ironies`, what is said both is and isn`t what it meant. For example, when Socrates professes to have no knowledge he both does and does not mean what he says. In contrast to divine wisdom the human knowledge of Socrates seems to be identical to ignorance, but in another sense of knowledge identical to JTB(justified true belief) there are many propositions he does claim to know. On the other hand Socrates` parallel disavowal of teaching should be understood not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eaching as `knowledge transfer` but in the sense of teaching related to an elenctic argument to make his interlocutor him aware of his own ignorance. Next, it is indicated that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ocratic manner of teaching and the Sophists` method of teaching consists in if one takes pay for wisdom. Socrates` assertion never to have been anyone`s teacher at 33a5 in Apology turns out to be that he charged no fee for conversing with other people. The Sophistic practice of selling wisdom for money were notorious and the sophists` physicalist model of transferring goods from one person to another simply should not apply to “goods” such as wisdom and virtue. In addition, in having Socrates declare himself “the god`s gift”(Apology 30d-c) to the city, Socrates is situated in a distinctive gift economy instead of a market economy based upon exchange attempted to show in connection with the preliminary discussion in Republic I between Socrates and Thrasymachu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Socrates` philosophizing as a free spirit resulted from the intellectual attitude of “philosophy” as a gift. The central concern of Socrates` life is “care for the soul.” The limit and meaning of Socratic teaching based on a gift economy for “care for the soul” is drawn from Plato`s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both ensuring educational sphere never reduced to logic of capital and solving the educational problems fettered to a market economy.

      • KCI등재

        다가서는 에우튀프론, 물러서는 소크라테스

        김유석(Kim, Iou-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50 No.-

        이 글의 목적은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 나타난 드라마적 성격, 특히 대화자들의 대화 태도와 감정을 살펴보고, 그 안에 들어있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변호론적 성격(apologetic character)을 드러내고 재구성하는 데 있다. 플라톤이 초기 대화편들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삶과 실천을 옹호하는 이른바 변호론적 성격을 작품 속에 강하게 투영시키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에우튀프론』에서 플라톤은 전통적인 덕목 가운데 하나인 경건(to hosion)의 본성을 탐구하면서, 자신의 스승을 불경으로 몰아 죽음에 이르게 한 세간의 비난과 고발이 불합리하고 부당한 것이었음을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목하려는 것은 흔히 소크라테스적 논박술로 알려진 철학적 논변보다는, 오히려 대화자인 에우튀프론과 소크라테스의 감정과 정서태도라는 드라마적 요소들이다. 지금까지 『에우튀프론』에 전개된 논박술의 위상과 가치, 그 안에 내재된 변호론적 성격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작품의 드라마적 요소가 갖고 있는 변호론적 기능은 거의 아무런 주목도 받지 못한 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에우튀프론』의 드라마적인 장치와 요소들은 단순한 문학적 장식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논변들의 배후에서 논변들을 감싸며 논박술을 통해 정당화된 변호론적 성격을 한결 더 풍부하고 생생하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특히 이러한 모습을 논변의 교환 속에서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이 서로에 대해 보여주는 상반된 태도를 통해 한결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대화의 처음부터 끝까지 에우튀프론은 소크라테스를 향해 공감과 연대감을 표하며 다가가려 하는 반면, 소크라테스는 끊임없이 뒷걸음질 치며 에우튀프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 사실 소크라테스의 이런 태도는 대화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상대에게 다가가고 상대와 닮은 점을 부각시키곤 하는 다른 대화편들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이러한 거리두기를 통해서 그가 추구했던 철학적 경건을 전통적인 덕목으로서의 경건과 한결 더 분명하게 대비시키는 한편, 소크라테스의 경건이 결코 대중들의 무반성적인 경건과 섞일 수도 없고, 또 그것에 의해 비난 받을 수도 없음을 역설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reconstruct Plato’s apologetic strategy developed in the dramatic characters of the Euthyphro. It is well known that Plato tries to defend Socrates’ life and his philosophical practice. Especially in his early dialogues, Plato depicts Socrates as a model of virtue. And in doing so, Plato wants to show from various angles that Socrates was innocent and that the accusation aimed at Socrates was false and unjust. His apologetic intention i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he Euthyphro where, in trying to define piety (to hosion), Socrates appears to be the most pious man. By this description, Plato seems to argue that the accusation against Socrates under the pretext of impiety cannot be justified at all. It is also worth noticing that these apologetic characters lie not only in the dialectical arguments (i.e. socratic refutation) but also in the dramatic elements (e.g. th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Socrates and Euthyphro). Whereas the philosophical meanings of the refutation were studied by many scholars, the importance of dramatic elements was relatively neglected for a long time. But it seems to me that the apologetic role of dramatic elements is particularly important: lying behind the philosophical argument, the dramatic characters of the interlocu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forcing the apologetic character of the dialogue. It is in this remark that the paper focuses on the emotional attitudes between Socrates and Euthyphro: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dialogue, Euthyphro reveals incessantly a feeling of sympathy and steps towards Socrates; in contrast, Socrates wants to keep at a distance and steps back carefully from the former. In fact, Socrates’ attitude in the Euthyphro is somewhat unusual in comparison to other dialogues where Socrates is always approaching his interlocutors by using his peculiar ironical flattery. Our suggestion is this: the only way to explain his unusual behavior is to interpret that Socrates’ keeping at a distance is Plato’s device to show the innocence of Socrates. On a philosophical level, Socrates refutes Euthyphro’s concepts of piety which are nothing other than public opinions. But with a philosophical refutation, it is not enough to defend Socrates. On a dramatic level, Plato made Socrates maintain a distance from Euthyphro. By keeping at a distance, Plato shows us successfully that socratic piety cannot be confused with Euthyphro’s piety, which lacks philosophical examination.

      • KCI등재

        수학 교사 교육과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김남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09 학교수학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08 with 80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 took a course that was consisted of a lecture and a practice on Socrates’ method. In our study, mathematics teachers conducted making a teaching plan by using Socrates’ method. But we became know that we need to offer concrete ideas or examples for mathematics teachers in order to apply Socrates’ method effectively. Therefore we tried to search for educational methods in using Socrates’ method to teach school mathematics. After investigating of preceding researches, we selected some examples. On the basis of these examples, we suggested concrete methods in using Socrates’ method. That is as follows. Socrates’ method need to be used in the contex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ocrates’ method can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cognitive obstacles. A question in using Socrates’ method have to guide mathematical thinking(or attitude). When we use Socrates’ method in the teaching of a proof, student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guess the conclusion of a proposition. The process of reflection- revision-improvement can be connected to using Socrates’ method.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과 1,2급 자격 연수 과정에 참여한 수학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산파법을 소개하고 산파법을 적용한 지도 사례를 구성해 보는 활동을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교사들이 산파법을 교육 현장에서 의미있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산파법을 적용한 다양한 교육적 사례에서 산파법 실행의 방법적 아이디어를 얻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파법이 접목되어 있는 실험 수업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학교 현장의 수학 수업에서 산파법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 문제 해결 과정과의 접목, 인지적 장애 극복의 과정 지도, 수학적 사고와 태도의 신장을 유도하는 질문, 증명지도에서는 결론 탐색 및 분석 과정 살림, 반성・수정・개선 과정으로서의 수학 학습을 구성하는 것이 산파법을 의미있게 적용하는 방안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 KCI등재

        악법과 법준수의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입장

        최봉철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3

        This paper aims at the analysis of Crito in regards to several questions. First, does Socrates define the status of evil laws as law or not? Second, do we have the absolute obligation to obey the law or not? Third, who are Athenian city and laws which make a speech in the mouth of Socrates? Are they identical to Socrates? Fourth, how do we understand his acceptance of death? Does he recommend us to act like him?I maintain that Socrates regards evil laws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law. It can be proved by examining the pertinent texts of Plato and Aristotle. The formula of strong natural law theories which read the maxim ‘unjust laws are no laws’ in the literal sense are rarely found except St. Augustine, Radbruch after Nazism, Robert Alexy among the well-known philosophers and thinkers. I also suggest that Socrates justifies non-observance of extremely evil laws which commands to do wrongdoing to others. Thus, he denies the absolute obligation to obey the law. I tried to make clear the structure of Crito, and concluded that Socrates and the Athenian Laws are not same. I argued that Socrates does not answer to their questions though he answers to the two questions that are easy enough for none to refute directly. He keeps in silence to the three controversial questions of Athenian laws, but he asks Crito whether he agrees instead. The reason is that he disagrees to the speech of Athenian laws and that he wants to know how Crito is being persuaded by it. In addition, I agree to the interpretation of Corybantes by scholars such as Ernest Weinreb and Roslyn Weiss. They interpret that he sees Corybantes’ performance to be a boom which gives no effects to him. My final problem of Crito is his acceptance of the death execution. Does Plato want the innocent to act like Socrates? Ordinary people cannot do the same thing as Socrates did. I suggest the test case of when escaping the jail is justified should not be Socrates’ case but the case of the hero in the movie named the Fugitive. 이 논문은 3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 소크라테스가 악법의 법적 지위를 부정하였는가, 둘째,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셋째, 소크라테스의 탈옥에 대한 이론은 권장할 만한 것인가이다. 우선 첫 번째 문제부터 말하자면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는 입장을 취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악법에 대한 절대적인 의무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법이론을 살핀다면 효력과 준수의무를 분리하는 이론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아퀴나스의 약한 자연법론이나 하트의 법실증주의가 대표적인 예이다. 소크라테스의 입장 역시 그러한 이론의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 두 번째의 문제란 『크리톤』에 등장하는 대화자가 몇 명인가의 문제이다. 이는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을 동일한 인물로 볼 것인지 별개의 인물로 볼 것인가에 대한 판단에 의존한다. 필자는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은 별개의 인물로 대화자는 3명이라고 본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테네의 법들은 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정법으로서 권위를 주장하는 것뿐이다. 실정법의 권위주장이라는 것은 복종의 요구이며, 실정법의 주장을 수용해야 하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다. 둘째, 소크라테스의 주장과 아테네 법들의 연설 간에는 모순이 존재한다. 소크라테스는 법 준수의무의 한계를 말하지만, 아테네의 법들은 법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의무를 주장하기 때문이다. 셋째, 마무리 부분에서 소크라테스는 법의 연설을 코리반츠의 춤에 비유한다. 코리반츠의 춤이란 밀교적인 의식으로 우리의 굿과 유사한 것이라고 해석한다면, 성찰된 삶을 살려는 소크라테스에게 감동을 주었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소크라테스가 든 탈옥 거부의 사유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당시의 상황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이 행해져야 할 것이지만, 직관적으로 말한다면 외화 『도망자』의 주인공의 탈옥 정도는 도덕적으로 더 나아가 법적으로도 면책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아이로니 : 『메논』의 Socrates를 중심으로

        한찬희(Han, Cha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irony as a method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in detail the conversation between Socrates and Menon, and reveals what serious changes occur to Menon’s question(“Can virtue be taught?”) through the dialogue with Socrates. Socrates’ irony clearly exemplifies what ‘the method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tent’ is and the attitudes of the teachers are required for that method. As Socrates shows in Meno, what teachers should communicate to students is ‘subjectivity’ rather than ‘conventional morality’, and irony has significance as a special method to enable the communication of that subjectivity. In fact, irony is not the kind of technique anyone can use whenever they want. It requires for a decision to step on the journey of ‘recollection’, and Plato’s Meno invites readers to this endless journey.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로니가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가를 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화편 『메논』에 나타난 Socrates와 Menon의 대화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라는 Menon의 질문을 ‘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전환시킨 Socrates의 의도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탐색한다. 그 자신이 이미 덕을 가르치고 있으면서도 덕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Socrates의 아이로니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내용과 분리되지 않은 방법’이 어떤 것이며, 그 방법을 구사하는 데 요구되는 교사의 자세와 태도가 무엇인지를 예시하고 있다. 『메논』에서 Socrates가 보여주고 있듯이, 도덕교육 사태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전달해야 할 것은 ‘관례적 도덕’이나 관념 수준의 ‘도덕적 지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교사는 자신이 ‘지식’(episteme)과 맺고 있는 실존적 관계, 즉 ‘주관적 확신’을 전달하려고 해야 하며, 아이로니는 바로 이 주관적 확신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물론, 아이로니는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구사할 수 있는 그런 기법이 아니다. 거기에는 지난한 회상(recollection)의 여정에 발을 들여 놓겠다는 결단이 요구되며, 『메논』은 그 결단의 순간으로 독자를 초대하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용 인터넷 중독 변화동기 척도(SOCRATES-I)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신성만,김병진,이도형,박명준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4

        This article verifi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 which focuses on Korea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he scale was developed by Miller and Tonigan (1996) to measure an individual’s motivation to change when confronted with the issue of alcohol addiction. In this study, 19 items of the original scale are modified into items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version SOCRATES-I is composed of the modified items. 579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P city in Korea. Among 579 students, only 100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a potential risk group and a high risk group. Using the data from the 100 students, this study was able to draw a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same three sub-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SOCRATES: Recognition, Ambivalence, and Taking steps. The scale also shows a proper Cronbach’s alpha, and both the nomological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ing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Each sub-factor of SOCRATES-I independently explains the motivation to change. The end of this article discu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본 연구는 Miller와 Tonigan(1996)이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SOCRATES를 국내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제작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원척도의 19문항 모두를 인터넷 중독 관련 문항으로 수정하여 인터넷 중독 변화동기 척도(SOCRATES-I)를 구성하였다. 경북 P시의 중학생 579명에게 설문조사를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고위험 사용자군으로 평가된 100명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중독행동에서의 변화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SOCRATES-I 에서도 원논문과 같이 인식, 양가성, 실천으로 분류되는 3개의하위요인이 추출되었고 내적일치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해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검증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CRATES-I 척도의 각 하위 요인이 독립적으로 변화동기를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