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 법인의 사용자성에 관한 고찰 -

        장선미 한국입법학회 2023 입법학연구 Vol.20 No.1

        Social welfare facilit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rying out social services in South Korea are only ‘facilities’ rather than independent corporate entities und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while there are separate opera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oth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can be opera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ut in general, corporations establish and operate social welfare facilities. However, in practice,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form social services with some degree of independence, and the direc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often exercise discretion in managing and supervising social services carried out by the facilities. Employment-related matter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often handled by the director, rather than the operator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and labor contrac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often concluded in the name of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This type of work practice makes it difficult to clarify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by specifying the parties whe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claim right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or when legal disputes related to the Labor Standards Act occur. This study examine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conclusion of labor contract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confirms that the ‘business owner’ who work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installation and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ot the head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the statu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signing labor contracts is analyzed first, followed by a review of the legal status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in these labor contracts (that is, the status of ‘business own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 large proportion of facility workers signing labor contracts with facility heads, in such cases, the legal status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in the labor contract and the effect of the labor contract are also examined. Finally, issues relating to the business ownership are reviewed, since the ‘business own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means that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hav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labor relations legislation, which includes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etc. Therefore, if a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 or operator becomes a ‘business owner’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nd actively intervenes in employment relations, problems such as open recruitment and the possibility of unfair personnel intervention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may arise. In discussing these issues, this article calls for alignment of labor relations of social facility workers under labor law.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사업법」상으로는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 사업주체가 아닌 ‘시설’일 뿐이며,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자는 따로 존재한다. 개인과 법인 모두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자가 될 수 있으나, 대체로 법인이 사회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는 사회복지시설이 어느 정도 독립성을 가지고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며, 사회복지시설의 장이 시설 운영에 재량권을 가지고 시설이 수행하는 사업을 관리・감독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련 업무 또한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가 아닌 시설장이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도 시설장 명의로 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식의 업무처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근로기준법」상 권리를 주장하거나 「근로기준법」 관련 법적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자를 특정하여 법적 권리・의무 관계를 명확히 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 체결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로하는 종사자의 근로계약 상대방인 ‘사업주’는 사회복지시설의 시설장이 아니라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임을 확인하여 「근로기준법」상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동권 보장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 체결 실태를 먼저 분석하고,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근로계약상 법적 지위, 즉 「근로기준법」상 ‘사업주’ 지위에 관하여 검토한다. 특히 시설 종사자가 시설장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비율이 낮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근로계약상 법적 지위와 해당 근로계약의 효력 또한 함께 검토한다. 한편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상 ‘사업주’라는 것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노동관계법상 권리・의무를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구체적으로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개별적 근로관계법이나 노동조합법을 비롯한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권리・의무의 주체가 되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의 채용, 근로계약, 근로관계 유지 및 근로계약 해지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 전반에 걸쳐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권리・의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상 ‘사업주’가 되어 고용관계에 적극 개입할 경우 공개모집,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부당한 인사 개입 가능성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쟁점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한다. 끝으로 이러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며,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가 법인인 경우 법인이 해당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사용자인 것 또한 매우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에서 시설장이 사용자처럼 보이게 하는 외관을 만들어내는 상황이 일어나는 것은 이에 대한 당국의 관리감독 소홀과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는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의 불명확한 서술에 상당부분 책임이 있다. 따라서 이를 입법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업...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노동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확대 원인과 대안 탐색

        이혜정 한국사회정책학회 2023 한국사회정책 Vol.30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노동자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 경험에 주목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첫째, 한국사회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비정규직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원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노동 경험을 분석한다. 셋째, 이를 통해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노동에 대한 정책적 대안 및 사회복지서비스제도 시스템의 문제를 탐색하고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사회복지시설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 12명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를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 보조금 지급과 관련된 오래된 법・규정의 현실적 개정, 사회복지시설이 수행하는 각종 보조사업 안정적 예산 체계 확보, 보건복지부・여가부의 사회복지사업 안내(지침) 등에 대한 노동법 관점에서의 검토와 합리적 변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단기적으로 명절수당・복지포인트 지급으로 복리후생에 대한 차별 해소와 동종 사회복지시설 내 유사 비정규직 노동자 임금 및 노동조건 일원화 및 생활임금 적용확대, 지방자치단체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위원회에 비정규직 노동자의 참여 보장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mployment and labor experiences of youth non-regular work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non-regula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non-regular youth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first, we find the reasons for the continued expansion of non-regular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responsible for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Second, we analyze the working conditions and labor experiences of youth non-regular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rd, through this, we aim to find policy implications by exploring policy alternatives for non-regula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roblems with social welfare service policie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2 youth non-regular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echniques and policy discuss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alistic revision of outdated laws related to subsidie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conversion of various auxiliary projects performed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to unique projects, expansion of budget, and reasonable revision from a labor law perspective of the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auxiliary project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posed. In the short term, we proposed equal payment of welfare points to non-regular workers, payment of equal labor wages to similar non-regula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living wages, and participa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facility treatment improvement committee.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의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경험 : 개념도 연구법 중심으로

        조민경(Cho MinKyoung),이지연(Lee Jee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사회복지시설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과 직장 내 괴롭힘 극복요인을 “개념도 연구법”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을 때 겪는 어려움과 직장 내 괴롭힘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방법 최근 5년 이내에 직장 내 괴롭힘의 경험이 있었던 사회복지종사자들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고, 어려움 관련 핵심 문장 79개, 극복요인 관련 핵심문장 62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공감 수준,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극복요인 중요도 수준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어려움은 2차원의 범주 8개로 분류되었으며, 극복요인은 2차원의 범주 6개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범주는 ‘사회복지시설 및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하락’, ‘세상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냉소적 시각변화’, ‘심리적인 고통과 부정적인 정서’, ‘고립 및 배척’, ‘관리자⋅동료들의 관계적 괴롭힘’, ‘정신⋅신체상 문제 증상과 일상생활의 어려움’, ‘고의적, 교묘한 괴롭힘’, ‘업무상 불이익처분’의 순서로 분류되었다.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 극복요인의 범주는 ‘인간관계를 통한 지지’, ‘사회적 제도를 통한 주도적인 대처’, ‘사회복지 관련 업무에서의 탈피’, ‘사회복지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재충전 및 자기 계발’, ‘나를 보호하기 위한 일시적 자기방어’의 순서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을 실제 경험을 토대로 공통적인 요인을 도출해 내고 요인들을 심리적⋅사회적 구조 차원에서 구조화하고 이를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workplace bullying and the factors for overcoming workplace bullying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using the “Concept Map Study Method”. In addition, what factors were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were investigated. Method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ocial workers who had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within the past 5 years, and 79 key sentences related to difficulties and 62 key sentences related to overcoming factors were derived. Next, the level of sympathy for the difficulties caused by bullying in the workplac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of overcoming factors in workplac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tegories of difficultie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decline in trust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cynic changes in the world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psychological pain and negative emotions’, ‘isolation and exclusion’, ‘relational harassment of managers and colleagues’, ‘symptoms of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intentional and subtle bullying’, and ‘disadvantages at work’. The categories of factors to overcom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support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itiative coping through social systems’, ‘abandonment from work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personal effort to continue social welfare work’, ‘recharge and self-development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emporary defense measures to protect oneself’.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duced common factors based on actual experiences on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factor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of social welfare workers.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정훈(Joung Hoon Kim) 한국여가복지경영학회 2022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3 No.1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시설종사자에 대한 셀프리더십에 초점을 두고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사회적 제도 개선과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내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 489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11월 10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20일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은 사회복지시설종사자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근로 조건도 중요하지만 심리적인 요인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leader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social system improvement and policy preparation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20 days from November 10, 2021 to November 30, 2021 targeting 489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orking in facilitie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leader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important, but psychological factors are also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factors that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were examined.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Kwak, Mi-Kyung,Cho, Sung-Je Korea Inform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OO city, Gyeongsangbuk-do, Kore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emotional, continuous, normative commitment, resulting in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goals and values that are pursued by the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become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곽미경,조성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OO city, Gyeongsangbuk-do, Kore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emotional, continuous, normative commitment, resulting in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goals and values that are pursued by the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become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Mi-Kyung Kwak,Sung-Je Cho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OO city, Gyeongsangbuk-do, Kore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emotional, continuous, normative commitment, resulting in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goals and values that are pursued by the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become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쟁점과 방향성 고찰 -고용을 중심으로-

        장선미,이승기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1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과 관련 있는 현안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의 고용관계에 대하여도 노동법이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계약 또한 노동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는 계약서상 표시에도 불구하고 노동법상 근로계약의 주체이며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근로계약의 당사자임을 계약상 명시하여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를 강화하고 불분명한 근로계약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분쟁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에서 노동법을 준수하고 충실한 시설운영을 할수록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현장의 모순은 사회복지시설 고용 관련 정책을 통해서 해소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용보험료 산정 등에서 사회복지시설의 특수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관련 부처들의 명확한 정책 방향이 결정되어야 하고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에 안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issu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In principle, the labor act shall also apply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o employment contrac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hall also comply with the labor act.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subject of labor contracts and the subject of related leg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notwithstanding the presentation in the contract. It also noted the nee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duce unnecessary disputes arising from unclear labor contracts by stating that the operator is a party to the contract. However, the contradiction of sites where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omplies with labor laws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the more faithful the operation of facilities, the more costly the site should be resolved through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example, the specific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for which clear policy directions of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need to be determined and guided to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방식의 매개효과

        이승현(Seung-Hyun Lee) 한국여가복지경영학회 2023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4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 요인에 초점을 두고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사회적 제도 개선과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 21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3년 6월 05일부터 2023년 6월 12일까지 7일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근로조건도 중요하지만 심리적인 요인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job satisfaction factors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seek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social systems and establishing polici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7 days from June 5, 2023 to June 12, 2023.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leader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although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s are also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 KCI등재

        불교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불교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__비불교인을 중심으로__

        임해영 ( Hae Young Lim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본 연구는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비불교인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불교 의미를 파악하고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불교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 나타나는 불교 경험은 ‘업무의 연장선장’, ‘의외성의 발견’, ‘낯설고 어려운 문화’, ‘신적 존재’, ‘세속화된 모습’, ‘이념적 실천도구’, ‘강력한 상징’, ‘분리되어야 할 영역’, ‘적응적 경험’의 9개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비불교인 종사자들의 불교 경험은 불교 사회복지 시설의 구성원으로서 의미를 부여하는 내부자적 경험이자, 동시에 비불교인으로서 불교계와 적절한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외부자적 경험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이들의 불교 경험은 소속 사회복지시설, 운영 사회복지 법인과 운영 지원 사찰의 불교 행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불교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체계적, 절차적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불교 사회복지의 목적을 교리적 이념의 실천, 사회적인 긍정적 이미지 제고 등으로만 해석함으로써, 불교가 보유한 문화적, 생태적 자산의 사회복지적 활용가능성, 고유한 전통 문화로서 불교의 가치, 현대인의 심신 안정에 도움이 되는 명상과 같은 불교적 실천 원리의 사회복지적 적용가능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비불교인 시설 종사자들을 위한 체계적 불교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6 non-Buddhist workers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onducted to grasp the meaning of Buddhism that they experience. Thus, 9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found in non-Buddhist work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onstructed which are ‘prolongation of work’, ‘discovery of unexpectedness’, ‘unfamiliar and difficult culture’, ‘divine existence’, ‘secularized shape’, ‘ideological practice tool’, ‘powerful symbol’, ‘area to be separated’, ‘adaptive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Buddhist experiences of non-Buddhist workers exist as an insider experience which come from being members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ir experiences exist also as an outsider experience which indicate that they try to keep certain psychological distance from Buddhism. Secondly, Buddhist experiences of non-Buddhist workers are fulfilled through Buddhist events and ceremoni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operat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operational support temples. This means absences of systematic and procedural process. Lastly, non-Buddhist workers interpret the purpose of Buddhist social welfare only as a practice of doctrinal ideology and an improvement of socially positive image. Thus, they fail to point out social welfare applications of cultural and ecological assets, values of Buddhism as unique traditional culture, and principles of Buddhist practices such as meditation which helps relaxation of body and mind.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this study suggests systematic Buddhist education is needed for non-Buddhist workers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