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성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주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Mediating Effect of Sex Life SatisfactionJuan Lee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x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for married men and women in middle age. For this purpose, 263 married men and women aged 30 to 59 (131 males, 132 females) were measured for sex role attitude, life satisfaction, and sex life satisfaction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s a result,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sex role attitude of married men and women in middl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sex role attitude of married men and women in middl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sex life satisfaction.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sex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in middl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sex role attitude of married men and women in middle ag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rough sex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an understanding of the path of sex role attitudes of married people in middle age leading to life satisfaction through sex life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sex life satisfaction. Key Words: Sex Role Attitude, Life Satisfaction, Sex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Middle Age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성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이 주 안* 요약: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59세 사이의 기혼남녀 263명(남 131명, 여 13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을 통한 성역할태도, 삶의만족도, 성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은 높아졌다. 둘째,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성생활만족도 수준 역시 높아졌다. 셋째,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생활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는 성생활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가 성생활만족도를 통해 삶의 만족도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성생활만족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성역할태도, 삶의 만족도, 성생활만족도, 매개효과, 중년기 □ 접수일: 2022년 4월 2일, 수정일: 2022년 4월 1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데이브레이크대학교 부부가족상담대학원 박사과정(Doctoral Course, Daybreak Univ., Email: koreapiaget@hanmail.net)

      • 노인의 성생활인식이 성생활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영옥 ( Young Ok Won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4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성생활인식, 성생활실태,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 안산시, 수원시, 시흥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서 300부를 배포하여 285부를 회수하였다. 이들 자료를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통계분석, t-test, ANOVA분석과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생활을 하고 있는 노인 40.3%, 하지 않는 노인이 59.7%, 중요하다고 한노인이 36.7%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성생활인식이 5점 척도 2.17로, 성생활만족도 수준이 2.27로, 삶의 만족도 수준이 2.74로서 만족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생활인식은 성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의 성생활인식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노인들의 성생활 인식 수준이높을수록 성생활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노인들의 성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성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노인의 성생활인식, 성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수준이 여성보다 남성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 저학력보다 고학력이, 건강한 노인들이, 그리고 경제수준이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survey recognition,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of sex life in the aged and identify 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For this purpose. we distributed 300 copies of questionnaire to the aged more than age of 60 who use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aged primarily living in Ansan city, Suwon city and Siheung city, Kyunggi-Do and retrieved 285 copies.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40.3% of the aged have sex and 59.7 % of the aged do not have sex and 36.7% regarded sex as an important activity.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ged is reported to be not much high with 2.17 of their sex recognition, 2.27 of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2.74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5 point of perfect score. Third, the recognition of sex life is shown to positively affect satisfaction in sex life. Fourth, 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sex life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levels in sex life ar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 of sex life become. Fifth,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daily life for the aged showed tha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in sex life ar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 in life become. Sixth,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level in sex life and that of daily life showed higher results from men than women, the aged with their spouse than those who do not have spouse, those who have high academic ground, healthy people and those who have higher economic levels.

      • 노인의 성(性)생활 인식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윤재실(Jae-Sil Yun)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3 교정사회복지연구 Vol.5 No.-

        Traditionally, we have thought that sex life between man and woman was more for childbirth than for expression of their love or affinity in Korea. Also, we have considered seniors have no sexuality, therefore, they should have controlled their sexual instinct. But dissimilar to our thought, the seniors have libido and sexual prowess, and actually, they have enjoyed their sexual life. So, my paper is aimed at the old prejudice - sexuality is only for young people - should be swept off. And then, I would like to lay out an educational and theoretical basis for awareness about the senior's sexuality as a human right. To approach my purpose, from 16th April to 27th April 2010,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30 seniors over 65 years using Elderly Care Centers and 100 seniors over 65 working on Job Creation for older people in Incheon. Through data retrieval and encoding process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I collected data and summarized them as below. First, I got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xuality awareness of seniors and general variables - sex, age, academic background, physical condition, whether have sex or not, frequency of sex act and satisfaction of sex life - . Male senior is more aware of sexuality than female. But, there is no point of correlation between sexuality awareness and age, academic background and physical condition. This means sexuality awareness have something with sex, but nothing to do with age, academic background or physical condition. Meanwhile, the analysis was shown seniors, the more have sex, the more aware of sexuality. And comparatively,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sexuality awareness of seniors and whether have sex or not. But in doing their sex acts, have more aware of sexuality than in nothing. Furthermore, the more satisfied their sex life, they have higher sexuality awareness. Second, the data was shown significance between sexuality awareness of senior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at is, higher sexual awareness of seniors means better life satisfaction of them. The sexual awareness of seniors has three branches - attitudes toward sex, interest in sex and importance of sex - . There is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seniors and attitudes toward sex. Number 2 is interest in sex. And the last is importance of sex. The life satisfaction has four branches - attitudes toward aging, self-achievement, reality satisfaction and self-worth - . The most important correlation is between sexuality awareness of seniors and self-achievement. No.2 is reality satisfaction, no.3 is self-worth and the last is attitudes toward aging. Thus, from those analysis, I define that happy golden life is influenced by sexual awareness - and its branches - . This research lead me to overcome the old korean prejudice - sexuality is only for the young - and to change my perception to disallow the senior's sexuality. Despite their old, I recognized the seniors have libido and sexual prowess, and also they can enjoy their energetic sexual life. Modern medical technology has given the seniors longer expectancies of life. Such rise of older people lead us more to try to improve senior's quality of life. The seniors need to be understood and to deserve respect as human beings in our communities. For more worth and happier old life, we try to make better organized institutional improving. We will have to prepare for our happier and healthier old life. Don't forget all of us are getting old. 본 논문은 노인의 성(性)생활을 바라보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가치관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여 성(性)생활을 남녀 간의 사랑과 친밀감의 표현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자녀 출산이라는 의미로 보고, 성(性)에 대한 욕구 억제를 기본 미덕으로 삼아온 노인들이 사회적 편견과는 다르게, 노인에게도 성욕과 성적능력이 있으며, 또한 실제적으로 성(性)생활을 하고 있는 실태를 파악하여 성을 젊은이들의 전유물로만 생각했던 과거의 문화를 불식시키고 노인의 성(性)생활을 인간의 권리로 볼 수 있는 문화 형성에 있어 교육적,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년 4월16일부터 4월27일까지 인천소재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65세이상 노인 130명과 노인일자리창출에 참여하고 있는 65세이상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 검색과정과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생활인식에 대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 중 먼저 성(性)생활인식과 성별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性)생활인식과 연령, 최종학력, 건강상태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성(性)생활을 인식함에 있어서 연령이나 배움에 차이라든지 건강상태의 좋고 나쁨은 무관한 것으로 해석될 있다. 성(性)생활인식과 성(性)생활 빈도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해석하면 성(性)생활 빈도가 많을수록 성(性)생활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性)생활인식과 성(性)생활여부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성(性)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 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비해 성(性)생활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性)생활인식과 성(性)생활만족도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해석하면 성(性)생활에 대해서 만족하는 경우 성(性)생활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性)생활인식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만족도와 성(性)생활인식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에서는 3개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성태도가 1순위, 성관심도가 2순위, 성중요도가 3순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性)생활인식과 생활만족도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에서는 4개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자아성취감이 1순위, 현실만족도가 2순위, 자아존중감이 3순위, 노화태도가 4순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性)생활인식도 즉 하위 영역들로 인해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성(性)욕구와 성(性)생활이 노인이 되어서도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생명연장과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삶의 기간이 길어진 만큼 노년기의 삶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올바른 지식과 이해를 증진시키며 동시에 지역사회 안에서 동일한 인격체로서 노인이 존중받을 수 있는 노인인권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되어 노후의 삶이 보람되고 행복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과 체계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곧 미래의 우리 모두의 삶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건전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 노인의 성생활 만족도와 우울 간의 관계 연구

        곽지은,김슬기,김지혜,이소현,이수진,이혜지,한솔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2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relationship between Sex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a sex related nursing intervention health promotion program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ethod: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comprised of 113 elderl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Hwang’s sex life satisfaction measuring instrument to evaluate sex life satisfaction, the K-GDS(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to evaluate depression. Result: The general factors effecting the sex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as follows: Religion, Subjective financial condition. The general factors effecting depression were as follows: 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ly active subjects’ sex lives, ‘How often do you enjoy your sexual life’ affected depre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figure out the elderly’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ex life satisfaction, i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p-value of 0.01).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were inversely 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specially, the all-round quality of life that the elderly subjectively feel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sex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dvancement of the level of economic status and health, and a development or practice of program for personal relationships.

      • KCI등재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장정희,김용숙,육성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on Sex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Junghee Jang, Yongsook Kim, & Sungpil Y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and verify the effect on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number of elderly women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in K provinc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a total of 37 people, including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on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Excluding data with many missing values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data from 16 experimental group and 16 control group were finally analyzed.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ex perception score and life satisfac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ome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x percep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senior sex education programs. Key Words: Elderly Welfare, Elderly Women, Sex Education Program, Sex Perception, Life Satisfaction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장 정 희*ㆍ김 용 숙**ㆍ육 성 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60세 이상 여성 노인에게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성인식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여성노인은 K도의 노인복지관 중심으로 참여한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총 37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성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중에서 설문응답에 결측값이 많은 자료는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성인식 점수와 삶의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는 여성 노인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이 성인식 개선은 물론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성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핵심어: 노인복지, 여성 노인, 성교육프로그램, 성인식, 삶의 만족도 □ 접수일: 2021년 12월 23일, 수정일: 2022년 1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수료(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oul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Email: jjhee1205@hanmail.net)** 공동저자, 숭실대학교 겸임교수(Co-author, Professor, Soongsil Univ., Email: kyskdw@nate.com)*** 교신저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Email: ysp62@hanmail.net)

      • 노인의 이성교제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필 ( Jae Pil Jung ),박민선 ( Min Sun Park )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2010 노인의료복지연구 Vol.2 No.2

        This study used a structuralized survey to examine widowed male and female senior over 65 years of age in Daegu to study how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have influence on senior`s life satisfaction. Among 250 returned survey forms, 215 forms, excluding incomplete or invalid form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s for the need of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according to gener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people in need of relationship were characterized by sex and educational level. Male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showed higher need of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Second, as for the intimacy with other sex according to gener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more intimate people were characterized by sex,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 Male, the more extroverted, and those with happier families showed more intimacy with opposite sex. Third, as for the difficulties in having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according to gener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ere charaterized by age, personality, and health conditions. The older, the more introverted, and those with worse health conditions showed more difficulties in having relationsl1ip with opposite sex. Fourth, as for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according to gener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people who have more active relationship were characterized by sex, monthly allowance, income, and personality. Male, those with higher monthly allowance, those with higher income, the more extroverted, and the healthier showed more active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Fifth, as for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more satisfied people were characterized by income, personality, health conditions, and family relations. Those with higher income, the more extroverted, the healthier, and those with happier families showed higher life satisfcation. Sixth, the factors that were considerably cor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nclude the need of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r=0.179), intimacy with opposite sex (r=0.274), and degree of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r=0.207). Among these factors, intimacy with opposite sex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eventh, the factors that were considerably influential on life satisfaction were income (b=0.094), personality (b=0.098), health conditions (b=0.154), family relations (b=0.126), and intimacy with opposite sex (b=0.202). Among these factors, intimacy with opposite sex was the most influential one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남녀 노인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결과

        김기영,박희봉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6 No.4

        This study analyzes how different the factors affecting sex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 men and women,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ex lif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are examined. The effect of basic demographic differences such as age,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wa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ird, how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affects the lives of the elderly was examined. We investigated whether sexual life will affect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neighbors, etc., and how much improvement in these relationships will affect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n than women.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active sex life and the more frequent sex life. Howev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did not affect sexual life, unlik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sex life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elf-confidence, life satisfaction, social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ong with income. The older males feel higher in physical health, have high self-confidence, and are engaged in many social activities than female seniors. In addition, while active sex life positively affects most daily life such a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confidence, life satisfaction, social activity, family relationship, neighbor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relative relationship, the number of sexual activities in the elderly male, the number of sex lives doesn't affect the old men’s life. On the other hand, female seniors have relatively active friendships and relatives compared to male seniors. In the elderly women, the influence of active sex life is lower the elderly men. Also, unlike the male elderly, the number of sexual l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many daily lives such as mental health, self-confidence, neighbors, and relatives. This results show that sex life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improving daily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for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ctive sex life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any other variable for the elderly mal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생활에 있어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기존 연구를 점검한 후 실제로 남녀 노인의 성생활 영향요인 및 성생활 효과가 얼마나 다르게 나타날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적극적 성생활을 성생활 횟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배우자 유무는 기존 연구와 달리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남녀 노인의 성생활은 소득과 함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인간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남성 노인은 여성 노인보다 육체적 건강을 높게 느끼고 있으며, 자신감이 높고 사회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남성 노인은 적극적인 성생활이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가족관계, 이웃관계, 친구관계, 친척관계 등 대부분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생활 횟수는 일상생활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이와 달리 여성 노인은 남성 노인에 비해 친구관계와 친척관계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다. 그리고 여성 노인은 적극적인 성생활이 육체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가족관계 이웃관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적극적 성생활이 소득에 비해 일상생활에 낮은 영향을 나타냈으며, 남성 노인에 비해 적극적 성생활의 영향력이 낮았다. 여성 노인은 남성 노인과 달리 성생활 횟수가 정신적 건강, 자신감, 이웃관계, 친척관계 등 다수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남녀 노인 모두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등 일상생활과 가족, 이웃, 친구, 친척 등 인간관계를 높이는데 성생활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남성 노인에게는 적극적인 성생활이 대부분의 일상생활이 다른 어떤 변수보다도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관련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젊은이와 같이 성생활을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노인의 성생활과 배우자 간 정서적 친밀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현숙(Hyun-Sook J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는 ‘노인의 성관계와 부부친밀감이 노인의 생활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경기도 남양주시와 가평군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유배우자가 있는 노인 309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0일부터 10월20일까지 11일 동안 면접 및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 51%, 여성은 49%로 나이는 60, 70대가 전체의 84.7%로 나타났으며, 학력은 초졸과 중졸의 비율이 각각 26%로 가장 높았다. 종교가 있는 사람이 60.1%, 그중 개신교가 24.7%이다. 지역은 농어촌에 사는 비율이 42.9%이고. 건강 상태는 보통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이 87.6%로 나타났다. 성생활빈도에 있어서는 1개월에 1~2회 성생활을 한다고 답변한 비율이 41.4%로 에 달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은 낮을수록, 학력은 높을수록, 지역은 중소도시 이상에 사는 노인들이,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생활만족도에서 남성이, 중소도시 이상에 거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성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 간 정서적친밀감은 농・어촌 지역에 거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의 경우 개신교와 같은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 중소도시 이상에 거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결과 성생활 만족도는 정서적친밀감(p<.01), 생활 만족도(p<.01)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성생활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고, 배우자 간 정서적 친밀감도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lderly’s sexual relations and marital intimacy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Interviews and visits were conducted for 11 days targeting 309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1% were male, 49% were female, and 84.7% were in their 60s and 70s. Approximately 60.1% of them were religious, of which 24.7% were protestants. In the region, 42.9% lived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percentage of those who answered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above average was 87.6%. Regarding the frequency of sexual life, 41.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d sex once or twice a month. Males had a higher frequency of sexual life than females. A lower age, higher education,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etter health status, and higher income level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frequency of sexual life. The factor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life satisfaction were gender, region, and health status. Those with religion as Protestantism, residing in a small or medium-sized city or over, with better health and higher income levels were found t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ith sex lif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imacy (p<.01) and life satisfaction (p<.01).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exual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timacy between spous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노인의 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덕순,박영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ex life of older people who used local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find out their need for sex-related programs from a gender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578 old men and women from 16 welfare centers nationwide. The findings from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the surv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everal areas such as knowledge about sex, learning source about sex, and their perception of sex. Second, men and women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sex and the degree of knowledge as well. Older men with more knowledge about sex showed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sex as well.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a gender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a spouse or not. Fourth, older men and older women showed a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obstacles to sexual activities and so on. Fifth, a gap between men and women was found in the contents of social supports they needed even if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sex counseling and preferred teaching methods. Based upon these findings, the need for expanding more diverse sex-related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is recommended. Sex educators need to be informed about gender differences, and design more gender-sensitive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 이용노인의 성실태와 성관련 프로그램 욕구에 대해 성인지적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전국 16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노인 5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지식 습득경로, 성에 대한 중요성 등에서 남녀노인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태도와 성지식정도에서 남녀노인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노인이 성태도에서 더 허용적이며, 성지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 유무에 따라 성생활 실태에 남녀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노년기 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정도를 인식하는 것과 성생활 방해요소 등에 있어서도 남녀노인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남녀노인간 성상담프로그램 내용이나 성상담형태, 선호교육방법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내용에서는 남녀간 차이를 보였다. 이에 노인복지관 성관련 프로그램의 확대, 성교육 전문가 양성, 성관련 프로그램의 다양화(남녀, 배우자 유무), 상담과 교육방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인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연구

        하춘광(Choon Kwang Ha),김효순(Hyo Soon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3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403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sex difference and two dimensional structure. This purpose has the special feature that life satisfaction was understood as two dimensional structures-positive and negative concepts.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1(positive emo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such as subjective economic status, physical self-efficacy, education, using agency to male elderly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ituation, physical self-efficacy to female elderly in order. In life satisfaction 2(negative emotion and negative self-image) physical self-efficacy was the influencing factor to the only mal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deep and intervention policy must to be prepared carefully upon sex difference to enhance th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