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시간”의 고고학적 연구 -한국 청동기시대 농경사회로의 전환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고일홍 ( Ilhong K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4

        This paper considers possible ways in which the archaeological study of the ‘social time’ of past societies may take place. Focus is placed upon the notion of ‘social time’ because if it is acknowledged that ‘time is socially constructed’, then time may come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past societies. An examination of previous archaeological studies involving time reveals that the notion of ‘time as social’ was accepted as a given without further investigations into why it may be regarded as such. Therefore, the discourse on social time that was undertaken within the disciplines of anthropology and sociology is reviewed. In addition,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case studies on social time are examined and used as heuristic devices in formulating a methodology for the archaeological study of social time. Finally, possible changes in time reckoning systems that may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the transition from a hunter-gatherer to farming society are explored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study of social time may contribute to the broader discourse on the transition to farming society in Bronze Age Korea.

      • KCI등재후보

        사회적 시간체제의 재구축

        주은선(Joo Eun Sun),김영미(Kim Young M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4

        이 글은 현재 자본주의 체제 아래에서 노동 중심으로 조직된 생활세계의 문제와 기존의 소득보장 중심의 사회정책이 갖는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적인 사회적 시간체제 구축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시론적 연구이다. ‘시간’은 삶의 질에 소득만큼이나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사회정책 논의에서 주요한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이 글은 시간이 가진 사회성에 주목하면서, 현대 자본주의 사회, 특히 한국사회 시간체제의 억압성과 불평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대안적인 복지국가 정책 방향은 현재의 노동세계 중심, 소득보장 중심의 사회정책을 넘어서서 ‘시간’정책을 통해 노동세계와 생활세계에 개입하고 이를 재구조화하는 것을 포함해야 함을 주장한다. 시간은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지만 동시에 사회적으로 조직되고 경험되며, 그 결과 사회마다 개인의 노동세계와 일상생활에서의 시간 경험이 달라진다. 현대적 삶의 시간은 더욱 가속화되고, 압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개인의 시간압박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생산부문의 변화(유연생산의 등장, 시공간을 압축시키는 새로운 기술 발전 등 생산부문의 가속화와 그로 인한 시간압박의 심화), 생애과정의 변화(생애주기의 정규성 약화, 피크타임의 연장), 성역할 변화(성별에 따른 불평등한 시간분배, 맞벌이 어머니의 시간부족과 시간압박)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소득보장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시간을 재구축하는 정책이 중요하다. 노동과 여가에 할당되는 시간의 양 조정과 시간 유연성 확보가 중요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개인의 시간 사용의 자율성을 회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노동과 여가의 시간 재배치와 유연하고 자율적인 시간 사용을 지원하는 정책대안 모색이 필요하다. 그 일환인 획기적이며 고른 노동시간 단축과 생애 시간 사용의 자율적 조정제도는 아직 초기이지만 이미 시작되고 있다. In the capitalist society in which time is treated like money, time is precious resources as much as income. Time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s much as money. However time was not given enough attentions in the social policy. We’d like to criticize the limits of social policy centered on income security and labor and assert that alternative social policy should contribute to restructure the relations between the job and the daily life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ity and class disparities of time. Time is organized and experience in the society. As a result individual experiences about time are differentiated in each society. As time is becoming faster and time pressure is grave in the modern time. Thes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like flexibiliz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s, the changes in the life course like extension of the peak time, and the changes in the gender roles. For a realignment of the social time regime, a society should look for readjustment of the time allocated to work and leisure and realize flexibilities in time for work, leisure, care and so on. Especially regaining the autonomy in the use of time is important. Therefore policy alternatives to support reallocation of time in work and leisure are need to be pursued. As a part of these alternatives, some nations did a drastic reduction in working time and introduced the support to the adjustment of time use during life course like LCSS(Life course saving accounts).

      • KCI등재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노혜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rapidly growi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nalyzes the statu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For more accurate data-based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Time Use Survey: Time Spent Together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examines the actual time young people spent with other people, their leisure time spent alone, their time spent on paid wor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time they spend on these different dimensions of daily lif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ime spent by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nother person is about 74 minutes per day, which is 55-60% more than other types of household, and is about 50-60 minutes shorter in terms of time. Second, the group with the longest social relationship time is female, and is between 20 and 24 years old, attending school or in the nonworking state. Third, the time spent on social relationships was higher for women with a monthly average personal income of over 3 million won. In particular, the high income status of a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time of paid work and social relation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 support policy should not be limited to housing and employment but should be expanded. In this process, a new social safety net is formed to form a social network of young people.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청년 1인가구에 주목하여 그들의 사회적 관계는 어떠한 상태인가를 분석하였다. 보다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을 위하여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함께한 사람’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 혼자 하는 여가시간, 그리고 임금노동 시간의 실태와 각각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가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시간은 하루에 약 74분으로, 이는 다른 유형의 가구보다 55~60% 수준이며, 시간량 측면에서 50~60분 정도 짧다. 둘째, 청년 1인가구 중에서 사회적 관계 시간이 가장 긴 집단은 여성이면서, 20세부터 24세까지 후기 청소년시기에 있고 학교에 다니거나 비근로상태인 경우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여성이면서 월평균 개인소득이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일 때 사회적관계 시간이 증가한 반면, 종사상의 지위가 상용직이거나 직업이 관리전문직, 기능장치조립직에 있을 때 사회적 관계 시간의 감소폭이 컸다. 한편, 상용직이면서 직종이 서비스판매직일 때 임금노동시간의 증가폭이 가장 컸고, 남성이면서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일 때 임금노동시간이 증가하였다. 특히 청년1인가구의 고소득상태는 임금노동과 사회적 관계 시간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청년지원 정책이 주거와 고용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범위가 확대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새로운 사회안전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사회복지현장에서 부각되지 않았던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주관적 시간경과가 사회불안자의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정이,이장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2

        본 연구는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도록 시간경과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을 조작하였을 때,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의 감소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729명의 대학생을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40명)과 낮은 집단(40명)으로 선별한 뒤, 두 종류의 주관적 시간경과 조건(느린/빠른 시간경과)에 무선할당하였다. 실험참가자가 발표하기 전인 기저선 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과 주관적 불안수준을 측정한 후, 발표 중간인 노출단계와 발표 후인 회복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 및 주관적 불안수준의 변화와 함께 시간왜곡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은 빠른 시간경과를 경험하는 경우에는 발표 후인 회복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빠른 시간경과 조건에서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다고 지각하였다. 이런 결과는 사회불안자가 불안한 상황에서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도록 조작하였을 때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며 생리적인 각성수준도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빠른 시간경과가 사회적 환경에서 사회불안자의 긴장 수준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time progression, which is when time seems to pass more quickly than it actually is, on time distortion and arousal level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Both high and low social anxiety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ime-drags (being told for 3 minutes) or time-flies conditions (being told for 7 minutes) during an oral presentation, while the level of anxiety and time distortion was measured using the skin conductance level (SCL) based on phases (baseline (2 min), exposure (5 min), and recovery (3 min)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felt time progress, evaluation of performance, anxiety-state).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in the time-flies situation had significantly decreased SCL during the recovery phase, as compared to the exposure ph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st time progression could help to reduce arousal level from social situations by decreasing time distortion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 KCI등재

        동적 소셜네트워크 구조 변수를 적용한 가상 재화 구매 모형 연구

        이희태,배정호 한국유통과학회 2019 유통과학연구 Vol.17 No.3

        Purpose – The existing marketing stud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assumed that network structure variables are time-invariant. However, a node’s network position can fluctuate considerably over time and the node’s network structure can be changed dynamically. Hence, if such a dynamic structural network characteristics are not specified for virtual goods purchase model, estimated parameters can be biased. In this paper, by comparing a time–invariant network structure specification model(base model) and time-varying network specification model(proposed model), the authors intend to prove whether the proposed model is superior to the base model. In addition, the authors also intend to investigate whether coefficients of network structure variables are random over tim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of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a Korean social network provider. The authors construct a monthly panel data by calculating the raw data. To fit the panel data, the authors derive random effects panel tobit model and multi-level mixed effects model. Results – First, the proposed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the base model in terms of performance. Second, except for constraint, multi-level mixed effects models with random coefficient of every network structure variable(in-degree, out-degree, in-closeness centrality, out-closeness centrality, clustering coefficient) perform better than not random coefficient specification model. Conclusion – The size and importance of virtual goods market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Notwithstanding such a strategic importance of virtual good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ocial influential factors which impact the intention of virtual good purchase. Even studies which investigated social influence factors have assumed that social network structure variables are time-invariant. However, the authors show that network structure variables are time-variant and coefficients of network structure variables are random over time. Thus, virtual goods purchase model with dynamic network structure variables performs better than that with static network structure model. Hence, if marketing practitioners intend to use social influences to sell virtual goods in social media, they had better consider time-varying social influences of network members.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also differentiated from other related researches using survey data in that this study deals with actual field data.

      • KCI등재

        관광 참여의 사회구조적 조건에 대한 역사적 고찰

        김옥희(Kim, OK-hee),민웅기(Min, Woong-ki)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이 관광에 참여하게 된 사회구조적인 조건을 ‘계급, 시간, 자유’의 개념에 대한 역사적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사회과학적인 측면에서 역사를 고찰할 때 무엇보다 유념해야 할 점은 특정한 시대에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사회에 어떤 전반적인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관광 참여가 가능해진 역사적인 사회구조적 조건에는 계급, 시간, 자유 개념의 변화 역사가 내재해 있다. 오늘날 대중관광의 형태로 외현된 관광 유형은 오랜 시간 동안 계급 간 의사소통의 역사적 과정을 통해 가능해졌다. 또한 시간 사용을 둘러싼 지속적인 정책적, 산업적 변화과정을 통해 현재의 여가·관광 활동에 필요한 자원의 물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는 결국 인간 의식과 행위에 대한 주체적 자유실현의 역사라고 볼 수 있으며,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점차 자신의 욕망을 관철시키고자 하는 자유의 특권이 일반 대중에게 크게 부여된 것이다. 이처럼 관광 참여의 사회구조적 조건은 계급, 시간, 자유 개념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e study is to explore historically the conditions of social structure that had people participate in tourism, focusing on the concept of social class, time, and freedom.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what changes occur by events of a particular time period when studying a history in terms of social sciences. Historically some conditions of social structure for people’s participation in tourism include social class, and time. Today mass tourism has established through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social class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stant changes in policy and industry for time use prepared the ground for using time resource for tourism. Participation in tourism can be that people realize their freedom independently, responding to human consciousness and acts. As the world entered the industrial age, the public was given the privilege of freedom of accomplishing their desire. Therefore, the conditions of social structure for people’s participation in tourism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nges of social class, time, and freedom.

      • KCI등재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김진욱 ( Kim Jinwook ),유미선 ( You Misu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포함된 중학생 1,622명을 분석하였다.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 방법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일과 주말 모두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 스포츠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게임 및 놀이, 미디어에 여가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평일보다 주말이 더 높았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모형과 남학생 모형에서는 교제활동, 미디어, 게임 및 놀이가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학생 모형에서는 미디어와 교제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와 게임 및 놀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제활동과 스포츠는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즉 미디어, 게임 및 놀이 시간이 증가할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spent by leisure typ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both weekdays and weekends, media, games and play,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spend a lot of time. The female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a, games and play, and social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mixed model and male student model, social activities, media, games, and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female student model, it was found that media and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time of each leisure type and the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media, games, and play, but not in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as media, games, and play time increased, men’s subjective happ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심혜원,황은숙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인문계 고등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0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시간관리, 학업성취도,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간관리와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시간관리와 자기효능감, 시간관리와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사회적지지와 학업성취도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시간관리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간관리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도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executed for finding out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403 high school students in first, second, third grade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ime management,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thi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ime management and self-efficacy, time management an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from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ve the mediated effect partiall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a differentiated time-management program from existing time-management programs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aising the level of student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ll other things.

      • KCI등재

        사회적 시간체제 개념의 재구성: 생활세계의 시간에 관한 이론적 탐색

        황규성(Hwang, Kyusung)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21 시민과세계 Vol.- No.38

        이 논문은 사회적 시간체제를 시간 배분, 삶의 리듬, 시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준칙의 모음으로 규정하고 현대사회의 시간적 삶을 분석하는 이론적 도구로 제안한다. 자본주의 시간체제는 시간의 직선화, 동질화, 추상화, 객체화를 배경으로 상품화, 압축, 조직화, 위계화를 고유한 시간준칙으로 형성했다. 자본주의 시간준칙은 수평적 확장과 수직적 심화를 통해 스스로 강화하면서 생활세계의 세 가지 요소에 침투한다. 첫째는 시간배분 차원으로, 시간을 돈벌이 시간과 나머지 시간으로 구별하고 전자가 후자를 지배하게 만든다. 둘째, 생산과 소비를 포함하여 생활의 리듬을 점점 가속화한다. 셋째, 시간의식 차원으로 자본주의 시간규율을 내면화하여 삶을 시간준칙의 철장에 가두고, 시간부족감과 시간압박감을 낳는다. 자본주의 시간준칙은 기술진보, 자본주의 축적방식에서 나타나는 변화에도 굳건하게 작동하고 있지만 각 시간준칙의 상대적 영향력과 상호작용이 사회집단별로 상이하게 작동하면서 시간적 삶은 복잡해지고 있다. This paper defines the social time regime as a cluster of rules that affect distribution of time, rhythm of life, and time consciousness, as a theoretical tool to analyze the temporal life of modern society. Capitalist time regime made commercialization, compression, organization, hierarchization as its own rules of time against the background of linearization, homogenization, abstraction, and objectification of time. The temporal rules of capitalism penetrates into the life world through horizontal expansion and vertical deepening in three ways. First, in terms of time allocation, time is divided into money-making time and remaining time, and the former dominates the latter. Second, they accelerates the rhythm of life in all areas includ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rd, by internalizing the time discipline of capitalism they trap life in the iron cage of the rules, resulting in a sense of lack of time and pressure. While the temporal rules are persistent even with technological progress and changes in capitalist accumulation, their relative influences and interaction patterns of them have different effects among social groups making timed lives more complicated.

      • KCI등재

        Modeling the Choice of Time-of-Day for Joint Social-Recreational Activities

        임광균,Sivaramakrishnan Srinivasan 대한토목학회 201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1 No.7

        In modeling time of day choice, constructing choice alternatives in the case of joint tours requires the temporal synchronization of travel of all members of the travel party. This study describes how the time constraints of multiple persons can be effectively accommodated into determining the choice set and, subsequently, the choice of timing for joint social/recreational tours. Many previous studies on time-of-day choice modeling have been dominated by dividing the continuous time variable into discrete time intervals. Although the continuous representation of time in the method was proposed, their relative complexity in the estimation over the discrete choice methods is a drawback from practical perspectives. In this study, an alternate two-step approach is proposed. The first model predicts the time-window chosen for pursuing the joint discretionary tour, and the second model locates the tour within the chosen time window by determining the start- and end-hours of the tour simultaneously on a continuous scale. A MNL model within the discrete contexture is also estimated as for the predictive assessment comparison. A wide set of explanatory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model estimations. The models developed are used to assess predictive abilities using validation samples. Overall, the fractional-split model is shown to be effective from the standpoint of predictive accuracy over the reference model based on the discrete time represen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