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6부의 시기적 변천과 기본 성격

        박성현(Park, Su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9

        본고에서는 신라 6부에 대한 자료와 연구사를 검토하고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쟁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신라 6부에 대한 연구는 고구려의 부 체제에 대한 연구, 새로운 금석문의 발견에 의해 활성화된 측면이 크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논의가 상고기 말 중고기 초의 6부 체제에 집중 내지 편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중고기 이후의 6부에 대해서는 정밀하게 규정하지 못한 듯하다. 본고에서는 신라 전 시기에 걸친 6부의 변천과 특성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전 시기에 걸쳐 6부는 기본적으로 사로국 내지 왕경의 지역 구분 형태로 존재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다만 중고기까지는 지역 구분에 따른 인민, 공동체의 편제라는 성격이 강했고,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는 그 성격이 많이 탈각되어 단순한 지역 구분, 즉 행정구역으로 존재하게 되었을 것이다. 아울러 중고기 초까지는 그것이 단위정치체로서 각각이 자치체인 동시에 신라 국가 및 정치 운영의 구성 단위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6부가 사로국 내지 신라 왕경의 지역 구분으로서 국가의 발전 과정에서 성격의 변화를 겪었다고 한다면 이것을 공간적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고고학 자료를 아우르고 나아가 각 부의 내부 구조와 지방과의 관계 등을 좀 더 분명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materials on Silla’s 6 bu (部) and the research history, and to discuss the issues of each period. The discussion of Silla’s 6 bu was activated by the study of Goguryeo’s bu system and the discovery of new stone inscriptions. Therefore, the discussion was naturally focused on 6 bu system of the late upper-old period (上古期) and the early mid-old period (中古期). On the other hand, it does not seem to have made precise provision of 6 bu after the 6th century. In this paper, I wanted to discuss the changes of 6 bu throughout the Silla Dynasty and to find its nature. It is thought that 6 bu was basically in the form of regional division of Saroguk (斯盧國) and the capital of Silla. However, until the mid-old period, bu was strongly characterized as a community or an organization of people based on regional division.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it seems to have become a mere regional division, that is an administrative division. Until the early mid-old period, it also had been a unit polity, that is a constituent unit participating in a policy decision of the Silla state. If bu was basically a regional division throughout the Silla Dynasty, it should be presented in a more detailed spatial manner. It will als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rchaeological data and will also help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bu and its relationship to provincial areas.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신라 6부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전덕재(Jeon Deogjae)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중성리비에 ‘辛巳’와 ‘只折盧葛文王’이 보이므로 그것의 건립 연대는 501년(지증왕 2)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성리비의 발견으로 상고기 신라 6부는 자치적인 관리조직을 갖추고 자체의 영역과 주민을 다스리는 지역집단에서 기원하였고, 그 내부에는 자치적인 관리조직과 지배기반을 보유한 여러 지역집단, 즉 부내부가 존재하였음이 명확하게 증명되었다. 또한 종래에 논란이 많았던 6부의 성립 시기를 니사금 시기까지 소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중성리비에 두지사간지궁과 일부지궁이 보이는데, 이것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의 식읍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501년에 모단벌훼가 두지사간지궁과 일부지궁을 빼앗았는데, 이것은 마립간시기에 훼부 김씨 왕실이 훼부와 사훼부 소속 왕족에게 지방의 특정 지역을 식읍으로 사여하면서 지방지배를 둘러싸고 6부 지배자들 사이에 발생한 분쟁과 관계된다. 이에 따라 신라정부에서는 6부인으로 구성된 爭人集團, 즉 평결집단을 조직하여 분쟁을 해결하고, 그 내용을 지절로갈문왕 등 3인의 교시로 반포하였다. 530년대에 部의 성격이 단위정치체에서 왕경의 행정구역단위로 바뀌면서 部別 지방지배 방식은 부정되었고, 국왕으로 대표되는 국가권력과 훼부ㆍ사훼부 소속 왕족ㆍ귀족들이 식읍ㆍ녹읍을 매개로 지방을 통치하는 지배구조가 정립되었다. Certain characters inscribed on the Jungseongri stele, for instance sinsa(辛巳) and jijeollo galmunwang(只折盧葛文王), indicate that it dates back to 501 AD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Jijeung). The inscription on the monument clearly shows that the 6-bu of Silla were autonomous political units which had their own subdivisions. In the past, there were controversies over when the 6-bu were actually established. However, the statement inscribed on the monument makes it possible to surmise that they were established as early as the Nisageum Period. Two other terms dujisaganjigung (豆智沙干支宮) and ilbujigung(日夫智宮) inscribed on the monument are understood to refer to sigeup(食邑). In 501 AD, Modanbeolhwe(Moryangbu) seized dujisaganjigung and ilbujigung during the struggle between the rulers of the 6-bu, which broke out by the granting of Sigeup to the Kim Clan Royal family belonging to Hwebu(喙部) and Sahwebu during the Maripkha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resolved the dispute via the mediation of the arbitration committee (爭人集團) composed of representatives from the 6-bu, and announced the contents of the solution in the form of an instruction from the three leaders, including Jijeollo Galmunwang. With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6-bu from autonomous political units to administrative units of the capital of the dynasty circa 530 AD, the system of bu’s district-based local governance was brought to an end and replaced by a governance structure composed of the state power represented by the King and members of the royal family belonging to the controlling districts of Hwebu and Sahwebu, using the Sigeup or Nogeup’s control.

      • KCI등재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 六部와 官等制

        박남수(Park, Nam-Soo)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2009년 발견된 「포항중성리신라비」의 새로운 석문을 바탕으로 6세기 전반 금석문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新羅6部의 전개과정과 구조, 그리고 京外官等의 문제를 살폈다. 이로써 신라의 왕경 6부는 전통적인 족적 기반의 거주지 중심의 구획으로부터 지연적인 행정단위체로 개편하였고, 각 부의 족적 기반으로서의 宮과 사적 성격의 使人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6부 생성 단계의 ‘간지-일벌’의 체계로부터 분화?발전한 신라의 관등제가,「중성리비」에서 喙?沙喙의 관등체계, 그리고 왕경 여타 4부의 ‘干支-壹伐’ 체계 및 지방 村단위의 ‘干支-壹金知’의 삼중체계를 거쳐, 법흥왕의 율령 반포 때에 경외 관등체계로 정비되었고, A.D. 539~561년 무렵에 京位17관등, 外位11관등제로 정비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나아가 신라 골품제는, 진골~4두품의 구분이 마립간기에 이미 성립되어, 진골과 6~1두품으로 확대 정비됨으로써 법흥왕의 율령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discovered in 2009, I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Silla 6 Bu and the Office rank of Capital and provinces. With this, it was found that Silla 6 Bu was reorganized as a territorial administrative district from a residence-centered district based on kinship and there were palaces as the clan basis of each Bu and messengers(sain; 使人) with private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can be figured out that, going through triple systems, as it were, an office rank system of Yangbu(喙部)?Saryangbu(沙喙部),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of 4 Bu in capital and ‘Khanji(干支)-IlKumji(壹金知)’ structure in provinces(村; chon), the Office rank system of Silla, which developed from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at the beginning of creation of 6 Bu, was organized to the office rank system of capital and provinces when the law was promulga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and then the system was completed as Gyeongwi 17 levels of office rank(京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capital) and Woewi 11 levels of office rank(外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provinces) at around 539~561 A.D. Moreover, the status hierarchy from True bone(Chingol) to the head rank four (4 dupum) as the core basis of Bone rank system(Golpum System) of Silla was already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Maripgan and it was enlarged to True bone and head rank system from six to one, then, reflected on the Statute enac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 KCI등재

        신라 초기의 國邑과 6村

        박대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3 No.-

        This study analyzes a possibility that the early Silla(斯盧國)'s Guk-eup(國邑, prime town of a polity) had a dual structure comprised of Goheo-chon(高墟村 or Saryang-Bu; 沙梁部) and Yangsan-chon(楊山村 or Gŭpryang-Bu; 及梁部) before the fourth century. From Hyukgeose(赫居世), the founder of Silla, to Talhae(脫解) Isagŭm, the palace, Kŭmseong(金城) was conceivably located in Goheo-chon. This fact indicates that Goheo-chon was the center of political affairs among the six villages, of which Silla consisted. When Wǒlseong(月城) was built and used as a palace from the 22nd year of Pasa(婆娑) Isageum(A.D. 101), the center of Guk-eup was moved to Yangsan-chon, where the new palace was located. Yet the Goheo-chon's significance in the political affairs was not faded away, as it carried on its role as a ritual site.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village was being included in the boundary the capital, since a progenitor's tomb and Na-jung(Na Well; 蘿井) was located in Goheo-chon, sites which had a strong connection to the founder of Silla. Additionally, there were ritual sites for Alyoung(閼英), the queen consort of Hyukgeose in the village. When Jungsadang(政事堂) was established in the fifth year of Ilsung(逸聖) Isagŭm(138), the Goheo-chon momentarily resum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until the reign of Adalla(阿達羅) Isagŭm. Still, Bulhyu(伐休) Isagŭm rebuilt the palace of Wǒlseong in the 13th year of his reign(196) and the center of Guk-eup returned to Yangsan-chon again. Hence, the bounds of Guk-eup embraced the two villages, while the center was shuttling between Kŭmseong and Wǒlseong. In the third year of Cheomhae(沾解) Isagŭm(249), Yangsan-chon fortifi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after establishing Namdang(南堂) on the southern region of Wǒlseong. Meanwhile, Goheo-chon, where once the progenitor's tomb, Na-jung, and Alyoung-jung assembled, could no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litical center anymore. Still, the village maintained its role as a center of ritual ceremony. This kind of phenomenon, a coexistence of a political center with a ritual center, is a universal structure for ancient cities. The characteristic that Guk-eup consists of two Bu(部), namely Saryang-Bu and Gŭbryang-Bu was a foundation for the structure that six Bu constitutes Silla's capital city(王都) after the fourth century. Unlike the capital cities of Koguryǒ and Paekch'e consisted of five Bu, Silla's included six of them. It is because, in addtion to the original two Bu, four more villages from four directions joined in the structure of Guk-eup like other countries, which originated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The development from Guk-eup with two Bu to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was presumably the result at the early fourth century, considering the record that the name Silla(新羅) came from meaning "including all four sides(Manglasabang; 網羅四方)" in Samguk yus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Silla in Samguk sagi, there were overlapping records about the time when the name of the dynasty was officially decided. The first is the tenth year(307) of Girim(基臨) Isagŭm, and then the name was again proclaimed in the fourth year(503) of King Jijeung(智證). These repeated proclamations were, arguably, that the former implied the formation of the six Bu, while the latter meant reorganization of the local country into castles(城) and villages(村).

      • KCI등재후보

        포항 중성리신라비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시사점

        이부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6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Pohang Jungseong-ri Silla-stele,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is at the study of history of Silla. It may have disappeared about an letter at the first space of the 6th·8th vertical line. It should be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front and back at the reading letters which have great variation in stroke. Tak(喙) was used as the name of the person at Taksari (喙沙利), and as the name of Bu(部) at Modanbeoltak(牟旦伐喙) and Bonpatak(夲波喙). Tak pointed out the center of Gyeongju originally, after all Modanbeoltak and Bonpatak, further more other Bu.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喙沙部) was appointed Gan-series Gyeongwi(京位) originally. But the people of Modanbeoltak was also appointed Gan-series one after A.D.501 at least. The autonomous title which belonged to Ganzi(干支) had been maintained on their own by immediately after the time when the nation announced its Yulrung(律令) in other Bu(部).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of no official rank carried out official work formally for 6-Bu(六部) on the basis of autonomous hierarchy of his family. Gyo(敎) was presented in the Jungseong-ri Silla-stele as the basis of the procedure followed. ‘Baek’(白) was practical report related to the litigation. ‘Woon(云)’ was a statement which was the basis for Gyo(敎). Ryoung(令) of the 7th vertical line was in a lower grade than Gyoryoung(敎令). Ryoung was presented as various forms by 6-Bu as well as by Dosa(道使). ‘Bu’ may had been recorded before ‘Zicheollo(只折盧)’ of the first vertical line. 6-Bu had its origin before 12th years of Zabea-Maripgan(慈悲麻立干) at least. Maripgan represented 6-Bu being assisted by Gyeongwi and Ganzi(干支). The Maripgan"s status recorded in Samguksagi was the result of gradual change described above. 이 글은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쟁점을 점검하고 이것이 신라사 연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중성리비에서 Ⅵ·Ⅷ행 상단에는 1글자 정도가 탈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필획의 변이가 큰 글자의 판독에서는 필획과 함께 전후 맥락이 중시되어야 한다. ‘喙’은 喙沙利에서는 인명으로 쓰였고, 牟旦伐喙과 夲波喙에서는 부명에 연결되었다. 경주 중심부의 근거지를 가리켰던 喙은 모단벌탁·본파탁에 이어 여타 부로 확산되었다. 중성리비는 그 과정을 보여준다. 干群 京位는 탁부·사탁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는데, 501년 이전의 모단벌탁에서는 伊干支와 沙干支가 임명되었다. 이들은 아간지, 일간지, 급벌간지와 함께 마립간을 보위했다. 여타 부에서는 간지 이하의 자치적 위호가 율령 반포 직후까지 별도로 운영되었다. 경위체제 하에서도 6부의 업무에 참여하는 무관등자가 가계집단의 자치적 위계를 바탕으로 공적 역할을 담당했다. 일벌은 부·촌 간지의 최고 보위자에서 유래했다. 비문 서두의 敎는 뒤에 제시된 절차의 근거로서 제시되었다. ‘白’은 분쟁사안에 대해 사뢰었던 실무적 보고이다. ‘云’은 교의 근거가 되었던 진술이다. Ⅶ행의 令은 敎令과 혼용되었는데 , 보완적 敎에 가까운 敎令보다 등급이 떨어졌다. 영은 6부 차원과 道使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내려졌다. ‘部’는 Ⅰ행의 ‘지절로’ 앞에서도 관칭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6부의 편성 시기는 자비마립간 12년 이전으로 올라간다. 마립간은 경위자와 간지 등의 보위를 받아 신라 6부를 대표하는 존재가 되었다. 마립간 출현 기사는 그 점진적 과정을 내포한다.

      • KCI등재

        新羅 中古期 六部의 構造와 그 起源

        윤선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4 No.-

        현재 학계에서는 중고기 이후 신라의 6부가 더 이상 단위정치체로서는 기능하지 않고, 왕경의 행정구역으로 변모하였다고 보고 있고, 이러한 주장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본고는 새롭게 발굴된 자료인 「월성해자 9호목간」에 의거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6부가 신라 왕경의 행정구역으로 완결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세세한 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 이는 애초 건국신화 속의 ‘6촌’을 왕경의 6부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만 바라보았던 것도 그 원인의 하나가 아니었던가 생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성리비」가 발견된 이후, 종래 단순히 6部와 그 예하의 里들을 기록한 목간으로 이해했던, 「월성해자 9호목간」을 새롭게 주목하여 보았다. 이 목간은 중고기에 작성된 것이며, 목간의 묵서에 의하면 習比部 하에 里로 편제된 지역만이 아니라 里로 편제되지 않은 지역단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중고기 이후 6부가 왕경의 행정구역으로 재편되어간 것은 분명하지만, 6부의 내부구조는 보다 복잡하였고, 또 6부가 전적으로 왕경이라는 지역범위 내에 한정되는 행정구역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도 분명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큰 틀에서 6부 성격의 변화에서 중고기가 중요한 전환기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이전 6부가 단위정치체로서 기능하던 部의 성격이 중고기에 완전히 소멸되었던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 글은 「월성해자 9호목간」 및 「포항중성리비」 등 신출 자료에 기초해 ‘6부’가 왕경의 6부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을 입체화해보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월성 해자 목간으로 본 신라의 왕경

        박성현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tructure and the landscape of the royal palace and its surroundi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6 bu (六部) and ri (里),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lla’s capital by analyzing wooden slips from the moat of Wolseong Palace. The recent survey of Wolseong revealed the date of construction and the changes of the wall and the moat. That is, the wall was built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moat had been a long pit surrounding Wolseong’s northern part befor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hen Silla reconstructed it as several ponds with revetment made with stones. It is thought that the wooden slips were abandoned from the outside of the pit style moat. At that time, there were many warehouses of a high floor in the area. When viewed from the contents of the wooden slip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warehouses were managed by Samgung (三宮) or Naeseong (內省). No. 9 wooden slip is the list of villages belong to some bus. Some of them have the name of ri, and the others don’t have. It can be known that there were both districts organized as ri and villages not organized as ri in a bu. There have been some disputes about the relation between 6 bu and the capital city of Silla. However, these wooden slips can show that only some part of 6 bu were included in the capital city and the other part were not. 본 논문은 월성 해자 출토 목간 중에 신라 왕경과 관련된 것을 분석하여 王宮과 그 주변의 구조와 경관, 왕경의 행정 구역인 里와 6部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최근의 월성에 대한 발굴조사, 특히 성벽과 해자에 대한 조사 결과 성벽의 축조 연대와 해자의 변천이 어느 정도 분명하게 밝혀졌다. 즉 5세기 중엽 이후에야 성벽이 축조되고 해자가 개착되었는데, 그 형태는 월성의 동, 북, 서쪽을 길게 두른 수혈 해자였으며, 삼국 통일 이후 이것이 호안 석축이 있는 몇 개의 해자로 개편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월성 해자 출토 목간은 수혈 해자 단계에 해자 바깥쪽에서부터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당시 그 구역에는 高床의 창고들이 있었으며, 목간의 내용으로 보았을 때 그것들은 3宮 내지 內省 예하의 창고로, 왕궁의 물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9호 목간은 6部와 소속 里 혹은 里가 아닌 지명들을 열거하고 그들이 특정한 의무를 이행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자료를 통해 당시 부에는 里로 편제된 구역과 그렇지 않은 구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통일기 王都=35里와 6부의 관계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데, 이 자료에 의하면 6부 중 일부, 대체로 현재의 경주 시내 부분만 왕도로 편입되어 里로 편제되었으며, 동시에 그렇지 않은 6부 구역도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

        채미하(Chai, Mi-ha)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에 보이는 6촌을 비교ㆍ검토하였는데, 두 史書에 보이는 6촌과 관련된 기록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삼국유사》 내용에서는 착오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삼국유사》에는 《삼국사기》에 보이지 않는 내용도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6촌장의 초강지와 6촌의 촌명을 통해 무산대수촌을 제외한 5촌의 위치가 알천 북쪽내지는 알천과 가까운 지역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원래의 6촌 사회는 조선유민들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6촌 안에는 다양한 세력들이 존재하게 되었고, 6촌 세력의 시조는 天에서 峰 또는 山과 연결되어 그들의 시조신화가 변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선도산의 서술성모설화는 신라 중고기를 전후한 시기에 혁거세ㆍ알영세력과 6촌 세력과의 관계가 새롭게 규정된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6촌 사회는 시조의 초강지나 그 지역의 산들을 신성시하였고 그곳에 제사지내면서 그들의 공동체를 공고히 하였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신라는 이들 산악을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하였는데, 이것은 각 지역이 신라의 지배에 들어갔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다른 5촌과는 달리 알천양산촌(양부) 지역의 산악은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되지 않았다. 이것은 알천양산촌(양부)이 다른 5촌(부)과는 그 위상이 달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 first compared and studied myths of Six Chons recorded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and the records related to Six Chons in those two history books had differences each other and the wrong point was found in Samgukyusa. However Samgukyusa had some contents which are not reflected in Samguksagi. And the location of Six chons except Moosan desoochon was the north of Alcheon of near Alcheon by Chogangji of chief of Six chons and by the names of Six chons. Secondly, the original society of Six chons was formed by the migrants of Choseon and united the aboriginal with ideas of “Cheon”. But there existed various influences in Six chons as the society of Six chons developed, and the progenitor of Six chons was related with ‘peak’ or ‘mountain’ so the myths of progenitor was changed accordingly. And the myth of Seosoolseongmo in Seondo mountain was the one regulated the relationship of Hvukgeose. Alyoung influence and Yookchon influence in the midst period of Silla. Meanwhile, the society of six chons sacred the birthplace of progenitor or the near mountains and performed rites to them, which consolidated their community. But Silla organized these mountains under national rites which symbolically showed each region was belonged to the power of Silla. However, the mountain near Alcheon yangsanchon(Yangbu) was not organized under the national rites of Silla far from other five chons. this meant Alcheon yangsanchon(Yangbu) was superior to other five chons(bu) in its position.

      • KCI등재

        신라 ‘1官職 2官人制’의 성립 배경과 전개

        윤진석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6 No.-

        In Silla, two people were appointed to head the same department in its management of public departments and posts(multiple ministers system). Many of its public departments had two ministers. This system started to attract attention as a characteristic aspect of Silla's administration early on along with the concurrent offices system for ministers, which means that a minister was allowed to head more than one department. A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at the cause and purpose of the multiple ministers system were closely related to mutual check of power and collegiate political operation.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relations between the "pattern of appointing one Takbu and one Satakbu for a single public post" and the "systems of two government officials for a single public post including the multiple ministers system" on epigraphs from the fifth and sixth century. It further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during the Jung and Ha periods and the issue of succession into Goryeo. The system of two government officials for a single public post" inherited the practice of appointing one from Takbu and the other from Satakbu in the same official rank to each post during the years of the Bu system when later generations of public departments and posts were installed. The reorganization of Silla's administration during the Jung period saw the addition of one Ryeong(minister) to two Gyeongs(vice-ministers) that used to play the roles of a minister in Jipsabu and other departments. The single minister system was applied to new government offices, but many of Silla's public departments kept the multiple ministers system till the fall of Silla. The system reappeared after the foundation of Goryeo and continued into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신라의 官府・官職 운영에서 다수 관부의 장관을 2인으로 한 것(장관 복수제)은 한 사람이 여러 관부의 장관을 겸직한 것(장관 겸직제)과 더불어 신라 관제의 특징적인 면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이러한 장관 복수제의 발생원인 및 운영목적에 대해 대다수 선행연구들은 권력의 상호견제 및 합의제적 정치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글에서는 5~6세기 금석문에 보이는, ‘1개 관직에 탁부・사탁부 각 1인 임명 양상’과 ‘장관 복수제를 비롯한 1관직 2관인제’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中代・下代의 전개과정과 고려로의 계승문제를 살펴보았다. 1관직 2관인제는 部體制 시기 각 직임에 탁부와 사탁부 소속의 동일한 官等소지자 각 1인을 임명하던 방식이 후대의 관부・관직 설치 시에도 계승되어 성립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중대 관제 개편 시 執事部 등에 원래 장관 역할을 하던 卿(차관) 2인 위에 令(장관) 1인을 추가로 설치하였고 새로이 생겨난 관서에도 1인 장관제를 취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다수의 관부는 신라 멸망 시까지 장관 복수제가 유지되었고, 나아가 고려 건국 후에도 재등장하여 경종代까지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